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0153B1 -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0153B1
KR101040153B1 KR1020090017825A KR20090017825A KR101040153B1 KR 101040153 B1 KR101040153 B1 KR 101040153B1 KR 1020090017825 A KR1020090017825 A KR 1020090017825A KR 20090017825 A KR20090017825 A KR 20090017825A KR 101040153 B1 KR101040153 B1 KR 10104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bubble
measuring
drop
physical characteri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9370A (ko
Inventor
김우식
도대원
이동훈
정현기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017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0153B1/ko
Publication of KR20100099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9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8/00Te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provided for in groups G01D1/00 - G01D15/00
    • G01D18/002Automatic recalib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2차원 다중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도 2차원 다중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과 동일한 측정 효과를 얻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된 측정선을 대기시키는 단계;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대상의 수상함을 기동시켜 기포항적을 발생시키는 단계; 발생된 기포항적의 영역 내로 측정선을 진입 및 이동시키면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정보와 측정시의 수상함 및 측정선의 위치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 및 측정된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신호의 측정 시각에 따른 측정 위치 차이를 보정해주기 위해 측정 시각 차이를 거리 차이로 보정해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에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를 설치하지 않고도 측정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수상함, 기포항적, 물리적, 특성, 측정, 2차원, 다중 센서

Description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Method for measuring physical characteristic to air bubble wake of a ship using a portable sensor}
본 발명은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水上艦)의 기포항적(氣泡航跡)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센서를 측정선에 설치하여 측정선을 이동시키면서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측정함으로써, 2차원 다중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도 2차원 다중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과 동일한 측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의 무기체계에서는 수상함이 레이더 및 음향 소나(SONAR:sound navigation and ranging) 등에 의해 발견되지 않게 하는 피탐지 교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어 기술이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이로 인해 수상함을 공격하는 무기체계에서는 공격 성공의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으며, 새로운 접근 방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새로운 접근 방법 중 하나로 수상함의 기포항적을 탐지, 추적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수상함의 기동에 의해 물리적으로 발생되는 기포항적의 존재 를 없애거나 교란하기가 무척 어렵기 때문이다. 최근 개발 중인 수중 무기 체계에서는 수상함의 기동에 따라 발생하는 기포항적을 측정하고, 정량한 값을 이용하고자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군사적인 목적 외에 선박 추진의 효율성을 측정하기 위해 실제 발생되는 기포량을 수상 기포항적을 통해 측정하고자 하는 연구도 민수 부분에서 연구되고 있다.
수상함 기포항적의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음향, 고주파, 레이저 등과 같이 능동적인 탐지를 통한 물리적 특성 측정이 한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능동적인 탐지에 의한 반사특성을 실제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수상함에 따른 다양한 속력, 형태, 거리 등에 따라 물리적 측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수상함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인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 센서의 설치가 필수적이며, 종래의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의 측정 방식의 일 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에서와 같이, 센서(예컨대, 음향 측정 센서)(110)를 일정 수심에 고정시키고(예를 들면, 음향 측정의 경우임), 그 위를 수상함(120)이 기동하게 하여 수상함(120)의 기동에 따른 기포항적을 측정(즉, 기포항적에 따른 음향을 측정)함으로써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다.
이때, 센서(110)를 적게 설치한 경우(1개 또는 일렬로 설치)에는 수상함 (120)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수상함(120)이 센서 (110)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다양한 속도로 기동하게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수상함(120)의 중심으로부터 기포항적의 거리별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다.
도 2는 종래의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 측정 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다른 예의 경우는 수중에 센서(110)를 고정하고, 수상함(120)이 센서 (110)로부터 일정 거리별로 기동하게 하여 측정한다(예를 들면, 음향 측정의 경우임). 이때, 수중에 센서(110)가 적게 설치된 경우(1개 또는 일렬로 설치), 수상함(120)이 센서(110)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여러 번 기동하게 하여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다. 또는 수상함(120)이 적은 횟수로 기동하면서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설치하는 센서(110) 수를 증가시켜 측정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참조번호 130은 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기포항적 음향 신호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포항적 음향 측정 데이터 처리부를 나타낸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종래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 측정 방식은 수상함의 종류와 속도 변화에 따라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수중에 2차원 다중 센서를 설치해야 하고, 측정 작업 후에 센서를 회수해야 하는 작업이 수반된다. 따라서, 이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제약 및 작업의 위험성이 또한 수반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 방식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2차원 다중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도 2차원 다중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과 동일한 측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은,
a)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된 측정선을 대기시키는 단계;
b)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대상의 수상함을 기동시켜 기포항적을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발생된 기포항적의 영역 내로 상기 측정선을 진입 및 이동시키면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정보와 측정시의 상기 수상함 및 측정선의 위치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측정된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신호의 측정 시각에 따른 측정 위치 차이를 보정해주기 위해 측정 시각 차이를 거리 차이로 보정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측정선의 진입 및 이동 속도는 측정선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상기 측정대상의 수상함에 의해 발생된 기포항적을 왜곡시키지 않을 정도의 속도가 적당하며, 실험에 의하면 수상함의 속도의 1/2 이하의 속도로 제어하면 적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상기 단계 c)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선을 상기 기포항적의 영역 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해 반복 교차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단계 d)에서의 상기 측정 시각 차이를 거리 차이로 보정해주는 단계는,
d-1) 상기 저장된 수상함 및 측정선의 위치정보와 상기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 시각을 동기화하는 단계;
d-2) 상기 동기화 후, 상기 측정선에 의한 상기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과 관련한 기준 시각 및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d-3) 상기 설정된 기준 시각과 상기 각 측정 시각 간의 시간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d-4) 상기 계산된 각 시간 차이를 상기 수상함의 진행방향으로의 속도에 각각 곱하여 각각의 거리를 구하는 단계; 및
d-5) 상기 구해진 각각의 거리를 상기 각 측정 위치에 각각 더해줌으로써 상기 각 측정 시각에 따른 측정 위치 차이를 보정해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계 d-2)에서 상기 기준 시각은 상기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을 위해 미리 정해둔 위치를 상기 수상함이 지나는 시각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임의의 시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d-2)에서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을 위해 미리 정해둔 위치로 설정될 수도 있고, 임의의 위치로 설정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를 측정선에 설치하여 측정선과 함께 이동시키면서 수상함에 의해 발생한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므로, 수중에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를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없이 측정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선의 측정시의 2차원 위치정보를 보정해주므로, 수중에 적은 개수의 음향 센서를 이용하여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음향 특성)을 측정하는 경우보다 적은 횟수의 수상함 기동을 통해 넓은 영역에 걸쳐 발생하는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의 개요를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의 실행과정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에 따라, 먼저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315)(도 6 참조)가 설치된 측정선(310)을 대기시킨다(단계 S401). 여기서, 센서 (315)로는 수중 음파 탐지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센서(315)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정선(310)의 측면에 수중에 잠기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센서(315)의 설치 위치는 이와 같이 선박의 측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만 있다면 어떤 위치이든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센서가 설치된 측정선(310)의 대기가 완료되면,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대상의 수상함(320)을 기동시켜 기포항적을 발생시킨다(단계 S402).
그런 후, 상기 발생된 기포항적의 영역(330) 내로 상기 측정선(310)을 진입 및 이동시키면서 상기 센서(315)를 이용하여 상기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예를 들면, 기포항적에 따른 음향 신호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정보와 측정시의 상기 수상함(320) 및 측정선(310)의 위치정보(예컨대, GPS를 이용한 위치데이터)를 함께 저장한다(단계 S403). 여기서, 상기 측정선(310)의 진입 및 이동 속도는 측정선(310)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상기 측정대상의 수상함(320)에 의해 발생된 기포항적을 왜곡시키지 않을 정도의 속도가 적당하며, 실험에 의하면 수상함(320)의 속도의 1/2 이하의 속도로 제어하면 적당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선(310)을 상기 기포항적의 영역(33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해 반복 교차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측정된 신호 정보와 측정시의 상기 수상함 (320) 및 측정선(310)의 위치정보는 상기 측정선(310)에 탑재된 컴퓨터 시스템(미도시) 또는 측정선(310)과 무선 통신하는 육지상의 별도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상에 의해 측정된 신호 정보와 측정시의 상기 수상함(320) 및 측정선(310)의 위치정보의 저장이 완료되면, 상기 측정된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신호의 측정 시각(時刻)에 따른 측정 위치 차이를 보정해주기 위해 측정 시각 차이를 거리 차이로 보정해준다(단계 S404).
여기서, 이와 같이 보정해주는 이유는 위에서 얻어진 1차원의 물리적 특성 신호를 바로 2차원의 측정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즉, 기포항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퍼지게 되고, 그에 따라 물리적 특성도 변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수상함(320)의 기동에 의해 발생하는 기포항적은 뒤로 밀려가면서 퍼지는 모양을 나타낸다. 이는 실제로 동일한 위치에서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다하더라도 측정 시각이 다르면 나중에 측정한 물리적 특성 신호의 위치는 먼저 측정한 물리적 특성 신호의 위치보다 수상함의 진행 방향의 후방으로 측정 위치 차이(즉, 거리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측정 시각의 차이를 공간상의 거리 차이로 보정해주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에 있어서, 측정 시각 차이를 거리 차이로 보정해주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도 4의 단계 S403에 의해 저장된 수상함(320) 및 측정선(310)의 위치정보와 상기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 시각을 동기화한다(단계 S501). 여기서, 이와 같이 동기화하는 이유는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다른 장비에서 작업이 각각 수행될 경우 발생하는 측 정상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동기화가 완료된 후, 상기 측정선(310)에 의한 상기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과 관련한 기준 시각 및 기준 위치를 설정한다(단계 S502). 그리고, 설정된 기준 시각과 상기 각 측정 시각 간의 시간 차이를 계산한다(단계 S503).
그런 후, 상기 계산된 각 시간 차이를 상기 수상함(320)의 진행방향으로의 속도에 각각 곱하여 각각의 거리를 구한다(단계 S504). 그리고, 구해진 각각의 거리를 상기 각 측정 위치에 각각 더해줌으로써 상기 각 측정 시각에 따른 측정 위치 차이를 보정해준다(단계 S505). 이상과 같은 보정을 통해 1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2차원 다중 센서를 이용하여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 S502에서 상기 기준 시각은 상기 수상함(320)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을 위해 미리 정해둔 위치를 상기 수상함(320)이 지나는 시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수상함(320)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을 위해 미리 정해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기준 시각의 차이는 기포항적이 전체적으로 뒤로 밀리는 형태로 나타나고, 이를 쉽게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기준 시각의 설정 방법을 위에서와 같이 미리 정해둔 위치를 수상함(320)이 지나는 시각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즉, 상기 기준 시각은 임의의 시각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기준 위치도 위에서와 같이 미리 정해둔 위치로 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임의의 위치를 기준 위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1차원 신호의 크기(본 실시예의 경우는 음향 반사신호의 크기임)와 측정시의 위치정보(GPS 데이터)를 2차원 표면상에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기포항적 음향 측정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측정선에 의한 측정시의 위치정보(GPS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에서 물리적 특성 신호(음향 반사신호)의 크기가 크게 나타나는 부분이 기포항적에 의해 반사된 신호이며, 이때 대응하는 측정선의 위치정보는 (B)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리적 특성 신호(음향 반사신호)의 크기가 클수록 빨간색에 가까워지고, 신호의 크기가 작을수록 파란색에 가까워짐을 알 수 있다. (B)의 도면에서 2개의 직선은 기포항적의 중심부를 연결한 선들이다. 여기서, 기포항적이 있는 부분을 반사 신호의 크기가 큰 부분으로 하였으나, 이는 음향 신호의 경우이며 다른 물리적 특성을 이용할 경우에는 표시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B)에서의 측정시의 위치정보(GPS 데이터)를 수상함의 기동 방향으로의 거리를 가로축(세로 0(zero)의 위치)으로 하여 보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측정선에 의한 측정시의 위치정보(GPS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위치가 보정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B)의 세로축은 가로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2차원 상의 수표면 거리를 나타낸다. 이때 표시된 측정 위치의 기포 항적의 물리적 특성 신호의 크기는 도 7의 (A)에 나타낸 것과 같다. 이와 같은 보정을 통해 전술한 바와 같이, 1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2차원 다중 센서를 이용하여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은 센서를 측정선에 설치하여 측정선과 함께 이동시키면서 수상함에 의해 발생한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므로, 수중에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를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없이 측정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치정보(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측정선의 측정시의 2차원 위치정보를 보정해주므로, 수중에 적은 개수의 음향 센서를 이용하여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음향 특성)을 측정하는 경우보다 적은 횟수의 수상함 기동을 통해 넓은 영역에 걸쳐 발생하는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 측정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 측정 방법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의 개요를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의 실행과정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에 있어서, 측정 시각 차이를 거리 차이로 보정해주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의 실행을 위해 센서를 측정선의 일측에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측정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1차원 신호의 크기와 측정시의 위치정보를 2차원 표면상에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B)에서의 측정시의 위치정보를 수상함의 기동 방향으로의 거리를 가로축으로 하여 보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315...센서 120,320...수상함
310...측정선 330...기포항적의 영역

Claims (9)

  1. a)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된 측정선을 대기시키는 단계;
    b) 수상함의 기포항적에 대한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대상의 수상함을 기동시켜 기포항적을 발생시키는 단계;
    c) 상기 발생된 기포항적의 영역 내로 상기 측정선을 진입 및 이동시키면서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 정보와 측정시의 상기 수상함 및 측정선의 위치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 및
    d) 상기 측정된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신호의 측정 시각에 따른 측정 위치 차이를 보정해주기 위해 측정 시각 차이를 거리 차이로 보정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d)에서의 상기 측정 시각 차이를 거리 차이로 보정해주는 단계는,
    d-1) 상기 저장된 수상함 및 측정선의 위치정보와 상기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 시각을 동기화하는 단계;
    d-2) 상기 동기화 후, 상기 측정선에 의한 상기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과 관련한 기준 시각 및 기준 위치를 설정하는 단계;
    d-3) 상기 설정된 기준 시각과 상기 각 측정 시각 간의 시간 차이를 계산하는 단계;
    d-4) 상기 계산된 각 시간 차이를 상기 수상함의 진행방향으로의 속도에 각각 곱하여 각각의 거리를 구하는 단계; 및
    d-5) 상기 구해진 각각의 거리를 상기 각 측정 위치에 각각 더해줌으로써 상기 각 측정 시각에 따른 측정 위치 차이를 보정해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측정선의 진입 및 이동 속도는 상기 측정선에 의해 발생된 기포가 상기 측정대상의 수상함에 의해 발생된 기포항적을 왜곡시키지 않을 정도의 속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선의 진입 및 이동 속도는 상기 측정대상의 수상함의 속도의 1/2 이하의 속도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측정선을 상기 기포항적의 영역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에 대해 반복 교차 이동시키면서 상기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2)에서 상기 기준 시각은 상기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을 위해 미리 정해둔 위치를 상기 수상함이 지나는 시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2)에서 상기 기준 시각은 임의의 시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2)에서 상기 기준 위치는 상기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의 측정을 위해 미리 정해둔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2)에서 상기 기준 위치는 임의의 위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KR1020090017825A 2009-03-03 2009-03-03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KR10104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825A KR101040153B1 (ko) 2009-03-03 2009-03-03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825A KR101040153B1 (ko) 2009-03-03 2009-03-03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370A KR20100099370A (ko) 2010-09-13
KR101040153B1 true KR101040153B1 (ko) 2011-06-09

Family

ID=4300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825A KR101040153B1 (ko) 2009-03-03 2009-03-03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01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54A (ko) * 2017-08-11 2019-02-20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영상 소나를 이용한 항적탐지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2772B (zh) * 2013-12-24 2016-04-0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六研究所 气泡密度可调的船只尾流逼真模拟方法
CN107444570B (zh) * 2017-07-28 2019-04-05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二研究所) 船舶喷气减阻模型试验中的阻力分布测量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9963A (ja) * 1994-02-21 1995-08-29 Oki Electric Ind Co Ltd 航跡の検出方法
KR20090117291A (ko) * 2008-05-09 2009-11-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모의 항적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9963A (ja) * 1994-02-21 1995-08-29 Oki Electric Ind Co Ltd 航跡の検出方法
KR20090117291A (ko) * 2008-05-09 2009-11-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모의 항적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2000.11
논문 2006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554A (ko) * 2017-08-11 2019-02-20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영상 소나를 이용한 항적탐지 방법 및 장치
KR102001100B1 (ko) * 2017-08-11 2019-07-17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영상 소나를 이용한 항적탐지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9370A (ko) 2010-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55310A1 (en) Route setting method for underwater vehicle, underwater vehicle optimum control method using same, and underwater vehicle
KR101257097B1 (ko) 선 배열 소나 및 이의 표적방위 검출방법
JP5581718B2 (ja) 水中航走体の位置較正方法
JP2016510106A5 (ko)
CN103543459A (zh) 一种实现水下拖体定位的组合导航装置及定位方法
US88682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navigation for unmanned undersea vehicles
KR102374304B1 (ko)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 및 시스템
US10585184B2 (en) Tracking processor and method of tracking processing
US11112499B2 (en) Synthetic antenna sonar and method for forming synthetic antenna beams
CN107167224A (zh) 一种船舶辐射噪声的测量方法
KR101040153B1 (ko) 부착이동형 센서를 이용한 수상함의 기포항적의 물리적 특성 측정방법
JP7175252B2 (ja) 船舶の着岸支援装置
JP5074718B2 (ja) 船舶用レーダ
CN110309581B (zh) 一种水下潜标位置综合校准测量点快速优化布局方法
CN110543179A (zh) 一种基于三维稀疏阵列声源方位识别的水面目标躲避方法
JP2010527012A (ja) 音波を放出するターゲットの方位測定方法
KR101685084B1 (ko) 예인 배열 소나의 형상 추정 방법 및 추정 장치
JP2013079814A (ja) 魚群予測位置表示システム、水中探知装置、記憶装置、魚群予測装置、魚群予測位置表示プログラム、及び魚群予測位置表示方法
KR20200079133A (ko) 무인잠수정의 수중 항법 성능 평가 방법
JP2014025786A (ja) 目標運動解析方法及び目標運動解析装置
KR102547420B1 (ko) 선배열 센서를 이용한 3차원 표적기동분석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09236503A (ja) 水中航走体の速度計測システム
JP5561424B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381772B2 (ja) 水中航走体の位置較正方法
JP2010145224A (ja) スキャニングソナ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