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9303B1 - 수중 슈트용 소재 및 그것을 사용한 수중 슈트 - Google Patents

수중 슈트용 소재 및 그것을 사용한 수중 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9303B1
KR101039303B1 KR1020087000559A KR20087000559A KR101039303B1 KR 101039303 B1 KR101039303 B1 KR 101039303B1 KR 1020087000559 A KR1020087000559 A KR 1020087000559A KR 20087000559 A KR20087000559 A KR 20087000559A KR 101039303 B1 KR101039303 B1 KR 101039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foam
layer
foam layer
underwater
s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1126A (ko
Inventor
토미조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토미조 야마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미조 야마모토 filed Critical 토미조 야마모토
Publication of KR20080051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9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9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04Resilient sui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06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 A41D31/065Thermally protective, e.g. insulating using layer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04Resilient suits
    • B63C2011/046Wet suits, or diving vests; Equipment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발포체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한면에 복수의 오목부(1)가 형성된 탄성 발포체층(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슈트용 소재이다.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개구가 신체측에 면하도록 해서 웨트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1) 내에 물이 고이므로 신체와 슈트 사이에 물의 막이 형성되기 쉽다. 또한, 오목부(1)는 탄성 발포체층(2)을 관통하고 있지 않으므로 따뜻해진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움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찬 물도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온 효과가 높은 것으로 된다. 또한, 드라이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1) 내에 공기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보온 효과 및 부력이 높다.
슈트

Description

수중 슈트용 소재 및 그것을 사용한 수중 슈트{MATERIAL FOR UNDERWATER SUIT AND UNDERWATER SUIT MAKING USE OF THE SAME}
본 발명은 수중 슈트용 소재 및 그것을 사용한 수중 슈트에 관한 것이다.
수중 슈트로서는 웨트 슈트와 드라이 슈트가 있고, 각각에 대해서 다이빙용 슈트, 서핑용 슈트, 트라이애슬론용 슈트가 있다. 웨트 슈트는 슈트 내에 물을 넣어 사용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얻는 것이다. 즉, 신체와 웨트 슈트 사이에 물이 고이고, 그 물이 체온에 의해 따뜻해짐으로써 보온 효과를 발휘한다. 반대로 드라이 슈트는 슈트 내에 해수를 침입시키지 않는 구조로 해서 슈트 내를 건조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얻는 것이다.
이들 수중 슈트의 소재로서는 일반적으로 천연 또는 합성 고무 등의 탄성 발포체의 표면에 저지(jersey)포 등의 신축성 포백을 점착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발포성 고무 재료의 표리면에 신축성을 갖는 직편물이 점착된 옷감 재료로 구성되고, 침수에 의해 상기 옷감 재료와 착용자의 신체와의 간극에 물이 습윤되어 이루어지는 웨트 슈트에 있어서, 발포성 고무 재료의 일부분 또는 전체 부분에 구멍부가 형성된 웨트 슈트가 개시되어 있다.
발포성 고무 재료에 형성된 구멍부에 의해 통기성이 좋기 때문에 웨트 슈트 를 착용한 상태로 육상에서 운동하는 트라이애슬론 등의 경기의 경우에 착용자에게 무더움이나 더러움 등의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수중으로부터 지상으로 이동했을 때에 침수에 의해 웨트 슈트 내부에 침윤된 물이 공기와 함께 순시에 외부로 배출되므로 운동성에 지장을 미치는 일 없이 바람직하게 착용할 수 있다고 한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평6-312692호 공보(청구항1, 단락 0017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1에 기재된 웨트 슈트는 발포성 고무 재료에 형성된 구멍부가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육상에 있어서 통기성이 좋다는 이점은 있지만 수중에 있어서는 슈트 내에서 모처럼 따뜻해진 물이 구멍부를 통해서 슈트 외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외부의 찬 물이 구멍부를 통해서 슈트 내에 유입되어 버린다. 따라서 보온 효과가 낮다.
또한, 특허문헌1에 기재된 웨트 슈트는 발포성 고무 재료에 의해 보온성 및 부력을 가지게 하고 있지만 발포성 고무 재료에 의해 유지할 수 있는 공기는 소량이기 때문에 그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 구멍부 내에 공기가 존재했다고 해도 상술한 바와 같이 구멍부가 발포성 고무 재료를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출되어버려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충분한 보온성 및 부력을 가지게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해서 보온 효과 및 부력이 높은 수중 슈트용 소재 및 그것을 사용한 수중 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한면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된 탄성 발포체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슈트용 소재이다. 탄성 발포체층의 오목부가 신체측으로 개구하도록 해서 웨트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 내에 물이 고이므로 다량의 물을 유지할 수 있고, 신체와 슈트 사이에 물의 막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또한, 오목부는 탄성 발포체층을 관통하고 있지 않으므로 따뜻해진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움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찬 물도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온 효과가 높은 것으로 된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의 오목부가 신체측으로 개구하도록 해서 드라이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 내에 다량의 공기를 모아둘 수 있다. 그 공기는 오목부가 관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오목부 내에 모인 공기와, 탄성 발포체가 갖는 기포의 상승 효과에 의해 충분한 보온성 및 부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을 갖는 수중 슈트용 소재」란, 탄성 발포체층으로만 이루어지는 단층 소재와, 탄성 발포체층에 다른 층을 적층한 적층 소재의 양쪽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오목부는 탄성 발포체층의 양면에 형성해도 좋다.
오목부의 개구의 크기로서는 예를 들면, 직경 2~6㎜, 바람직하게는 직경 4㎜이다. 또한, 오목부의 깊이로서는 예를 들면, 0.5~5㎜, 바람직하게는 1~4㎜이다. 상기 범위 외이면 양호한 보온 효과 및 부력을 얻을 수 없다.
탄성 발포체층에는 다른 층을 적층시켜도 좋고,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이하, 오목부 비형성면이라고 함)에 적층시켜도 좋고, 오목부 형성면에 적층해도 좋다. 다른 층으로서는 탄성 발포체, 저지포 등의 신축성 포백이나 코팅제에 의한 층이나 금속박 등의 코팅층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목부 형성면에 다른 층을 적층시키는 경우에는 다른 층에 의해 오목부 개구부를 폐색하게 되므로 오목부 내에 공기를 유지시켜 수중 슈트의 보온성 및 부력을 높이고 싶은 경우에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발포체층의 오목부 형성면에 비통기성 및 비투수성을 갖는 폐색층을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적층하여 오목부 개구부를 폐색한다. 이 때, 오목부 내부의 전체가 폐색층이나 다른 층으로 메워지지 않도록 한다. 오목부는 탄성 발포체층을 관통하고 있지 않음과 아울러, 그 개구가 비통기성 및 비투수성을 갖는 폐색층에 의해 폐색되어 있으므로 공기가 오목부 외부로 누설되기 어렵고, 또한, 물이 오목부 내에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오목부 내에 공기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부력을 지니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중시에 부력이 필요한 트라이애슬론용 슈트에 바람직하다.
폐색층의 소재는 비통기성 및 비투수성을 갖는 소재이면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독립 기포를 갖는 탄성 발포체가 바람직하다. 탄성 발포체이면 내부에 함유하고 있는 기포에 의해 보온성 및 부력을 보강할 수 있다.
또한, 폐색층은 탄성 발포체층에 직접 적층해도 좋고, 그 사이에 다른 층을 개재시켜 적층해도 좋다. 즉, 폐색층은 탄성 발포체층의 오목부 개구부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폐색할 수 있으면 좋다. 다른 층으로서는 저지포 등의 신축성 포백이나 코팅제에 의한 층이나 금속박 등의 코팅층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발포체층 및 폐색층을 구성하는 탄성 발포체로서는 네오프렌 고무(등록상표, 이하 생략)가 바람직하지만 기타 천연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틸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등의 합성 고무, 합성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탄성 발포체층의 적어도 한면에 중공형상의 마이크로캡슐 또는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탄성 발포체층 및/또는 폐색층을 갖는 적층체인 경우에는 적층체의 적어도 한쪽의 표면 또는 적층체의 임의의 층 사이에 중공형상의 마이크로캡슐 또는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존재시켜도 좋다. 코팅층이나 마이크로캡슐 또는 나노캡슐의 소재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팅층에 중공형상의 마이크로캡슐 또는 나노캡슐을 함유시킴으로써 기포를 함유하게 되기 때문에 보온성 및 부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수중 슈트용 소재는 여러가지의 수중 슈트에 적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웨트 슈트, 세미드라이 슈트, 드라이 슈트에 적용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빙용, 서핑용, 트라이애슬론용에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발포체층의 오목부가 신체측으로 개구하도록 해서 웨트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 내에 물이 고이기 때문에 다량의 물을 유지할 수 있고, 신체와 슈트 사이에 물의 막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또한, 오목부가 탄성 발포체층을 관통하고 있지 않으므로 따뜻해진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움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찬 물도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온 효과가 높은 수중 슈트로 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의 오목부가 신체측으로 개구하도록 해서 드라이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 내에 다량의 공기가 모이고, 그 공기는 오목부가 관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오목부 내에 모인 공기와, 탄성 발포체가 갖는 기포의 상승 효과에 의해 충분한 보온성 및 부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의 오목부 형성면에 폐색층을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적층해서 오목부 개구부를 폐색하면 공기가 오목부 외부로 누설되기 어렵고, 또한, 물이 오목부 내에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웨트 슈트, 드라이 슈트 중 어느 것에 사용해도 오목부 내에 공기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부력을 지니게 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수중 슈트를 구성하는 소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소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의 수중 슈트를 구성하는 소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다이빙용 웨트 슈트에 사용하는 소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서핑용 웨트 슈트에 사용하는 소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트라이애슬론용 웨트 슈트에 사용하는 소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오목부 2: 탄성 발포체층
3: 신축성 포백 4: 코팅층
5: 폐색층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수중 슈트를 구성하는 소재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수중 슈트를 구성하는 소재는 한쪽의 면에 복수의 오목부(1)가 형성된 탄성 발포체층(2)과,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비형성면에 적층된 신축성 포백(3)과,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형성면에 형성된 코팅층(4)으로 구성된다. 탄성 발포체층(2)과 신축성 포백(3)의 적층은 적당히 임의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지만 그 밖의 수단에 의해 고정해도 좋다. 또한, 코팅층(4)의 적층은 코팅층(4) 자체가 점착력 등의 접착력을 갖는 경우에는 그 접착력에 의해 적층시키면 좋다. 이렇게 형성된 수중 슈트용 소재를 오목부 형성면이 신체측에 면하도록 배치하고, 신체를 따르도록 입체적으로 봉제 등을 실시함으로써 수중 슈트가 형성된다.
탄성 발포체층(2)은 독립 기포를 갖는 탄성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그 탄성 발포체로서는 네오프렌 고무가 사용되지만 그 밖의 천연 또는 합성 고무, 합성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탄성 발포체층(2)의 두께는 약 1~10㎜, 바람직하게는 1~8㎜, 더욱 바람직하게는 4~5㎜로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발포체층(2)의 한면에는 복수의 원형의 단면을 갖는 오목부(1)가 형성된다. 오목부(1)는 개구 직경 3㎜, 깊이 1㎜로 되고, 인접하는 오목부 둘레 가장자리의 최단 거리는 약 4㎜로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목부(1)는 2~3개/㎠ 형성하면 충분한 보온성, 부력을 갖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오목부(1)는 탄성 발포체층(2)의 한면 상에 종횡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2)은 일체적으로 형성해도 좋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형상의 탄성 발포체(2a)에 다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탄성 발포체(2b)를 적층시켜서 형성해도 좋다. 관통 구멍과 판형상의 탄성 발포체(2a)로 둘러싸인 부분이 오목부(1)로 된다.
신축성 포백(3)으로서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제의 저지포가 사용되지만 그 밖에 통기성이 좋은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를 사용한 직물 또는 편물을 사용해도 좋다. 저지포(3)는 그 신축성에 의해 신체의 움직임에 추종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신축성 포백(3)의 두께는 0.2~1.5㎜, 바람직하게는 약 0.5㎜로 된다.
코팅층(4)은 중공형상의 나노캡슐 또는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다. 나노캡슐 또는 마이크로캡슐이 포함하는 공기에 의해 코팅층(4)은 기포를 함유하게 되어 보온 효과 및 부력이 향상된다.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형성면에 피복되는 코팅층(4)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 이외의 부분에만 적층시켜도 좋고, 오목부(1)가 전부 메워지지 않도록 오목부(1) 내면을 따라 코팅해도 좋다.
나노캡슐 또는 마이크로캡슐은 셸 내에 심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중공형상의 캡슐이며, 그 셸 벽의 소재로서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지만 그 밖에 폴리아미드,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산 메틸 및 염화 비닐리덴 수지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열가소성 물질 또는 이들을 혼합한 열가소성 물질로 구성해도 좋다. 나노캡슐 또는 마이크로캡슐의 배합량으로서는 코팅층에 대해서 1~10중량%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층(4)으로서는 코팅제에 의한 층이나 금속박을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나노캡슐 또는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할 수 있으면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코팅제로서는 예를 들면, 우레탄 수지계, 불소 수지계, 올레핀 수지계, 실리콘 수지계 등의 코팅제를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코팅층(4)을 수중 슈트 옷감의 표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친수성 및 소수성(疎水性)을 갖는 양친매성의 코팅제가 바람직하다. 그러한 것으로서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코팅제를 예시할 수 있다. 공기중에서는 물을 튀기고, 수중에서는 물에 융합되어 유수 저항을 저하시킬 수 있는 수중 슈트로 할 수 있다.
또한, 금속박은 금속 소재를 필름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 금속박을 접착제 등으로 다른 층에 점착해서 사용하면 좋다. 필름형상의 금속박은 두께 약 70미크론의 매우 얇은 필름이며, 효과적인 단열성, 보온성을 발휘한다. 착용자는 히트 로스(heat loss)에 의한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박의 소재로서는 티탄이 바람직하지만 그 밖에 금, 은, 알루미늄, 납 등을 사용해도 좋다. 이들 소재의 금속박의 표면에 나노캡슐 또는 마이크로캡슐이 도트형상으로 배치되도록 코팅제를 사용해서 코팅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형성면을 신체측에 면하도록 해서 수중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1) 내에 물이 고이므로 다량의 물을 유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신체와 슈트 사이에 물의 막이 형성되기 쉽다. 또한, 오목부(1)는 탄성 발포체층(2)을 관통하고 있지 않으므로 따뜻해진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움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찬 물도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온 효과가 높은 것으로 된다.
또한, 드라이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1) 내에 다량의 공기를 모을 수 있다. 오목부(1)가 관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오목부(1)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오목부(1) 내에 모인 공기와, 탄성 발포체층(2)이 갖는 독립 기포의 상승 효과에 의해 충분한 보온성 및 부력을 발휘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3은 제 2 실시형태의 수중 슈트를 구성하는 소재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형성측의 면에 탄성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폐색층(5)을 적층하여 오목부(1)의 개구를 폐색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그 밖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탄성 발포체층(2)과 폐색층(5)의 적층은 적당히 임의의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지만 그 밖의 수단에 의해 고정해도 좋다.
상세하게는 제 2 실시형태의 수중 슈트를 구성하는 소재는 한면에 복수의 오목부(1)가 형성된 탄성 발포체층(2)과,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비형성면에 적층된 신축성 포백(3)과,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형성면에 적층된 폐색층(5)과, 폐색층(5)의 표면에 적층된 코팅층(4)으로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팅층(4)측이 신체측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2)을 반전시켜서 폐색층(5)을 외측 방향으로 위치시켜도 좋다. 즉, 신체측으로부터 코팅층(4), 탄성 발포체층(2),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형성면에 적층된 폐색층(5), 신축성 포백(3)의 순으로 적층해도 좋다. 이렇게 형성된 수중 슈트용 소재를 인체를 따르도록 입체적으로 봉제 등을 실시함으로써 수중 슈트가 형성된다.
폐색층(5)은 판형상의 탄성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탄성 발포체로서는 탄성 발포체층(2)과 마찬가지로 네오프렌 고무가 사용되지만 그 밖의 천연 또는 합성 고무, 합성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탄성 발포체는 독립 기포를 갖는다. 폐색층(5)의 두께는 약 1~10㎜, 바람직하게는 약 4~5㎜로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발포체층(2)에 형성된 오목부(1)의 개구가 폐색층(5)에 의해 폐색되기 때문에 오목부(1) 내에 공기를 매설할 수 있다. 오목부(1) 내의 공기는 누설되기 어렵다. 따라서 수중 슈트에 안정적인 보온성 및 부력을 지니게 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는 부력이 필요한 트라이애슬론용 슈트에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
도 4는 다이빙용 웨트 슈트에 사용하는 소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재는 신체측으로부터 코팅 층(4a), 탄성 발포체층(2),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비형성면에 적층된 코팅층(4b), 판형상의 제 2 탄성 발포체층(6), 코팅층(4b), 저지포(3)의 순으로 적층된다. 탄성 발포체층(2)의 두께는 5㎜, 제 2 탄성 발포체층(6)의 두께는 5㎜, 저지포(3)의 두께는 0.5㎜로 된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2)의 두께는 1~10㎜, 제 2 탄성 발포체층(6)의 두께는 1~10㎜, 저지포(3)의 두께는 0.2~1.5㎜의 범위에서 변경해도 좋다.
제 2 탄성 발포체층(6)은 독립 기포를 갖는 탄성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그 탄성 발포체로서는 네오프렌 고무가 사용되지만 그 밖의 천연 또는 합성 고무, 합성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코팅층(4)은 나노캡슐을 함유한다. 나노캡슐로서는 노무라보에키사제의 NC948을 사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형성면측의 코팅층(4a)에는 양친매성의 코팅제가 사용된다. 양친매성의 코팅제는 폴리우레탄계 폴리머 13중량부, 폴리4불화 에틸렌 미분말 7중량부, 실리콘 오일 2중량부 및 황산 도데실나트륨 2중량부를 이하의 용제, 아세톤 2중량부, 메틸이소부틸렌케톤(MIBK) 3중량부, 톨루엔 55중량부, 초산 부틸 5중량부, 디아세톤알코올 11중량부에 균일하게 혼합한 것이다. 또한, 폴리우레탄계 폴리머는 8~18중량부, 폴리4불화 에틸렌 미분말은 2~12중량부, 실리콘 오일은 1~7중량부 및 황산 도데실나트륨은 1~7중량부, 아세톤은 1~7중량부, 메틸이소부틸렌케톤(MIBK)은 1~8중량부, 톨루엔은 50~60중량부, 초산 부틸은 1~10중량부, 디아세톤알코올은 6~16중량부 사이에서 변경해도 좋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2)과 제 2 탄성 발포체층(6) 사이 및 제 2 탄성 발포체층(6)과 저지포(3) 사이의 코팅층(4b)에는 각각 티탄의 금속박이 사용된다.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형성면이 신체측에 면하도록 해서 웨트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1) 내에 물이 고이므로 신체와 슈트 사이에 물의 막이 형성되기 쉽다. 또한, 오목부(1)는 탄성 발포체층(2)을 관통하고 있지 않으므로 따뜻해진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움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찬 물도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온 효과가 높은 것으로 된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형성면이 신체측에 면하도록 해서 드라이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1) 내에 다량의 공기를 모을 수 있다. 오목부(1)가 관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오목부(1) 내에 모인 공기와, 탄성 발포체층(2)이 갖는 독립 기포의 상승 효과에 의해 충분한 보온성 및 부력을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2>
도 5는 서핑용 웨트 슈트에 사용하는 소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재는 신체측으로부터 코팅층(4a), 탄성 발포체층(2),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비형성면에 적층된 코팅층(4b), 저지포(3), 코팅층(4b), 판형상의 제 2 탄성 발포체층(6), 코팅층(4a)의 순으로 적층된다. 저지포(3)는 탄성 발포체층(2)과 제 2 탄성 발포체층(6) 사이에 위치하므로 흡수되기 어렵다. 따라서 소재 전체적으로 중량 변화가 적다. 탄성 발포체층(2)의 두께는 5㎜, 제 2 탄성 발포체층(6)의 두께는 5㎜, 저지포(3)의 두께 는 0.5㎜로 된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2)의 두께는 1~10㎜, 제 2 탄성 발포체층(6)의 두께는 1~10㎜, 저지포(3)의 두께는 0.2~1.5㎜의 범위에서 변경해도 좋다.
코팅층(4b)은 나노캡슐을 함유한다. 나노캡슐로서는 노무라보에키사제의 NC948을 사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형성면 및 제 2 탄성 발포체층(6)의 표면의 코팅층(4a)에는 양친매성의 코팅제가 사용된다. 양친매성의 코팅제는 폴리우레탄계 폴리머 13중량부, 폴리4불화 에틸렌 미분말 7중량부, 실리콘 오일 2중량부 및 황산 도데실나트륨 2중량부를 이하의 용제, 아세톤 2중량부, 메틸이소부틸렌케톤(MIBK) 3중량부, 톨루엔 55중량부, 초산 부틸 5중량부, 디아세톤알코올 11중량부에 균일하게 혼합한 것이다. 또한, 폴리우레탄계 폴리머는 8~18중량부, 폴리4불화 에틸렌 미분말은 2~12중량부, 실리콘 오일은 1~7중량부 및 황산 도데실나트륨은 1~7중량부, 아세톤은 1~7중량부, 메틸이소부틸렌케톤(MIBK)은 1~8중량부, 톨루엔은 50~60중량부, 초산 부틸은 1~10중량부, 디아세톤알코올은 6~16중량부 사이에서 변경해도 좋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2)과 저지포(3) 사이 및 저지포(3)와 제 2 탄성 발포체층(6) 사이의 코팅층(4b)에는 각각 티탄의 금속박이 사용된다.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형성면이 신체측에 면하도록 해서 웨트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1) 내에 물이 고이므로 신체와 슈트 사이에 물의 막이 형성되기 쉽다. 또한, 오목부(1)는 탄성 발포체층(2)을 관통하고 있지 않으므로 따뜻해진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움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찬 물도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온 효과가 높은 것으로 된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 형성면이 신체측에 면하도록 해서 드라이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1) 내에 다량의 공기를 모을 수 있다. 오목부(1)가 관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오목부(1) 내에 모인 공기와, 탄성 발포체층(2)이 갖는 독립 기포의 상승 효과에 의해 충분한 보온성 및 부력을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3>
도 6은 트라이애슬론용 웨트 슈트에 사용하는 소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재는 신체측으로부터 코팅층(4a), 폐색층(5), 저지포(3), 탄성 발포체층(2), 제 2 탄성 발포체층(6), 코팅층(4a)의 순으로 적층된다. 저지포(3)는 탄성 발포체층(2) 및 제 2 탄성 발포체층(6)과 폐색층(5) 사이에 위치하므로 흡수되기 어렵다. 따라서 소재 전체적으로 중량 변화가 적다. 폐색층(5)의 두께는 5㎜, 저지포(3)의 두께는 0.5㎜, 탄성 발포체층(2)의 두께는 5㎜, 제 2 탄성 발포체층(6)의 두께는 5㎜로 된다. 또한, 폐색층(5)의 두께는 1~10㎜, 저지포(3)의 두께는 0.2~1.5㎜, 탄성 발포체층(2)의 두께는 1~10㎜, 제 2 탄성 발포체층(6)의 두께는 1~10㎜의 범위에서 변경해도 좋다.
코팅층(4a)은 나노캡슐을 함유한다. 나노캡슐로서는 노무라보에키사제의 NC948을 사용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폐색층(5)의 표면 및 제 2 탄성 발포체층(6)의 표면의 코팅층(4a)에는 양친매성의 코팅제가 사용된다. 양친매성의 코팅제는 폴리우레탄계 폴리머 13중량부, 폴리4불화 에틸렌 미분말 7중량부, 실리콘 오일 2중량부 및 황산 도데실나트륨 2중량부를 이하의 용제, 아세톤 2중량부, 메틸이소부틸렌케톤(MIBK) 3중량부, 톨루엔 55중량부, 초산 부틸 5중량부, 디아세톤알코올 11중량부에 균일하게 혼합한 것이다. 또한, 폴리우레탄계 폴리머는 8~18중량부, 폴리4불화 에틸렌 미분말은 2~12중량부, 실리콘 오일은 1~7중량부 및 황산 도데실나트륨은 1~7중량부, 아세톤은 1~7중량부, 메틸이소부틸렌케톤(MIBK)은 1~8중량부, 톨루엔은 50~60중량부, 초산 부틸은 1~10중량부, 디아세톤알코올은 6~16중량부 사이에서 변경해도 좋다.
탄성 발포체층(2)의 오목부(1)의 개구가 폐색층(5)에 의해 폐색되기 때문에 오목부(1) 내에 공기를 매설할 수 있다. 따라서 수중 슈트에 안정적인 보온성 및 부력을 지니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부력이 필요한 트라이애슬론용 슈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발포체층의 오목부가 신체측으로 개구하도록 해서 웨트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 내에 물이 고이기 때문에 다량의 물을 유지할 수 있고, 신체와 슈트 사이에 물의 막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또한, 오목부가 탄성 발포체층을 관통하고 있지 않으므로 따뜻해진 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움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찬 물도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온 효과가 높은 수중 슈트로 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의 오목부가 신체측으로 개구하도록 해서 드라이 슈트로서 사용하면 오목부 내에 다량의 공기가 모이고, 그 공기는 오목부가 관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다. 따라서 오목부 내에 모인 공기와, 탄성 발포체가 갖는 기포의 상승 효과에 의해 충분한 보온성 및 부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발포체층의 오목부 형성면에 폐색층을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적층해서 오목부 개구부를 폐색하면 공기가 오목부 외부로 누설되기 어렵고, 또한, 물이 오목부 내에 침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웨트 슈트, 드라이 슈트 중 어느 것에 사용해도 오목부 내에 공기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부력을 지니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신체에 면하는 측의 면에 공기가 고이는 복수의 독립된 구멍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탄성 발포체층의 오목부 형성면에, 비통기성 및 비투수성을 갖는 폐색층이 직접 또는 다른 층을 통해 적층되어 오목부 개구부를 폐색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슈트용 소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발포체층의 한면 이상에 중공형상의 마이크로캡슐 또는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코팅층을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슈트용 소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발포체층 및/또는 상기 폐색층을 갖는 적층체의 한쪽 이상의 표면 또는 상기 적층체의 임의의 층 사이에 중공형상의 마이크로캡슐 또는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코팅층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슈트용 소재.
  5. 신체에 면하는 측의 면에, 물 또는 공기가 고이는 복수의 독립된 구멍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탄성 발포체층을 갖는 수중 슈트용 소재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수중 슈트용 소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슈트.
  6. 신체에 면하는 측의 면에, 물 또는 공기가 고이는 복수의 독립된 구멍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 탄성 발포체층을 갖는 수중 슈트용 소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트 슈트.
  7. 제 2 항에 기재된 수중 슈트용 소재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애슬론용 슈트.
KR1020087000559A 2005-08-30 2005-08-30 수중 슈트용 소재 및 그것을 사용한 수중 슈트 KR101039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5749 WO2007026395A1 (ja) 2005-08-30 2005-08-30 水中スーツ用素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水中スー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126A KR20080051126A (ko) 2008-06-10
KR101039303B1 true KR101039303B1 (ko) 2011-06-08

Family

ID=3780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0559A KR101039303B1 (ko) 2005-08-30 2005-08-30 수중 슈트용 소재 및 그것을 사용한 수중 슈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974619B1 (ko)
JP (1) JP5324097B2 (ko)
KR (1) KR101039303B1 (ko)
CN (1) CN100571554C (ko)
HK (1) HK1122197A1 (ko)
TW (1) TW200724043A (ko)
WO (1) WO20070263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797A (ko) 2020-10-08 2022-04-15 장예원 물유입을 차단하는 수중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35411B2 (en) 2006-04-19 2011-05-03 Furio Orologio Metallized polymeric film reflective insulation material
US7935410B2 (en) 2006-04-19 2011-05-03 Furio Orologio Metallized polymeric film reflective insulation material
CA2694424A1 (en) * 2010-02-23 2011-08-23 Furio Orologio Thermally insulated personal articles
US8578512B2 (en) * 2011-08-19 2013-11-12 Nike, Inc. Siped wetsuit
GB201306619D0 (en) * 2013-04-11 2013-05-29 Gordon John Diving Suit
EP3194158B1 (en) 2014-09-19 2019-09-18 Furio Orologio Thermally insulated personal articles
US10828863B2 (en) 2014-09-19 2020-11-10 Furio Orologio Thermally insulated sheet
US20190183189A1 (en) * 2016-08-18 2019-06-20 Pommello Inc. Fabric having heat retaining properties
KR102383942B1 (ko) * 2019-12-19 2022-04-08 김종훈 다수개의 에어셀을 포함하는 래쉬가드
CN111806004A (zh) * 2020-07-15 2020-10-23 曾静 一种多功能潜水服装用的布料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6997U (ja) * 1984-04-19 1985-11-25 シンギー株式会社 ウエツトス−ツの屈曲収縮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3038Y2 (ko) * 1975-10-24 1980-05-31
JPS6130843Y2 (ko) * 1980-10-15 1986-09-09
JPS62100296U (ko) * 1985-12-17 1987-06-26
JPH03125694U (ko) * 1990-04-02 1991-12-18
US5196240A (en) * 1991-03-18 1993-03-23 Stockwell Gregg M Seamless bodysuit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same
GB2268440A (en) * 1992-07-03 1994-01-12 Nigel John Middleton Thermal insulative fabric
GB2270829B (en) * 1992-09-09 1996-07-17 Nigel John Middleton Thermoinsulative protective clothing system
JP3072358B2 (ja) * 1993-04-30 2000-07-31 株式会社タンク ウエットスーツ
JP3603533B2 (ja) * 1997-04-23 2004-12-22 東レ株式会社 水着用編地および水着
JP3049430U (ja) * 1997-12-02 1998-06-09 帝人株式会社 保温性水中服
CN2382248Y (zh) * 1999-05-29 2000-06-14 李明悦 浮力泳衣
JP2004300598A (ja) * 2003-03-31 2004-10-28 Toray Ind Inc 繊維構造物
JP3114295U (ja) * 2005-05-18 2005-10-27 ヌーベルバーグ・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ウエットスー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6997U (ja) * 1984-04-19 1985-11-25 シンギー株式会社 ウエツトス−ツの屈曲収縮部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797A (ko) 2020-10-08 2022-04-15 장예원 물유입을 차단하는 수중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71554C (zh) 2009-12-23
TW200724043A (en) 2007-07-01
EP1974619B1 (en) 2019-06-12
HK1122197A1 (en) 2009-05-15
TWI378779B (ko) 2012-12-11
EP1974619A4 (en) 2011-12-21
WO2007026395A1 (ja) 2007-03-08
JP5324097B2 (ja) 2013-10-23
EP1974619A1 (en) 2008-10-01
JPWO2007026395A1 (ja) 2009-03-05
CN101237786A (zh) 2008-08-06
KR20080051126A (ko) 2008-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303B1 (ko) 수중 슈트용 소재 및 그것을 사용한 수중 슈트
US5787502A (en) Thermoinsulative protective garments
US10549502B2 (en) Breathable waterproof stretchable multi-layer foam construct
US3404406A (en) Diving suit
EP0605569B1 (en) A laminated, air-impermeable cellular rubber, body protection material
US5660572A (en) Flotation fabric and life preserver made therefrom
CA2525257C (en) Foam material and garments made therefrom
US20130318672A1 (en) Suit for to be worn in or on a body of water
JP5536856B2 (ja) 水中スーツ用素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水中スーツ
EP1590235B1 (en) A suit for use in or in association with water
KR200451803Y1 (ko) 부력복
WO1995022262A1 (en) Thermoinsulative protective garments
KR200346410Y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구명복
JP3049430U (ja) 保温性水中服
JPH0144086Y2 (ko)
CA2185434C (en) Thermoinsulative protective garments
KR200323768Y1 (ko) 방수 처리된 잠수복
CA2640825A1 (en) Buoyant insulation composition for garments
FI101872B (fi) Kellunta-asu
JP2000255488A (ja) 粒状発泡プラスチック収容体及び浮力補助具
JP2007228933A (ja) 釣り用ズボン
TH59446B (th) วัสดุสำหรับชุดสวมใต้น้ำ และชุดสวมใต้น้ำที่ใช้วัสดุนี้
JP3098948U (ja) 浮力体を内蔵した子供用水着
TH84791A (th) วัสดุสำหรับชุดสวมใต้น้ำ และชุดสวมใต้น้ำที่ใช้วัสดุนี้
AU3709801A (en) A garment for body surf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