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003B1 - 전계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전계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003B1
KR101038003B1 KR1020097019429A KR20097019429A KR101038003B1 KR 101038003 B1 KR101038003 B1 KR 101038003B1 KR 1020097019429 A KR1020097019429 A KR 1020097019429A KR 20097019429 A KR20097019429 A KR 20097019429A KR 101038003 B1 KR101038003 B1 KR 101038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ic field
case
circu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334A (ko
Inventor
류스케 가와노
가쓰유키 오치아이
미츠루 시나가와
유이치 가도
다쿠지 하라다
히데유키 오카모토
료이치 마쓰모토
Original Assignee
엔티티 엘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니뽄 덴신 덴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티 엘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니뽄 덴신 덴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티 엘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04B13/005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medium consis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3/00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3/00 - H04B11/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을 케이스(10)의 표면에 배치한다. 이로써,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이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된 송신 회로(21) 등의 전자 부품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되는 전계(Ec)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의 거리가 유지되므로,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되는 전계(Ec)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극(11A)과 전계 전송 매체의 밀착성이 향상되므로,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되는 전계(Ec)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전계 통신 장치{ELECTRIC-FIELD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전계 전송 매체에 전계를 유도하여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human body) 등의 전계 전송 매체에 전계를 유도하고, 이 유도된 전계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http://www.redtacton.com/ 참조).
도 13은, 인체를 전계 전송 매체로 하여 전계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통신 시스템은, 송신 장치(201)와 수신 장치(301) 사이에서 사용자(401)에게 유도된 전계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송신 장치(201)가 수신 장치(301)에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송신 장치(201)는 신호 전극(201A)에 의해 사용자(401)에 대하여 전계(Ec)를 유도한다. 수신 장치(301)는 사용자(401)에 대하여 유도된 전계(Ef)를 검출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러나, 사용자(401)에 대하여 전계(Ec)를 유도하는 경우에, 사용자(401)로부터 접지 전극(201B)으로 되돌아오는 전계(Eb)나 사용자(401)로부터 접지로 빠져나가는 전계(Ee)가 존재하므로, 수신 장치(301)에 도달하는 전계(Ef)는, 사용자에 대하여 유도한 전계(Ec)에서 전계(Eb, Ee)를 차감한 부분이 된다. 신호 전극(201A)으로부터 접지 전극(201B)으로 직접 입력되는 전계(Ea)도 존재한다.
또한, 전계 통신 단말을 소형화하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면, 전계 통신 단말의 케이스에 응력이 인가되어,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전극에 실장 부품이 접촉하게 되어 사용자(401)에 대하여 유도되는 전계(Ec)가 소거되거나 신호 전극(201A)과 접지 전극(201B) 간의 거리가 좁아져서 전계(Ea)가 커지게 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유도되는 전계(Ec)가 감소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401)가 신호 전극(201A)과 접지 전극(201B)에 동시에 접촉하게 되면, 사용자(401)로부터 접지 전극(201B)으로 되돌아오는 전계(Eb)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수신 장치(301)에서 검출되는 전계(Ef)가 감소하게 되어, 통신 품질이 열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사항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전계 통신 단말에서 통신 품질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통신 장치는, 송신할 정보에 따른 전계를 전계 전송 매체에 대하여 유도하고, 유도한 전계를 사용하여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통신 회로, 통신 회로가 수납되는 케이스, 통신 회로의 입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및 통신 회로의 기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회로를 수납한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배치함으로써, 통신 장치를 휴대하는 경우에, 케이스에 응력이 인가되어도 전극이 통신 회로 등의 전자 부품에 접촉하지 않고, 전극 사이의 거리도 유지되므로, 송신기의 출력의 저하나 수신 신호로서 검출되는 전계의 양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외부에 전극을 배치함으로써, 전극과 전계 전송 매체와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계 통신 장치는, 송신할 정보에 따른 전계를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하고, 유도한 전계를 사용하여 정보의 송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송신 회로, 송신 회로가 수납되는 케이스, 송신 회로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및 송신 회로의 기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계 통신 장치는,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된 정보의 수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수신 회로, 수신 회로가 수납되는 케이스, 수신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및 수신 회로의 기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전계 통신 장치에 의하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1 전극이 배치된 부분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제2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한 제2 전극은, 제1 전극이 배치된 부분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계 통신 장치를 잡거나 할 경우에, 2개의 전극에 동시에 접촉하는 것이 적어지므로,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계 통신 장치는, 제1 전극의 형상과 제2 전극의 형상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상이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2개의 전극에 모두 접촉한 경우라도, 전극에 접촉하는 면적의 차가 크므로, 서로 상쇄하는 전계가 감소하여, 통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계 통신 장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 한쪽의 전극의 형상이 판형의 형상을 가지며, 다른 쪽의 전극의 형상이 선형 또는 스트립형의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전극에 접촉하는 면적의 차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계 통신 장치에서는, 선형 또는 밴드형의 전극이 변형 가능하며, 다른 쪽의 전극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형의 전극을 변형 가능하게 함으로써, 키 홀더 등의 스트랩(strap)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계 통신 장치에 있어서, 선형 또는 스트립형의 전극은 다른 쪽의 전극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를 갖도록 하여, 다른 쪽의 전극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계 통신 장치에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의 외부 측에 상기 전극과 절연되는 적어도 1개의 금속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판 등의 금속층을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전계 전송 매체와의 전계 결합을 개선하는 동시에 전극의 보호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전계 통신 장치에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최외층이 절연 필름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을 절연 필름으로 피복함으로써, 전계 전송 매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알레르기를 가진 사용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계 통신 장치에서,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은 모서리가 둥근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의 모서리를 둥글게 함으로써,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의 전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통신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서의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서의 다른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서의 또 다른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의 또 다른 송신기의 전극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 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서의 송신기의 전극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예에서의 다른 송신기의 전극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예에서의 송신기의 전극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에 나타낸 전극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서의 다른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서의 또 다른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서의 또 다른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은 전계 통신 시스템의 전계 모델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실시예에서는 송신 회로를 구비한 송신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있지만, 수신 회로를 구비한 수신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고, 송신 회로와 수신 회로를 구비한 통신 장치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제1 실시예에서의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송신기는, 인체(human body) 등의 전계 전송 매체에 전계(electric-field)를 유도(induce)해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전계 통신 송신기이다. 이 송신기에 의해 사용자에 대하여 유도된 전계는, 사용자를 통해 수신기에 도달하여, 수신기에 구비된 전기 광학 결정(electro-optic crystal)에 결합한다. 이로써, 전기 광학 결정의 광학적 특성이 변화한다. 전기 광학 결정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그 변화의 정도를 검출함으로써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낸 송신기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포켓이나 가방 등에 수납해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송신기는, 송신 회로(21) 등을 수납한 비도전성의 케이스(10)의 대향하는 표면의 각각에 신호 전극(11A) 및 접지 전극(11B)을 배치하고,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을 각각 절연 필름(12A)과 절연 필름(12B)으로 피복한 구조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카드 케이스형의 직육면체이며,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은 케이스(10)의 표면 중의 가장 면적이 큰 면의 전체에 배치되어 있다.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에는, 예를 들면 두께가 0.5mm 정도의 동판 등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을 케이스(10)의 외부 표면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기의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송신 회로(21)가 내장되어 있고, 케이스(10)의 표면에 배치된 신호 전극(11A)은,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된 신호 출력 단자(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접지 전극(11B)은 송신 회로(21)의 접지(GND)(2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케이스(10)의 표면과 신호 전극(11A) 및 접지 전극(11B)은 양면 테이프(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서로 접착되어 있다. 또한,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 각각을 절연 필름(12A, 12B)으로 피복하는 것에 의해, 인체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계 전송 매체에 전계를 유도하는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 극(11B)을 케이스(10)의 외부에 배치함으로써,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이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된 송신 회로(21) 등의 전자 부품과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되는 전계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극(11A) 및 접지 전극(11B)을 케이스(10)의 외부 표면에 배치함으로써, 신호 전극(11A) 또는 접지 전극(11B)과 전계 전송 매체와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를, 수신 회로의 입력 단자에 신호 전극(11A)을 접속한 구성의 수신기에 적용한 경우에도, 신호 전극(11A)에 의해 수신한 신호 성분이 접지 전극(11B)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억제하므로, 본 발명의 송신기와 마찬가지로, 통신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다른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송신기는, 도 2에 나타낸 송신기와 비교하여, 금속판(13A, 13B)과 절연 필름(14A, 14B)을 구비한다는 점이 다르며, 그 외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3에 나타낸 금속판(13A, 13B)은 각각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을 피복하는 절연 필름(12A, 12B)의 표면에 배치되고, 신호 전극(11A) 및 접지 전극(11B)과는 절연되어 있다. 또한, 금속판(13A, 13B)은 절연 필름(14A, 14B)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을 금속판(13A, 13B)으로 피복하는 것에 의해, 전계 결합을 개선하는 동시에, 신호 전극(11A) 및 접지 전극(11B)을 보강을 도모할 수 있다. 금속판(13A, 13B) 대신에, 금속 도금한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의 양쪽에 금속 판(13A, 13B)을 배치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에만 금속판(13B)을 배치해도 되고, 여러 개의 층을 사용하는 다층의 구조로 해도 된다.
또한, 신호 전극(11A) 및 접지 전극(11B)을 형성하는 동판의 모서리를 둥글게 하고,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31A)을 타원형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신호 전극(11A)의 모서리로부터 접지 전극(11B)의 모서리로 향하는 전계(Ea)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을 케이스(10)의 표면에 배치함으로써,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이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된 송신 회로(21) 등의 전자 부품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되는 전계(Ec)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의 거리가 유지되므로, 신호 전극(11A)으로부터 접지 전극(11B)으로 향하는 전계(Ea)가 증가하지 않고,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되는 전계(Ec)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극(11A)과 전계 전송 매체의 밀착성이 향상되므로,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되는 전계(Ec)를 증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 전극(11A) 및 접지 전극(11B)의 모서리를 둥글게 함으로써, 신호 전극(11A)으로부터 접지 전극(11B)으로 향하는 전계(Ea)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되는 전계(Ec)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을 절연 필름(12A, 12B)으로 피복하거나, 이와 달리 또는 이에 추가로 금속판(13A, 13B)으로 피복함으로써, 전계 결합을 개선하는 동시에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의 보강을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6은 제2 실시예에서의 송신기의 전극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의 (a)는 케이스(10) 내의 신호 출력 단자(22)에 접속되는 신호 전극(41A)의 평면도이며, 도 6의 (b)는 케이스(10) 내의 접지(GND)(23)에 접속되는 접지 전극(41B)의 평면도이다. 제1 실시예의 도 1에서 나타낸 신호 전극(11A)과 접지 전극(11B)은, 케이스(10)의 대향하는 면의 대략 전체 면에 걸쳐 배치되어 있지만, 도 6에 나타내는 신호 전극(41A)과 접지 전극(41B)은, 케이스(10)의 대향하는 면의 일부에만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 전극(41A)과 접지 전극(41B)은, 전극이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서로 반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전극의 배치된 면을 잡고 송신기를 유지할 때, 신호 전극(41A)과 접지 전극(41B)에 동시에 접촉하는 부분이 작아지므로, 사용자에게 유도되는 전계(Ec)를 소거하는 전계(Eb)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극이 형성된 부분과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서로 반전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신호 전극(41A)에 대향하여 배치된 접지 전극(41B)이 신호 전극(41A)에 대응하는 부분에 존재하고 있지 않은 구조로 하면 된다.
전극의 배치는, 도 6에 나타낸 것 이외에, 예를 들면 도 7의 (a)와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을 케이스(10)의 표면의 하부에 배치하고, 다른 한쪽을 상부에 배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에 설명한 것 이외의 형상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6과 도 7에 나타낸 전극은,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표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해도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 전극(41A)과 접지 전극(41B)이 서로 반전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송신기를 손가락으로 집었을 경우 등에, 신호 전극(41A)과 접지 전극(41B)에 동시에 접촉하는 부분이 적어지므로, 통신 품질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8은 제3 실시예에서의 송신기의 전극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의 (a)는 신호 전극(61A)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의 (b)는 접지 전극(61B)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신호 전극(61A)과 접지 전극(61B)은, 도 1에 나타낸 송신기의 케이스(10)의 표면에 배치한 것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 전극(61A)은 선형이며, 접지 전극(61B)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서, 신호 전극(61A)과 접지 전극(61B)이 비대칭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신호 전극(61A)과 접지 전극(61B)을 비대칭인 형상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신호 전극(61A)과 접지 전극(61B)에 동시에 접촉되었을 때에도, 신호 전극(61A)과 접지 전극(61B)에 접촉하는 부분의 면적에 차이가 크며, 소거되는 전계가 적어지므로, 수신기에 도달하는 전계(Ef)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의 (a)에 나타내는 선형의 신호 전극(61A)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립형의 전극(71A)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신호 전극(61A)의 형상은,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소용돌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빗 모양 등의 형상도 가능하다. 또한, 도 8의 (a)와 (b)를 교체하여, 신호 전극(61A)의 형상을 직사각형의 형태로 하고, 접지 전극(61B)을 선형 또는 스트립 모양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10은 제3 실시예에서의 다른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송신기를 직육면체로 구성한 것에 대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송신기는 키 홀더형으로 한 점에서 상이하다. 키 홀더의 케이스(10)의 외부 표면에 신호 전극(81A)을 배치하고, 키 홀더의 스트랩 부분은 선형의 접지 전극(81B)을 배치하고 절연 부재(82B)로 피복되어 있다. 신호 전극(81A)의 주위는, 절연 필름(82A)으로 피복되어 있다. 신호 전극(81A)은 송신 회로(21)의 신호 출력 단자(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접지 전극(81B)은 송신 회로(21)의 접지(GN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신호 전극(81A)과 접지 전극(81B)이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쇼트되지 않도록, 접지 전극(81B)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접지 전극(81B)의 하부를, 예컨대 딱딱한 플라스틱 통으로 덮어서, 접지 전극(81B)이 구부러져도 신호 전극(81A)에 접촉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11은 제3 실시예에서의 또 다른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송신기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비교해서, 신호 전극(91A)의 외주에 절연 필름(92A)을 협지하여 금속판(93A)을 배치하고, 최외주를 절연 필름(94A)으로 피복한 것이다.
도 12는 제3 실시예에서의 또 다른 송신기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에 나타낸 송신기는, 도 10에 나타낸 것과 비교해서, 신호 전극(101A)에 선형의 전극(103A)을 추가로 접속한 것이며, 전극(103A)은 절연 부재(104A)로 피복되어 있다. 전극(103A)은 신호 전극(101A)에 접촉해도 쇼트되지 않으므로, 어느 정도 구부러져도 영향이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신호 전극(61A)과 접지 전극(61B)을 상이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사용자가 신호 전극(61A)과 접지 전극(61B)에 동시에 접촉된 경우에도, 신호 전극(61A)과 접지 전극(61B)에 접촉하는 부분의 면적에 차가 크기 때문에, 소거되는 전계가 적어지므로, 수신기에 도달하는 전계(Ef)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Claims (20)

  1. 송신할 정보에 따른 전계(electric-field)를 전계 전송 매체(electric-field transmission medium)에 유도하고, 유도한 전계를 사용하여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통신 회로;
    상기 통신 회로가 수납되는 케이스;
    상기 통신 회로의 입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및
    상기 통신 회로의 기준 전위(reference potential)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이 배치된 부분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상기 제2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2. 송신할 정보에 따른 전계를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하고, 유도한 전계를 사용하여 정보의 송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송신 회로;
    상기 송신 회로가 수납되는 케이스;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송신 회로의 기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이 배치된 부분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상기 제2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3.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된 정보의 수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를 수납하는 케이스;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및
    상기 수신 회로의 기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이 배치된 부분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상기 제2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4. 송신할 정보에 따른 전계를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하고, 유도한 전계를 사용하여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통신 회로;
    상기 통신 회로가 수납되는 케이스;
    상기 통신 회로의 입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및
    상기 통신 회로의 기준 전위(reference potential)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쪽의 전극의 형상은 판형이고, 다른 쪽의 전극의 형상은 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5. 송신할 정보에 따른 전계를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하고, 유도한 전계를 사용하여 정보의 송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송신 회로;
    상기 송신 회로가 수납되는 케이스;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송신 회로의 기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쪽의 전극의 형상은 판형이고, 다른 쪽의 전극의 형상은 선형인 것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6.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된 정보의 수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를 수납하는 케이스;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및
    상기 수신 회로의 기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쪽의 전극의 형상은 판형이고, 다른 쪽의 전극의 형상은 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의 형상을 갖는 전극은, 변형이 가능하며, 다른 쪽의 전극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의 형상을 갖는 전극은 다른 쪽의 전극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9. 송신할 정보에 따른 전계(electric-field)를 전계 전송 매체(electric-field transmission medium)에 유도하고, 유도한 전계를 사용하여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통신 회로;
    상기 통신 회로가 수납되는 케이스;
    상기 통신 회로의 입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통신 회로의 기준 전위(reference potential)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의 외부 측에 해당 전극과 절연되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10. 송신할 정보에 따른 전계를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하고, 유도한 전계를 사용하여 정보의 송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송신 회로;
    상기 송신 회로가 수납되는 케이스;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송신 회로의 기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의 외부 측에 해당 전극과 절연되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11.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된 정보의 수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를 수납하는 케이스;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수신 회로의 기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의 외부 측에 해당 전극과 절연되어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전극이 배치된 부분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상기 제2 전극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형상과 상기 제2 전극의 형상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적어도 한쪽의 전극의 최외층(outmost layer)은 절연 필름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전계 통신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은, 둥근 모서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16.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측에 상기 금속층을 구비하지 않는 쪽의 전극의 형상은 선형이고, 상기 선형의 형상을 갖는 전극은 변형 가능하며, 다른 쪽의 전극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17. 송신할 정보에 따른 전계를 전계 전송 매체에 대하여 유도하고, 유도한 전계를 사용하여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통신 회로;
    상기 통신 회로가 수납되는 케이스;
    상기 통신 회로의 입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및
    상기 통신 회로의 기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쪽의 전극의 형상은 판형이고, 다른 쪽의 전극의 형상은 선형이며,
    상기 선형의 형상을 갖는 전극은 변형이 가능하고 절연 부재로 덮혀 있으며 다른 쪽의 전극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18. 송신할 정보에 따른 전계를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하고, 유도한 전계를 사용하여 정보의 송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송신 회로;
    상기 송신 회로가 수납되는 케이스;
    상기 송신 회로의 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상기 송신 회로의 기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쪽의 전극의 형상은 판형이고, 다른 쪽의 전극의 형상은 선형이며,
    상기 선형의 형상을 갖는 전극은 변형이 가능하고 절연 부재로 덮혀 있으며 다른 쪽의 전극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19. 전계 전송 매체에 유도된 정보의 수신을 행하는 전계 통신 장치로서,
    수신 회로;
    상기 수신 회로를 수납하는 케이스;
    상기 수신 회로의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1 전극; 및
    상기 수신 회로의 기준 전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1 전극과 절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외부 표면에 배치된 제2 전극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중 어느 한쪽의 전극의 형상은 판형이고, 다른 쪽의 전극의 형상은 선형이며,
    상기 선형의 형상을 갖는 전극은 변형이 가능하고 절연 부재로 덮혀 있으며 다른 쪽의 전극에 물리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의 형상을 갖는 전극은 다른 쪽의 전극에 접촉하지 않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통신 장치.
KR1020097019429A 2007-03-22 2008-03-21 전계 통신 장치 KR101038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75602A JP4480735B2 (ja) 2007-03-22 2007-03-22 電界通信装置
JPJP-P-2007-075602 2007-03-22
PCT/JP2008/055327 WO2008114870A1 (ja) 2007-03-22 2008-03-21 電界通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334A KR20090113334A (ko) 2009-10-29
KR101038003B1 true KR101038003B1 (ko) 2011-05-30

Family

ID=3976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9429A KR101038003B1 (ko) 2007-03-22 2008-03-21 전계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66312B2 (ko)
EP (1) EP2136488A1 (ko)
JP (1) JP4480735B2 (ko)
KR (1) KR101038003B1 (ko)
CN (1) CN101641888A (ko)
WO (1) WO2008114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9514B2 (ja) * 2008-09-19 2010-10-0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極構造
JP5033818B2 (ja) * 2009-01-27 2012-09-2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極構造
JP5462118B2 (ja) * 2010-09-21 2014-04-02 Ntt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電界通信装置ホルダー
JP5746604B2 (ja) * 2011-12-07 2015-07-08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
US9331743B2 (en) * 2011-12-08 2016-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Biological entity communication channel
US10128961B2 (en) * 2017-03-30 2018-11-13 Intel Corporation Angular electrode
JP2019054367A (ja) * 2017-09-14 2019-04-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通信端末
JP7169281B2 (ja) * 2017-09-29 2022-11-10 タツタ電線株式会社 伝送線、コネクタ付き伝送線、及び中継器
JP7054790B2 (ja) * 2018-08-29 2022-04-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人体通信装置、装着器具及び装置本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7962A (ja) * 2004-01-30 2005-08-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0787A (en) * 1991-12-30 1993-07-27 Xerox Corporation Spring and process for making a spring for a fluid bearing by electroforming
JP3073491B2 (ja) * 1998-06-24 2000-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線装置と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線装置で用いる部材の製造方法
JP2001217340A (ja) * 2000-02-01 2001-08-10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20135272A1 (en) * 2001-01-02 2002-09-26 Minoru Toda Curved film electrostatic ultrasonic transducer
JP4019742B2 (ja) * 2001-05-14 2007-12-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伝送装置及び情報伝送システム
JP2002368194A (ja) * 2001-06-08 2002-12-20 Sanyo Electric Co Ltd 化合物半導体スイッチ回路装置
US7344825B2 (en) * 2002-04-04 2008-03-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developing apparatus using the method
WO2003102677A1 (de) * 2002-05-28 2003-12-11 Schleifring Und Apparatebau Gmbh Vorrichtung zur optischen signalübertragung zwischen zwei gegeneinander beweglichen einheiten
JP3974628B2 (ja) * 2003-06-30 2007-09-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界検出光学装置、トランシーバ、位置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情報入力システム
US7521368B2 (en) * 2004-05-07 2009-04-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CN100474502C (zh) 2004-05-07 2009-04-01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半导体器件的制造方法
JP4501073B2 (ja) 2005-05-17 2010-07-1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並びに送受信装置
JP4170312B2 (ja) 2005-05-19 2008-10-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界通信装置用の電極
KR101182322B1 (ko) * 2006-06-30 2012-09-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수평 전계 인가형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7962A (ja) * 2004-01-30 2005-08-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通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334A (ko) 2009-10-29
JP2008236560A (ja) 2008-10-02
US8666312B2 (en) 2014-03-04
JP4480735B2 (ja) 2010-06-16
EP2136488A1 (en) 2009-12-23
US20100105323A1 (en) 2010-04-29
WO2008114870A1 (ja) 2008-09-25
CN101641888A (zh)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8003B1 (ko) 전계 통신 장치
US9564686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device of mobile terminal
US8125401B2 (en) Antenna device
EP2546923B1 (en) Mobile terminal with antenna coil
JP5746604B2 (ja) 通信装置
WO2014083990A1 (ja) インタフェース及び通信装置
KR20180079422A (ko) Nfc 통신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433759B2 (en) Mobile terminal
CN110633031A (zh) 集成nfc天线的触摸屏及显示装置
CN108631053B (zh) 天线模块
US9571167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device of mobile terminal
US20140226293A1 (en) Interface device
KR20150018358A (ko) 지문인식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전자기기
CN106850881A (zh) 天线装置、天线切换方法和移动终端
US11689834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9359584B (zh) 电子设备、显示组件及其触控面板、触控面板制备方法
US20110068994A1 (en)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7047961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11294521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US936921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7221468A (ja) 電子機器
US11907016B2 (en) Electronic device
JP2021196658A (ja) タッチセンサ
JP4616375B2 (ja) トランシーバ
KR20150028580A (ko) 지문인식장치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