KR101043479B1 -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479B1
KR101043479B1 KR1020080136847A KR20080136847A KR101043479B1 KR 101043479 B1 KR101043479 B1 KR 101043479B1 KR 1020080136847 A KR1020080136847 A KR 1020080136847A KR 20080136847 A KR20080136847 A KR 20080136847A KR 101043479 B1 KR101043479 B1 KR 101043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indow
monitoring window
monitor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555A (ko
Inventor
장단원
손선태
이영관
김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Priority to KR102008013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4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2Clear-view screens; Wind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2019/0007Ship's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적은 힘으로도 개폐가 가능한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유선형상의 선체, 상기 선체의 후미 하부에 구비되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체, 및 상기 선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견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견시창은, 옆 면에 강화유리를 장착하고 개폐 가능한 감시창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의 하부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감시창유닛과 이격되게 고정 배치된 스핀들 고정대를 구비하는 스핀들유닛, 일 단이 상기 감시창과 결합되고 타 단에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롤러를 안내하는 레일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을 고정하는 잠금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이 회전 이동하여 상기 감시창유닛이 안착되는 받침대유닛, 및 상기 강화유리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강화유리 표면을 닦는 창닦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감시창유닛은 상기 스핀들 고정대를 중심으로 반원을 그리며 회전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의하면, 적은 힘으로 견시창의 개폐가 가능하여 이를 통해 비상시 탈출 등이 가능하며, 강우, 강설, 높은 파도, 고속 운항 등의 기상 악화 시에도 창닦이를 이용하여 견시창 표면을 닦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견시창, 선박, 스핀들, 롤러, 레일.

Description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Open-close Type Observation Canopy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적은 힘으로 견시창을 개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창닦이를 통해 견시창 표면을 닦아낼 수 있는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상륙용 고속정과 같은 함정에서는 승무원이 견시창 내부에 위치하여 사주 경계 혹은 정찰 임무 등을 수행한다. 종래의 견시창은 개폐가 불가능한 고정식이었으며, 이로 인하여 단순한 경계 임무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고정식인 견시창의 구조로 인하여, 비상시 견시창을 이용한 탈출 및 적 출현 시 견시창 개방 후 즉각 응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우, 강설, 높은 파도, 고속 운항 조건 시, 물보라 등으로 인한 견시창 창문에 이물질이 고착되어 시현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가 가능하여 비상시 견시창을 통한 탈출 및 적 출현 시 즉각 응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힘으로도 개폐가 가능한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상 악화 시에도 견시창 내부에서 용이하게 견시창의 표면을 닦아낼 수 있어 시야 확보가 가능한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은 감시창유닛, 스핀들유닛, 롤러유닛, 레일유닛, 잠금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감시창유닛은 옆 면에 강화유리를 장착하고 개폐가 가능하며, 상기 스핀들유닛은 감시창유닛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감시창유닛과 이격되게 고정 배치된 스핀들 고정대를 구비한다. 상기 롤러유닛은 일 단이 상기 감시창과 결합되고, 타 단에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유닛이 상기 감시창유닛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롤러를 안내한다. 또한, 잠금유닛은 상기 감시창유닛을 폐쇄 또는 개방 상태에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시창유닛은 상기 스핀들 고정대를 중심으로 반원을 그리며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은 창닦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창닦이유닛은 상기 강화유리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강화유리 표면을 닦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은 받침대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감시창유닛이 회전 이동하여 상기 받침대유닛 상에 상기 감시창유닛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유닛은, 폐쇄 시 상기 감시창유닛이 안착되는 하부밴드 및 상기 스핀들 고정대를 중심으로 상기 하부밴드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개방 시 상기 감시창유닛이 안착되는 레스트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감시창유닛은 옆 면이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육면체의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또한, 감시창유닛의 하부에는 상기 감시창유닛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바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핀들유닛은 'ㄷ'자 형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롤러유닛의 롤러는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견시창의 폐쇄 시 상기 견시창을 고정하는 내부래치 및 상기 견시창의 개방 시 상기 견시창을 고정하는 외부래치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창닦이유닛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링크구조, 상기 모터를 장착하는 프레임,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강화유리 표면을 닦는 블레이드, 상기 모터의 작동이 멈출 때 자동으로 첫 스타트 지점으로 정지시켜 주는 센서, 및 상기 링크구조를 해동시키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유선형상의 선체, 상기 선체의 후미 하부에 구비되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체 및 상기 선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견시창을 포함하고, 상기 견시창은, 옆 면에 강화유리를 장착하고 개폐 가능한 감시창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감시창유닛과 이격되게 고정 배치된 스핀들 고정대를 구비하는 스핀들유닛, 일 단이 상기 감시창과 결합되고 타 단에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롤러를 안내하는 레일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을 고정하는 잠금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이 회전 이동하여 상기 감시창유닛이 안착되는 받침대유닛, 및 상기 강화유리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강화유리 표면을 닦는 창닦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감시창유닛은 상기 스핀들 고정대를 중심으로 반원을 그리며 회전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의하면, 견시창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비상시 탈출 및 적 출현 시 즉각 응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의하면, 스핀들, 롤러, 레일 등을 이용하여 견시창의 회전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적은 힘으로도 견시창의 개폐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의하면, 창닦이를 견시창 외부에 구비하고, 이러한 창닦이를 견시창 내부에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기상 악화 시에도 견시창의 표면을 닦아낼 수 있어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의 폐쇄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이러한 개폐식 견시창의 폐쇄 상태에서의 정면도 및 개방을 위해 견시창이 회전하는 동작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의 개방 상태에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이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10)은 감시창유닛인 감시창(100), 스핀들유닛인 스핀들(200)과 스핀들 고정대(210), 롤러유닛인 롤러(300), 레일유닛인 레일(400), 받침대유닛인 레스트고무(500)와 하부밴드(520), 잠금유닛인 외부래치(600)와 내부래치, 및 창닦이유닛인 창닦이(700)를 포함한다.
감시창(10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표면에 강화유리를 구비하여, 승무원이 감시창(100) 내부에서 위치하여 사주경계 혹은 정찰 등과 같이 외부 관찰을 위한 시야확보가 가능하도록 한다.
감시창(100)은 옆 면이 사다리꼴로 형성된 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네 개의 옆 면에는 강화유리(120)가 구비되어 있으며, 감시창(100)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어서 승무원이 감시창(100) 내부 공간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감시창(100)의 내부에는 커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시창(100)의 사 면에 형성된 강화유리(120)를 통해 야간에 빛이 새어나갈 수 있으므로, 등화관제를 위해 커튼이 강화유리(120) 안 쪽에 구비될 수 있다.
스핀들(200)은 'ㄷ'자 형상을 가지고, 'ㄷ'자 형상의 양 말단은 감시창(100)의 하부 옆 면과 결합된다. 스핀들(200)의 'ㄷ'자 형상의 중앙 부분은 스핀들 고정대(2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스핀들 고정대(210)는 선박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핀들(200)은 스핀들 고정대(210)를 중심으로 선박의 상부에서 반원을 그리며 회전할 수 있다.
스핀들(200)은 감시창(100)과 결합요소(220)에 의해 결합되며, 결합요소(220)는 감시창(100)과 고정 결합되지 아니하고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창(100)은 스핀들(200)의 스핀들 고정대(210)를 중심으로 반원을 그리며 회전 가능하다.
스핀들(200)에 의해 감시창(100)의 개폐가 가능하며, 감시창(100)을 개폐할 때 약 12kg의 힘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시창(100)의 하부에는 스프링 바(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바는 감시창(100)이 위 쪽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힘을 부가한다. 이러한 스프링 바에 의해, 약 60kg 이상의 무게를 가질 수 있는 감시창(100)이 약 12kg 정도의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롤러유닛은 '∧' 형상을 가지며, '∧' 형상의 양 단부는 감시창(100)과 고정 결합된다. 또한, 롤러유닛의 '∧' 형상의 중앙부인 타 단에는 롤러(300)가 구비되어 있다. 롤러(300)는 롤러유닛의 '∧' 형상의 타 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유닛이 감시창(100)과 함께 회전할 때에도 롤러(300)는 레일(400)과 동일한 각도로 접촉할 수 있다.
롤러(300)는 감시창(100)이 개폐될 때, 레일(400)을 따라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므로, 감시창(100) 또한 직선 방향으로 부드럽게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레일(400)은 롤러(300)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며, 감시창(100)의 이동 방향인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잠금유닛인 외부래치(600)는 감시창(100)이 개방되고 회전되어 레스트 고무(500)에 안착되었을 때, 감시창(100)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 장치 역할을 한다. 또한, 내부래치(미도시)는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어, 감시창(100)이 폐쇄된 상태에서 감시창(100)이 흔들리거나 열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 장치 역할을 한다.
레스트 고무(600)는 감시창(100)이 개방되어 회전 이동하였을 때 이를 안착시키는 받침대 역할을 한다. 레스트 고무(600)는 감시창(100)이 회전되어 안착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밴드(520)는 레스트 고무(600)와 스핀들 고정대(210)를 중심으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폐쇄 시 감시창(100)이 안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닦이유닛인 창닦이의 분해 구성도를 도시한다. 창 닦이(700)는 감시창(100)의 전후 좌우인, 사 면에 설치되며, 전기 제어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창닦이(700)의 모터(710)는 창닦이(700)가 와이핑 되도록 링크구조를 회전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회전력을 제공한다.
모터(7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링크구조가 모터(710)와 연결되어 구비된다. 모터링크(720)가 모터(710)와 연결되어 구비되는데, 모터링크(720)는 모터 축과 암링크(730)를 연결하며, 와이핑 각도를 세팅하는 역할을 한다.
암링크(730)는 모터링크(720)와 암축(750)을 연결하며, 모터(710)의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암축(750)은 암(740)과 암링크(730)를 연결하며, 테이퍼 타입으로서, 캡 너트로 암축(750) 꽉 조일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760)은 모터(710)를 부착시키는 구조물이고, 블레이드(79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790)는 강화유리(120) 표면의 해수 또는 빗물을 닦아 내어 전방 시야 확보를 가능하게 한다. 블레이드(790)의 고무는 네오플랜이 사용될 수 있다.
창닦이(700)에는 센서(770)가 구비되며, 센서(770)는 접점 센서로서 창닦이(700)를 정지시켰을 때 자동으로 첫 스타트 지점으로 정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창닦이(700)는 히터(78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히터(780)는 추운 지방이나 겨울에 암축(750)을 해동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감시창(100)의 내부에는 창닦이(700)를 내부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 패널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10)의 작동 방식을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개폐식 견시창(10)의 개방을 위해서는, 우선 감시창(100) 내부 잠금장치인 내부래치를 해제한다. 그리고, 감시창(100) 내부의 와이퍼 케이블의 커넥터(미도시)를 모두 탈착한다.
이어서, 감시창(100) 내부의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감시창(100)을 위로 들어올리고, 감시창(100)과 팔의 각도가 90도가 되면 약간의 힘으로 뒤로 젖힌다. 감시창(100)에는 스핀들(200)과 롤러(30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스핀들(200)과 롤러(300)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감시창(100)의 개방이 가능할 수 있다.
감시창(100)이 뒤로 젖혀져서 레스트 고무(500)에 안착되면, 외부 잠금장치인 외부래치(600)를 사용하여 감시창(100)을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10)의 폐쇄는 이와 반대로, 외부래치(600)를 풀고 감시창(100)을 들어 앞으로 이동시켜 닫는다. 이어서 감시창(100) 내부의 내부래치를 체결하고, 내부의 와이퍼 케이블 커넥터를 다시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상술한 개폐식 견시창(10)이 선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견시창(10)뿐만 아니라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유선형상의 선체, 선체의 후미 하부에 구비되어 추진력을 제공하는 동력공급수단 및 추진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추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10)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의하면, 적 출현 시 즉각 응사가 가능하고 비상시 탈출 등이 가능하며, 또한 기상 악화 및 고속 운항 시에도 감시창(100) 내부에서 용이하게 강화유리(120) 표면을 닦아낼 수 있어 항상 시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의 폐쇄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의 폐쇄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의 개방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폐식 견시창의 개방 상태에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창닦이의 분해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견시창 100 : 감시창
120 : 강화유리 200 : 스핀들
210 : 스핀들 고정대 220 : 결합요소
300 : 롤러 400 : 레일
500 : 레스트 고무 520 : 하부밴드
600 : 외부래치 700 : 창닦이
710 : 모터 720 : 모터링크
730 : 암링크 740 : 암
750 : 암축 760 : 프레임
770 : 센서 780 : 히터
790 : 블레이드

Claims (10)

  1. 옆 면에 강화유리를 장착하고 개폐 가능한 감시창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감시창유닛과 이격되게 고정 배치된 스핀들 고정대를 구비하는 스핀들유닛;
    일 단이 상기 감시창과 결합되고, 타 단에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롤러를 안내하는 레일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을 고정하는 잠금유닛; 및
    상기 강화유리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강화유리 표면을 닦는 창닦이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감시창유닛은 상기 스핀들 고정대를 중심으로 반원을 그리며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견시창.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창유닛이 회전 이동하여 상기 감시창유닛이 안착되는 받침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견시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유닛은,
    폐쇄 시 상기 감시창유닛이 안착되는 하부밴드; 및
    상기 스핀들 고정대를 중심으로 상기 하부밴드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개방 시 상기 감시창유닛이 안착되는 레스트 고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견시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창유닛은 옆 면이 사다리꼴 형태를 가지고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감시창유닛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견시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유닛은 '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견시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유닛의 롤러는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견시창.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유닛은 상기 견시창의 폐쇄 시 상기 견시창을 고정하는 내부래치 및 상기 견시창의 개방 시 상기 견시창을 고정하는 외부래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견시창.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닦이유닛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링크구조;
    상기 모터를 장착하는 프레임;
    상기 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강화유리 표면을 닦는 블레이드;
    상기 모터의 작동이 멈출 때 자동으로 첫 스타트 지점으로 정지시켜 주는 센서; 및
    상기 링크구조를 해동시키는 히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식 견시창.
  10.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유선형상의 선체;
    상기 선체의 후미 하부에 구비되어, 추진력을 제공하는 추진체; 및
    상기 선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견시창;
    을 포함하고,
    상기 견시창은,
    옆 면에 강화유리를 장착하고 개폐 가능한 감시창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감시창유닛과 이격되게 고정 배치된 스핀들 고정대를 구비하는 스핀들유닛;
    일 단이 상기 감시창과 결합되고, 타 단에 롤러를 구비하는 롤러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롤러를 안내하는 레일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을 고정하는 잠금유닛;
    상기 감시창유닛이 회전 이동하여 상기 감시창유닛이 안착되는 받침대유닛; 및
    상기 강화유리의 외면에 부착되어, 상기 강화유리 표면을 닦는 창닦이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감시창유닛은 상기 스핀들 고정대를 중심으로 반원을 그리며 회전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080136847A 2008-12-30 2008-12-30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043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847A KR101043479B1 (ko) 2008-12-30 2008-12-30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6847A KR101043479B1 (ko) 2008-12-30 2008-12-30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555A KR20100078555A (ko) 2010-07-08
KR101043479B1 true KR101043479B1 (ko) 2011-06-23

Family

ID=42639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6847A KR101043479B1 (ko) 2008-12-30 2008-12-30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4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8507A1 (en) * 2018-09-26 2020-04-02 Waymo Llc Rotary wiper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2695A (en) * 1987-07-17 1989-01-25 Yamaha Motor Co Ltd Windshield for small sized-ship
JPH08216689A (ja) * 1995-02-10 1996-08-27 Mitsubishi Motors Corp ガルウイング式ドア構造
US6814387B2 (en) * 1987-05-22 2004-11-09 Trail-R-Van Inc. Load bed lift-roof cover
US20060175368A1 (en) * 2005-02-04 2006-08-10 Cts Fahrzeug Dachysteme Gmbh Modular roof cargo container movable to a rear loading posi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4387B2 (en) * 1987-05-22 2004-11-09 Trail-R-Van Inc. Load bed lift-roof cover
JPS6422695A (en) * 1987-07-17 1989-01-25 Yamaha Motor Co Ltd Windshield for small sized-ship
JPH08216689A (ja) * 1995-02-10 1996-08-27 Mitsubishi Motors Corp ガルウイング式ドア構造
US20060175368A1 (en) * 2005-02-04 2006-08-10 Cts Fahrzeug Dachysteme Gmbh Modular roof cargo container movable to a rear loading posi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68507A1 (en) * 2018-09-26 2020-04-02 Waymo Llc Rotary wiper system
CN112752686A (zh) * 2018-09-26 2021-05-04 伟摩有限责任公司 旋转擦拭器系统
US11279324B2 (en) 2018-09-26 2022-03-22 Waymo Llc Rotary wiper system
US11661036B2 (en) 2018-09-26 2023-05-30 Waymo Llc Rotary wiper system
CN112752686B (zh) * 2018-09-26 2024-01-09 伟摩有限责任公司 旋转擦拭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555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1882B (zh) 具有整体式臂部与杆柱的风挡刮水器组件
KR101043479B1 (ko) 개폐식 견시창 및 이를 구비한 선박
US20170327188A1 (en) Automatic watercraft cover
US20080072392A1 (en) Double-sided windshield wiper
KR200484116Y1 (ko) 선박 윈도우 클리닝 장치
GB2171895A (en) Window cleaning device
EP1361409B1 (en) Armored vehicle
KR20160111058A (ko) 선박용 도어형 페어리드
FR2470017A1 (fr) Dispositif de rideaux de protection pour vehicules
EP1571068B1 (fr) Dispositif pour cacher et proteger les balais d&#39;essuie-glace d&#39;un véhicule automobile en position inactive
FR2727661A3 (fr) Structure de retroviseur d&#39;automobile pour en eliminer l&#39;humidite
CN205395743U (zh) 汽车前后玻璃防雨雪、防结冰保护罩
CN106740694B (zh) 可隐形的车辆后视镜雨刮
KR100792576B1 (ko) 차량용 후면 와이퍼 및 테일 게이트 구동장치
KR20180069160A (ko) 자동차용 적설방지장치
JP3178077U (ja) ワイパー装置
KR100506677B1 (ko) 와이퍼블레이드의 이격상태 유지용 와이퍼장치
KR200215649Y1 (ko) 자동차용 차양막
KR101770421B1 (ko) 웨더 타이트 댐퍼
KR200164578Y1 (ko) 비,눈막이창을갖는승객운송용차량의구조
CN117360433A (zh) 一种汽车主副驾驶位侧窗雨刮
JPS641889Y2 (ko)
KR19990029185U (ko) 사이드 미러 빗물 제거장치
CN114104217A (zh) 基于海上航行船舶用海盗船识别系统
CN202783122U (zh) 一种用于防护汽车玻璃的涂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