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106B1 - 수액 팩 용 밀봉 캡 - Google Patents

수액 팩 용 밀봉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106B1
KR100839106B1 KR1020060125532A KR20060125532A KR100839106B1 KR 100839106 B1 KR100839106 B1 KR 100839106B1 KR 1020060125532 A KR1020060125532 A KR 1020060125532A KR 20060125532 A KR20060125532 A KR 20060125532A KR 100839106 B1 KR100839106 B1 KR 100839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sealing
cover member
pack
s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687A (ko
Inventor
서동길
Original Assignee
서동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길 filed Critical 서동길
Priority to KR102006012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106B1/ko
Publication of KR20080053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12Containers with closing means, e.g. caps
    • A61J1/1425Snap-fi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12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expansible, e.g. infla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액 팩 용 밀봉 캡에 관한 것으로서,
수액 팩(100)에 고정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 안착 되어 구멍을 막아주는 밀봉부재(220) 및 상기 밀봉부재(220)를 외부에서 감싸며 덮어주어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재(230)로 구성된 밀봉 캡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230)가 상기 밀봉부재(220)에 압력을 가하면서 결합 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밀봉부재(220)가 횡 방향으로 팽창되려는 힘이 부여되되, 상기 덮개부재(230)의 측벽에 의해 팽창이 억제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여,
밀봉부재가 중앙 쪽으로 압축되는 힘이 내포된 채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주사 바늘에 의해 형성된 틈이 주사 바늘을 제거하더라도 자연스럽게 폐쇄되어 수액의 유출과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수액 팩 용 밀봉 캡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60125532
수액 팩, 밀봉, 캡,

Description

수액 팩 용 밀봉 캡{SEALING CAP FOR A LIQUID-CONTAINING PACK}
도 1은 종래 수액 팩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예시도,
도 2a는 알루미늄 덮개부재가 적용된 종래 밀봉 캡의 조립 구성도,
도 2b는 합성수지재 덮개부재가 적용된 종래 밀봉 캡의 조립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밀봉 캡의 조립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밀봉 캡의 작용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액 팩,
200 : 밀봉캡, 210 : 몸체, 212 : 걸림턱,
214 : 안착면, 216 : 걸림돌기, 220 : 밀봉부재,
222 : 돌기부, 230 : 덮개부재, 232 : 걸림홈.
본 발명은 수액 팩 용 밀봉 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밀봉 부재에 프리텐션(Pre-tension)을 주어 주사 바늘을 제거하더라도 수액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 록 하는 수액 팩 용 밀봉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액용 비닐 팩(이하 '수액 팩'이라 함)에는 식염수, 영양제, 포도당 및 증류수와 같은 수액을 넣어 외부와 차단된 채로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등을 상기 수액 팩의 상단에는 주사 바늘을 꽂아 수액을 뽑아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밀봉 캡이 설치된다. 상기 밀봉 캡의 다양한 구성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347050-0000호 및 특허등록 제10-0648438-0000호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1과 도 2a, 2b를 통해 상기 설명한 수액 팩 및 밀봉 캡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액 팩(100)은 두 장의 필름을 열 융착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상단에 밀봉 캡(200)이 형성되어 있다. 밀봉 캡(200)은 통상 2개가 마련되게 되며, 하나는 수액 팩(100)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거나 빼내는 역할을 하여 수액 팩(100) 내부에 수액을 주입하거나 뽑아낼 때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종래 수액 팩(100)에 적용되는 밀봉 캡(200)의 구성은 도 2a와 도 2b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캡(200)은 수액 팩(100)에 고정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 안착 되어 구멍을 막아주는 밀봉부재(220) 및 상기 밀봉부재(220)를 외부에서 감싸주어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재(230)로 구 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10)는 상단부의 지름이 확장되면서 걸림턱(212)이 형성되게 구성되어 있으며, 최 상단부에 밀봉부재(2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면(2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220)는 대략 판 형태로 형성된 것이며, 그 지름은 상기 몸체(210)의 상단과 같고, 중앙 부분에 상기 걸림턱(212)에 끼워지듯이 안착 되는 돌기부(2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밀봉부재(220)가 상기 걸림턱(212)에 끼워지듯이 안착 되면 그 외부에서 덮개부재(230)를 덮어서 상기 밀봉부재(220)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주게 된다. 덮개부재(230)는 그 내부 지름이 상기 몸체(210)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밀봉부재(220)를 내포한 채 몸체(210)의 상단에 고정되는 구성이며, 이를 통해 상기 밀봉부재(220)가 몸체(210)의 상단과 덮개부재(230) 사이에 배치되어 마치 와셔가 끼워진 것과 같은 구성으로 밀폐하게 되는 것이다.
덮개부재(230)는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계열로 형성하게 되는데, 알루미늄을 형성할 경우 통상 밀봉부재(220)를 몸체(210) 상단에 안착시킨 다음 알루미늄 캡을 씌운 후 금형으로 눌러서 고정하여 주는 것이고[도 2a], 합성수지로 형성할 경우 밀봉부재(220)를 몸체(210) 상단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하게 된다[도 2b]. 사출을 통해 형성할 때에는 사출 성형이 용이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재료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덮개부재(230)는 밀봉부재(220)에 거의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밀봉부재(2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만을 담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돌기부(222)를 형성한 밀봉부재(220)는 여러 구조를 사용한 결과 밀봉부재(220)와 몸체(210)의 구멍이 접하는 면적을 최대로 하여 밀봉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고안된 구조이나, 앞서 설명한 구조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의 밀봉부재(220)가 제안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밀봉부재(220)는 추후 수액 팩(100)의 사용과정에서 주사 바늘이 꽂히게 된다. 수액 팩(100) 내부에 들어있는 수액을 뽑아내기 위함이거나 또는 수액 팩(100)에서 수액을 뽑아낼 때 잘 뽑히도록 하기 위해 공기를 공급하는 주사 바늘을 꽂아 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220)는 접촉하는 면과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사 바늘이 쉽게 꽂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합성고무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특히 수액은 인체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인체에 무해한 재질을 사용하여야 하는바, 의료용으로서 사용이 허락된 클로로부틸 고무(Chlorobutyl Rubber)로 제조하고 있다.
그런데 이 클로로부틸 고무는 재질 특성상 탄성과 복원력이 약하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바늘을 꽂았다가 빼게 되면 바늘로 인해 형성된 틈이 복원되지 않아 수액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는 것이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탄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수액 팩(100)이 의료목적에 주로 사용됨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전제가 있어야 하므로, 밀봉부재(220)의 재질을 다른 재질로 대체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여 재질 변경 또한 용이치 아니하였다. 결국, 상기와 같이 복원력이 약한 재질을 이용하여 밀봉부재(220)를 제작할 수밖에 없음에 따라 바늘을 한번 꽂았다가 뺀 수액 팩(100)은 사실상 안전한 보관이 불가능하여 폐기하고 있는 실정인바, 낭비를 불러오는 요인으로서 작용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밀봉부재가 가진 문제점을 해소하여 주사 바늘을 꽂았다가 빼더라도 충분한 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남은 수액을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보관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낭비되는 수액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수액 팩 용 밀봉 캡의 구성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액 팩에 고정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안착 되어 구멍을 막아주는 밀봉부재 및 상기 밀봉부재를 외부에서 감싸며 덮어주어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재(230)로 구성된 밀봉 캡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밀봉부재에 압력을 가하면서 결합 되는 것에 의해 상기 밀봉부재가 횡 방향으로 팽창되려는 힘이 부여되되, 상기 덮개부재의 측벽에 의해 팽창이 억제되게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팩 용 밀봉 캡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밀봉 캡의 조립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밀봉 캡의 작용도 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밀봉 캡은 수액 팩(100)에 고정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 안착 되어 구멍을 막아주는 밀봉부재(220) 및 상기 밀봉부재(220)를 외부에서 감싸며 덮어주어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재(230)로 구성되어 있다.
수액 팩(100)에 고정되는 상기 파이프 형상의 몸체(210)는 상단 부분이 바깥쪽으로 확장되면서 밀봉부재(220)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안착면(214)을 가진 헤드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부(213)의 하단 쪽에는 걸림돌기(216)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 안착 되어 구멍을 막아주는 밀봉부재(220)는 판 형태로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중앙부분에 몸체(210)의 내부 구멍에 끼워지는 돌기부(2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돌기부(222)는 몸체(210)와 접하는 면적을 넓혀 기밀 유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덮개부재(230)는 아래쪽에 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주사 바늘을 관통시킬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것으로서, 내측 벽면을 따라 걸림홈(232)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상기 걸림홈(232)은 수액 팩(100)에 고정되는 파이프 형상의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16)가 걸리게 되는 부분으로서, 덮개부재(230)를 상기 몸체(210)에 고정되게 하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종래와 달리 별도로 미리 제작하여서 나중에 체결하여 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재질은 내열성이 우수하고 투명하며 견고할 뿐만 아니라 충격에 강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이용하여 제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수액 팩 용 밀봉 캡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실시 예 및 조립 과정을 살펴본다.
도 3을 참고하면, 밀봉부재(220)는 두께(h1)가 3.2mm, 지름(d1)이 18.8mm 내지 19.7mm로 제작된다. 이는 상기 파이프 형상의 몸체(210) 상단에 형성된 안착면(214)의 지름이 19.7mm로 제작됨에 따라 약간 작거나 똑같게 형성되도록 미리 계산된 크기이다. 상기 두께는 돌기부(222)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지름으로서 돌기부(222)의 돌출 정도는 임의로 조절 가능하나 1~5mm 내외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밀봉부재(220)를 몸체(210)의 상단 안착면(214)에 안착시킨 후 덮개부재(230)를 덮어주게 된다. 밀봉부재(220)에 형성된 돌기부(222)는 몸체(210)의 구멍에 끼워진 상태가 되는 것이다.
덮개부재(230)의 내경은 상기 안착면(214)을 내포할 수 있도록 19.7mm로 제작되는 것이며, 조립이 용이하도록 0.1mm~0.2mm정도 약간 크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덮개부재(230)가 조립되면 덮개부재(230)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232)이 몸체(210)의 상단 헤드부(213)에 형성된 걸림돌기(216)에 걸려 고정되게 되면 밀봉부재(220)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압축된 밀봉부재(220)의 두께(h2)는 2.0mm에 이르게 된다. 이때, 아무런 제약이 없는 상태에서 밀봉부재(220)의 두께가 3.2mm에서 2.0mm로 압축되면 그 지름이 21mm로 팽창되어야 하는데, 덮개부재(230)의 벽면에 막혀 압축 후 팽창된 밀봉부재(220)의 지름(d2)는 19.7mm이상 늘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결국, 1.3mm가 더 늘어나야 함에도 팽창이 제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서, 중앙 쪽으로 압축되는 힘을 내포한 채 고정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일종의 프리텐션(Pre-tension)을 형성한 것과 같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와 같이 밀봉부재(220)가 중앙 쪽으로 압축되려는 힘을 내포하고 있음에 따라 밀봉부재(220)에 주사 바늘을 꼽았다가 뺄 경우 주사 바늘에 의해 형성된 틈 쪽으로 압축되려는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틈이 막히게 되어 수액의 유출 및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밀봉부재가 중앙 쪽으로 압축되는 힘이 내포된 채 고정되도록 함에 따라 주사 바늘에 의해 형성된 틈이 주사 바늘을 제거하더라도 자연스럽게 폐쇄되어 수액의 유출과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수액 팩(100)에 고정되는 파이프 형상의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 안착 되어 구멍을 막아주는 밀봉부재(220) 및 상기 밀봉부재(220)를 외부에서 감싸며 덮어주어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재(230)로 구성된 밀봉 캡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재(230)에 충진된 상기 밀봉부재(220)는 밀폐 시에 압력이 가해져서 결합됨에 따라, 상기 밀봉부재(220)가 횡 방향으로 팽창되려는 힘이 부여되고, 상기 덮개부재(230)의 측벽에 의해 팽창이 억제되도록 고정하여 형성하고,
    덮개부재(230)의 내측 벽면을 따라 걸림홈(23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210)의 상단에는 상기 걸림홈(232)에 대응되는 걸림돌기(216)가 형성되게 구성되어, 상기 걸림홈(232)이 상기 걸림돌기(216)에 걸려 덮개부재(230)가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액 팩 용 밀봉 캡.
  2. 삭제
KR1020060125532A 2006-12-11 2006-12-11 수액 팩 용 밀봉 캡 KR100839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532A KR100839106B1 (ko) 2006-12-11 2006-12-11 수액 팩 용 밀봉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532A KR100839106B1 (ko) 2006-12-11 2006-12-11 수액 팩 용 밀봉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687A KR20080053687A (ko) 2008-06-16
KR100839106B1 true KR100839106B1 (ko) 2008-06-20

Family

ID=39800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532A KR100839106B1 (ko) 2006-12-11 2006-12-11 수액 팩 용 밀봉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1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788B1 (ko) 2009-09-24 2011-06-17 이용학 주사기용 약팩 마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62888A (zh) * 2016-10-13 2017-04-19 苏州创扬医药科技股份有限公司 带有压垫的易折式组合盖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050Y1 (ko) * 2003-10-31 2004-04-09 이용학 수액팩용 밀봉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050Y1 (ko) * 2003-10-31 2004-04-09 이용학 수액팩용 밀봉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788B1 (ko) 2009-09-24 2011-06-17 이용학 주사기용 약팩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687A (ko) 200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603B1 (ko) 수액용기용마개체및그제조법
ES2377805T3 (es) Adaptador de estanqueidad para un sistema de extracción de bebidas adecuado para preparar una bebida a partir de cartuchos
KR100992310B1 (ko) 주출용기
ES2344548T3 (es) Elemento de cierre.
KR100839106B1 (ko) 수액 팩 용 밀봉 캡
KR200449631Y1 (ko) 수동식 드롭퍼
JP4904501B2 (ja) 輸液用キャップ
KR101172322B1 (ko) 저면 필터를 가지는 액체 수용 용기
CN106659439B (zh) 具有膜元件的一体式安全管密封件
KR20090000486U (ko)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백용 포트
JP2003104419A (ja) プラスチック容器用キャップ
KR200440084Y1 (ko) 위조방지 기능을 갖는 넌 피브이씨 재질의 수액용 포트
KR200424083Y1 (ko) 수액팩용 밀봉 캡 및 그것을 제조하는 금형
CN201469674U (zh) 注射液用聚丙烯丁基内垫组合盖
CN203634589U (zh) 回拉式固定针安全自毁注射器
KR100725653B1 (ko) 수액팩용 밀봉캡
CN203620014U (zh) 回拉式可换针安全自毁注射器
JP3570938B2 (ja) 針刺し止栓の製造方法
JP3761411B2 (ja) 逆止弁付栓体
CN113329950B (zh) 袋组件及使用该袋组件的容器装置
CN206553506U (zh) 显微操作管组件
KR200444254Y1 (ko) 피막을 구비한 수액팩용 밀봉캡
KR100903740B1 (ko) 수액팩용 밀봉캡
JP2008178770A (ja) 接着剤注入パイプ
KR100844865B1 (ko) 수액 팩의 밀봉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