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304B1 -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304B1
KR102374304B1 KR1020150156992A KR20150156992A KR102374304B1 KR 102374304 B1 KR102374304 B1 KR 102374304B1 KR 1020150156992 A KR1020150156992 A KR 1020150156992A KR 20150156992 A KR20150156992 A KR 20150156992A KR 102374304 B1 KR102374304 B1 KR 102374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reference frequency
underwater
time poi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4175A (ko
Inventor
이상구
황원우
서명갑
신수용
김정해
한상규
백일국
이철원
공영모
한성곤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소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소나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6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3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4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4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4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8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의 일 실시예는, 이동 선박에 설치된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가 기준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수중음향센서가 수중 주파수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위치추정기가 측정된 수중 주파수신호로부터 기준 주파수신호와 특정 주파수신호의 각각에서 주파수에 대한 시간의 미분함수가 0인 시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시점들과 선박의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고정식 시스템에 비해 적은 비용과 적은 수량의 수중음향센서로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A LOCATION OF AN UNIDENTIFIED SUBMARINE SIGNAL}
본 발명은 선박의 수중방사소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소음원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중음향센서로 선박의 수중방사소음을 측정하면 여러가지 주파수신호들이 조합되어 수신된다. 이 주파수신호들에는 유체유동 소음도 포함되어 있지만 선박으로부터 발생하는 기계류의 소음도 식별된다.
선박의 수중방사소음을 측정하고 나면, 측정을 통해 취득된 주파수신호들 중에서 수중방사소음 기준을 초과하거나 선박의 수중음향 등의 성능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주파수신호를 식별하여 해당 주파수신호의 원인 파악(Source Identification)을 통해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1은 일반적인 수중방사소음 측정 결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A로 표시된 부분에서 주변에 비해 현저히 높은 소음을 발견할 수 있고, 이 소음은 특정 주파수에서 식별되는 단일 신호(Single Signal: Tonal)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문제가 되는 주파수신호가 이러한 특정 주파수의 단일 신호로 식별되더라도 해당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소음원을 파악하지 못하면 대책수립이 불가능하다.
해당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소음원을 찾지 못한 경우에는 계약적 벌과금 등으로 처리하고 분석보고서에 미식별 신호(Un-known Signal)라고 정리하는 것만으로 끝나는 것이 현 실정이다.
대형 선박에는 매우 많은 종류의 장비들이 여러 위치에 탑재되고, 동일한 종류의 장비라 하더라도 여러 대가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소음원을 찾는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해당 주파수신호가 발생되는 선박 내의 위치를 알 수 있다면(Source Localization) 그러한 소음원을 찾는 것이 매우 수월해질 것이다.
일부 선진국은 해상에 고정식 수중방사소음 측정 설비를 구축하여 빔 포밍(Beam Formming)을 이용한 위치 추적을 하고 있다. 그러한 위치 추적은 잠수함, 수상함 등의 선박이 지나갈 수 있는 항로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의 수중음향센서를 배치하고 선박이 지나갈 때 각 센서에 수신되는 지향각과 각 센서별로 수신되는 세기의 차이를 이용해서 해당 주파수신호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고정식 시험장은 제작 및 유지에 들어가는 비용이 천문학적인 수준이고 최적의 수중 해양 환경이 확보되어야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확보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국가 차원에서 건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는 미국, 영국, 프랑스와 같은 몇몇 특정 국가만이 독자적으로 보유하고 있고, 독일과 노르웨이 등 EU 몇개국이 공동 투자하여 노르웨이에 설치한 후 회원국들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박에서 발생되는 수중방사소음이 문제될 경우, 선박 계약과 관련해서도 큰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한, 상선의 경우에는 수중 생물체에 대한 감응 주파수와 관련하여 문제가 생기고, 함정의 경우에는 수중음향 스텔스 성능과 관련하여 적에 대한 탐지와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242715 B1 KR 1047960 B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고정식 시스템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구축가능하고 적은 수량의 수중음향센서를 이용하는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의 일 실시예는: 이동 선박에 설치된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가 기준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수중음향센서가 수중 주파수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위치추정기가 상기 측정된 수중 주파수신호로부터 상기 기준 주파수신호와 특정 주파수신호의 각각에서 주파수에 대한 시간의 미분함수가 0인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시점들과 상기 선박의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출단계는: 상기 검출된 시점들 사이의 시간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시간차에 상기 선박의 이동속도를 곱하여 상기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와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산출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이동 선박 내에 설치되어 기준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 수중 주파수신호를 측정하는 수중음향센서; 및 상기 수중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중 주파수신호로부터 상기 기준 주파수신호와 특정 주파수신호의 각각에서 주파수신호에 대한 시간의 미분함수가 0인 시점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시점들과 상기 선박의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를 추정하는 위치추정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추정기는 상기 검출된 시점들 사이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상기 시간차에 상기 선박의 이동속도를 곱하여 상기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와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산출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상기 특정 주파수 신호의 발생위치로 추정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고정식 시스템에 비해 적은 비용과 적은 수량의 수중음향센서로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기준 주파수의 종류에 대한 제한이 적기 때문에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를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해상에서 실제로 시험해본 결과, 오차가 ±1 m 수준일 정도로 추정이 정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1은 일반적인 수중방사소음 측정 결과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3은 도2의 위치추정기가 수행하는 시간-주파수 분석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5는 도2의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가 선박에 설치된 위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도5의 위치에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가 설치된 선박이 이동할 때 도2의 수중음향센서가 측정한 수중 주파수신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도6의 수중 주파수신호에 대한 LoFAR 분석 결과에서 관심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도7로부터 추정된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추정 시스템(100)은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 수중음향센서(120), 및 위치추정기(130)를 포함한다.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는 기준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킨다. 기준 주파수신호는 문제가 되는 특정 주파수신호와 비교하기 위한 임의의 주파수신호이며, GPS를 이용한 기준 위치정보로도 가능하다.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로는 수중스피커, 프로젝터, 고체소음 발생기(고체음 가진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기준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반드시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를 별도로 구비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선박 내의 확인된 위치로부터 발생하는 식별가능한 주파수신호도 기준 주파수신호로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그러한 주파수신호의 발생원을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로 삼을 수 있다.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는 이동 선박에 설치되고, 기준 주파수신호는 그 이동 선박으로부터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를 추정하는데 있어서 참고용 주파수신호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특정 주파수신호가 미리 결정된 수중방사소음 기준을 초과하는 주파수신호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특정 주파수신호가 이러한 주파수신호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발생위치를 추정하고 싶은 주파수신호는 특정 주파수신호가 될 수 있다.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가 하나만 있어도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굳이 다수개의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수중음향센서(120)는 수중 주파수신호를 측정한다. 수중음향센서(120)는 수중청음기로서 수중에 설치되고, 설치된 위치에서 수신되는 주파수신호를 측정한다. 선박이 수중음향센서(120)를 지나가게 되면, 수중음향센서(120)는 선박의 수중방사소음을 측정하게 된다.
이 때, 선박 내의 식별되지 않은 위치에서 특정 주파수신호가 발생하고 있고 선박에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가 설치된 경우에는, 특정 주파수신호와 기준 주파수신호가 수중음향센서(120)에 의해 측정된다.
위치추정기(130)는 수중음향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수중 주파수신호를 수신하고, 수중 주파수신호로부터 식별된 특정 주파수신호와 기준 주파수신호에 대하여 시간-주파수 분석을 수행한다.
도3은 도2의 위치추정기(130)가 수행하는 시간-주파수 분석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내의 소음원이 수중음향센서를 지나갈 때 도플러 곡선을 보이는데, 도3은 그러한 도플러 곡선을 보여주고 있다.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 도플러 현상, 도플러 편이 현상)는 어떤 파동의 파동원과 관찰자의 상대 속도에 따라 진동수와 파장이 바뀌는 현상을 가리킨다. 소리와 같이 매질을 통해 움직이는 파동에서는 관찰자와 파동원의 매질에 대한 상대속도에 따라 효과가 변한다.
파동원만 움직이는 경우를 살펴보면, 파동원이 vs의 속도로 파동의 한 주기 T초 동안 관찰자에게 다가갈 때, 파원은 vsT 만큼 가까와지므로, λ'=λ-vsT 가 된다. 여기에 λ'=v/f', λ=v/f, T=1/f 를 대입하여 정리하면, f'=(v/(v-vs))f 이다. 여기서, f는 파동의 실제 진동수이고, f'는 관찰자가 관측한 진동수이고, v는 파동의 매질 내에서의 속도이고, vs는 매질에 대한 파원의 속도로서 파원이 관측자쪽 방향으로 움직일 때 양수이다.
다시 말해서, 도플러 효과에 따르면 파동원이 움직이는 경우에 음원을 기준으로 파동원의 앞부분은 파장이 짧아져서 주파수가 약간 높아지지만 뒷부분에서는 파장이 길어져서 주파수가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한 경우에, 주파수가 낮아지다가 높이지기 전의 시점에 음원이 측면에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음원이 측면에 있는 상태는 음원과 관찰자 사이의 거리가 가장 짧은 상태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3의 그래프에서는 Ts 의 시점에 소음원이 수중음향센서의 측면에 있다고 유추할 수 있다. 이 시점은 주파수에 대한 시간의 미분함수가 0이 되는 시점이다.
위치추정기(130)는, 수중 주파수신호로부터 식별된 특정 주파수신호와 기준 주파수신호 각각의 발생위치가 수중음향센서(120)의 측면에 있는 시점을 검출하기 위하여, 특정 주파수신호와 기준 주파수신호의 각각에서 주파수에 대한 시간의 미분함수가 0인 시점을 검출한다.
위치추정기(130)는 검출된 시점들과 선박의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를 추정한다. 구체적으로, 위치추정기(130)는 검출된 시점들 사이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차에 선박의 이동속도를 곱하여 기준 주파수 발생기의 위치와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 사이의 거리 Di 를 산출하고,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로부터 거리 Di 만큼 떨어진 위치를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 Li 로 추정한다.
즉, 기준 주파수신호에서 검출된 시점이 T0, 특정 주파수신호에서 검출된 시점이 Ti, 선박의 이동속도가 v,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가 L0 일 때, 기준 주파수 발생기의 위치와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 사이의 거리 Di = v(Ti-T0) 이고,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 Li = Di + L0 이다.
위치추정기(130)는 컴퓨터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추정기(130)는 PC 등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200)의 흐름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가 기준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킨다(S210).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는 이동 선박에 설치되어 있다. 추정 방법(200)의 사용자는 우선 선박에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를 설치하고,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가 기준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고 있는 상태로 선박이 수중음향센서(120)를 지나가게 한다.
도5는 도2의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가 선박에 설치된 위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5를 참조하면, 일례로서 두 개의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인 제1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와 제2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가 각각 선박 내의 제1 위치 P1 과 제2 위치 P2 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와 제2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것이므로, 사용자는 선박 내에서 제1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와 제2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가 설치된 정확한 위치를 알고 있다.
수중음향센서(120)는 이 선박이 수중음향센서(120)를 지나가는 동안 수중 주파수신호를 측정한다(S220). 선박이 수중음향센서(120)를 지나가는 동안 제1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와 제2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는 계속해서 기준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킨다.
도6은 도5의 위치에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110)가 설치된 선박이 이동할 때 도2의 수중음향센서(120)가 측정한 수중 주파수신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을 참조하면, 선박 내의 식별되지 않은 위치에서 발생하고 있는 특정 주파수신호(300), 제1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제1 기준 주파수신호(310), 및 제2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 제2 기준 주파수신호(320)가 수중음향센서(120)에 의해 측정된다.
사용자는 제1 기준 주파수신호(310)의 발생위치가 P1 이고 제2 기준 주파수신호(320)의 발생위치가 P2 라는 것은 알고 있지만, 문제가 되는 특정 주파수신호(300)의 발생위치는 알지 못하는 상태이다.
위치추정기(130)는 수중음향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수중 주파수신호를 수신하고, 수중 주파수신호로부터 식별된 특정 주파수신호(300), 제1 기준 주파수신호(310), 및 제2 기준 주파수신호(320)의 각각에 대해 도플러 패턴을 확인하여 특정 주파수신호(300)의 발생위치를 추정한다(S230).
이를 위하여, 위치추정기(130)는 수중 주파수신호에 대해 LoFAR(Low Frequency Analysis and Recording)분석을 수행하여 각 주파수별 특성을 파악한다.
도7은 도6의 수중 주파수신호에 대한 LoFAR 분석 결과에서 관심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7을 참조하면, 위치추정기(130)는 특정 주파수신호(300)의 도플러 패턴(400)에서 주파수에 대한 시간의 미분함수가 0인 시점 Ts, 제1 기준 주파수신호(310)의 도플러 패턴(410)에서 주파수에 대한 시간의 미분함수가 0인 시점 T1, 및 제2 기준 주파수신호(320)의 도플러 패턴(320)에서 주파수에 대한 시간의 미분함수가 0인 시점 T2를 검출한다. 도7에서 Ts는 60초, T1은 50초, T2는 68초로 확인된다.
그리고나서, 위치추정기(130)는 검출된 시점들 사이의 시간차를 산출한다. 도7에서 Ts와 T1 사이의 시간차 (Ts- T1)은 10초이고, Ts와 T2 사이의 시간차 (Ts-T2)는 8초이다.
위치추정기(130)는 산출된 시간차에 선박의 이동속도를 곱하여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 P1, P2 와 특정 주파수신호(300)의 발생위치 사이의 거리를 산출한다.
선박이 10 knots 로 이동했다고 가정하면, 1 knots를 1.8 km/h 로 환산할 경우에 1초당 선박의 이동거리는 0.5 m가 되므로 10 knots로 이동한 선박의 이동 속도는 5 m/s 이다. 따라서, P1과 특정 주파수신호(300)의 발생위치 사이의 거리 D1 = 5[m/s] * 10[s] = 50 m 이고, P2와 특정 주파수신호(300)의 발생위치 사이의 거리 D2 = 5[m/s] * 8[s] = 40 m 이다.
위치추정기(130)는 P1으로부터 D1 = 50 m 만큼 떨어져 있고 P2로부터 D2 = 40 m 만큼 떨어져있는 위치를 특정 주파수신호(300)의 발생위치로 추정한다.
도8은 도7로부터 추정된 특정 주파수신호(300)의 발생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을 참조하면, 위치추정기(130)에 의해 추정된 특정 주파수신호(300)의 발생위치 Ps는 P1으로부터 D1 = 50 m 만큼 떨어져 있고 P2로부터 D2 = 40 m 만큼 떨어져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시스템
110: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
120: 수중음향센서
130: 위치측정기

Claims (5)

  1. 이동 선박에 설치된 제1 및 제2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 각각이 제1 및 제2 기준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수중음향센서가 수중 주파수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및
    위치추정기가 측정된 수중 주파수신호로부터 식별된 상기 제1 기준 주파수신호, 상기 제2 기준 주파수신호 및 특정 주파수신호의 각각에서 주파수에 대한 시간의 미분함수가 0인 제1 시점, 제2 시점 및 제3 시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제1 내지 제3 시점과 상기 선박의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1 시점 사이의 제1 시간차, 및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2 시간차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시간차에 상기 선박의 이동속도를 곱하여 상기 제1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와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 사이의 제1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시간차에 상기 선박의 이동속도를 곱하여 상기 제2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와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 위치 사이의 제2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거리만큼 떨어지고, 상기 제2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로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는 미리 결정된 수중방사소음기준을 초과하는 주파수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
  4. 이동 선박에 설치되어 제1 기준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
    상기 선박에 설치되어 제2 기준 주파수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
    수중 주파수신호를 측정하는 수중음향센서; 및
    측정된 수중 주파수신호로부터 식별된 상기 제1 기준 주파수신호, 상기 제2 기준 주파수신호 및 특정 주파수신호의 각각에서 주파수에 대한 시간의 미분함수가 0인 제1 시점, 제2 시점 및 제3 시점을 검출하고, 검출된 제1 내지 제3 시점과 상기 선박의 이동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를 추정하는 위치추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추정기는,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1 시점 사이의 제1 시간차, 및 상기 제3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의 제2 시간차를 산출하고,
    상기 제1 시간차에 상기 선박의 이동속도를 곱하여 상기 제1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와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 사이의 제1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시간차에 상기 선박의 이동속도를 곱하여 상기 제2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와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 위치 사이의 제2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제1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1 거리만큼 떨어지고, 상기 제2 기준 주파수신호 발생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를 상기 특정 주파수신호의 발생위치로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시스템.
  5. 삭제
KR1020150156992A 2015-11-09 2015-11-09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374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992A KR102374304B1 (ko) 2015-11-09 2015-11-09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992A KR102374304B1 (ko) 2015-11-09 2015-11-09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175A KR20170054175A (ko) 2017-05-17
KR102374304B1 true KR102374304B1 (ko) 2022-03-16

Family

ID=5904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992A KR102374304B1 (ko) 2015-11-09 2015-11-09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14258B (zh) * 2018-05-09 2022-04-08 天津大学 一种基于单水声信标距离量测的水下定位方法
KR102148979B1 (ko) 2018-07-24 2020-08-27 국방과학연구소 수중 표적 탐지 장치 및 방법
KR102001946B1 (ko) * 2018-08-27 2019-07-23 소나테크 주식회사 수중 무인 잠수로봇을 이용한 수중 작업용 청음 시스템
CN109975763B (zh) * 2019-04-08 2021-07-13 燕山大学 一种基于按需收发的水下异步定位方法及系统
KR102439826B1 (ko) * 2020-09-22 2022-09-02 국방과학연구소 해양수송체를 탐지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95878B1 (ko) * 2021-10-08 2023-02-06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선박 접안 유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7278A (zh) 2013-03-04 2013-07-10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多普勒频移变化率的舰船线谱噪声源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296B1 (ko) * 2010-04-30 2011-12-22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회전 소음원 측정용 마이크로폰 어레이 시스템 및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회전 소음원 측정 방법
KR101047960B1 (ko) 2010-12-17 2011-07-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음향 센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42715B1 (ko) 2011-10-24 2013-03-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수중 위치정보 보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97278A (zh) 2013-03-04 2013-07-10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多普勒频移变化率的舰船线谱噪声源定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4175A (ko)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304B1 (ko) 미식별 수중신호 위치의 추정 방법 및 시스템
EP2515140B1 (fr) Procédé de positionnement acoustique global d'une cible marine ou sous-marine
RU2634787C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локального объекта на фоне распределенной помехи
KR20120108823A (ko) 선 배열 소나 및 이의 표적방위 검출방법
KR920701836A (ko) 이동 물체 속도 측정장치
KR101618326B1 (ko) 선박의 프로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초생 공동의 위치를 추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선박
Morgado et al. Experimental evaluation of a USBL underwater positioning system
ES2268040T3 (es) Procedimiento para la determinacion pasiva de datos de un objetivo.
WO2020148531A1 (en) Echo sounder callibration
RU2527136C1 (ru) Способ измерения глубины объекта и гидролокатором
KR101685084B1 (ko) 예인 배열 소나의 형상 추정 방법 및 추정 장치
Hursky et al. High-frequency (8–16 kHz) model-based source localization
RU2602759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обнаружения и классификации объекта в водной среде
KR100979286B1 (ko) 수중 거리 및 방위를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von Benda-Beckmann et al. Effect of towed array stability on instantaneous localization of marine mammals
Boltryk et al. An ultrasonic transducer array for velocity measurement in underwater vehicles
KR101480834B1 (ko) 다중 경로 음파 전달 모델 및 표적 식별을 이용한 표적 기동분석 방법
KR101261276B1 (ko) 공간상 유동장 측정을 통한 수중 이동체 정밀 탐색 장치, 그 탐색 방법 및 그 탐색 장치를 탑재한 항공체
US20060083110A1 (en) Ambient bistatic echo ranging system and method
CA2883062A1 (en) Method for localizing a marine mammal in an underwater environment implemented by a pam system, corresponding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carrier medium
KR101961380B1 (ko) 비음향 수중 잠수함 및 돌출물 탐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11493627B2 (en) Method, module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velocity profile of sound waves in a water column
Abadi et al. Estimating the location of baleen whale calls using dual streamers to support mitigation procedures in seismic reflection surveys
AU20122447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arget parameters
Odell et al. A versatile tracking system for AUV te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