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1788B1 - 주사기용 약팩 마개 - Google Patents

주사기용 약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1788B1
KR101041788B1 KR1020090090400A KR20090090400A KR101041788B1 KR 101041788 B1 KR101041788 B1 KR 101041788B1 KR 1020090090400 A KR1020090090400 A KR 1020090090400A KR 20090090400 A KR20090090400 A KR 20090090400A KR 101041788 B1 KR101041788 B1 KR 101041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topper
syringe
needle
medicine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747A (ko
Inventor
이용학
Original Assignee
이용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학 filed Critical 이용학
Priority to KR1020090090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17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32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1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1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용 약팩 마개에 관한 것으로, 저면 가장자리에 걸림홈(111)을 동심원상으로 형성하고 상면 중앙에 역삼각뿔 형상의 주입 홈(112)을 형성하되, 주입 홈(112)의 가장자리에 가이드돌출부(113)를 형성하고 주입 홈(112)의 외부 측 동심원상에 가이드 홈(114)을 형성한 헤드 부(110)와; 상기 헤드 부(110)의 전면에 분할 홈(122)을 형성하여 삼 분할로 형성하되, 외부 면을 내부 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경사면(121)을 형성하고 경사면(121)의 상측에 걸림 턱을 형성하여 걸림 턱 상부 측을 수직선상으로 형성하며 저 면에 상향으로 삼각형상의 가이드 홈(123)을 각각 형성하여 된 밀폐블록(120)으로 구성하므로; 주삿바늘을 꽂았을 때 주삿바늘의 빠짐을 방지하고 여러 번의 주사바늘을 꽂은 뒤에도 약액의 누출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재밀폐성에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약액마개, 링거팩, 캡

Description

주사기용 약팩 마개 {pharmaceuticalpack for Syringe}
본 발명은 주사기용 약팩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거 팩 등 자주 주사바늘을 꽂아 사용하는 약제용기에 있어서 주사바늘을 꽂았을 때 주사바늘의 빠짐을 방지하고 여러 번의 주사바늘을 꽂은 뒤에도 약액의 누출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주사기용 약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분야에 이용되는 약물 병이나 점적(点滴)에 이용되는 수액팩이나 수액병에는 주사바늘로 약액을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캡에는 일반적으로 고무 마개나 거의 원 기둥 모양의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의 바늘을 꽂는 용의 마개체와 이것을 유지하는 바깥 테두리체로 된 홀더를 이용하고 있다.
이 수액팩이나 수액병 등에 이용되는 의료용 캡에는 약액 누설 방지 등의 관점에서 볼 때 팩이나 병에 장착했을 경우에 밀폐성이 요구된다.
여기에 고무 성분의 마개체를 이용했을 경우에는 반복하여 주사바늘을 꽂았을 때의 재밀폐성에는 우수하지만, 고무를 이용할 경우에는 제조 공정 중에 가류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서 생산 환경이 오염되고, 세정 등의 후속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것이 비용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고무 마개체의 경우는 바늘을 꽂을 때 마개체 탈락 방지를 위해, 마개체가 액체와 접하는 면(하저부)에 캡 본체가 액체와 접하는 부분과 동일 또는 동종의 재질인 막 부분을 두거나 또는 마개체에 수지를 적층하여 캡 본체와 융착시킨 구조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고무 마개체를 이용한 캡은 이러한 요인이 있어서 한층 더 비용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한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성분으로 하는 마개체의 경우, 깨끗한 환경에서 성형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공정이 불필요하다.
또한, 일련의 공정을 캡 생산 공정 라인에 넣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성형 방법으로 마개체 자체를 캡 본체와 융착시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상기와 같이 막 부분을 두거나 또는 적층 가공하는 구조로 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양산시에는 고무 마개 캡 보다 비용면에서 우위이다.
다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는 고무에 비하면 잔왜성(殘歪性)이 크고 고무 탄성에 뒤떨어지기 때문에 주사바늘을 꽂았을 때 주사바늘의 빠짐 및 바늘을 꽂은 뒤의 액체 누출 방지를 위한 재밀폐성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링거 팩 등 자주 주사바늘을 꽂아 사용하는 약제용기에 있어서 주사바늘을 꽂았을 때 주사바늘의 빠짐을 방지하고 여러 번의 주사바늘을 꽂은 뒤에도 약액의 누출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재밀폐성에 크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도와 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주사기용 약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주사기용 약팩 마개는 저면 가장자리에 걸림홈을 동심원상으로 형성하고 상면 중앙에 역삼각뿔 형상의 주입홈을 형성하되, 주입홈의 가장자리에 가이드돌출부를 형성하고 주입홈의 외부측 동심원상에 가이드홈을 형성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 분할홈을 형성하여 삼 분할로 형성하되, 외부면을 내부 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경사면을 형성하고 경사면의 상측에 만곡된 걸림턱을 형성하여 걸림턱의 상부 측을 수직선상으로 형성하며 저면에 상향으로 삼각형상의 가이드홈을 각각 형성하여 된 밀폐블록으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주사기용 약팩 마개는 주사바늘이 주입홈의 중심점을 통하여 원활하게 주사약을 주입하거나 흡입하게 되고, 주입홈을 관통한 주사바늘을 뽑아 제거하면 밀폐블록이 볼록화로 인하여 복원력이 우수하여 완벽하 게 주입홈을 재밀폐시킬 뿐만 아니라 밀폐블록의 가이드홈이 복원력을 더욱 상승 시키고 주입홈이 역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밀폐성이 월등하여 작은 복원력에도 완전 밀폐되므로 재밀폐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주사바늘을 꽂았을 때 주사바늘의 빠짐을 방지하고 여러 번의 주사바늘을 꽂은 뒤에도 약액의 누출 방지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재밀폐성에 크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도와 품질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주사기용 약팩 마개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팩 마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팩 마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팩 마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팩 마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팩 마개의 주사바늘 삽입 전 상태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팩 마개의 주사바늘 삽입 후 상태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사기용 약팩(1) 마개(100)는 저면 가장자리에 걸림홈(111)을 동심원상으로 형성한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110)의 전면에 분할홈(122)을 형성하여 삼 분할된 밀폐블록(120)으로 구성한다.
상기 헤드부(110)는 저면 가장자리에 동심원상으로 걸림홈(111)을 형성하고, 상면 중앙에는 역삼각뿔 형상의 주입홈(112)을 형성하되 주입홈(112)의 가장자리에 가이드돌출부(113)를 형성하여 주사바늘의 원활하게 가이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헤드부(110)의 주입홈(112) 외부측 동심원상에는 가이드홈(114)을 형성하여 홀드(20)의 결합을 긴밀하게 하므로 마개(100)와 가이드구(10) 및 약팩(1) 완전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밀폐블록(120)은 헤드부(110)와 일체로 형성하여 하부로 돌출시키고 방사선상으로 분할홈(122)을 형성하여 삼 분할하여 형성한다.
나아가 밀폐블록(120)의 외부 면은 내부 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경사면(121)을 형성하되 경사면(121)의 상측에 만곡된 걸림턱을 형성한다.
여기서 밀폐블록(120)의 경사면(121)에 형성된 걸림턱의 상부측은 수직선상으로 형성하여 경사면(121)이 가이드구(10)의 내부로 원활하게 가이드된 후 만곡된 걸림턱을 거처 내부에 압입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삼 분할된 밀폐블록(120)은 저면에 상향으로 삼각형상의 가이드홈(123)을 각각 형성하여 밀폐블록(120)의 수축 및 팽창력을 향상시켜 재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개(100)를 약팩(1)이 결합된 가이드구(10)에 융착하여 결합하면 마개(100)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홈(111)에 가이드구(10) 상단이 끼워지면서 결합되 고, 이러한 상태에서 홀드(20)를 융착하여 결합하면 홀드(20)의 상측 절곡부분이 마개(10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4)에 끼워지면서 결합되어 완전하게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약팩(1)에 주사바늘로 필요한 약액을 넣거나 꺼낼 경우에 주사바늘을 주입홈(112)에 압입하여 관통시킨 후 주사약을 주입하거나 흡입하게 된다.
이때 주사바늘이 주입홈(112)을 관통하여 마개(100)의 밀폐블록(120)을 확개시면서 방사선상의 분할홈(122)의 중심점을 통하여 원활하게 주사약을 주입하거나 흡입하게 된다.
특히 주사약을 주입하거나 흡입 작업이 완료되면 주입홈(112)을 관통한 주사바늘을 뽑아 제거하게 되는데, 이때 밀폐블록(120)이 볼록화로 인한 뛰어나 복원력으로 완벽하게 주입홈(112)을 재밀폐시키는 것이다.
더욱이 밀폐블록(120)에 가이드홈(123)이 형성되어 복원력을 더욱 상승 시킬 뿐만 아니라 주입홈(112)이 역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밀폐성이 월등하므로 작은 복원력에도 완전 밀폐되므로 재밀폐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팩 마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팩 마개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팩 마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팩 마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팩 마개의 주사바늘 삽입 전 상태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용 약팩 마개의 주사바늘 삽입 후 상태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액팩 10 : 가이드구
20 : 홀드 100 : 마개
110 : 헤드부 111 : 걸림홈
112 : 주입홈 113 : 가이드돌출부
114 : 가이드홈 120 : 밀폐블록
121 : 경사면 122 : 분활홈
123 : 가이드홈

Claims (4)

  1. 주사기용 약팩(1) 마개(100)는 저면 가장자리에 걸림홈(111)을 동심원상으로 형성한 헤드부(110)와,
    상기 헤드부(110)의 전면에 분할홈(122)을 형성하여 삼 분할로 블록화된 밀폐블록(12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약팩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10)는 상면 중앙에는 역삼각뿔 형상의 주입홈(112)을 형성하되 주입홈(112)의 가장자리에 가이드돌출부(113)를 형성하고, 주입홈(112)의 외부측 동심원상에 가이드홈(114)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약팩 마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블록(120)은 외부면을 내부 측으로 경사지게 하여 경사면(121)을 형성하되 경사면(121)의 상측에 만곡된 걸림턱을 형성하고 걸림턱 상부를 수직선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약팩 마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블록(120)은 저면에 상향으로 삼각형상의 가이드홈(123)을 각각 형 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기용 약팩 마개.
KR1020090090400A 2009-09-24 2009-09-24 주사기용 약팩 마개 KR101041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400A KR101041788B1 (ko) 2009-09-24 2009-09-24 주사기용 약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400A KR101041788B1 (ko) 2009-09-24 2009-09-24 주사기용 약팩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747A KR20110032747A (ko) 2011-03-30
KR101041788B1 true KR101041788B1 (ko) 2011-06-17

Family

ID=4393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400A KR101041788B1 (ko) 2009-09-24 2009-09-24 주사기용 약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17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083A (ko) * 2002-09-13 2004-03-20 김화순 원목에서 옹이가 포함된 부분을 이용하여 블라인드용슬래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슬래트
KR200424083Y1 (ko) 2006-03-28 2006-08-16 삼성의료고무주식회사 수액팩용 밀봉 캡 및 그것을 제조하는 금형
KR100839106B1 (ko) 2006-12-11 2008-06-20 서동길 수액 팩 용 밀봉 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083A (ko) * 2002-09-13 2004-03-20 김화순 원목에서 옹이가 포함된 부분을 이용하여 블라인드용슬래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슬래트
KR200424083Y1 (ko) 2006-03-28 2006-08-16 삼성의료고무주식회사 수액팩용 밀봉 캡 및 그것을 제조하는 금형
KR100839106B1 (ko) 2006-12-11 2008-06-20 서동길 수액 팩 용 밀봉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747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3913B2 (en) Method for sealingly closing a bottle and associated sealingly closed bottle
JP5594888B2 (ja) 医療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4913228B2 (ja) 医療用キャップ
CN105025863B (zh) 储存或输注瓶
JP5469515B2 (ja) 医療用キャップ
JP2009072250A (ja) 医療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4511575B2 (ja) 医療用キャップの製造方法
KR101041788B1 (ko) 주사기용 약팩 마개
JP4526091B2 (ja) 医療用キャップの製造方法
CN202314366U (zh) 带双针混药嘴的双阀盖
KR200424083Y1 (ko) 수액팩용 밀봉 캡 및 그것을 제조하는 금형
KR20090000486U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RU178945U1 (ru) Колпачок для наполненных медицинскими жидкостями ёмкостей
JP6257995B2 (ja) 医療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4251953B2 (ja) 医療用キャップ
JP5288969B2 (ja) 医療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50980Y1 (ko) 폴리올레핀계 넌-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실링부재
CA3038173A1 (en) Sealing cap for a container for holding a medical liquid
JP5116279B2 (ja) 樹脂製キャッ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製キャップ付容器
KR100746773B1 (ko) 주사제용 수액용기의 제조방법
JP2010042203A (ja) 医療用キャップの製造方法
KR20090077191A (ko) 수액 팩의 밀봉 구조
RU208451U1 (ru) Уплотняющий элемент крышки для укупоривания медицинских флаконов
JP5804613B2 (ja) 医療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5924767B2 (ja) 医療用キャ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