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5537B1 -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5537B1
KR101035537B1 KR1020090097685A KR20090097685A KR101035537B1 KR 101035537 B1 KR101035537 B1 KR 101035537B1 KR 1020090097685 A KR1020090097685 A KR 1020090097685A KR 20090097685 A KR20090097685 A KR 20090097685A KR 101035537 B1 KR101035537 B1 KR 101035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line
main word
insulating film
bit line
axis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425A (ko
Inventor
최우영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97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5537B1/ko
Publication of KR2011004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5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5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비트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일측 혹은 좌우 대칭적으로 캔틸레버 전극을 2개까지 형성하고, 상부 보조 워드라인 또는 하부 보조 워드라인을 구비함으로써, 단위셀 당 2 비트까지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비트라인의 스트레스를 최소화 하여 구동 신뢰도를 높이며, 제조 공정의 난이도를 상당히 낮출 수 있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기계, 메모리, 주요워드라인, 보조워드라인, 캔틸레버, cantilever

Description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T TYPE ELECTRO-MECHANICAL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ND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전성 캔틸레버 빔(conductive cantilever beam; 이하, '캔틸레버 전극'이라 함)을 이용한 전기기계 메모리(electro-mechanical memory)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셀에 2 비트까지 구현이 가능한 "ㄱ형" 또는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용량, 저전력 메모리 칩에 대한 시장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DRAM을 비롯한 휘발성 메모리와 flash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소자의 축소화가 가속되고 있는 형국이다.
그러나, 메모리 소자의 크기가 수십 나노미터의 영역으로 축소화됨에 따라 칩면적의 한계, 높은 쓰기/지우기 전압, 낮은 쓰기/지우기 속도, 낮은 센싱 마진, 기존 CMOS 칩과의 집적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커지고 있고 이는 더 이상의 메모리 소자 축소화를 어렵게 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다양한 메모리 소자가 연구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반도체 소자가 아닌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소자를 이용하여 메모리를 구현하려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비휘발성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이다.
도 1은 PCT 공개번호 제2007/130919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 개시된 것으로, 상부에 읽기 워드라인(172), 중앙부 갭(188) 사이에 비트라인(174)과 연결된 가요성 기계적 빔(176), 하부에 쓰기 워드라인(186)이 있는 3층의 금속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비휘발성을 위해 쓰기 워드라인(186) 상부에 전하 저장이 가능한 ONO 층(178)이 존재한다.
한편, 도 2는 한국 등록특허 제0842730호(이하, '선행기술 2'라 함)에 개시된 것으로, 기본적인 동작 원리는 선행기술 1과 동일하나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별도의 비트라인(220)을 하부에 구현하고 캔틸레버 전극 두개(250A)가 하나의 패드전극(252)을 공유하고 있다는 구조적 특징만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 및 2를 포함한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 및 한계가 있다.
첫째로,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캔틸레버 전극의 상하 이동으로 정보를 저장하므로 가급적 전극을 얇게 만들고 유연하면서도 피로도에 강한 전극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저전력과 고신뢰성 구현에 핵심적인 관건이나, 종래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비트라인에 캔틸레버 전극이 형성되는 관계로 캔틸레버 전극을 얇게 하고 새로운 전극물질을 사용하게 되면 비트라인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거나 높은 저항을 갖게 되는 문제가 있어, 종래기술로는 캔틸레버 전극 디자인의 최적화에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둘째로, 고집적 메모리의 구현을 위하여 셀면적의 최소화는 매우 중요하나, 종래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이에 충분히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선행기술 1의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비트라인(174)과 가요성 기계적 빔(176)이 동일한 금속층에 형성되어 셀과 셀을 연결하기 위해서 가요성 기계적 빔을 우회하는 비트라인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이는 면적의 손실을 가져온다. 또한 선행기술 2의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비트라인(220)이 별도의 금속층에 형성되어 비트라인의 우회로 인한 면적손실은 없으나 컨택홀을 형성하여 패드전극(252)에 캔틸레버 전극(250A)이 위치하여야 하는 관계로 정렬오차 등으로 인해 면적의 손실이 발생한다.
셋째로, 삼차원 집적 메모리 소자는 1 비트를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셀의 부피도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되는데(이는 1 비트의 저장을 위한 면적이 작더라도 높이가 높게 되면 수직 적층이 어려워 고용량 메모리의 구현이 어렵기 때문임), 종래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1 비트의 저장을 위해 적어도 3층의 금속 라인 층이 필요하여 3 비트를 수직으로 쌓으려면 적어도 9층의 금속선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동일 발명자에 의하여 도 3과 같은 H셀 구조를 갖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가 제안되어 한국 특허출원 제10-2009-0074168호로 특허출원된 바 있는데, 이에 의하면 단위 셀당 4비트 저장이 가능하여 고용량의 메모리 구현이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이러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공정 이 복잡하고, 비트라인 상하로 캔틸레버 빔이 부착되어 동작시 구조적으로 고정대 역할을 하는 비트라인이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게 될 수 밖에 없어, 신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각 비트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일측 혹은 좌우 대칭적으로 캔틸레버 전극을 2개까지 형성하고, 상부 보조 워드라인 또는 하부 보조 워드라인을 구비함으로써, 단위셀 당 2 비트까지 구현이 가능하면서도, 비트라인의 스트레스를 최소화 하여 구동 신뢰도를 높이며, 제조 공정의 난이도를 상당히 낮출 수 있는 "ㄱ형" 또는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소정의 평탄면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서 x축 방향으로 형성된 하부 보조 워드라인; 상기 하부 보조 워드라인과 수직으로 이격되며 y축 방향으로 형성된 비트라인; 상기 비트라인과 절연되며 수평으로 이웃하여 y축 방향으로 형성된 주요 워드라인; 상기 주요 워드라인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절연막; 상기 비트라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보조 워드라인과 상기 하부 절연막 사이에서 x축 방향으로 부양되도록 형성된 하부 캔틸레버 전극; 및 상기 비트라인과 상기 주요 워드라인을 지지하며 서로 절연시키는 층간절연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은 쓰기 동작시 비트라인과 주요 워드라인의 전압과 더불어 보조 워드라인의 전압을 이용하고, 읽기 동작시 비트라인과 보조 워드라인의 전압과 더불어 주요 워드라인의 전압을 이용하여 다중 비트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y축 방향으로 좌측 주요 워드라인/상부 좌측 절연막 및 우측 주요 워드라인/상부 우측 절연막을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제 1 층간절연막을 증착하고 평탄화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제 1 희생막을 증착하고, 상기 제 1 희생막 및 상기 제 1 층간절연막을 순차 식각하여 상기 좌측 주요 워드라인 및 상기 우측 주요 워드라인 사이에 y축 방향으로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캔틸레버 전극물질을 증착하고, 상기 캔틸레버 전극물질 및 상기 제 1 희생막을 순차 식각하여 x축 방향으로 복수개의 캔틸레버 전극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각 캔틸레버 전극을 둘러싸며 제 2 희생막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전면에 제 2 층간절연막을 증착하고, 상기 제 2 희생막이 드러나도록 평탄화시키는 제 5 단계; 상기 제 2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 2 희생막 상에 x축 방향으로 상부 보조 워드라인을 형성하는 제 6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제 3 층간절연막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상기 비트라인 상의 상기 제 2 희생막이 드러나도록 트렌치를 형성하는 제 7 단계; 상기 트렌치를 통하여 상기 제 1 희생막 및 상기 제 2 희생막을 제거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기판 전면에 제 4 층간절연막을 증착하고 평탄화시키는 제 9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비트라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일측 혹은 좌우 대칭적으로 캔틸 레버 전극을 2개까지 형성하고, 상부 보조 워드라인 또는 하부 보조 워드라인을 구비함으로써, 단위셀 당 2 비트까지 구현이 가능하고, 얼마든지 수직 적층이 가능하므로, 고용량 메모리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 비트라인의 스트레스 최소화로 구동 신뢰도를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동작방법은 다중 비트 및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며, 캔틸레버 전극과 보조 워드라인의 접촉에 의한 전류 센싱으로 읽기 동작을 하므로, 우주선 등의 영향으로 종래 메모리 소자가 사용될 수 없는 극한 상황에서도 동작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제조방법은 고온 공정이 필요없으므로, CMOS 공정에 의한 소자에 삼차원적으로 집적 가능한 고용량의 저전력 내장형 메모리를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보다 제조 공정을 상당히 단순화시킨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일 실시예인 T 셀을 단위 셀로 하는 소자 구조를 보여주는 각 층의 어레이 레이아웃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로 서로 다른 일 실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구조를 갖는 셀을 2층으로 수직 적층한 메모리의 일 요부 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의한 T 셀 소자의 동작원리를 비교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T 셀 소자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레이아웃 및 단면도이고, 도 12 내지 도 21은 도 4의 절단선(1)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T 셀 소자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공정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23은 도 21의 CC'선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공정을 거치며 형태는 달라져도 동일한 물질층이면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구조에 관한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도 5와 같이, 소정의 평탄면을 갖는 기판(미도시); 상기 기판 상에서 x축 방향으로 형성된 하부 보조 워드라인(73); 상기 하부 보조 워드라인과 수직으로 이격되며 y축 방향으로 형성된 비트라인(25); 상기 비트라인과 절연되며 수평으로 이웃하여 y축 방향으로 형성된 주요 워드라인(21 또는 23); 상기 주요 워드라인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절연막(31); 상기 비트라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보조 워드라인(73)과 상기 하부 절연막(31) 사이에서 x축 방향으로 부양되도록 형성된 하부 캔틸레버 전극(63); 및 상기 비트라인과 상기 주요 워드라인을 지지하며 서로 절연시키는 층간절연막(41, 43, 45)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하나의 단위셀 당 층간절연막(41, 43, 45)으로 지지되며 y축 방향으로 형성된 비트라인(25)의 하부 일측 또는 좌우 대칭되도록 제 1 방향으로 캔틸레버 전극을 1개(63A 또는 63B) 혹은 2개(63A 및 63B) 형성하며, 상기 캔틸레버 전극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며 쓰기와 읽기 를 하기 위해 하부에 보조워드라인(73)을 둔 것을 핵심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하나의 단위셀에 캔틸레버 전극(63)이 비트라인(25)에 부착되는 모습에 따라 다음 두가지로 구체화될 수 있다.
첫째는, 하나의 단위셀에 캔틸레버 전극(63)이 비트라인(25)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하, '회전된 ㄱ 셀 소자'라 함)이고, 둘째는 하나의 단위셀에 캔틸레버 전극(63)이 비트라인(25)의 하부 좌우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하, '회전된 T 셀 소자'라 함)이다.
상기 회전된 T 셀 소자는 도 5와 같이 구체화 될 수 있다.
즉, 상기 주요 워드라인은 상기 비트라인(25) 좌우 양측에 형성된 좌측 주요 워드라인(21)과 우측 주요 워드라인(23)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절연막은 상기 좌측 주요 워드라인(21) 및 상기 우측 주요 워드라인(23)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좌측 절연막(31A)과 하부 우측 절연막(31B)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보조 워드라인(73)은 상기 하부 좌측 절연막(31A), 상기 비트라인(25) 및 상기 하부 우측 절연막(31B)과 수직으로 이격되며 x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캔틸레버 전극(73)은 상기 비트라인(25)의 하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보조 워드라인(73)과 상기 하부 좌측 절연막(31A) 사이 및 상기 하부 보조 워드라인(73)과 상기 하부 우측 절연막(31B)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부양되도록 형성된 하부 좌측 캔틸레버 전극(63A)과 하부 우측 캔틸레버 전극(63B)으로 구성되고, 상기 층간절연막(41, 43, 45)은 상기 비트라인(25), 상기 좌측 주요 워드라인(21) 및 상기 우측 주요 워드라인(23)을 지지하며 서로 절연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된 T 셀 소자의 실시예가 후술할 T 셀 소자와의 구조적 차이점은 보조 워드라인과 좌, 우측 절연막이 상하 대칭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고, 제조공정상 차이로 인하여 층간절연막(45)이 비트라인(25)을 감싸며 캔틸레버 전극(63)까지 채워진다는 점에 있다.
후자의 차이점은 회전된 T 셀 소자의 제조시 희생막을 제거하기 위해 비트라인 주변으로 관통공을 형성한 다음 층간절연막을 채우기 때문인데, 이는 제조공정을 달리 할 경우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구조에 관한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도 6과 같이, 소정의 평탄면을 갖는 기판(10); 상기 기판 상에서 y축 방향으로 형성된 비트라인(26); 상기 비트라인과 절연되며 수평으로 이웃하여 y축 방향으로 형성된 주요 워드라인(22 또는 24); 상기 주요 워드라인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절연막(30); 상기 비트라인 및 상기 상부 절연막과 수직으로 이격되며 x축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보조 워드라인(74); 상기 비트라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과 상기 상부 절연막 사이에서 x축 방향으로 부양되도록 형성된 상부 캔틸레버 전극(64); 및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을 지지하며 상기 비트라인 및 상기 주요 워드라인을 서로 절연시키는 층간절연막(40, 4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한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또한 하나의 단위셀 당 y축 방향 으로 형성된 비트라인(26)의 상부 일측 또는 좌우 대칭되도록 제 1 방향으로 캔틸레버 전극을 1개(64A 또는 64B) 혹은 2개(64A 및 64B) 형성하며, 상기 캔틸레버 전극의 동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며 쓰기와 읽기를 하기 위해 상부에 보조워드라인(74)을 둔 것을 핵심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도 하나의 단위셀에 캔틸레버 전극(64)이 비트라인(26)에 부착되는 모습에 따라 다음 두가지로 구체화될 수 있다.
첫째는, 하나의 단위셀에 캔틸레버 전극(64)이 비트라인(26)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하, 'ㄱ 셀 소자'라 함)이고, 둘째는 하나의 단위셀에 캔틸레버 전극(64)이 비트라인(26)의 상부 좌우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하, 'T 셀 소자'라 함)이다.
상기 T 셀 소자는 도 6과 같이 구체화 될 수 있다.
즉, 상기 주요 워드라인은 상기 비트라인(26) 좌우 양측에 형성된 좌측 주요 워드라인(22)과 우측 주요 워드라인(24)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절연막은 상기 좌측 주요 워드라인(22) 및 상기 우측 주요 워드라인(24) 각각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좌측 절연막(30A)과 상부 우측 절연막(3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74)은 상기 상부 좌측 절연막(30A), 상기 비트라인(26) 및 상기 상부 우측 절연막(30B)과 수직으로 이격되며 x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캔틸레버 전극(64)은 상기 비트라인(26)의 상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74)과 상기 상부 좌측 절연막(30A) 사이 및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74)과 상기 상부 우측 절연막(30B)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부양되도록 형성된 상부 좌측 캔틸레버 전극(64A)과 상부 우측 캔틸레버 전극(64B)으로 구성되고, 상기 층간절연막(40, 42)은 상기 비트라인(26), 상기 좌측 주요 워드라인(22) 및 상기 우측 주요 워드라인(24)을 서로 절연시키게 된다.
상기 ㄱ 셀 소자 및 T 셀 소자 모두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가질 수 있다(상기 소자 구조에 관한 제 1 실시예의 회전된 ㄱ 셀 소자 및 회전된 T 셀 소자도 같은 원리로 생각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에서, 상부 절연막(30)에 전하가 저장되어 있지 않아, 비트라인(26)과 주요 워드라인(22 또는/및 24) 사이에 전위차가 없을 경우 즉,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엔 캔틸레버 전극(64A 또는/및 64B)의 복원력으로 풀아웃(pull-out)되며 메모리 기능을 상실하는 휘발성 메모리 특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반대로, 비트라인(26)과 주요 워드라인(22 또는/및 24) 사이에 전위차가 없을 경우 즉, 전원이 인가되지 않을 경우라도 캔틸레버 전극(64A 또는/및 64B)이 복원력으로 풀아웃(pull-out)되는 것을 극복할 만한 일정 전하를 상부 절연막(30)에 주입하여 비휘발성 메모리 특성을 가질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상부 절연막(30)에의 전하 주입은 제조 공정시 또는 공정 후 F-N 터널링 등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상부 절연막(30)은 각각 전하트랩층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유전층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전하트랩층은 실리콘 질화막(nitride)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공지의 ONO(Oxide/Nitride/Oxide) 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1과 같은 T 셀 소자의 실시예에 의한 단위셀의 단면도는 공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예시적으로 도 6, 도 22 및 도 23과 같다.
따라서, 상기 T 셀 소자의 실시예는, 도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비트라인(26)의 상부에 좌우로 캔틸레버 전극 2개(64A, 64B)가 갭(air gap) 속에 부양되며 대칭적으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하며, 상기 2개의 캔틸레버 전극(64A, 64B)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상부 보조 워드라인(74)이 형성되어 있어, 단위셀 당 2비트 동작이 가능하게 한 것을 핵심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상기 T 셀 소자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모습이므로 후술하기로 하나, 도 20 및 도 21에서 트렌치(45)를 메꾸기 위한 층간절연막(46)을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74) 상에도 증착되도록 하고, 이를 평탄화시켜 다음층에서의 기판(10)으로 사용하며, 도 7과 같이, 2개 이상의 층으로 적층함으로써, 종래보다 1 비트 저장하기 위한 셀부피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이 메모리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에 관한 실시예]
상기 T 셀 소자의 동작방법에 관한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쓰기 동작시 비트라인과 주요 워드라인의 전압과 더불어 보조 워드라인의 전압을 이용하고, 읽기 동작시엔 비트라인과 보조 워드라인의 전압과 더불어 주요 워드라인의 전압을 이용하여 다중 비트로 동작시키는 것을 핵심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우선, 도 8을 살펴보면, 주요 워드라인(MWL) 상부에 형성된 절연막에 전하가 없을 경우[도 8(a)]에는 비트라인(BL)과 주요 워드라인(MWL) 사이의 전압차(VBL-MWL)에 의하여 풀아웃(pull-out) 상태(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1 상태'라 함. 그러나 '0 상태'로 정의할 수도 있음)와 풀인(pull-in) 상태(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0 상태'라 함. 그러나 '1 상태'로 정의할 수도 있음)를 반복하며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커브를 그리게 되는데, VBL-MWL=0 일때 풀아웃 됨으로써, 휘발성 특성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8(a)에서 풀인될 때와 풀아웃될 때의 VBL-MWL 전압차를 히스테리시스 전압이라 하는데, 히스테리시스 전압이 작을수록 쓰기/지우기 전압을 낮출 수 있다.
그런데, 도 8(b)와 같이, 상기 절연막에 트랩된 전하가 있을 경우에는 히스테리시스 커브가 좌측으로 이동(shift)하게 됨으로써, VBL-MWL=0 일때 풀인 방향으로 캔틸레버 전극이 전연막을 향하여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비휘발성 특성을 가지게 된다.
나아가, 도 8(c)와 같이, 보조 워드라인(AWL)을 더 형성시켜 이에 전압(VAWL)을 인가할 경우(VAWL>0V) 히스테리시스 커브가 우측으로 이동되는 효과를 기져오게 됨으로써, 보조 워드라인(AWL)에 전압인가에 따라 히스테리시스 전압을 작게하여 쓰기/지우기 전압(구동전압)을 더욱 낮추어 저전력 구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고, T 셀 소자에서 2개의 캔틸레버 전극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2 비트 구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T 셀 소자의 구체적 구동의 일예는 블록의 모든 셀 지우기, 선별적 쓰기, 읽기 3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캔틸레버 전극이 풀인 상태로 될 때, 지운 상태로 정의하고, 풀아웃 상태를 쓴 상태로 정의하여 기술하나, 서로 반대로 정의하여 기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지우기 동작은, 도 9와 같이, 지우고자 하는 특정 층의 블록을 지나가는 상부 보조 워드라인(AWL 1, 2, 3; 74) 및 비트라인(BL 1, 2, 3; 26)에는 모두 동일한 기준전압 VREF(예컨대, 접지전압; 0V)을 인가하고, 상기 블록을 지나가는 모든 좌측 주요 워드라인(Left MWL 1, 2, 3; 22) 및 우측 주요 워드라인(Right MWL 1, 2, 3; 24)은 블록내의 모든 캔틸레버 전극(64A, 64B)을 풀인 상태로 할 수 있을 정도로 절연막(30)에 트랩된 전하에 따라 상기 기준전압 VREF보다 충분히 높거나 충분히 낮은 전압 VERS(예컨대, 높은 음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블록을 한꺼번에 지운다.
여기서, 블록이라 함은 하나 이상의 셀 조합을 말하므로, 하나의 셀, 더 나아가 하나의 셀 중 일측 캔틸레버 전극을 풀인시키며 지우기를 행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다음, 쓰기 동작은, 도 10과 같이, 지우기 동작이 수행된 블록에 있는 특정 셀의 일측에 '1'을 쓰기 위하여 상기 셀이 공유하는 비트라인(BL2; 26)에는 음의 전압을, 상기 셀의 일측을 지나는 주요 워드라인(Right MWL2; 24)과 보조 워드라 인(AWL2; 74)에는 양의 전압을 각각 인가하고, 나머지 라인들은 접지전압(0V)을 인가하여 상기 셀의 일측 캔틸레버 전극(64B)만 풀아웃시킴으로써 행하게 된다.
그리고, 읽기 동작은, 도 11과 같이, 특정 셀의 일측 상태를 읽기 위하여 상기 셀이 공유하는 비트라인(BL2; 26)에는 접지전압(0V)을, 상기 셀의 일측을 지나는 보조 워드라인(AWL2; 74)에는 충분히 높은 전압 VPGM을, 상기 셀의 타측을 지나는 주요 워드라인(Left MWL2; 22)에는 상기 접지전압보다 높고 상기 전압 VPGM보다 낮은 전압 VUNS을 각각 인가하여, 선택된 측의 주요 워드라인(Right MWL2; 24)과 동일한 전위차를 가지는 반대측 캔틸레버 전극(64A)은 그 상태를 유지한 채 읽고자 하는 측의 캔틸레버 전극(64B)만 선택된 보조 워드라인(AWL2; 74)에 닿았는지 여부로 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읽기 동작시 선택된 주요 워드라인(Right MWL2; 24)과 그렇지 않은 비선택된 주요 워드라인(Left MWL2; 22)에도 서로 다른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도 7(c)와 같은 원리로 동일한 단위셀 내에 있는 2개의 캔틸레버 전극을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보조 워드라인에 닿도록 하며 쓰기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11과 같이 상부 보조 워드라인(AWL2; 74)을 읽고자 선택하였을 경우 각 셀의 좌, 우 주요 워드라인에 전압을 서로 바꾸어 가며 순차적으로 읽어 나갈 수 있어, 빠른 읽기 동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읽기 동작을 할 경우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특성인 인접 셀과의 간섭을 전혀 받지 않게 되는 장점을 살릴 수 있다. 도 11에서 BL2에서만 I2 전류 를 센싱하게 되고, BL1의 I1 및 BL3의 I3는 누설전류 크기를 갖는 것에 불과하여 무시할 수 있게 된다.
기타, 도 9 내지 도 11에서 작은 원 속에 0은 접지전압, +는 낮은 양의 전압, ++는 높은 양의 전압, -은 낮은 음의 전압, --는 높은 음의 전압을 각각 나타낸다.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
이하, 상기 T 셀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 12 내지 도 23을 참조하며 설명한다.
먼저, 도 12와 같은 기판(10) 상에, 도 13과 같이, y축 방향으로 좌측 주요 워드라인(22)/상부 좌측 절연막(30) 및 우측 주요 워드라인(24)/상부 우측 절연막(30)을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한다(제 1 단계).
여기서, 상기 좌, 우측 주요 워드라인(22)(24)은 금, 은, 구리, 알루미늄, 텅스텐, 텅스텐 실리사이드, 티타늄, 질화 티타늄, 탄탈륨, 탄탈륨 실리사이드와 같이 도전성 금속 재질 뿐만 아니라 불순물이 도핑된 실리콘계 물질(다결정 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 우측 절연막(30)은 각각 전하트랩층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유전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전하트랩층은 실리콘 질화막(nitride)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공지의 ONO(Oxide/Nitride/Oxide) 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 상기 기판 전면에 제 1 층간절연막(40)을 증착하고, 도 14와 같이, 평탄화시킨다(제 2 단계).
다음, 도 15와 같이, 상기 기판 전면에 제 1 희생막(50)을 증착하고, 도 16과 같이, 상기 제 1 희생막(50) 및 상기 제 1 층간절연막(40)을 순차 식각하여 상기 좌측 주요 워드라인(22) 및 상기 우측 주요 워드라인(24) 사이에 y축 방향으로 비트라인(26)을 형성한다(제 3 단계).
여기서, 상기 제 1 희생막(50)은 상기 제 1 층간절연막(40)과 식각 선택비가 높은 물질로 예컨대, 실리콘계 물질(다결정 실리콘, 비정질 실리콘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 상기 기판 전면에 캔틸레버 전극물질을 증착하고, 상기 캔틸레버 전극물질 및 상기 제 1 희생막을 순차 식각하여, 도 17과 같이, x축 방향으로 복수개의 캔틸레버 전극(62, 64)을 형성한다(제 4 단계).
여기서, 상기 캔틸레버 전극(62, 64)은 타타늄, 질화 티타늄과 같이 도전성 금속재질 또는 탄소 나노튜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각 캔틸레버 전극을 둘러싸며 제 2 희생막(54)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전면에 제 2 층간절연막(42)을 증착하고, 도 18과 같이, 상기 제 2 희생막(54)이 드러나도록 평탄화시킨다(제 5 단계).
여기서, 상기 제 2 희생막(54)은 상기 제 1 희생막과 동일한 물질이다.
다음, 도 19와 같이, 상기 제 2 층간절연막(54) 및 상기 제 2 희생막(42) 상에 x축 방향으로 상부 보조 워드라인(72, 74)을 형성한다(제 6 단계).
여기서,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72, 74)은 상기 좌, 우측 주요 워드라인(22)(24)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각 캔틸레버 전극(62, 64) 상에 캔틸레버 전극과 동일한 선폭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어, 도 20과 같이, 상기 기판 전면에 제 3 층간절연막(44)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상기 비트라인(26) 상의 상기 제 2 희생막(54)이 드러나도록 트렌치(45)를 형성한다(제 7 단계).
여기서, 상기 트렌치(45)는 후속공정에서 상기 제 1, 2 희생막(52)(54)을 식각시켜 돌출된 캔틸레버 전극(62, 64)을 부양시키기 위함이므로, 상기 비트라인(26) 상에서 최소 폭을 갖도록 트렌치(45)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트렌치(45)를 통하여 상기 제 1 희생막(52) 및 상기 제 2 희생(54)막을 제거한다(제 8 단계).
여기서, 상기 제 1, 2 희생막(52)(54)의 제거는 등방성 식각용액 또는 등방성 반응 가스를 이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반응 가스로는 CxFy계나 CaHbFc계와 같은 불화 탄소계 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 도 21과 같이, 상기 기판 전면에 제 4 층간절연막(46)을 증착하고 평탄화시킨다(제 9 단계).
이때, 상기 제 4 층간절연막(46)은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72, 74) 상에서 평탄화되어 다음층의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 4 층간절연막(46)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제 1 단계 내지 상기 제 9 단계를 반복하면, 도 7과 같이, 2개 이상의 층으로 적층된 전기기계메모리 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층간절연막(40, 42, 44, 46)은 동일한 물질로, 실리콘산화막 또는 TEO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타, 나머지 공정은 통상의 CMOS의 공정 및 공지의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공정에 의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선행기술에 의한 비휘발성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동일 발명자에 의하여 선출원된 H 셀을 단위 셀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일 실시예인 T 셀을 단위 셀로 하는 소자 구조를 보여주는 각 층의 어레이 레이아웃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A'선 단면도로 서로 다른 일 실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조를 갖는 셀을 2층으로 수직 적층한 메모리의 일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의한 T 셀 소자의 동작원리를 비교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T 셀 소자의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레이아웃 및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21은 도 4의 절단선(1)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T 셀 소자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공정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CC'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기판 21, 22: 좌측 주요 워드라인
23, 24: 우측 주요 워드라인 25, 26: 비트라인
30, 31: 좌, 우측 절연막 40 내지 46: 층간절연막
45: 트렌치 50, 52, 54: 희생막
54A: 에어갭(air gap) 62, 63, 64: 캔틸레버 전극
72, 74: 상부 보조 워드라인 73: 하부 보조 워드라인

Claims (15)

  1. 소정의 평탄면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서 x축 방향으로 형성된 하부 보조 워드라인;
    상기 하부 보조 워드라인과 수직으로 이격되며 y축 방향으로 형성된 비트라인;
    상기 비트라인과 절연되며 수평으로 이웃하여 y축 방향으로 형성된 주요 워드라인;
    상기 주요 워드라인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절연막;
    상기 비트라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보조 워드라인과 상기 하부 절연막 사이에서 x축 방향으로 부양되도록 형성된 하부 캔틸레버 전극; 및
    상기 비트라인과 상기 주요 워드라인을 지지하며 서로 절연시키는 층간절연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2. 제 1 항 에 있어서,
    상기 주요 워드라인은 상기 비트라인 좌우 양측에 형성된 좌측 주요 워드라인과 우측 주요 워드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절연막은 상기 좌측 주요 워드라인 및 상기 우측 주요 워드라인 각각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좌측 절연막과 하부 우측 절연막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보조 워드라인은 상기 하부 좌측 절연막, 상기 비트라인 및 상기 하부 우측 절연막과 수직으로 이격되며 x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캔틸레버 전극은 상기 비트라인의 하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보조 워드라인과 상기 하부 좌측 절연막 사이 및 상기 하부 보조 워드라인과 상기 하부 우측 절연막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부양되도록 형성된 하부 좌측 캔틸레버 전극과 하부 우측 캔틸레버 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층간절연막은 상기 비트라인, 상기 좌측 주요 워드라인 및 상기 우측 주요 워드라인을 지지하며 서로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3. 소정의 평탄면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서 y축 방향으로 형성된 비트라인;
    상기 비트라인과 절연되며 수평으로 이웃하여 y축 방향으로 형성된 주요 워드라인;
    상기 주요 워드라인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절연막;
    상기 비트라인 및 상기 상부 절연막과 수직으로 이격되며 x축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보조 워드라인;
    상기 비트라인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과 상기 상부 절연막 사이에서 x축 방향으로 부양되도록 형성된 상부 캔틸레버 전극; 및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을 지지하며 상기 비트라인 및 상기 주요 워드라인을 서로 절연시키는 층간절연막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워드라인은 상기 비트라인 좌우 양측에 형성된 좌측 주요 워드라인과 우측 주요 워드라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절연막은 상기 좌측 주요 워드라인 및 상기 우측 주요 워드라인 각각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좌측 절연막과 상부 우측 절연막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은 상기 상부 좌측 절연막, 상기 비트라인 및 상기 상부 우측 절연막과 수직으로 이격되며 x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캔틸레버 전극은 상기 비트라인의 상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과 상기 상부 좌측 절연막 사이 및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과 상기 상부 우측 절연막 사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부양되도록 형성된 상부 좌측 캔틸레버 전극과 상부 우측 캔틸레버 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층간절연막은 상기 비트라인, 상기 좌측 주요 워드라인 및 상기 우측 주요 워드라인을 서로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좌측 절연막 및 상기 상부 우측 절연막은 각각 전하가 저장되어 있지 않아 휘발성 메모리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좌측 절연막 및 상기 상부 우측 절연막은 각각 전하트랩층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유전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트랩층은 실리콘 질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8. 제 4 항에 의한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쓰기 동작시는 비트라인과 주요 워드라인의 전압과 더불어 보조 워드라인의 전압을 이용하고,
    읽기 동작시는 비트라인과 보조 워드라인의 전압과 더불어 주요 워드라인의 전압을 이용하여 다중 비트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 자의 동작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지우고자 하는 블록을 지나가는 상부 보조 워드라인 및 비트라인에는 모두 동일한 기준전압 VREF을 인가하고,
    상기 블록을 지나가는 좌측 주요 워드라인 및 우측 주요 워드라인은 모두 상기 기준전압 VREF보다 높거나 낮은 전압 VERS을 인가하여, 상기 블록을 한꺼번에 지우기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우기 동작이 수행된 블록에 있는 특정 셀의 일측에 '1'을 쓰기 위하여 상기 셀이 공유하는 비트라인에는 음의 전압을, 상기 셀의 일측을 지나는 주요 워드라인과 보조 워드라인에는 양의 전압을 각각 인가하고, 나머지 라인들은 접지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특정 셀의 일측 상태를 읽기 위하여 상기 셀이 공유하는 비트라인에는 접지전압을, 상기 셀의 일측을 지나는 보조 워드라인에는 상기 접지전압보다 높은 전압 VPGM을, 상기 셀의 타측을 지나는 주요 워드라인에는 상기 접지전압보다 높고 상기 전압 VPGM보다 낮은 전압 VUNS을 각각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동작방법.
  12. 기판 상에 y축 방향으로 좌측 주요 워드라인/상부 좌측 절연막 및 우측 주요 워드라인/상부 우측 절연막을 각각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제 1 층간절연막을 증착하고 평탄화시키는 제 2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제 1 희생막을 증착하고, 상기 제 1 희생막 및 상기 제 1 층간절연막을 순차 식각하여 상기 좌측 주요 워드라인 및 상기 우측 주요 워드라인 사이에 y축 방향으로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캔틸레버 전극물질을 증착하고, 상기 캔틸레버 전극물질 및 상기 제 1 희생막을 순차 식각하여 x축 방향으로 복수개의 캔틸레버 전극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상기 각 캔틸레버 전극을 둘러싸며 제 2 희생막을 형성하고, 상기 기판 전면에 제 2 층간절연막을 증착하고, 상기 제 2 희생막이 드러나도록 평탄화시키는 제 5 단계;
    상기 제 2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 2 희생막 상에 x축 방향으로 상부 보조 워드라인을 형성하는 제 6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제 3 층간절연막을 증착하고 식각하여 상기 비트라인 상의 상기 제 2 희생막이 드러나도록 트렌치를 형성하는 제 7 단계;
    상기 트렌치를 통하여 상기 제 1 희생막 및 상기 제 2 희생막을 제거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기판 전면에 제 4 층간절연막을 증착하고 평탄화시키는 제 9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희생막 및 상기 제 2 희생막은 실리콘계물질이고,
    상기 제 1 희생막 및 상기 제 2 희생막의 제거는 등방성 식각용액 또는 등방성 반응 가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 및 상기 복수개의 캔틸레버 전극은 서로 동일한 선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층간절연막은 상기 상부 보조 워드라인 상에서 평탄화되어 다음층의 기판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 1 단계 내지 상기 제 9 단계를 반복하며 2개 이상의 층으로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90097685A 2009-10-14 2009-10-14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KR101035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685A KR101035537B1 (ko) 2009-10-14 2009-10-14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685A KR101035537B1 (ko) 2009-10-14 2009-10-14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425A KR20110040425A (ko) 2011-04-20
KR101035537B1 true KR101035537B1 (ko) 2011-05-23

Family

ID=44046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685A KR101035537B1 (ko) 2009-10-14 2009-10-14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55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975B1 (ko) 2011-09-07 2012-12-2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비대칭 h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KR101325639B1 (ko) 2011-09-07 2013-11-0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비대칭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KR101383760B1 (ko) * 2012-07-23 2014-04-1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67B1 (ko) * 2012-07-23 2014-07-0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T셀 구조를 갖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4219A (ko) * 2006-08-10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기계적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4829B1 (ko) 2006-12-19 2008-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비트 전기 기계적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103264A (ko) * 2007-05-23 2008-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비트 전기 기계적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44165B1 (ko) 2009-08-12 2010-02-2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4219A (ko) * 2006-08-10 2008-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기계적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834829B1 (ko) 2006-12-19 2008-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비트 전기 기계적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103264A (ko) * 2007-05-23 2008-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비트 전기 기계적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44165B1 (ko) 2009-08-12 2010-02-2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4975B1 (ko) 2011-09-07 2012-12-2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비대칭 h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KR101325639B1 (ko) 2011-09-07 2013-11-0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비대칭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KR101383760B1 (ko) * 2012-07-23 2014-04-10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425A (ko)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660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erroelectric materia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200083296A1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device
JP7207859B2 (ja) 3次元半導体メモリ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34829B1 (ko) 멀티 비트 전기 기계적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00038703A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JP2010010596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790494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multi-bit electro-mechanical memory device
JP2005268418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0246963B (zh) 半导体存储装置及其制造方法
US7868401B2 (en) Multibit electro-mechanical memory device having at least one cantilever electrode and at least one gate l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50273B1 (ko) 멀티 비트 전기 기계적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3655175B2 (ja) 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20110119156A (ko) 차폐전극을 갖는 3차원 수직형 메모리 셀 스트링, 이를 이용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CN110277404A (zh) 3d存储器件及其制造方法
US20070047303A1 (e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cell transistor and related method
KR101035537B1 (ko)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KR20080036277A (ko) 전기적-기계적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202521B2 (en) Silicon-oxide-nitride-oxide-silicon (SONOS) memory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operating the same
KR100807222B1 (ko) 전기적- 기계적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44165B1 (ko)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KR100803690B1 (ko) 전기적- 기계적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92296B1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1538829B2 (en) Memory device with first switch and word line switches comprising a common control electrod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383760B1 (ko)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214975B1 (ko) 비대칭 h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