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918B1 -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918B1
KR101959918B1 KR1020180166767A KR20180166767A KR101959918B1 KR 101959918 B1 KR101959918 B1 KR 101959918B1 KR 1020180166767 A KR1020180166767 A KR 1020180166767A KR 20180166767 A KR20180166767 A KR 20180166767A KR 101959918 B1 KR101959918 B1 KR 101959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power distribution
module
bus bar
energ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5531A (ko
Inventor
고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166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9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75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wo blocks, e.g. by means of busba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캐패시터모듈의 표면에 면접되게 접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모듈, 및 전원분배모듈을 캐패시터모듈에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버스바로부터 전원을 캐패시터모듈에 전달 가능하도록 버스바와 캐패시터모듈을 접속하는 슬라이드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차량용 정션박스에 구비되는 캐패시터모듈과 전원분배모듈을 슬라이드 접속 안내함으로써 단자와 볼팅을 통한 기존의 통전 방식 대비 조립성과 분해성을 향상시키고, 전류센서를 전원분배모듈에 매립되도록 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정션박스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원분배장치{POWER CONTROL BOX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정션박스에 구비되는 캐패시터모듈과 전원분배모듈을 슬라이드 접속 안내함으로써 단자와 볼팅을 통한 기존의 통전 방식 대비 조립성과 분해성을 향상시키고, 전류센서를 전원분배모듈에 매립되도록 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정션박스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자동차 등과 같이 전기모터를 구동원으로 이용하는 친환경 차량은 보통 전기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에너지원으로 고전압배터리 등을 사용하며, 전력변환부품으로 모터에 전원을 제공하는 인버터와 차량용 12V 전원을 발생하기 위한 엘디씨(LDC, LOW DC-DC CONVERTOR)를 사용한다.
인버터는 전기모터와 고전압배터리 사이에서 고전압배터리의 직류전원을 3상 교류전원으로 변환시켜 모터측으로 제공하고, 엘디씨(혹은 컨버터)는 고전압배터리의 직류전원을 차량용 12V 전원으로 변환시켜 차량 전장부품에 공급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인버터와 컨버터 및 이들(상기 인버터와 컨버터)의 제어를 위한 제어기를 패키지 형태로 통합하여 구성하고, 이를 하이브리드 전력제어장치(HPCU, Hybrid Power Control Unit)라고 칭하고 있다.
또한, 환경차용 HPCU는 냉각효율 향상 및 패키징 구조 개선을 통한 소형화, 단순화, 고효율화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환경차용 전력제어장치는 제1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컨버터와 제2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인버터 및 제어기로 구성되고,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인버터에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등과 같은 파워모듈이 복수 개로 구성되며, 이 파워모듈의 제어를 위해 게이트보드, 및 커패시터 모듈이 구성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98810호(등록일:2010.11.30.)에는 "자동차의 하이브리드 전력제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친환경차용 전력제어장치는 인버터에 게이트보드, 커패시터 모듈, 버스바 블록 및 커넥터 등을 각각 접속해야 함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존 친환경차용 전력제어장치는 게이트보드나 커패시터 모듈 등 하드웨어를 인버터나 하우징에 각각 볼트 체결하여 조립해야 함에 따라 조립성 및 분해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용 정션박스에 구비되는 캐패시터모듈과 전원분배모듈을 슬라이드 접속 안내함으로써 단자와 볼팅을 통한 기존의 통전 방식 대비 조립성과 분해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차량용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은 전류센서를 전원분배모듈에 매립되도록 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정션박스 전체 부피를 줄이기 위한 차량용 전원분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는: 캐패시터모듈; 상기 캐패시터모듈의 표면에 면접되게 접하고,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모듈; 및 상기 전원분배모듈을 상기 캐패시터모듈에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캐패시터의 전류를 상기 버스바를 통해 분배 가능하도록, 상기 버스바와 상기 캐패시터모듈을 접속하는 슬라이드접속부를 포함한다.
상기 캐패시터모듈은,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과 차단 제어하는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캐패시터에서 연장되는 단자; 상기 캐패시터와 상기 단자 일부를 감싸서 보호하는 절연재질의 하우징; 및 상기 캐패시터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통전성을 갖는 통전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분배모듈은, 상기 버스바를 장착한 절연 재질의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캐패시터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전류센서를 상기 버스바와 연결되도록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접속부는, 상기 캐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통전성을 갖는 통전링; 및 상기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통전링의 내측면에 접하여 통전 유도하도록 상기 통전링에 축 삽입되는 통전슬리브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차량용 정션박스에 구비되는 캐패시터모듈과 전원분배모듈을 슬라이드 접속 안내함으로써 단자와 볼팅을 통한 기존의 통전 방식 대비 조립성과 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원발명은 전류센서를 전원분배모듈에 매립되도록 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정션박스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전원분배장치(100)는 캐패시터모듈(110), 전원분배모듈(120) 및 슬라이드접속부(200)를 포함한다.
특히, 캐패시터모듈(110)과 전원분배모듈(120)은 슬라이드접속부(200)에 의해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 후 정션박스(도시하지 않음) 내에 장착된다.
이때, 캐패시터모듈(110)은 메인전원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 고전류의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캐패시터모듈(110)은 캐패시터(capacitor,112), 단자(114), 하우징(116) 및 통전브라켓(118)을 포함한다.
캐패시터(112)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과 차단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캐패시터(11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단자(114)는 캐패시터(112)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캐패시터(112)에서 연장된다. 이에 따라, 외부 전원은 단자(114)를 통해 캐패시터(112)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단자(114)는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하우징(116)은 캐패시터(112) 전체와 단자(114) 일부를 감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절연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단자(114)는 하우징(116)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된다.
이때, 단자(114)와 캐패시터(112)의 연결 구조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하우징(116)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전브라켓(118)은 캐패시터(112)에서 하우징(116)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통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통전브라켓(118)은 흔들림 방지되도록 하우징(116)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물론, 통전브라켓(118)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전원분배모듈(120)은 캐패시터(112)에 축전된 전류를 차량의 전장품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캐패시터모듈(110)의 하우징(116)의 표면에 면접되어 지지된다.
특히, 전원분배모듈(120)은 버스바(122) 및 케이싱(124)을 포함한다.
버스바(122)는 캐패시터(112)로부터 전류(전원)을 공급받아 차량의 해당 전장품(도시하지 않음)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버스바(12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케이싱(124)은 버스바(122) 각각의 일부를 내측에 고정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케이싱(12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케이싱(124)은 하우징(116)의 일측에 면접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해당 둘레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케이싱(124)은 하우징(116)의 일측에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 안내될 수 있다.
아울러, 최종 조립 완료되는 정션박스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기존에 별도로 조립되는 전류센서(126)는 케이싱(124) 내측에 매립되게 구비된다. 즉, 전원분배모듈(120)은 전류센서(126)를 포함한다.
이때, 전류센서(126)는 이중 사출을 통해 케이싱(124) 내측에 매립될 수 있고, 케이싱(124)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전류센서(126)는 캐패시터(112)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버스바(122)와 연결되게 구비된다.
한편, 슬라이드접속부(200)는 전원분배모듈(120)을 캐패시터모듈(110)에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버스바(122)로부터 전원을 캐패시터모듈(110)에 전달 가능하도록, 버스바(122)와 캐패시터모듈(110)을 접속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슬라이드접속부(200)는 케이싱(124)을 하우징(116)의 상측면에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동작을 통해 자연적으로 버스바(122)와 캐패시터(112)의 접속을 허용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슬라이드접속부(200)는 통전링(210) 및 통전슬리브(220)를 포함한다.
통전링(210)은 캐패시터(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즉, 캐패시터(112)에 연결되는 통전브라켓(118)은 통전링(210)을 연결한다. 이때, 통전링(210)은 통전성을 갖는다.
특히, 통전링(210)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통전링(210)의 크기(직경)는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통전슬리브(220)는 버스바(122)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대응되는 통전링(210)의 내측면에 접하여 통전 유도하도록 해당 통전링(210)에 축 삽입된다.
따라서, 케이싱(124)이 하우징(116)의 상측면에 접하여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시, 통전슬리브(220)는 자연적으로 대응되는 통전링(210)에 축 삽입되며 접하게 된다.
그래서, 캐패시터모듈(110)과 전원분배모듈(120)의 통전을 위한 조립 및 조립해제는 용이하게 된다.
물론, 케이싱(124)이 하우징(116)의 상측면에서 직선 이동 안내되도록 별도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통전슬리브(220)가 대응되는 통전링(210)에 축 삽입 후, 임의적으로 이탈 방지되도록, 별도의 구성이 추가될 수 있다. 물론, 통전링(210)과 통전슬리브(220)가 상호 억지 삽입되어 임의적으로 이탈 방지될 수도 있다.
이때, 통전슬리브(220)가 대응되는 통전링(210)에 축 삽입될 수 있도록, 통전링(210)을 연결하고 있는 통전브라켓(118)은 위치 조절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통전링(210)과 통전슬리브(2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전원분배장치 110: 캐패시터모듈
112: 캐패시터 114: 단자
116: 하우징 118: 통전브라켓
120: 전원분배모듈 122: 버스바
124: 케이싱 126: 전류센서
200: 슬라이드접속부 210: 통전링
220: 통전슬리브

Claims (4)

  1. 캐패시터모듈; 상기 캐패시터모듈의 표면에 면접되게 접하고, 버스바를 구비하는 전원분배모듈; 및 상기 전원분배모듈을 상기 캐패시터모듈에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캐패시터의 전류를 상기 버스바를 통해 분배 가능하도록, 상기 버스바와 상기 캐패시터모듈을 접속하는 슬라이드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캐패시터모듈은,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과 차단 제어하는 캐패시터;
    상기 캐패시터로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캐패시터에서 연장되는 단자;
    상기 캐패시터와 상기 단자 일부를 감싸서 보호하는 절연재질의 하우징; 및
    상기 캐패시터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통전성을 갖는 통전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통전브라켓은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분배모듈은, 상기 버스바를 장착한 절연 재질의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캐패시터의 출력전압을 검출하는 전류센서를 상기 버스바와 연결되도록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접속부는,
    상기 캐패시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통전성을 갖는 통전링; 및
    상기 버스바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통전링의 내측면에 접하여 통전 유도하도록 상기 통전링에 축 삽입되는 통전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KR1020180166767A 2018-12-20 2018-12-20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KR101959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767A KR101959918B1 (ko) 2018-12-20 2018-12-20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767A KR101959918B1 (ko) 2018-12-20 2018-12-20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143A Division KR101940123B1 (ko) 2017-09-01 2017-09-01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531A KR20190025531A (ko) 2019-03-11
KR101959918B1 true KR101959918B1 (ko) 2019-03-19

Family

ID=6575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767A KR101959918B1 (ko) 2018-12-20 2018-12-20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880B1 (ko) * 2020-11-17 2023-12-21 주식회사 미래이앤아이 버스바 분산 전력감지모듈이 내장된 전기차 전력분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7225A (ja) 2014-02-10 2015-09-24 ヤザキ・ノース・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Yazaki North America, Inc. 電気または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用のバスを備えた電気セン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376B1 (ko) * 2008-04-10 2010-04-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인버터용 입출력장치
KR101033892B1 (ko) * 2008-10-17 2011-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너버 캐패시터의 냉각성능을 향상시킨 인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7225A (ja) 2014-02-10 2015-09-24 ヤザキ・ノース・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Yazaki North America, Inc. 電気または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用のバスを備えた電気セ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531A (ko) 201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2193B (zh) 电气设备
US20150340966A1 (en) Inverter device
KR20110135233A (ko) 자동차의 인버터용 커패시터
KR20200035124A (ko) 자동차용 저장 배터리 충전 장치, 온보드 저장 배터리 충전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고전압 차량 전기 시스템, 및 저장 배터리 충전 장치의 사용
US20130075886A1 (en) Semiconductor device
CN101997403A (zh) 用于机动车电气系统的电磁干扰滤波器
US20140375180A1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for vehicles
US9545848B2 (en) Power converter for electric vehicle
US11345249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for multi-voltage charging
JP5936745B1 (ja) 車両用電力変換装置
KR101959918B1 (ko)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US6840813B2 (en) Connecting apparatus for three phase induction motor of electric vehicle
KR102572440B1 (ko) 차량용 dc커패시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인버터
KR101950297B1 (ko)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KR101950298B1 (ko)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JP2016116340A (ja) 電力変換装置
KR101940123B1 (ko) 차량용 전원분배장치
US20130265811A1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having cylindrical casing integrated with connectors
KR20180060388A (ko) 버스바 체결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제어 장치
US10091898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US10355586B2 (en) Power converter
WO2018211580A1 (ja) 電力変換装置
US20180144865A1 (en) Capacitor module
JP6818844B1 (ja) 電力変換装置
JP7310593B2 (ja) 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