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842B1 - 건식 황토 포장 방법 - Google Patents

건식 황토 포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842B1
KR101039842B1 KR20100112931A KR20100112931A KR101039842B1 KR 101039842 B1 KR101039842 B1 KR 101039842B1 KR 20100112931 A KR20100112931 A KR 20100112931A KR 20100112931 A KR20100112931 A KR 20100112931A KR 101039842 B1 KR101039842 B1 KR 101039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ry
compaction
packaging material
surface comp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11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로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36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by subjecting soil to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23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황토 포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와 1차 면고르기 단계 및 1차 면다짐 단계를 거쳐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화를 위한 공정으로서 1차 면다짐층을 파헤쳐서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 위에 파헤침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와, 파헤침층을 2차 면고름하여 2차 면고름층을 형성하는 2차 면고름 단계와, 2차 면고름층을 2차 면다짐하여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 위에 2차 면다짐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2차 면다짐 단계를 거치한 다음 1차 면다짐층과 2차 면다짐층을 양생하는 것으로서, 시공 완료된 포장의 다짐 밀도가 전면적으로 균등하게 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시공된 포장은 투수성과 보수성이 우수하여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 포장을 시공할 수 있고, 침수기간에도 견딜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식 포장재료를 구성하는 마사토와 고화제 및 물에 볏짚을 혼합함으로써 볏짚에 서생하는 고초균이 시공된 포장에서 서생하면서 유기물을 분해하고, 각종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시공된 포장을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토양오염과 지하수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건식 황토 포장 방법{Method for paving dry soil road}
본 발명은 건식 황토 포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투수성(透水性)과 보수성(保水性)이 우수하여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친환경 포장을 시공할 수 있고, 침수기간에도 견딜 수 있으며,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시공된 포장을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토양오염과 지하수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책로나 자전거 전용 도로 및 하천변(둔치) 등에는 황토 포장이 시공되고 있다.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18364호의 "황토 레미콘을 이용한 경하중 및 자전거 겸용 도로의 시공 방법"이 알려져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시공 방법에서는 다량의 시멘트와 물을 포함하는 포장재료, 즉 '황토레미콘'을 사용하며, 통상적인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 방법과 대등한 방법으로 시공되는 것으로, 시공된 포장의 압축강도와 표면마모도 면에서는 우수하나 투수성(透水性)과 보수성(保水性)이 매우 낮아 여러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시공된 포장의 투수성과 보수성이 매우 낮아 강우수 등의 지표수가 지하로 스며들지 못하여 지하수를 확충하는 데 기여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하수의 고갈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시공된 포장의 투수성과 보수성이 매우 낮아 포장 표면 온도 조절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지구온난화의 주요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1톤을 제조하는 데 0.8톤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시멘트의 사용량이 많기 때문에 온실 가스의 80%를 차지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에 역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상술한 문제점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자연환경의 파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등록특허의 시공 방법은 다량의 시멘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인 포장 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다섯째, 시멘트의 수화반응에 따른 경화시 기포발생으로 시공된 포장의 내부에 기공이 존재하게 되며, 포장으로 스며든 물기가 지반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스며든 물기가 동결하면서 팽창함에 따라 포장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섯째, 습식 황토 포장에서 사용되는 습식 포장재료는 시멘트가 25~30중량부, 물이 20~30중량부 함유되어 유동성이 크기 때문에 시공 영역을 거푸집이나 경계석 등에 의해 특정한 다음 마치 시멘트콘크리트처럼 타설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롤러를 사용한 면다짐을 할 수 없고, 약 5~10cm 정도의 폭과 1~2m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각목의 양단에 끈을 연결하여 두 사람의 작업자가 양쪽에서 끈을 잡고 들어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타설된 습식 포장재료의 표면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면다짐을 하게 되므로 시공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곱째, 시멘트는 CSO, 6가 크롬 등의 독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독성물질은 수화열에 의하여 수분이 증발하면서 지속적으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시멘트가 다량 함유되는 습식 황토 포장을 맨발로 걸을 경우 시멘트의 독성물질에 의하여 인체에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덟째, 각종 유해물질로 인한 세균의 번식으로 쾌적한 포장을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자는 상술한 습식 황토 포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멘트 등의 고화제와 물의 사용량을 줄여 건식 황토 포장을 개발하여 왔다.
본 발명자는 포장재료 포설 단계, 면고름 단계, 면다짐 단계, 양생 단계, 정리 단계를 포함하는 건식 황토 포장을 실험적으로 시공해 보았다.
면고름 단계에서 포설된 포장재료를 최대한으로 평탄하게 면고름하고, 면다짐 단계에서 3톤 롤러를 사용하여 전면적으로 균등하게 면다짐을 하였고, 육안 관찰 결과 최종 포장의 표면은 평활함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포장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여러 곳에서 표면 패임 현상(함몰 또는 침하 현상)이 발견되었으며, 그 원인은 건식 황토 포장에서는 슬럼프 치가 매우 낮은, 다시 말하면 슬럼프 치가 "0"인 포장재료를 사용하고, 이를 평활하게 다지기 위하여 롤러를 사용하였으나, 롤러에 의한 전압이 전면적으로 균등하게 작용하지 않기 때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면 패임 현상(함몰 또는 침하 현상)이 발생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절단하여 비교하여 본 결과, 표면 패임 현상이 발생한 부분의 다짐 밀도가 그렇지 않은 부분의 다짐 밀도보다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술한 다짐 밀도 불균등으로 인한 표면 패임 현상(함몰 또는 침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제외하고서는 포장의 압축강도와 표면마모도 등은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책로나 저전거 전용도로로서 갖추어야 할 압축강도와 표면마모도를 충족시키면서도 충분한 투수성과 보수성을 가지며, 여름철 지열상승을 억제하고, 겨울철 미끄럼을 방지하며, 동해(凍害)가 배제되고,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포장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화제로서 제강 슬래그를 포함하는 수용성 고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맨발로 걸을 수 있는 황토 포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공된 포장이 전면에 걸쳐서 균등한 다짐 밀도를 가지도록 시공할 수 있도록 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시공된 포장을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토양오염과 지하수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사토를 주재료로 하여 고화제 및 물을 혼합하여 건식 포장재료를 준비하는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
상기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에서 준비된 건식 포장재료를 미리 정지해둔 지반 위에 포설하는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
상기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에서 지반에 포설된 건식 포장재료를 펼쳐서 1차 면고름층을 형성하는 1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고름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고름층을 롤러로 다져서 1차 면다짐층을 형성하는 1차 면다짐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1차 면다짐층의 상부 일부를 파헤쳐서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 위에 파헤침층을 형성하는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파헤침층을 평탄하게 하여 2차 면고름층을 형성하는 2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2차 면고름층을 롤러로 다져서 2차 면다짐층을 형성하는 2차 면다짐 단계;
상기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과 상기 2차 면다짐층을 비닐로 덮어 양생하는 양생 단계;를 포함하는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사토를 주재료로 하여 고화제 및 물을 혼합하여 건식 포장재료를 준비하는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
상기 건식 포장재료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건식 포장재료를 미리 정지된 지반 위에 포설하는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
상기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에서 포설된 건식 포장재료를 펼쳐서 평탄하게 하여 1차 면고름층을 형성하는 1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고름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고름층을 롤러로 다져서 1차 면다짐층을 형성하는 1차 면다짐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1차 면다짐층의 상부 일부를 파헤쳐서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 위에 파헤침층을 형성하는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파헤침층을 평탄하게 하여 2차 면고름층을 형성하는 2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2차 면고름층 위에 건식 포장재료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포설된 건식 포장재료를 평탄하게 하여 3차 면고름층을 형성하는 3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3차 면고름층을 롤러로 다져서 2차 면다짐층을 형성하는 2차 면다짐 단계;
상기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과 상기 2차 면다짐층을 비닐로 덮어 양생하는 양생 단계;를 포함하는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사토를 주재료로 하여 고화제와 볏짚 및 물을 혼합하여 건식 포장재료를 준비하는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
상기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에서 준비된 건식 포장재료를 미리 정지해둔 지반 위에 포설하는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
상기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에서 지반에 포설된 건식 포장재료를 펼쳐서 1차 면고름층을 형성하는 1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고름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고름층을 롤러로 다져서 1차 면다짐층을 형성하는 1차 면다짐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1차 면다짐층의 상부 일부를 파헤쳐서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 위에 파헤침층을 형성하는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파헤침층을 평탄하게 하여 2차 면고름층을 형성하는 2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2차 면고름층을 롤러로 다져서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 위에 2차 면다짐층을 형성하는 2차 면다짐 단계;
상기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과 상기 2차 면다짐층을 비닐로 덮어 양생하는 양생 단계;를 포함하는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사토를 주재료로 하여 고화제와 볏짚 및 물을 혼합하여 건식 포장재료를 준비하는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
상기 건식 포장재료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건식 포장재료를 미리 정지된 지반 위에 포설하는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
상기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에서 포설된 건식 포장재료를 펼쳐서 평탄하게 하여 1차 면고름층을 형성하는 1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고름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고름층을 롤러로 다져서 1차 면다짐층을 형성하는 1차 면다짐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1차 면다짐층의 상부 일부를 파헤쳐서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 위에 파헤침층을 형성하는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파헤침층을 평탄하게 하여 2차 면고름층을 형성하는 2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2차 면고름층 위에 건식 포장재료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포설된 건식 포장재료를 평탄하게 하여 3차 면고름층을 형성하는 3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3차 면고름층을 롤러로 다져서 2차 면다짐층을 형성하는 2차 면다짐 단계;
상기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과 상기 2차 면다짐층을 비닐로 덮어 양생하는 양생 단계;를 포함하는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에서는 마사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화제 8~13중량부 및 물 5~8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사토, 고화제 및 물에 볏짚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헤침층(13)은 상기 1차 면다짐층(12)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1차 면다짐층(12)의 두께의 40~60% 범위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식 황토 포장 방법에 의하면, 건식 포장재료를 사용하여 건식으로 황토 포장을 시공하는 것으로서 산책로나 저전거 전용도로로서 갖추어야 할 압축강도와 표면마모도를 충족시키면서도 충분한 투수성과 보수성을 가지는 황토 포장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공된 포장이 투수성과 보수성을 충분히 가지게 되어 여름철 지열상승을 억제하고, 겨울철 미끄럼을 방지하며, 동해(凍害)가 배제되고, 생태계를 복원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포장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식 황토 포장 방법에 의하면,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와 1차 면고름 단계 및 1차 면다짐 단계를 거쳐 형성된 1차 면다짐층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공정으로서, 1차 면다짐층의 일부를 파헤쳐서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 위에 파헤침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파헤침층을 2차 면고르기 하여 2차 면고름층을 형성하는 2차 면고름 단계 및 2차 면고름층을 면다짐하여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 위에 2차 면다짐층을 형성하는 2차 면다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므로 시공된 포장이 전면에 걸쳐서 균등한 다짐 밀도를 가지도록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은 고화제의 사용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고화제로서 제강 슬래그를 포함하는 수용성 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친환경적이며, 맨발로 걸을 수 있는 황토 포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식 황토 포장 방법에 의하면, 마사토와 고화제 및 물로 이루어지는 건식 포장재료에 볏짚을 혼합함으로써 볏짚에 서생하는 고초균이 시공된 포장에 서생하면서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시공된 포장을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토양오염과 지하수의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식 황토 포장 방법에 의하면, 마사토와 고화제 및 물로 이루어지는 건식 포장재료에 볏짚을 혼합함으로써 일부 볏짚이 시공된 포장 표면에서 노출되면서 시공된 포장을 보다 자연적으로 조성된 황토길과 같은 외관을 표출하게 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황토 포장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보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보인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4는 모눈 형성 단계를 보인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보인 공정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보인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황토 포장에서 채취한 시료 사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황토 포장에서 채취한 시료 사진,
도 10은 종래의 습식 황토 포방 방법에 의해 시공된 습식 황토 포장에서 채취한 시료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다.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은 도 1의 (a) 및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S101); 도 1의 (b) 및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S102); 도 1의 (c) 및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1차 면고름 단계(S103); 도 1의 (d) 및 도 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1차 면다짐 단계(S104); 도 1의 (e) 및 도 2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은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S105); 도 1의 (f) 및 도 2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은 2차 면고름 단계(S106); 도 1의 (g) 및 도 2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은 2차 면다짐 단계(S107); 도 1의 (h) 및 도 2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면 및 사면 정리 단계(S108); 및 도 1의 (i) 및 도 2의 (i)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양생 단계(S109);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각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
상기 건식 포장재료(S1)를 준비하는 단계(S101)에서는 시공하고자 하는 지역의 마사토(지역토)를 채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역토의 확보가 여의치 않은 경우에는 타 지역에서 채취한 마사토를 사용할 수 있다.
채취한 마사토는 그 성분에 따라 토분기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토분기가 최소화된 마사토를 준비한다.
건식 포장재료(S1)를 혼합함에 있어서는 마사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화제 8~13중량부, 물 5~8중량부를 혼합한다. 시험결과, 이와 같이 혼합된 건식 포장재료(S1)의 슬럼프치는 0~2cm이었다.
상기 고화제로서는 생석회나 염화칼슘, 황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철, 산화철의 금속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제강 슬래그를 혼합한 수용성 고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현지토 등 마사토의 색상으로서는 원하는 색상을 얻을 수 없을 경우 소량의 안료를 혼합한다. 안료는 마사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0.2~0.5중량부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건식 포장재료(S1)는 도 1의 (a) 및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믹서기(1)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혼합한다.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
상기 건식 포장재료(S1) 포설 단계(S102)에서는 시공 장소의 지반(G) 위에 덤핑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건식 포장재료(S1)를 포설함에 있어서는 도 1의 (b) 및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식 포장재료를 트럭(2)으로 운반하여 지반(G) 위에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에서 준비된 건식 포장재료(S1)는 건식으로서 시험결과 슬럼프치가 0~2cm이었으며, 유동성이 매우 작기 때문에 황토레미콘으로서 사용할 수 없었다.
상기 지반(G)은 미리 정지해둔다. 상기 지반(G)을 정지하는 과정에서는 물을 뿌리지 않고 건식으로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건식 포장재료(S1)는 슬럼프치가 0~2cm이므로 상기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S102)에서는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하거나 경계석에 의해 틀을 구축할 필요 없이 지반(G) 위에 그대로 포설할 수 있어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1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고름 단계(S103)에서는 포설된 건식 포장재료(S1)를 평탄하게 고르는 것에 의하여 1차 면고름층(11)을 형성한다.
상기 건식 포장재료를 평탄하게 고름에 있어서는 도 1의 (c) 및 도 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래(3) 등을 사용하여 평탄하게 고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공 후 우수 등의 물이 포장 표면에 고이지 않고 가장자리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물구배를 맞춘다.
[1차 면다짐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S104)에서는 상기 1차 면고름층(11)을 다짐으로써 1차 면다짐층(1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1차 면고름층(11)을 다짐에 있어서는 도 1의 (d) 및 도 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1차 면다짐층(12)의 다짐 밀도가 전면적으로 균등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롤러(4)를 사용하여 면다짐하는 과정에서 1차 면고름층(11)에 가해지는 롤러(4)의 전압이 전면적으로 균등하게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롤러(4)를 사용한 면다짐 작업자가 1차 면고름층(11)을 전면적으로 균등하게 면다짐을 하였다고 생각하더라도 실질적으로 1차 면고름층(11)의 전면에 걸쳐서 건식 포장재료(S1)의 밀도가 균등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는 점이다.
둘째, 이러한 1차 면다짐층(12)의 다짐 밀도를 롤러(4)를 사용한 면다짐 작업자나 시공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1차 면다짐층(12)을 파헤치는 이유는 균일한 다짐 밀도로 다져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12)을 그대로 양생하여 포장을 완료할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짐 밀도가 낮은 부분에서 표면 패임 현상(함몰 또는 침하 현상)이 발생하는 등 시공 하자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에서는 1차 면다짐층(12)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단계들을 포함한다.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
상기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S105)에서는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12)을 파헤친다.
상기 1차 면다짐층(12)을 파헤치는 작업은 도 1의 (e) 및 도 2의 (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 작업기(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규모 포장의 경우에는 갈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1차 면다짐층(12) 중 하부의 파헤쳐지지 않은 층(12a) 위에 파헤침층(13)이 형성된다.
상기 파헤쳐지지 않은 층(12a)과 파헤침층(13)을 합친 두께는 상기 1차 면다짐층(12)의 두께보다 두껍게 된다.
이는 파헤침층(13)의 포장재료 밀도가 1차 면다짐층(12)의 밀도보다 작기 때문이다.
상기 파헤침층(13)은 상기 1차 면다짐층(12)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1차 면다짐층(12)의 두께의 40~60% 범위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에서는 상기 1차 면다짐층(12)의 표면으로부터 40~60%의 상층 부분을 파헤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1차 면다짐층(12)의 두께가 10cm일 경우 상기 파헤침층(13)의 두께는 4~6cm로 하고, 상기 1차 면다짐층(12)의 두께가 15cm일 때 상기 파헤침층(13)의 두께는 6~9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에 따른 실험포장을 하고 분석해 본 결과, 상기 1차 면다짐층(12)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1차 면다짐층(12)의 두께의 40~60% 범위에서 다짐 밀도의 불균등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그 하층 부분에서는 다짐 밀도가 균등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는 다짐 밀도가 불균등한 부분을 파헤쳐서 재차 면고름 및 면다짐하기 위한 전 단계에 해당하는 것이다.
[2차 면고름 단계]
상기 2차 면고름 단계(S106)에서는 상기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에서 파헤쳐져 형성된 파헤침층(13)의 표면을 평탄하게 고르는 것에 의하여 2차 면고름층(14)이 형성된다.
상기 파헤침층(13)을 평탄하게 함에 있어서는 도 1의 (f) 및 도 2의 (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래(3)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시공 후 우수 등의 물이 포장 표면에 고이지 않고 가장자리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시 한 번 물구배를 맞춘다.
[2차 면다짐 단계]
상기 2차 면다짐 단계(S107)에서는 상기 2차 면고름 단계에서 형성된 2차 면고름층(14)을 다짐으로써 평활한 표면을 가지는 2차 면다짐층(16)을 형성한다.
상기 2차 면고름층(14)을 다짐에 있어서는 도 1의 (g) 및 도 2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4)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1차 면다짐층(12) 중 파헤쳐지지 않은 층(12a)과 상기 2차 면다짐층(16)을 실질적으로 하나의 층을 형성하게 된다.
[표면 및 사면 정리 단계]
상기 표면 및 사면 정리 단계(S108)에서는 2차 면다짐층(16)의 표면과 1차 면다짐층(12) 중 파헤쳐지지 않은 층(12a) 및 2차 면다짐층(16)의 양측 가장자리 사면을 마무리한다.
상기 2차 면다짐층(16)의 표면과 파헤쳐지지 않은 층(12a) 및 2차 면다짐층(16)의 양측 가장자리 사면을 마무리함에 있어서는 도 1의 (h) 및 도 1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흙손(6)을 이용하여 마무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생 단계]
상기 양생 단계(S109)에서는 파헤쳐지지 않은 면다짐층(12a)과 상기 2차 면다짐층(16)을 습윤상태로 유지하여 양생시킨다.
파헤쳐지지 않은 면다짐층(12a)과 상기 2차 면다짐층(16)을 습윤상태로 유지하면서 양생함에 있어서는 도 1의 (i) 및 도 2의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20)로 덮어 습윤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생기간은 약 7일 내외로 하며, 양생이 완료되면 비닐(20)을 걷어낸다.
한편,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12a)과 상기 2차 면다짐층(16)의 양생이 완료된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헤쳐지지 않은 면다짐층(12a)과 상기 2차 면다짐층(16)을 일정 간격으로 커팅하여 모눈(17)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눈을 형성하는 단계는 시공 완료된 포장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황토 포장 방법은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건식 포장재료(S1)(S2)를 준비하는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S201); 도 5의 (b) 및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건식 포장재료(S1)를 포설하는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S202); 도 5의 (c) 및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1차 면고름층(11)을 형성하는 1차 면고름 단계(S203); 도 5의 (d) 및 도 6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1차 면다짐층(12)를 형성하는 1차 면다짐 단계(S204); 파헤침층(13)을 형성하는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S205); 2차 면고름층(14)를 형성하는 2차 면고름 단계(S206); 건식 포장재료(S2)를 포설하는 건식 포장재료 추가 포설 단계(S207); 3차 면고름층(15)를 형성하는 3차 면고름 단계(S208); 2차 면다짐층(16)을 형성하는 2차 면다짐 단계(S209); 표면 및 사면 정리 단계(S210); 및 양생 단계(S211);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S201),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S202), 1차 면고름 단계(S203), 1차 면다짐 단계(S204),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S205) 및 2차 면고름 단계(S206)는 상술한 제 1 실시 예의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S101),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S102), 1차 면고름 단계(S103), 1차 면다짐 단계(S104),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S105) 및 2차 면고름 단계(S106)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면, 상기 건식 포장재료 준비단계(S201)에서는 건식 포장재료(S1)(S2)를 모두 준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2차 면고름 단계(S206)를 거친 다음, 1차 면다짐층(12)의 두께와 2차 면고름층(14)의 두께를 감안하여 판단하였을 때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같이 2차 면다짐 단계(S209)와 표면 및 사면 정리 단계(S210) 및 양생 단계(S211)를 거쳐 건식 황토 포장이 시공을 완료하였을 경우 최종 포장 두께가 설계치의 두께보다 얇을 것으로 판단될 경우 건식 포장재료(S2)를 추가 포설하는 건식 포장재료 추가 포설 단계(S207), 3차 면고름 단계(S208)를 거쳐 2차 면다짐 단계(S209)와 표면 및 사면 정리 단계(S210) 및 양생 단계(S211)를 거침으로써 건식 황토 포장을 완료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건식 포장재료 추가 포설 단계(S207)에서는 상기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S201)에서와 마찬가지로 트럭(2)을 사용하여 포설할 수도 있으나, 2차 면고름층(14) 위에 트럭(2)이 올라갈 경우 2차 면고름층(14)이 눌려서 평탄하지 않게 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삽을 이용하여 포설하거나 도 5의 (g) 및 도 6의 (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7)를 사용하여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식 포장재료 추가 포설 단계(S207)에서 건식 포장재료의 추가 포설량은 3차 면고름 단계(S208)와 2차 면다짐 단계(S209)를 거쳐 완성된 최종 포장의 두께가 설계치의 두께와 일치될 수 있는 양으로 한다.
상기 3차 면고름 단계(S208)에서는 도 5의 (h) 및 도 6의 (h)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래(3)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면다짐 단계(S209)에서는 도 5의 (i) 및 도 6의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및 사면 정리 단계(S210)에서는 도 5의 (j) 및 도 6의 (j)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흙손(6)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래 표 1은 건식 포장재료의 마사토 100중량부에 대한 고화제와 물의 혼합비 별로 실험한 결과를 보인 것이다.
혼합비 별 강도 및 투수성 실험결과
실험예 고화제(중량부)/
마사토(100중량부)
물(중량부)/
마사토(100중량부)
강도 상태 판정
실험예 1 30 20 강함 투수성 없음 불합격
실험예 2 12 20 약함 풀어짐 불합격
실험예 3 13 8 강함 투수성 양호 합격
실험예 4 10 6 중간 투수성 양호 합격
실험예 5 7 5 약함 투수성 양호 합격
실험예 6 6 4 약함 투수성 양호 합격
아래 표 2는 건식 포장재료의 마사토 100중량부에 대한 고화제와 물의 혼합비 별로 압축강도(양생후 20일 경과시)와 투수계수 및 크랙발생 여부를 실험한 결과를 보인 것이다.
혼합비 별 투수계수 및 크랙발생 여부 실험결과
실험예 압축강도
(kgf/cm2)
투수계수
(cm/sec)
표면마모도 크랙현상 판정
실험예 1 212 4.50ㅧ10-7 크랙 발생 불합격
실험예 2 139 6.60ㅧ10-2 크랙 발생 불합격
실험예 3 131 4.62ㅧ10-6 크랙 없음 합격
실험예 4 190 4.62ㅧ10-4 크랙 없음 합격
실험예 5 168 6.50ㅧ10-3 크랙 없음 합격
실험예 6 135 6.46ㅧ10-2 크랙 발생 불합격
한편,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 예의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에서는 마사토를 주재료로 하여 고화제 및 물과 함께 볏짚을 혼합할 수 있다.
볏짚은 마사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3~5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식 포장재료(11)에 볏짚을 혼합할 경우 볏짚에 서생하고 있는 고초균(枯草菌)이 시공된 포장 내에서 서생하게 된다.
볏짚에 서생하는 고초균은 간균과(杆菌科)의 하나이며 호기성 세균으로서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 아니고, 고온에서도 살아가는 균으로서 유기물이 부패하기 쉬운 하절기에도 왕성하게 번식하면서 유기물을 분해하고 각종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포장이 위생적으로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토양오염과 지하수의 수질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건식 포장재료(11)에 혼합된 볏짚은 시공된 황토 포장의 표면에서 드문드문 노출되어 거칠어 보이지만 자연적으로 조성된 황토길과 같은 외관을 표출하게 되어 보다 자연스러운 황토 포장을 시공할 수 있게 한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상기 볏짚을 마사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3중량부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에는 고초균에 의한 유해물질 분해 효과가 낮았으며, 볏짚을 마사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5중량부보다 더 혼합할 경우에는 고초균에 의한 유해물질 분해 효과는 우수하나 시공된 포장의 표면이 지나치게 거칠고 표면마모도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건식 황토 포장 방법에 의해 시공된 건식 황토 포장에서 채취한 시료와 종래의 습식 황토 포장 방법에 의해 시공된 습식 황토 포장에서 채취한 시료를 비교하여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황토 포장은 도 8의 시료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안으로 보아도 흡수 및 투수 공극이 다수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건식 황토 포장은 도 9의 시료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안으로 보아도 흡수 및 투수 공극이 다수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볏짚이 표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습식 황토 포장 방법에 의해 시공된 습식 황토 포장은 도 10의 시료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육안으로 보아도 표면이 매끄럽고 흡수 및 투수 공극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식 황토 포장 방법에 의해 시공된 건식 황토 포장은 자연적으로 조성된 황토길과 같은 느낌을 주는 반면 종래의 습식 황토 포장 방법에 의해 시공된 습식 황토 포장은 인위적으로 조성된 것 같은 느낌을 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식 황토 포장 방법에 의해 시공된 건식 황토 포장은 외관상 다소 거칠어 보이나 시공 후 20일 후 131~190kgf/cm2의 압축강도를 나타냈으며, 그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압축강도는 서서히 상승하여 280kgf/cm2까지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습식 황토 포장 방법에 의해 시공된 습식 황토 포장은 시공 후 20일 후 212kgf/cm2의 압축강도를 보였으며, 그 후 압축강도가 더 이상의 상승하지는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식 황토 포장 방법에 의해 시공된 건식 황토 포장은 시공 후의 압축강도가 종래의 습식 황토 포장 방법에 의해 시공된 습식 황토 포장의 시공 후의 압축강도에 비해 낮게 나타나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승하여 습식 황토 포장보다 강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고유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S1, S2 : 포장재료 11 : 1차 면고름층
12 : 1차 면다짐층 12a :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
13 : 파헤침층 14 : 2차 면고름층
15 : 3차 면고름층 16 : 2차 면다짐층

Claims (12)

  1. 마사토를 주재료로 하여 고화제 및 물을 혼합하여 건식 포장재료(S1)(S2)를 준비하는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
    상기 건식 포장재료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건식 포장재료(S1)를 미리 정지된 지반(G) 위에 포설하는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
    상기 건식 포장재료 포설 단계에서 포설된 건식 포장재료(S1)를 펼쳐서 평탄하게 하여 1차 면고름층(11)을 형성하는 1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고름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고름층(11)을 롤러(4)로 다져서 1차 면다짐층(12)을 형성하는 1차 면다짐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12)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1차 면다짐층(12)의 상부 일부를 파헤쳐서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12a) 위에 파헤침층(13)을 형성하는 1차 면다짐층 파헤침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12)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파헤침층(13)을 평탄하게 하여 2차 면고름층(14)을 형성하는 2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12)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2차 면고름층(14) 위에 건식 포장재료(S2)를 건식 포장재료 추가 포설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12)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추가 포설된 건식 포장재료(S2)를 평탄하게 하여 3차 면고름층(15)을 형성하는 3차 면고름 단계;
    상기 1차 면다짐 단계에서 형성된 1차 면다짐층(12)의 다짐 밀도를 균등하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상기 3차 면고름층(15)을 롤러(4)로 다져서 2차 면다짐층(16)을 형성하는 2차 면다짐 단계;
    상기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12a)과 상기 2차 면다짐층(16)을 비닐(20)로 덮어 양생하는 양생 단계;를 포함하는 건식 황토 포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포장재료 준비단계에서 준비되는 상기 건식 포장재료는
    마사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화제 8~13중량부, 물 5~8중량부를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황토 포장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포장재료 준비 단계에서 준비되는 상기 건식 포장재료는,
    마사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화제 8~13중량부, 볏짚 3~5중량부 및 물 5~8중량부를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황토 포장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화제로서는,
    생석회나 염화칼슘, 황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염화칼륨, 황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철, 산화철의 금속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제강 슬래그를 혼합한 수용성 고화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황토 포장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포장재료(S1)(S2)는,
    마사토 100중량부에 대하여 0.2~0.5중량부의 안료가 혼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황토 포장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헤침층(13)은 상기 1차 면다짐층(12)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1차 면다짐층(12)의 두께의 40~60% 범위에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황토 포장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포장재료 추가 포설 단계에서의 건식 포장재료의 추가 포설량은 3차 면고름 단계와 거쳐 2차 면다짐 단계를 거쳐 완성된 최종 포장의 두께가 설계치의 두께와 일치될 수 있는 양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황토 포장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면다짐층(16)의 표면과 파헤쳐지지 않은 1차 면다짐층(12a)과 상기 2차 면다짐층(16)의 사면을 마무리하는 표면 및 사면 정리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황토 포장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20100112931A 2010-05-04 2010-11-12 건식 황토 포장 방법 KR101039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42160 2010-05-04
KR1020100042160 2010-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9842B1 true KR101039842B1 (ko) 2011-06-09

Family

ID=4440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112931A KR101039842B1 (ko) 2010-05-04 2010-11-12 건식 황토 포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98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548B1 (ko) 2012-03-21 2012-07-10 에코텍 주식회사 생분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흙 포장 조성물 및 투수성 흙 포장 방법
KR101335835B1 (ko) * 2013-06-25 2013-12-03 박상규 단위포장된 흙포장용 혼합경화마사토 및 흙포장 시공방법
KR102102864B1 (ko) * 2018-10-31 2020-04-22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성능 친환경 경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흙 포장 콘크리트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598A (ko) * 1997-07-18 1999-02-18 정성조 도로포장방법
KR100918102B1 (ko) * 2008-11-17 2009-09-22 주식회사 세룡에치앤에치 흙포장용 고화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 포장공법
KR100918364B1 (ko) * 2009-02-09 2009-09-22 (주)서우 황토 레미콘을 이용한 경하중 및 자전거 겸용 도로의 시공 방법
KR20100122813A (ko) * 2009-05-13 2010-11-23 이주형 에코바이크로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0598A (ko) * 1997-07-18 1999-02-18 정성조 도로포장방법
KR100918102B1 (ko) * 2008-11-17 2009-09-22 주식회사 세룡에치앤에치 흙포장용 고화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흙 포장공법
KR100918364B1 (ko) * 2009-02-09 2009-09-22 (주)서우 황토 레미콘을 이용한 경하중 및 자전거 겸용 도로의 시공 방법
KR20100122813A (ko) * 2009-05-13 2010-11-23 이주형 에코바이크로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4548B1 (ko) 2012-03-21 2012-07-10 에코텍 주식회사 생분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흙 포장 조성물 및 투수성 흙 포장 방법
KR101335835B1 (ko) * 2013-06-25 2013-12-03 박상규 단위포장된 흙포장용 혼합경화마사토 및 흙포장 시공방법
KR102102864B1 (ko) * 2018-10-31 2020-04-22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성능 친환경 경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흙 포장 콘크리트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989B1 (ko) 포장체, 포장체의 시공 방법 및 콘크리트용 형틀
CN104878678A (zh) 一种透水及保水的透水路面结构施工方法
AM et al. Development of high quality pervious concrete specifications for Maryland conditions.
US20200102740A1 (en) Layered architectural pervious concrete
JP6203157B2 (ja) 透水性舗装構造
KR101039842B1 (ko) 건식 황토 포장 방법
KR101528674B1 (ko) 폐석산 또는 대사면을 활용한 단계별 성토층에 의한 폐기물 매립방법
CN213772779U (zh) 一种透水混凝土路面结构
JP4699081B2 (ja) 保水性舗装およびその舗設方法
CN207793792U (zh) 一种路面透水铺装结构
KR20120133498A (ko) 건식 황토 포장 방법
JP4030574B1 (ja) 土系舗装材
JP3754693B2 (ja) 保水性舗装構造
JP3050793B2 (ja) 舗装用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舗装用ブロック
JPH08231283A (ja) 透水性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91826B2 (ja) 床面又は路面の舗装構造
KR100243567B1 (ko) 투수성 보도포장방법
JP2007231565A (ja) 透水性防草舗装方法
JP7191445B2 (ja) インターロッキングブロック舗装
KR20120103234A (ko) 우드 칩을 이용한 보도 및 그 포장 방법
JP6361946B1 (ja) 液体キレート剤、防草舗装材、防草舗装施工方法
JP2001146703A (ja) 透水性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629364A (zh) 一种园林铺装路面防泛碱方法
JP3638935B2 (ja) 保水性舗装構造
JP3052069B2 (ja) 廃棄物最終処分場等のしゃ水層構造とその施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