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6620B1 - 판형부재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판형부재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6620B1
KR101036620B1 KR1020090014281A KR20090014281A KR101036620B1 KR 101036620 B1 KR101036620 B1 KR 101036620B1 KR 1020090014281 A KR1020090014281 A KR 1020090014281A KR 20090014281 A KR20090014281 A KR 20090014281A KR 101036620 B1 KR101036620 B1 KR 101036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 member
feed roller
shaped member
f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150A (ko
Inventor
최민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4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620B1/ko
Publication of KR20100095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4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the rollers comprising a number of roller forming elements mounted on a singl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판형부재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판형부재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판형부재를 지지하도록 판형부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횡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이송롤러, 복수의 이송롤러 중 인접한 제1 및 제2 이송롤러 사이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판형부재의 단부가 제2 이송롤러와 제2 이송롤러에 후행하는 제3 이송롤러 사이를 지날 때 판형부재의 상부 면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판형부재의 단부가 제3 이송롤러에 안착 되도록, 가압부가 판형부재를 가압하여 판형부재가 제2 이송롤러를 지날 때 판형부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하는 판형부재 이송장치는, 판형부재의 처짐이 발생하여도 판형부재와 이송롤러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판형부재, 이송, 가압

Description

판형부재 이송장치{Apparatus for transferring plate}
본 발명은 판형부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판형부재의 이송 시에 판형부재의 처짐에 의하여 판형부재가 이송롤러와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판형부재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판 등과 같은 판형부재는 제품 제조에 사용되기 위하여 특정한 가공공정을 거치며, 이러한 가공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판형부재는 이송롤러 등에 의하여 수평으로 이송된다.
특히, 선박에 사용되는 철판에는, 선박 건조 과정에서 철판에 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라이머가 도포되는 공정이 수행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판형부재 이송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공정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부재(1)를 프라이머 부스(5)로 이송시키고, 판형부재(1)가 프라이머 부스(5)를 통과할 때 프라이머 스프레이(6)에서 프라이머를 분사하여 판형부재(1)에 프라이머를 코팅한다.
이 때, 프라이머 부스(5) 내의 이송롤러(12, 13)에 프라이머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라이머 부스(5) 내의 이송롤러(12, 13)는 다른 이송구간에 비해 넓게 떨어져 위치된다. 이에 따라, 이송되는 판형부재(1)의 단부가 다른 구간에 비하여 많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특히 이송되는 판형부재(1)의 두께가 얇을수록 그 처짐 현상이 더욱 크게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이송되던 판형부재(1)가 프라이머 부스(5) 내에서 후방에 위치한 이송롤러(13)와 충돌하여 구겨지거나 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판형부재와 이송롤러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프라이머 부스(5) 내의 이송롤러(12, 13)의 간격을 좁히면, 프라이머의 분사 범위를 줄이고 판형부재(1)의 이송속도를 늦추어야 하므로 생산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판형부재(1)의 처짐을 방지하는 가이드 바(guide bar)를 판형부재(1)의 측면에 덧대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가공 공정이 복잡해지고 자재비가 증가되므로 경영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간격으로 떨어진 이송롤러에서도 판형부재가 안정적으로 이송되는 판형부재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판형부재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판형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판형부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횡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이송롤러,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 중 인접한 제1 및 제2 이송롤러 사이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판형부재의 단부가 제2 이송롤러와 상기 제2 이송롤러에 후행하는 제3 이송롤러 사이를 지날 때 상기 판형부재의 상부 면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3 이송롤러에 안착 되도록, 상기 가압부가 상기 판형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판형부재가 상기 제2 이송롤러를 지날 때 상기 판형부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하는 판형부재 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판형부재의 이송경로에서 상기 판형부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판형부재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부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판형부재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위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판형부재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판형부재의 처짐이 발생하여도 판형부재와 이송롤러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송롤러의 간격을 넓게 배치하여 판형부재 가공공정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부재 이송장치에서 판형부재가 가압되기 전에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부재 이송장치에서 가압부에 의해 판형부재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부재 이송장치는, 판형부재(1)를 이송하는 복수의 이송롤러(10)와 판형부재(1)를 가압하는 가압부(20)로 이루어진다.
이송롤러(10)는 판형부재(1)를 수평으로 이송하는 부분으로, 판형부재(1)를 지지하도록 판형부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횡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그리고, 이송롤러(10)는 판형부재(1)를 이송하도록 이송될 방향을 향하여 회전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이송롤러(10) 위에 놓여진 판형부재(1)가, 이송방향으로 배열된 이송롤러(10) 위를 차례로 지나게 된다.
보다 상세히,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부재 이송장치는 철판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프라이머 부스(5)에 판형부재(1)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판형부재(1)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송한다. 이를 위해, 판형부재(1)의 하면을 지지하는 이송롤러(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 한다.
한편, 프라이머 부스(5) 내의 이송롤러(12, 13)는, 프라이머가 분사되는 영역 밖에 위치되어야 하므로, 이송 경로에 있는 다른 이송롤러(10)에 비하여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 이에 따라, 다른 구간에 비하여 판형부재(1)의 처짐이 심하게 발생한다.
가압부(20)는 수평으로 이송되는 판형부재(1)가 이송롤러(13)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으로, 제1 및 제2 이송롤러(11, 12) 사이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판형부재(1)의 단부가 제2 이송롤러(12)와 제2 이송롤러(12)에 후행하는 제3 이송롤러(13) 사이를 지날 때 판형부재(1)의 상부 면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판형부재(1)가 제2 이송롤러(12)를 지날 때, 판형부재(1)에서 제2 이송롤러(12)를 지나는 부분은 이송방향을 따라 상방향으로 휘어지게 되어서, 제2 이송롤러(12)를 지나서 제3 이송롤러(13)로 향하는 판형부재(1)의 단부는 제3 이송롤러(13)보다 높게 위치된다.
따라서, 판형부재(1)의 단부는 다음에 놓여질 제3 이송롤러(13)와 충돌되지 않고 제3 이송롤러(13) 위에 놓여질 수 있다. 이 때, 가압부(20)에 의한 변형은 판형부재(1)의 탄성변형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압부(20)에 의하여 판형부재(1)가 영구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판형부재(1)의 단부가 제3 이송롤러(13)에 안착되면 가압부(20)를 위로 이동시켜서 판형부재(1)가 편평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부재 이송장치의 가압부(20)는 판형부재(1)의 이송경로에서 판형부재(1)의 상측에 설치되어 판형부재(1)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한다. 이 때, 가압부(20)의 가압롤러(22)는 프라이머 부스(5) 내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가압롤러(22)는, 판형부재(1)의 단부가 제2 이송롤러(12)를 지나서 제3 이송롤러(13)에 안착되기 전에 하강하여, 제1 및 제2 이송롤러(11, 12) 사이에서 판형부재(1)에 압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이송롤러(10)에 의해 하면이 지지되는 판형부재(1)는 변형되어 단부가 위쪽을 향하게 된다. 따라서, 제3 이송롤러(13)를 향하는 판형부재(1)의 단부에서 처짐이 발생하여도 이송롤러(10)가 배열된 높이보다 판형부재(1)의 단부가 높게 위치되어서, 제3 이송롤러(13)와 충돌하지 않고 제3 이송롤러(13)에 안착된다.
한편, 판형부재 이송장치에는 판형부재(1)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측정부(30, 31)가 추가로 설치되고, 위치 측정부(30, 31)에 의해 측정된 판형부재(1)의 위치에 상응하여 판형부재(1)를 가압해야 할 시점과 가압을 해제할 시점을 인식하여 가압롤러(22)를 하강 및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부재 이송장치에서는 위치 측정부(30, 31)로, 프라이머 부스(5) 상부에 설치되는 화상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화상 카메라에 의해 판형부재(1)의 단부가 제2 이송롤러(12)와 제3 이송롤러(13) 사이에 위치된 것이 인식되면 자동으로 가압롤러(22)를 하강시켜 판형부재(1)를 가압하고, 판형부재(1)의 단부가 제3 이송롤러(13)를 지난 것이 인식되면 자동으로 가압롤러(22)를 상승시켜 판형부재(1)의 가 압을 해제 한다. 따라서, 다수의 판형부재(1)를 연속적으로 이송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부재 이송장치에서는 위치 측정부(30, 31)로 화상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위치 측정부(30, 31)는 이에 한정되는 않으며, 이송롤러(10)에 걸리는 하중을 감지하는 센서 등 판형부재(1)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하여 당업자가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가압롤러(22)를 이용하여 판형부재(1)를 가압하는 판형부재 이송장치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가압부(20)의 가압부재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회전이 가능한 볼 형태의 가압부재 또는 판형부재(1)와 미끄럼이 가능한 가압부재 등 당업자가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가압부재가 실시될 수 있다.
또한, 판형부재(1)를 가압하는 위치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판형부재(1)의 단부를 상측으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다른 위치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부재 이송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판형부재 이송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부재 이송장치에서 판형부재가 가압되기 전에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부재 이송장치에서 가압부에 의해 판형부재가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판형부재 5: 프라이머 부스
6: 프라이머 스프레이 10: 이송롤러
20: 가압부 22: 가압롤러
30, 31: 위치 측정부

Claims (4)

  1. 판형부재를 이송하는 장치로서,
    상기 판형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판형부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횡으로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이송롤러; 및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 중 인접한 제1 및 제2 이송롤러 사이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판형부재의 단부가 제2 이송롤러와 상기 제2 이송롤러에 후행하는 제3 이송롤러 사이를 지날 때 상기 판형부재의 상부 면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형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3 이송롤러에 안착 되도록, 상기 가압부가 상기 판형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판형부재가 상기 제2 이송롤러를 지날 때 상기 판형부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휘어지게 하는 판형부재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판형부재의 이송경로에서 상기 판형부재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판형부재에 압력을 가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부재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하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부재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재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위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판형부재의 위치에 상응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부재 이송장치.
KR1020090014281A 2009-02-20 2009-02-20 판형부재 이송장치 KR101036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281A KR101036620B1 (ko) 2009-02-20 2009-02-20 판형부재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281A KR101036620B1 (ko) 2009-02-20 2009-02-20 판형부재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150A KR20100095150A (ko) 2010-08-30
KR101036620B1 true KR101036620B1 (ko) 2011-05-24

Family

ID=4275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281A KR101036620B1 (ko) 2009-02-20 2009-02-20 판형부재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6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1098B2 (ja) * 1997-10-28 2007-02-14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基板搬送装置及び基板処理装置
JP2008013270A (ja) 2006-07-03 2008-01-24 Tokyo Kakoki Kk 軟性基板材の表面処理装置
KR20090000286U (ko) * 2007-07-06 2009-01-09 주식회사 로테코 단부 지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JP2009302461A (ja) 2008-06-17 2009-12-24 Tokyo Electron Ltd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1098B2 (ja) * 1997-10-28 2007-02-14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基板搬送装置及び基板処理装置
JP2008013270A (ja) 2006-07-03 2008-01-24 Tokyo Kakoki Kk 軟性基板材の表面処理装置
KR20090000286U (ko) * 2007-07-06 2009-01-09 주식회사 로테코 단부 지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JP2009302461A (ja) 2008-06-17 2009-12-24 Tokyo Electron Ltd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150A (ko) 2010-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A200710963B (en) Conveying installation for transporting goods by way of a conveyor belt
KR101779277B1 (ko) 이송 동안 플랫 물체를 배출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1036620B1 (ko) 판형부재 이송장치
JP6274731B2 (ja) パターン形成装置
CN110143423B (zh) 一种翻板机组件和翻板机
JP2017145128A5 (ko)
EP3414197B2 (en) Handling system for handling stackable flat elements
KR101593842B1 (ko) 벤딩 장치
KR101675671B1 (ko) 트리퍼카의 이송벨트용 가압장치
JP2010036576A5 (ko)
JP4781167B2 (ja) 横型多段プレス装置の板材保持構造
CN105130178B (zh) 划线装置
JP5964390B2 (ja) コンベヤのアキューム量検出方法および装置
KR101622278B1 (ko) 이송물 적재장치
CN110325466B (zh) 片材供给方法和该片材供给方法所使用的片材供给装置
JP2010159126A (ja) 水平搬送装置
CN109641440B (zh) 层压设备
US93153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goods
JP5424969B2 (ja) 基板の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101740187B1 (ko) 3d 프린터의 프린팅 방법
JP4999697B2 (ja) 少なくとも2つのコンベア間で荷物を載せ替えるための装置
KR20150108737A (ko) 브레이크 장치
CN211545209U (zh) 一种装板运输装置
JP5992212B2 (ja) 小型成形品の搬送装置
KR101552835B1 (ko) 주편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