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784B1 -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 - Google Patents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784B1
KR101032784B1 KR1020090070714A KR20090070714A KR101032784B1 KR 101032784 B1 KR101032784 B1 KR 101032784B1 KR 1020090070714 A KR1020090070714 A KR 1020090070714A KR 20090070714 A KR20090070714 A KR 20090070714A KR 101032784 B1 KR101032784 B1 KR 101032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ternator
harness
joint terminal
starter moto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2833A (ko
Inventor
이상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090070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278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Landscapes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에 연결되는 메인와이어하네스, 이 메인와이어하네스에 연결되는 조인트 터미널, 이 조인트 터미널에 연결되고 알터네이터에 연결되는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 및 이 조인트 터미널에 연결되고 스타터모터에 연결되는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배터리에서 연장되는 와이어에 조인트 터미널을 연결한 상태로 이 조인트 터미널에 알터네이터와 연결되는 와이어 및 스타터모터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접속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와이어 길이를 절감할 수 있고, 와이어의 굵기를 줄일 수 있다.
Figure R1020090070714
배터리, 알터네이터, 스타터모터, 조인트 터미널, 와이어 하네스

Description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CONNECTING WIRING HARNESS OF ALTERNATOR AND START-MOTOR}
본 발명은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에서 연장되는 와이어에 조인트 터미널을 연결한 상태로 이 조인트 터미널에 알터네이터와 연결되는 와이어 및 스타터모터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접속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와이어 길이를 절감할 수 있고, 와이어의 굵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은 초기에는 자력으로 기동될 수 없으므로, 스타터모터를 설치하여 초기기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스타터모터는 자동차에 설치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즉, 스타터모터는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배터리는 엔진의 회전력을 드라이브벨트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교류전력을 발생시키는 알터네이터로부터 충전전력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자동차에 설치된 여타 전장품들은 정지중일때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주행중일때는 상기 알터네이터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배터리와 스타터모터 및 배터리와 알터네이터는 각각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즉, 와이어 하네스는 배터리에서 두 가닥으로 분리되어 각각 스타터모터와 알터네이터로 연결된다.
기존의 와이어 하네스는 배터리에서 알터네이터로 연결되는 한 가닥과 배터리에서 스타터모터로 연결되는 한 가닥 등 2가닥을 다발로 하여 배선되기 때문에 중량이 증가하게 되고, 다발 굵기가 굵어 유연성이 저하되며, 중복 구간에 대한 재료비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에서 연장되는 와이어에 조인트 터미널을 연결한 상태로 이 조인트 터미널에 알터네이터와 연결되는 와이어 및 스타터모터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접속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와이어 길이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인트 터미널에 각 와이어의 접촉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 함으로써 통전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가닥 정렬되는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와이어 번들의 굵기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는: 배터리에 연결되는 메인와이어하네스, 이 메인와이어하네스에 연결되는 조인트 터미널, 이 조인트 터미널에 연결되고 알터네이터에 연결되는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 및 이 조인트 터미널에 연결되고 스타터모터에 연결되는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 터미널은, 상기 메인와이어하네스에 연결되는 제 1바디, 상기 제 1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에 연결되는 제 2바디, 및 상기 제 1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에 연결되는 제 3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와이어하네스 및 제 1,2서브와이어하네스는 접속홀을 갖는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제 1,2,3바디는 상기 접속단자 각각과 접하면서 상기 접속홀 각각과 일치되는 설치홀을 통공하며, 일치되는 상기 접속홀과 상기 설치홀은 체결부재로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배터리에서 연장되는 와이어에 조인트 터미널을 연결한 상태로 이 조인트 터미널에 알터네이터와 연결되는 와이어 및 스타터모터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접속함으로써 기존에 비해 와이어 길이를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조인트 터미널에 각 와이어의 접촉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으로써 통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가닥 정렬되는 길이를 최소화함으로써 와이어 번들의 굵기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는 메인와이어하네스(10), 조인트 터미널(20),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30) 및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메인와이어하네스(10)는 배터리(2)에 연결된다. 그래서, 이 메인와이어하네스(10)는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조인트 터미널(20)은 메인와이어하네스(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조인트 터미널(20)은 메인와이어하네스(10)로부터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조인트 터미널(20)은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조인트 터미널(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30)는 조인트 터미널(20)과 알터네이터(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조인트 터미널(20)에 공급된 외부 전원은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30)를 통해 알터네이터(4)로 전달된다.
특히, 차량은 배터리(2)의 전원으로 시동을 걸 수 있으며, 그 후 모든 전원은 알터네이터(4)로부터 공급된다.
한편,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40)는 조인트 터미널(20)과 스타터모터(6)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차량에 시동 전원이 공급되면, 주전원인 (+)극 전원이 스타터모터(6)에 전달되어 스타팅이 시작되고, 이로 인해, 플라이휠이 회전된다.
또한, 플라이휠이 돌아가고, 점화가 시작되면, 스타터모터(6)는 꺼지게 된다.
즉, 배터리(2)와 조인트 터미널(20)은 한 가닥인 메인와이어하네스(10)로 연결되고, 조인트 터미널(20)과 알터네이터(4)는 한 가닥인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30)로 연결되며, 조인트 터미널(20)과 스타터모터(6)는 한 가닥인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40)로 연결된다.
그래서, 각 와이어하네스(10,30,40)는 최대한 겹쳐지지 않음에 따라 번들의 굵기를 가늘게 배선할 수 있어 유연성을 갖음과 아울러 단위무게당 겹쳐질 때에 비해 하중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기존에 배터리(2)와 알터네이터(4)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배터리(2)와 스타터모터(6)를 연결하는 와이어가 겹쳐져 배선된 것에 비해 한 가닥인 메인와이어하네스(10)가 조인트 터미널(20)과 연결됨에 따라 중복 구간을 없앰으로써 자재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조인트 터미널(20)은 서로 독립되어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메인와이어하네스(10),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30) 및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조인트 터미널(20)은 제 1바디(22), 제 2바디(24) 및 제 3바디(26)를 포함한다.
제 1바디(22)는 메인와이어하네스(10)와 연결되고, 제 2바디(24)는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30)와 연결되며, 제 3바디(26)는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40)와 연결된 다.
특히, 제 2바디(24)는 제 1바디(22)의 일측에서 연장되고, 제 3바디(26)는 제 1바디(22)의 타측에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즉, 제 1바디(22)와 제 2바디(24) 및 제 3바디(26)는 조인트 터미널(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바디(22)와 제 2바디(24) 및 제 3바디(26)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통전 오류의 방지를 위해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1바디(22)와 제 2바디(24) 및 제 3바디(26)는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메인와이어하네스(10)와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30) 및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40)는 조인트 터미널(20)에 분리 가능하면서 견고하게 접촉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메인와이어하네스(10)와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30) 및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40)는 각각 접속홀(53)을 갖는 접속단자(5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1바디(22)는 메인와이어하네스(10)에 형성된 접속단자(52)와 면접촉하게 되며, 제 1바디(22)는 이 메인와이어하네스(10)의 접속단자(52)에 형성된 접속홀(53)과 일치되는 설치홀(54)을 통공한다.
또한, 제 2바디(24)는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30)에 형성된 접속단자(52)와 면접촉하게 되며, 제 2바디(24)는 이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30)의 접속단자(52)에 형성된 접속홀(53)과 일치되는 설치홀(54)을 통공한다.
아울러, 제 3바디(26)는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40)에 형성된 접속단자(52)와 면접촉하게 되며, 제 3바디(26)는 이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40)의 접속단자(52)에 형성된 접속홀(53)과 일치되는 설치홀(54)을 통공한다.
그리고, 서로 일치되는 접속홀(53)과 설치홀(54) 각 쌍에는 체결부재(55)가 체결된다.
여기서, 체결부재(55)는 볼트와 같은 기계체결요소로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바디(22)와 이에 면접촉하는 접속단자(52), 제 2바디(24)와 이에 면접촉하는 접속단자(52) 및 제 3바디(26)와 이에 면접촉하는 접속단자(52)는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아울러, 각 바디(22,24,26)와 접속단자(52)는 체결부재(55)의 체결력에 의해 견고하게 면접촉함으로써 통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접속단자(52)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이며,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와이어하네스 20: 조인트 터미널
22,24,26: 제 1,2,3바디 30,40: 제 1,2서브와이어하네스
52: 접속단자 53: 접속홀
54: 설치홀 55: 체결부재

Claims (3)

  1. 배터리에 연결되는 메인와이어하네스;
    상기 메인와이어하네스에 연결되는 조인트 터미널;
    상기 조인트 터미널에 연결되고, 알터네이터에 연결되는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 및
    상기 조인트 터미널에 연결되고, 스타터모터에 연결되는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와이어하네스, 상기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 및 상기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는 각각 접속홀을 갖는 접속단자를 형성하며;
    상기 조인트 터미널은 상기 접속단자 각각과 접하면서 상기 접속홀 각각과 일치되는 설치홀을 통공하고;
    일치되는 상기 접속홀과 상기 설치홀은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터미널은,
    상기 메인와이어하네스에 연결되는 제 1바디;
    상기 제 1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서브와이어하네스에 연결되는 제 2바디; 및
    상기 제 1바디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서브와이어하네스에 연결되는 제 3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
  3. 삭제
KR1020090070714A 2009-07-31 2009-07-31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 KR101032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714A KR101032784B1 (ko) 2009-07-31 2009-07-31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714A KR101032784B1 (ko) 2009-07-31 2009-07-31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833A KR20110012833A (ko) 2011-02-09
KR101032784B1 true KR101032784B1 (ko) 2011-05-06

Family

ID=4377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714A KR101032784B1 (ko) 2009-07-31 2009-07-31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27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800U (ko) * 1996-07-03 1998-04-30 김영귀 자동차용 전기 접속구
KR20040011072A (ko) * 2002-07-27 2004-02-05 엘지엔시스(주) 파일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KR200411072Y1 (ko) * 2005-12-30 2006-03-15 경신공업 주식회사 메인 와이어 하네스의 스타트모터 점핑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9800U (ko) * 1996-07-03 1998-04-30 김영귀 자동차용 전기 접속구
KR20040011072A (ko) * 2002-07-27 2004-02-05 엘지엔시스(주) 파일 업데이트 시스템 및 방법
KR200411072Y1 (ko) * 2005-12-30 2006-03-15 경신공업 주식회사 메인 와이어 하네스의 스타트모터 점핑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833A (ko)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4009B2 (ja) 車両用回転電機
US8669681B2 (en) Conductive connection for bar-wound stators
US10966336B2 (en) Bearing wall electrical equipment
US20170222377A1 (en) Busbar terminal, busbar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and busbar terminal connection method
WO2012066438A4 (en) Energy supply unit for an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vehicle
JP3974560B2 (ja) 回転電機
WO2017195799A1 (ja) 回転電機ユニット
JP2004080841A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構造
US9840214B2 (en) Fuse circuit body for vehicle
JP3826300B2 (ja) 三相誘導電動機の接続装置
US9444312B2 (en) Rotary electric machine
JP4218610B2 (ja) 電動車両用電源装置
KR101032784B1 (ko)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배선장치
CN106170909A (zh) 带有组合绝缘子和端子组件的电机
KR101032785B1 (ko) 알터네이터와 스타터모터의 연결장치
JP3731799B2 (ja) 車載ワイヤハーネス及び車載ワイヤハーネスの軽量共線化方法
KR101032783B1 (ko) 조인트 터미널
KR101025589B1 (ko) 차량용 배터리 센서
KR101959918B1 (ko)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JP2011240848A (ja) 車両の配線接続装置
KR101047817B1 (ko) 스타트 모터의 브러시 어셈블리
JP6584659B2 (ja) 車両用回転電機
JP4404791B2 (ja) 絶縁部材、電力変換装置および車両
JP2548894Y2 (ja) 車両用キースイッチ
CN207809270U (zh) 一种油动、电动、混动三用三轮车配套整车电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