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760B1 -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760B1
KR101383760B1 KR1020120080278A KR20120080278A KR101383760B1 KR 101383760 B1 KR101383760 B1 KR 101383760B1 KR 1020120080278 A KR1020120080278 A KR 1020120080278A KR 20120080278 A KR20120080278 A KR 20120080278A KR 101383760 B1 KR101383760 B1 KR 101383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line
cantilever electrode
write
bit line
read 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413A (ko
Inventor
최우영
Original Assignee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80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7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Landscapes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층의 도전 층으로 수평방향으로 쓰기 워드라인, 비트라인 및 읽기 워드라인을 형성하고 비트라인의 일측에 캔틸레버 전극을 일체로 형성하여 쓰기 워드라인과 읽기 워드라인 사이로 수평 구동할 수 있게 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를 단위 메모리 셀로 복수 개 배열한 2개 이상의 셀 스트링을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적층하고, 상하층의 비트라인은 각 층의 라인 형성시 동시에 형성된 컨택 플러그를 통하여 수직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어레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LATERALLY-ACTUATED ELECTROMECHANICAL MEMOR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기계 메모리(electromechanical memory) 소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전성 캔틸레버 빔(conductive cantilever beam; 이하, '캔틸레버 전극'이라 함)이 수평으로 구동하는 구조를 갖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저전력 내장형(embedded) 메모리 칩에 대한 시장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메모리 소자는 CMOS baseline 공정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되게 되는데, 이는 면적의 손실, 성능 저하, 수율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다양한 메모리 소자가 연구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반도체 소자가 아닌 기계적으로 움직이는 소자를 이용하여 메모리를 구현하려는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비휘발성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이다.
도 1은 PCT 공개번호 제2007/130919호(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에 개시된 것으로, 상부에 읽기 워드라인(172), 중앙부 갭(188) 사이에 비트라인(174)과 연결된 가요성 기계적 빔(176), 하부에 쓰기 워드라인(186)이 있는 3층의 금속선으로 구성되어 있고, 비휘발성을 위해 쓰기 워드라인(186) 상부에 전하 저장이 가능한 ONO 층(178)이 존재한다.
한편, 도 2는 한국 등록특허 제0842730호(이하, '선행기술 2'라 함)에 개시된 것으로, 기본적인 동작 원리는 선행기술 1과 동일하나 집적도를 높이기 위해 별도의 비트라인(220)을 하부에 구현하고 캔틸레버 전극 두개(250A)가 하나의 패드전극(252)을 공유하고 있다는 구조적 특징만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 및 2를 포함한 종래기술은 모두 캔틸레버 전극이 수직 방향으로 구동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종래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하나의 셀을 형성하기 위해 3층 이상의 금속막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집적도에도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1 비트의 저장을 위해 적어도 3층의 금속 층이 필요하여 3 비트를 수직으로 쌓으려면 적어도 9층의 금속 막을 형성하여야 함).
둘째,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캔틸레버 전극이 움직일 수 있도록 미세 에어 갭(air gap) 형성이 요구되는데, 종래 기술에 의하면, 고가의 CVD 증착 공정만으로 nano 크기의 air gap을 형성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캔틸레버 전극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한 수직 구조에서는 구조적으로 air gap이 제대로 형성되었는지 검사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셋째, 수직으로 구동하는 캔틸레버 전극들이 평행하게 존재하므로 상호 간의 간섭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별도의 사진식각공정을 통하여 컨택 영역을 형성하여야 하고, 종래기술에 의한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로 경로변경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게 되면 금속 층(metal layer)이 바뀌게 되어 reconfigurable 연산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 구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하나의 메모리 셀 소자를 구현하기 위해 1층의 도전 층으로 수평방향으로 쓰기 워드라인, 비트라인 및 읽기 워드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비트라인의 일측에 캔틸레버 전극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쓰기 워드라인과 읽기 워드라인 사이로 수평 구동할 수 있게 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를 단위 메모리 셀로 복수 개 배열한 2개 이상의 셀 스트링을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적층하고, 상하층의 비트라인은 각 층의 라인 형성시 동시에 형성된 컨택 플러그를 통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소정의 평탄면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각각 국부적으로 형성된 절연막으로 지지되며 제 1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쓰기 워드라인과 읽기 워드라인; 상기 쓰기 워드라인과 상기 읽기 워드라인 사이에서 상기 기판의 수직방향으로 전기적 컨택이 가능하게 형성된 비트라인; 및 상기 비트라인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수평방향과 수직한 제 2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기판상에서 부양되도록 상기 비트라인과 일체로 형성된 캔틸레버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쓰기 워드라인, 상기 읽기 워드라인, 상기 비트라인 및 상기 캔틸레버 전극은 동일한 도전층으로 각각 상기 기판으로부터 동일거리 떨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쓰기 워드라인과 상기 읽기 워드라인은 상기 캔틸레버 전극을 향하는 부위에 각각 쓰기 돌출부 및 읽기 돌출부를 갖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캔틸레버 전극과 마주보는 상기 쓰기 돌출부의 측벽 및 상기 쓰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캔틸레버 전극의 측벽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전하트랩 스페이서가 더 형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트라인은 상기 기판상에서 적어도 컨택 플러그로 지지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택 플러그는 측면으로 상기 절연막과 동일한 물질이 더 감싸진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어레이는 상기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를 단위 메모리 셀로 하여 상기 제 2 수평방향으로 상기 비트라인이 일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메모리 셀이 복수 개 배열한 제 1 셀 스트링; 및 상기 제 1 셀 스트링을 180도 회전시킨 구조를 갖는 제 2 셀 스트링으로 상기 쓰기 워드라인 또는 상기 읽기 워드라인과 공유하도록 상기 제 1 셀 스트링 일측에서 상기 제 1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판상에 상기 제 1 셀 스트링과 상기 제 2 셀 스트링이 상기 제 1 수평방향으로 한번 이상 교대로 반복되어 형성된 메모리 어레이층이 상기 각 비트라인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컨택 플러그와 상기 각 쓰기 워드라인 및 상기 각 읽기 워드라인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복수 층으로 수직 적층 되고, 상기 각 컨택 플러그를 통하여 상하 메모리 어레이층의 상기 각 비트라인을 수직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어레이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컨택 플러그는 측면으로 상기 절연막과 동일한 물질이 더 감싸진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어레이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은 소정의 평탄면을 갖는 기판상에 절연막 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절연막 층 상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도전층을 식각하여 쓰기 워드라인, 읽기 워드라인, 비트라인 및 캔틸레버 전극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쓰기 워드라인, 읽기 워드라인, 비트라인 및 캔틸레버 전극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절연막 층을 식각하여, 상기 캔틸레버 전극이 상기 기판상에서 부양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사이에는, 상기 캔틸레버 전극의 폭, 상기 캔틸레버 전극과 상기 쓰기 워드라인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캔틸레버 전극과 상기 읽기 워드라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미세 패턴 형성 공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사이에는, 상기 캔틸레버 전극과 상기 쓰기 워드라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제 1 미세 패턴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미세 패턴의 길이 방향으로 일 측벽 또는 마주보는 양 측벽에 전하트랩 스페이서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 1 미세 패턴 형성 공정 이후에 상기 전하트랩 스페이서 형성 공정과 함께 또는 상기 전하트랩 스페이서 형성 공정을 전후하여 상기 캔틸레버 전극의 폭 및 상기 캔틸레버 전극과 상기 읽기 워드라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제 2 미세 패턴 형성 공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절연막 층 상에 비트라인 컨택 플러그용 컨택 홀, 쓰기 워드라인 지지용 컨택 홀 및/또는 읽기 워드라인 지지용 컨택 홀을 형성하고, 상기 각 지지용 컨택 홀을 채우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절연막 층의 식각은 상기 절연막 층이 상기 쓰기 워드라인, 상기 읽기 워드라인 및 상기 비트라인의 각 하부에 국부적으로 남아 있도록 식각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1층의 도전 층으로 수평방향으로 쓰기 워드라인, 비트라인 및 읽기 워드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비트라인의 일측에 캔틸레버 전극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쓰기 워드라인과 읽기 워드라인 사이로 수평 구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직 적층에 의한 집적도를 종래보다 현저히 높일 수 있고, 캔틸레버 전극이 이웃 쓰기 및 읽기 워드라인(배선)에 의하여 차폐되어 수평 셀 간의 간섭문제를 해결하며, 캔틸레버 전극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경로변경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여도 동일한 도전 층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제조방법은 캔틸레버 전극, 쓰기 및 읽기 워드라인과 캔틸레버 전극 사이 간격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진공정과 함께, 전자빔(e-beam), 이온빔(FIB: focused ion beam), nanoimprint 공정 및 mix-and-match 방식의 공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보다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고, 캔틸레버 전극 컨택은 비트라인 형성시 컨택 플러그를 동시에 형성하는 방법에 의하므로, 별도의 사진식각공정을 거칠 필요가 없으며, 단일의 도전층으로 셀 소자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단일막 증착으로 간단하게 새로운 캔틸레버 전극 물질을 검증할 수 있고, 나아가 쓰기 워드라인과 캔틸레버 전극 사이의 마주보는 측벽에 전하트랩 스페이서 형성 공정을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휘발성/비휘발성 메모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어레이는 상기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를 단위 메모리 셀로 복수 개 배열한 2개 이상의 셀 스트링을 180도 대칭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적층하고, 상하층의 비트라인은 각 층의 라인 형성시 동시에 형성된 컨택 플러그를 통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평면상의 면적뿐만 아니라 입체적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집적도를 높인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선행기술에 의한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공정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8의 AA'선 단면도 및 BB'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구조를 갖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을 일부 보여주는 공정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을 일부 보여주는 공정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을 일부 보여주는 공정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모습으로 도 8의 구조를 갖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를 단위 셀로 하여 수직으로 적층된 어레이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구조가 수평으로 확장된 모습을 보여주는 어레이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구조에 관한 실시예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기본적으로, 도 8, 도 13, 도 16 및 도 21에 공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평탄면을 갖는 기판(10); 상기 기판상에 각각 국부적으로 형성된 절연막(22)으로 지지되며 제 1 수평방향(예컨대, x축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쓰기 워드라인(50)과 읽기 워드라인(70); 상기 쓰기 워드라인(50)과 상기 읽기 워드라인(70) 사이에서 상기 기판(10)의 수직방향(예컨대, z축 방향)으로 전기적 컨택이 가능하게 형성된 비트라인(60); 및 상기 비트라인(60)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수평방향(x축 방향)과 수직한 제 2 수평방향(예컨대, y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기판(10)상에서 부양되도록 상기 비트라인(60)과 일체로 형성된 캔틸레버 전극(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동일한 층에 쓰기 워드라인(50), 비트라인(60) 및 읽기 워드라인(70)을 형성하고 상기 비트라인(60)의 일측에 캔틸레버 전극(62)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캔틸레버 전극(62)이 상기 쓰기 워드라인(50)과 읽기 워드라인(70) 사이로 수평 구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도 23 및 도 24에서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것과 같이, 수직 적층에 의한 집적도를 종래보다 현저히 높일 수 있고, 캔틸레버 전극(62)이 이웃 쓰기 및 읽기 워드라인(50, 70)에 의하여 차폐되어 수평 셀 간의 간섭문제를 해결하며, 도 11과 같이, 캔틸레버 전극(62)의 움직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경로변경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여도 동일한 도전 층을 유지할 수 있음으로 시스템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구조는 제조방법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쓰기 워드라인(50), 비트라인(60), 캔틸레버 전극(62) 및 읽기 워드라인(70) 형성 후 하부 절연막을 식각하여 캔틸레버 전극(62)을 기판(10)상으로 부양시키며, 쓰기 워드라인(50) 및 읽기 워드라인(70)은 국부적으로 형성된 절연막으로 지지 되게 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쓰기 워드라인(50) 및 상기 읽기 워드라인(70)을 각각 지지하기 위한 절연막 구조는, 9a와 같이, 하부 절연막 식각시 국부적으로 남긴 절연막(22)으로, 또는 도 9b와 같이, 별도 국부적으로 형성된 지지용 절연막 기둥(80)과 상기 지지용 절연막 기둥(80)에 하부 절연막 식각시 남은 절연막(22)이 감싸는 구조로, 또는 도 9b에서 절연막(22) 없이 지지용 절연막 기둥(80)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트라인(60)은, 도 10을 참조하여 볼 때, 상기 기판(10)상에서 컨택 플러그(61)로만 지지 될 수 있고, 상기 컨택 플러그(61)의 측면으로 상기 절연막과 동일한 물질(22)이 더 감싼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후자의 구조는 컨택 플러그(61)의 직경과 절연막(20) 식각 공정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캔틸레버 전극(62)이, 도 11과 같이, 수평 회전 가능하게 부양되는 정도이면, 도 10과 같이, 컨택 플러그(61)의 측면으로 절연막(22)이 감싸도록 함이 구조적 견고성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도 8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에서, 상기 쓰기 워드라인(50)과 상기 읽기 워드라인(70)은 상기 캔틸레버 전극(62)을 향하는 부위에 각각 쓰기 돌출부(52) 및 읽기 돌출부(72)를 갖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캔틸레버 전극(62)이 쓰기 워드라인(50)과 읽기 워드라인(70)을 향하는 측면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캔틸레버 전극(62)의 수평 회전 각도가 작게 되어, 구동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캔틸레버 전극(62)의 컨택 즉, 컨택 플러그(61)를 형성하기 위한 면적을 확보하면서도 평면적 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캔틸레버 전극(62)과 마주보는 쓰기 돌출부(52)의 측벽 및 쓰기 돌출부(52)와 마주보는 캔틸레버 전극(62)의 측벽에는 각각 전하트랩 스페이서(42)(44)가 형성되어, 비휘발성 메모리 셀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의 AA'선 단면도를, 도 10은 BB'선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구조를 잘 파악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본 실시예에 의한 소자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고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평탄면을 갖는 것이면 어떤 것도 가능하나, 상기 비트라인(60)의 배선을 상기 컨택 플러그(61)를 통하여 기판(10)에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도체 기판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절연막(22)을 산화막으로 형성시에는 실리콘 기판으로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비트라인(60)의 배선을 반도체 기판(10)에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기판(10)의 도전형과 반대되는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 도핑 라인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22)은 상기 기판(10)으로 실리콘 기판을 사용할 경우,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b와 같이 또는 별도의 지지용 절연막 기둥(80)만으로 쓰기 워드라인(50) 및 읽기 워드라인(70)의 지지 절연막 구조를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절연막(22)과 식각률이 다른 절연물질, 예컨대 상기 절연막(22)이 실리콘 산화막일 경우 알루미늄 산화막(Al2O3)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쓰기 워드라인(50), 비트라인(60), 캔틸레버 전극(62) 및 읽기 워드라인(70)은, 동일한 도전 층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여기서 도전 층은 금속막뿐만 아니라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층(예컨대, 실리콘계 막: 폴리실리콘막, 비정질실리콘막 등) 혹은 탄소 나노튜브나 그래핀과 같은 물질일 수 있고, 상기 캔틸레버 전극(62)은 유연하면서도 피로도에 강한 물질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기 도전 층의 물질을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하트랩 스페이서(42)(44)는 전자(electron)나 홀(hole)을 축적할 수 있는 물질이면 어떤 것으로도 형성 가능하고, 공지의 질화막(nitride)이나 각 측벽으로부터 산화막(Oxide)/질화막(Nitride)/산화막(Oxide) 순으로 적층된 ONO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하트랩 스페이서(42)(44)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sidewall) 형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전하트랩 스페이서(42)(44)로의 전하 주입은 제조 공정시 또는 공정 후 F-N 터널링 등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다음, 도 11을 참조하며 본 실시예의 동작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쓰기 워드라인(50)과 비트라인(60)에 인가된 전압 차에 의하여 캔틸레버 전극(62)은 쓰기 워드라인(50)의 쓰기 돌출부(52) 쪽으로의 휘어짐이 결정되는데, 캔틸레버 전극(62)이 쓰기 돌출부(52) 쪽으로 휘어진 상태를 풀인(pull-in) 상태(이를 '0 상태'라 함. 그러나 '1 상태'로 정의할 수도 있음)와 그렇지 않은 상태를 풀아웃(pull-out) 상태(이를 '1 상태'라 함. 그러나 '0 상태'로 정의할 수도 있음)로 쓰기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전하트랩 스페이서(42)(44)에 서로 반대 극성의 전하가 저장된 경우에는 용이하게 풀인(pull-in) 상태로 되어 쓰기 구동전압을 낮출 수 있고, 쓰기 구동전압이 인가되지 않더라도 상기 전하트랩 스페이서(42, 44)에 저장된 전하의 정전기력에 의하여 풀인(pull-in)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읽기 동작은 읽기 워드라인(70)과 비트라인(60) 사이에 일정 읽기 구동전압을 인가하였을 경우 캔틸레버 전극(62)이 상기 쓰기 동작과 반대의 수평방향으로 휘어지며 읽기 워드라인(70)의 읽기 돌출부(72)와 접촉하는지 여부로 읽게 된다. 즉, 읽기 워드라인(70)과 비트라인(60) 사이에 일정 크기의 읽기 구동전압을 인가할 경우 풀인(pull-in) 상태에서는 캔틸레버 전극(62)이 읽기 돌출부(72)와 접촉하지 못하게 되나, 풀아웃(pull-out) 상태에서는 캔틸레버 전극(62)이 읽기 돌출부(72)와 접촉하게 되어, 이로 인한 읽기 워드라인(70)과 비트라인(60)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센싱함으로써, 셀의 메모리 상태를 읽게 된다.
풀아웃(pull-out) 상태에서 읽기 동작으로 캔틸레버 전극(62)이 읽기 돌출부(72)와 접촉하게 된 이후에 읽기 구동전압을 제거하면, 캔틸레버 전극(62)은 빔(beam)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돌아가고, 풀인(pull-in) 상태에서는 읽기 구동전압 인가 여부에 관계없이 원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지우기 동작은 풀인(pull-in) 상태에서 풀아웃(pull-out) 상태로 될 수 있을 정도의 전압조건으로 각 라인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면 되는데, 일 예로, 쓰기 워드라인(50)은 플로팅(floating)시키거나 비트라인(60)과 동일한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상기 읽기 구동전압보다 큰 전압을 읽기 워드라인(70)과 비트라인(60) 사이에 인가하였다가 제거하면 캔틸레버 전극(62)이 읽기 돌출부(72) 쪽으로 이동 후 빔의 복원력에 의하여 초기 상태(캔틸레버 전극이 휘지 않은 상태)로 된다.
다른 동작방법은, 먼저 지우기 동작으로 상기와 반대로 동일 비트라인(60)에 연결된 블록 내의 모든 캔틸레버 전극(62)이 쓰기 돌출부(52)로 휘어진 상태, 즉 모두 풀인(pull-in) 상태로 하고, 쓰기 동작은 모두 풀인(pull-in) 상태에서 특정 셀의 캔틸레버 전극만 풀아웃(pull-out) 상태로 하는 것으로, 그리고 읽기 동작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도 13 및 도 14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쓰기 돌출부(52)의 측벽에만 전하트랩 스페이서(42)가 형성된 점에 차이점이 있다.
다른 구성이나 동작방법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 3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도 16 및 도 17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쓰기 돌출부(52)가 마주보는 캔틸레버 전극(62)의 측벽에만 전하트랩 스페이서(44)가 형성된 점에 차이점이 있다.
다른 구성이나 동작방법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 4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는, 도 21 및 도 22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쓰기 돌출부(52) 및 캔틸레버 전극(62) 어디에도 전하트랩 스페이서가 형성되지 않은 점에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캔틸레버 전극(62)의 물질에 따라, 즉 휨(bending)의 상태를 유지하는 빔 자체 변형력(stiction force)이 빔의 복원력(탄성력)보다 클 경우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동작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휘발성 메모리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그 밖의 다른 구성이나 동작방법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어레이에 관한 실시예 ]
다음은, 상기 각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를 단위 메모리 셀로 하는 메모리 어레이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를 단위 메모리 셀로 하는 메모리 어레이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나, 상기 제 2 내지 4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를 단위 메모리 셀로 하는 메모리 어레이도 당연히 구현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상,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며, 상기 제 1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를 단위 메모리 셀로 하는 메모리 어레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23은 도 8에 예시된 상기 제 1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를 단위 셀로 하여 수직으로 적층된 어레이 구조를 보여주고, 도 24는 도 23의 어레이 구조가 수평으로 확장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 23에 도시된 어레이 실시예에 의하면, 기판(10) 상에 컨택 플로그(61)에 의하여 상하 전기적으로 연결된 비트라인(BLm,n)에 복수 개의 메모리 셀이 수직으로 적층 배열되고, 각 셀은 제 1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각 캔틸레버 전극(62)을 사이에 두고 일정 거리 이격되며 제 2 수평방향(y축 방향)으로 쓰기 워드라인[50: (WWLj,1), (WWLj,2), (WWLj,3)]과 읽기 워드라인[70: (RWLj,1), (RWLj,2), (RWLj,3)]이 적층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도 24에 도시된 어레이 실시예에 의하면, 도 23의 어레이 구조가 수평으로, 즉 제 1 수평방향(x축 방향) 및 제 2 수평방향(y축 방향)으로 확장된 구조를 갖게 된다.
도 24에 도시된 어레이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은 각 층마다 제 2 수평방향(y축 방향)으로 복수 개의 비트라인[예컨대, (BLm,n), (BLm,n+2), (BLm,n+4)]이 일정거리 이격되며 복수 개의 메모리 셀이 배열하여 제 1 셀 스트링(100)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셀 스트링(100)의 좌우 양측에는 각 셀의 쓰기 워드라인(50) 및 읽기 워드라인(70)을 연결하는 각 층의 쓰기 워드라인(예컨대, 3층의 경우 WWLj,3) 및 읽기 워드라인(예컨대, 3층의 경우 RWLj,3)이 제 2 수평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기본 구조로 하여, 상기 제 1 셀 스트링(100)의 일측에서 제 1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가며 상기 제 1 셀 스트링(100)을 180도 회전시킨 구조를 갖는 제 2 셀 스트링(200, 300)으로 하고 사이에 상기 쓰기 워드라인(WWLj,3) 또는 상기 읽기 워드라인(RWLj,3)과 공유하며 확장 형성되어 m x n 구조를 갖는다.
결국, 도 24에 도시된 어레이 구조에 의하면, 각 층은 상기 제 1 셀 스트링(100)을 중심으로 하는 기본 구조와 상기 제 2 셀 스트링(200, 300)을 중심으로 하는 기본 구조가 상기 제 1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한번 이상 교대로 반복되어 형성된 m x n 비트라인을 갖는 메모리 어레이층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 어레이층이 상기 기판(10)상으로 상기 각 비트라인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컨택 플러그(61)와 각 쓰기 워드라인 및 각 읽기 워드라인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절연막(22, 80)을 사이에 두고 복수 층으로 수직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 상기 각 컨택 플러그(61)를 통하여 상하 메모리 어레이층의 각 비트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고, 상기 각 컨택 플러그(61)는, 도 10과 같이, 측면으로 상기 절연막과 동일한 물질(22)이 더 감싸진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실시예는 상기 메모리 어레이층의 적층수 즉, 도전 층의 적층수 만큼 입체적 공간을 최대로 활용하며 [m x n x 적층수]로 집적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셀 스트링(100) 및 상기 제 2 셀 스트링(200, 300)을 서로 180도 회전시킨 대칭적인 구조로 하고, 각 층의 쓰기 워드라인(WWLj,3) 및 읽기 워드라인(RWLj,3)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평면상의 면적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집적도를 높인 장점이 있게 된다.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 ]
다음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며, 상기 각 실시예로 든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상기 제 1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을 보여주고, 도 12 및 도 13은 상기 제 2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을 일부 보여주고, 도 15 및 도 16은 상기 제 3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을 일부 보여주고, 도 18 내지 도 21은 상기 제 4 실시예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공정을 일부 보여준다.
이하, 소자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편의상 상기 첨부도면을 부분 인용하며 설명하고 있으나, 본 제조방법에 관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은 인용된 도면의 공정에 제한되지 않는다.
우선, 도 3과 같이, 소정의 평탄면을 갖는 기판(10)상에 절연막 층(20)을 형성한다(제 1 단계).
여기서, 상기 기판(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자의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고 지지할 수 있는 소정의 평탄면을 갖는 것이면 어떤 것도 가능하나, 차후 비트라인의 배선을 기판(10)에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도체 기판(예컨대, 실리콘 기판)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반도체 기판(10)에 비트라인의 배선을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절연막 층(20) 형성 이전에 기판(10)의 도전형과 반대되는 도전형을 갖는 불순물을 기판(10) 상부에 도핑 함으로써, 불순물 도핑 라인으로 미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막 층(20)은 상기 기판(10)으로 실리콘 기판을 사용할 경우,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10)에 비트라인의 배선을 형성한 경우이거나, 차후 캔틸레버 전극의 지지대를 비트라인 등 각 라인과 동시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이전에, 도 3a와 같이, 상기 절연막 층(20) 상에 비트라인 컨택 플러그용 컨택 홀(21)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거나, 도 3b와 같이, 상기 비트라인 컨택 플러그용 컨택 홀(21)은 물론 쓰기 워드라인 지지용 컨택 홀(23) 및 읽기 워드라인 지지용 컨택 홀(25)을 함께 형성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에는, 쓰기 워드라인 지지용 컨택 홀(23) 및 읽기 워드라인 지지용 컨택 홀(25)을 상기 절연막 층(20) 물질보다 식각률이 낮은 절연물질(예컨대, 상기 절연막 층이 실리콘 산화막일 경우 산화알루미늄 등)로 채운 다음 이후 공정단계로 진행한다. 물론, 쓰기 워드라인 지지용 컨택 홀(23)과 읽기 워드라인 지지용 컨택 홀(25)을 형성하여 이들을 별도의 절연물질로 먼저 채운 다음 비트라인 컨택 플러그용 컨택 홀(21)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이어, 도 18과 같이, 상기 절연막 층(20) 상에 도전층(30)을 형성한다(제 2 단계).
여기서, 상기 도전층(30)은 금속막뿐만 아니라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층(예컨대, 실리콘계 막: 폴리실리콘막, 비정질실리콘막 등)일 수 있고, 상기 도전층(30)으로 차후 캔틸레버 전극도 형성하게 되므로, 유연하면서도 피로도에 강한 물질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 이전에, 도 19와 같이, 상기 도전층(30)에 차후 캔틸레버 전극의 폭, 캔틸레버 전극과 쓰기 워드라인 사이의 간격 및 캔틸레버 전극과 읽기 워드라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2개의 미세 패턴(32, 34)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더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미세 패턴(32, 34)은 광학사진 공정, 전자빔(e-beam) 혹은 이온빔(FIB: Focused Ion Beam) 공정을 이용하여 매우 가늘면서 함몰된 형태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2개의 미세 패턴(32, 34) 형성 공정은,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전하트랩 스페이서 형성공정을 함께 진행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차후 캔틸레버 전극과 쓰기 워드라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제 1 미세 패턴(32) 형성 공정을 먼저 진행한 다음, 도 5와 같이, 상기 제 1 미세 패턴(32)의 길이 방향으로 일 측벽 또는 마주보는 양 측벽에 전하트랩 스페이서(40)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진행한다.
이어, 상기 제 1 미세 패턴 형성 공정 이후에 상기 전하트랩 스페이서 형성 공정과 함께 또는 상기 전하트랩 스페이서 형성 공정을 전후하여, 도 6과 같이, 차후 캔틸레버 전극의 폭 및 캔틸레버 전극과 읽기 워드라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제 2 미세 패턴(34)을 형성하는 공정을 더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전하트랩 스페이서(40) 형성 공정은 전자(electron)나 홀(hole)을 축적할 수 있는 물질로, 예컨대 공지의 질화막(nitride)이나 각 측벽으로부터 산화막(Oxide)/질화막(Nitride)/산화막(Oxide) 순으로 ONO층이 적층 되도록 한 다음, 에치 백(etch-back) 또는 비등방성 식각 공정 등으로 진행된다.
특히, 상기 제 1 실시예의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 1 미세 패턴(32)의 길이 방향으로 마주보는 양 측벽에 상기 전하트랩 스페이서(42, 44)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실시예의 구조는 쓰기 돌출부가 형성될 측벽 상의 전하트랩 스페이서(42)는 가리고, 다른 부분은 더 식각하여 전하트랩 스페이서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상기 제 3 실시예의 구조는 반대로 캔틸레버 전극이 형성될 측벽 상의 전하트랩 스페이서(44)는 가리고, 다른 부분은 더 식각하여 전하트랩 스페이서 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각각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 4 실시예의 구조는, 도 19와 같이, 2개의 미세 패턴(32, 34)을 형성한 다음, 상기 전하트랩 스페이서(40) 형성 공정 없이 바로 그 다음 단계로 진행하면 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절연막 층(20) 상에 비트라인의 컨택 플러그용 컨택 홀(21)을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도전층(30)을 형성함으로써, 차후 비트라인 및 캔틸레버 전극을 지지할 컨택 플러그(61)를 자동 형성하게 된다.
이후, 도 7, 도 12, 도 15 또는 도 20과 같이, 상기 도전층(30)을 식각하여 쓰기 워드라인(50), 읽기 워드라인(70), 비트라인(60) 및 캔틸레버 전극(62)을 형성한다(제 3 단계).
여기서, 상기 도전층(30)의 식각은 광학사진 공정 등으로 진행하며 필요없는 도전층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쓰기 워드라인(50) 및 읽기 워드라인(70)에 캔틸레버 전극(62)을 향한 측면으로 각각 쓰기 돌출부(52) 및 읽기 돌출부(72)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읽기 워드라인(70)과 비트라인(60)을 바라보는 캔틸레버 전극(62) 끝단의 양 측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캔틸레버 전극(62)의 수평 회전 각도를 작게 하여, 구동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캔틸레버 전극(62)의 컨택 즉, 컨택 플러그(61)를 형성하기 위한 면적을 확보하면서도 평면적 면적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다음, 도 8, 도 13, 도 16 또는 도 21과 같이, 상기 쓰기 워드라인(50), 읽기 워드라인(70), 비트라인(60) 및 캔틸레버 전극(62)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절연막 층(20)을 식각하여, 상기 캔틸레버 전극(62)이 상기 기판(10)상에서 부양되도록 한다(제 4 단계).
여기서, 상기 절연막 층(20)의 식각은 상기 절연막 층(20)이 상기 쓰기 워드라인(50), 상기 읽기 워드라인(70) 및 상기 비트라인(60)의 각 하부에 국부적으로 남아 있도록 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절연막 층(20)의 식각시 상기 비트라인(60)을 지지하는 콘택 플러그(61) 및/또는 쓰기 워드라인 및 읽기 워드라인 지지용 절연막 기둥(80)이 드러나도록 상기 절연막 층(20)을 식각할 수도 있으나, 상기 캔틸레버 전극(62)이 상기 기판(10)상에서 부양되는 상태라면, 도 10과 같이, 콘택 플러그(61)를 둘러싸며 일부 절연막 물질(22)이 남아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쓰기 워드라인(50) 및 상기 읽기 워드라인(70)의 각 하부는 구체적으로 쓰기 돌출부(52) 및 읽기 돌출부(72)가 형성된 각 라인의 하부를 말한다.
상기 절연막 층(20)의 식각 공정은 통상의 습식 식각(wet etch)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절연막 층(20)이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HF vapor etch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기타, 나머지 공정은 통상의 CMOS의 공정 및 공지의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공정에 의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10: 기판
20: 절연막 층
22: 절연막
30: 도전층
32, 34: 미세 패턴
40, 42, 44: 전하트랩 스페이서
50: 쓰기 워드라인
52: 쓰기 돌출부
60: 비트라인
61: 컨택 플러그
62: 캔틸레버 전극
70: 읽기 워드라인
72: 읽기 돌출부
80: 절연막 기둥
100: 제 1 셀 스트링
200, 300: 제 2 셀 스트링

Claims (16)

  1. 소정의 평탄면을 갖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각각 국부적으로 형성된 절연막으로 지지되며 제 1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쓰기 워드라인과 읽기 워드라인;
    상기 쓰기 워드라인과 상기 읽기 워드라인 사이에서 상기 기판의 수직방향으로 전기적 컨택이 가능하게 형성된 비트라인; 및
    상기 비트라인의 일측에서 상기 제 1 수평방향과 수직한 제 2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기판상에서 부양되도록 상기 비트라인과 일체로 형성된 캔틸레버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쓰기 워드라인, 상기 읽기 워드라인, 상기 비트라인 및 상기 캔틸레버 전극은 동일한 도전층으로 각각 상기 기판으로부터 동일거리 떨어져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쓰기 워드라인과 상기 읽기 워드라인은 상기 캔틸레버 전극을 향하는 부위에 각각 쓰기 돌출부 및 읽기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 전극과 마주보는 상기 쓰기 돌출부의 측벽 및 상기 쓰기 돌출부와 마주보는 캔틸레버 전극의 측벽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전하트랩 스페이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은 상기 기판상에서 적어도 컨택 플러그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 플러그는 측면으로 상기 절연막과 동일한 물질이 더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6. 제 4 항에 의한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를 단위 메모리 셀로 하여 상기 제 2 수평방향으로 상기 비트라인이 일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메모리 셀이 복수 개 배열한 제 1 셀 스트링; 및
    상기 제 1 셀 스트링을 180도 회전시킨 구조를 갖는 제 2 셀 스트링으로 상기 쓰기 워드라인 또는 상기 읽기 워드라인과 공유하도록 상기 제 1 셀 스트링 일측에서 상기 제 1 수평방향으로 확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어레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상에 상기 제 1 셀 스트링과 상기 제 2 셀 스트링이 상기 제 1 수평방향으로 한번 이상 교대로 반복되어 형성된 메모리 어레이층이 상기 각 비트라인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컨택 플러그와 상기 각 쓰기 워드라인 및 상기 각 읽기 워드라인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복수 층으로 수직 적층 되고,
    상기 각 컨택 플러그를 통하여 상하 메모리 어레이층의 상기 각 비트라인을 수직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어레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컨택 플러그는 측면으로 상기 절연막과 동일한 물질이 더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어레이.
  9. 소정의 평탄면을 갖는 기판상에 절연막 층을 형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절연막 층 상에 도전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상기 도전층을 식각하여 쓰기 워드라인, 읽기 워드라인, 비트라인 및 캔틸레버 전극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쓰기 워드라인, 읽기 워드라인, 비트라인 및 캔틸레버 전극을 마스크로 하여 상기 절연막 층을 식각하여, 상기 캔틸레버 전극이 상기 기판상에서 부양되도록 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사이에는, 상기 캔틸레버 전극의 폭, 상기 캔틸레버 전극과 상기 쓰기 워드라인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캔틸레버 전극과 상기 읽기 워드라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미세 패턴 형성 공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사이에는, 상기 캔틸레버 전극과 상기 쓰기 워드라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제 1 미세 패턴 형성 공정과, 상기 제 1 미세 패턴의 길이 방향으로 일 측벽 또는 마주보는 양 측벽에 전하트랩 스페이서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 1 미세 패턴 형성 공정 이후에 상기 전하트랩 스페이서 형성 공정과 함께 또는 상기 전하트랩 스페이서 형성 공정을 전후하여 상기 캔틸레버 전극의 폭 및 상기 캔틸레버 전극과 상기 읽기 워드라인 사이의 간격을 결정하기 위한 제 2 미세 패턴 형성 공정을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절연막 층 상에 비트라인 컨택 플러그용 컨택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에서 상기 절연막 층의 식각은 상기 절연막 층이 상기 쓰기 워드라인, 상기 읽기 워드라인 및 상기 비트라인의 각 하부에 국부적으로 남아 있도록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5.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절연막 층 상에 비트라인 컨택 플러그용 컨택 홀, 쓰기 워드라인 지지용 컨택 홀 및 읽기 워드라인 지지용 컨택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16.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절연막 층 상에 쓰기 워드라인 지지용 컨택 홀 및 읽기 워드라인 지지용 컨택 홀을 형성하고 상기 각 지지용 컨택 홀에 상기 절연막 층의 물질보다 식각률이 낮은 절연물질을 채운 다음 상기 절연막 층 상에 비트라인 컨택 플러그용 컨택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KR1020120080278A 2012-07-23 2012-07-23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383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278A KR101383760B1 (ko) 2012-07-23 2012-07-23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278A KR101383760B1 (ko) 2012-07-23 2012-07-23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413A KR20140013413A (ko) 2014-02-05
KR101383760B1 true KR101383760B1 (ko) 2014-04-10

Family

ID=5026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278A KR101383760B1 (ko) 2012-07-23 2012-07-23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7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831A (ko) 2018-09-05 2020-03-1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기계적 스위칭 소자의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556B1 (ko) * 2014-05-30 2016-04-27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기계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비교기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690B1 (ko) * 2006-08-10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기계적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129139A1 (en) 2006-05-01 2009-05-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ano-electro-mechanical memory cells and devices
KR101035537B1 (ko) * 2009-10-14 2011-05-2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KR101140689B1 (ko) 2002-12-10 2012-05-03 에프코스 아게 마이크로-전기-기계 시스템 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689B1 (ko) 2002-12-10 2012-05-03 에프코스 아게 마이크로-전기-기계 시스템 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20090129139A1 (en) 2006-05-01 2009-05-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ano-electro-mechanical memory cells and devices
KR100803690B1 (ko) * 2006-08-10 2008-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기계적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5537B1 (ko) * 2009-10-14 2011-05-2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831A (ko) 2018-09-05 2020-03-1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기계적 스위칭 소자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413A (ko)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031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10396088B2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device
KR100834829B1 (ko) 멀티 비트 전기 기계적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993996A (zh) 半导体器件及制造其的方法
US7790494B2 (en) Method of fabricating a multi-bit electro-mechanical memory device
KR100876088B1 (ko) 멀티 비트 전기 기계적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60185B1 (ko) 차폐전극을 갖는 3차원 수직형 메모리 셀 스트링, 이를 이용한 메모리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0273B1 (ko) 멀티 비트 전기 기계적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TWI473262B (zh) 電阻式記憶體結構及其製作方法
KR100814390B1 (ko)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9801922A (zh) 一种形成三维存储器的方法及三维存储器
KR20080103207A (ko) 멀티 비트 전기 기계적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02293B1 (ko) 플로팅 바디를 갖는 적층형 비휘발성 메모리 셀 소자, 상기셀 소자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셀 스택, 비휘발성 메모리 셀 스트링, 비휘발성 메모리 셀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TWI512948B (zh) 製造高集積度半導體裝置的方法以及利用該方法製成的半導體裝置
US20090115009A1 (en) Multibit electro-mechanical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83760B1 (ko)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07222B1 (ko) 전기적- 기계적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1035169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35537B1 (ko) T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KR100803690B1 (ko) 전기적- 기계적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2219B1 (ko) 바디를 공유하는 메모리 셀 스트링 스택 및 이를 이용한 메모리 어레이
KR101411362B1 (ko) H셀 구조를 갖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804363B1 (ko) 수평 구동 전기기계 스위칭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44165B1 (ko)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와 그 동작방법 및 제조방법
KR101414567B1 (ko) T셀 구조를 갖는 수평 구동형 전기기계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