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540B1 - 연료탱크용 커넥터 및 역지밸브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용 커넥터 및 역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540B1
KR101032540B1 KR1020090114534A KR20090114534A KR101032540B1 KR 101032540 B1 KR101032540 B1 KR 101032540B1 KR 1020090114534 A KR1020090114534 A KR 1020090114534A KR 20090114534 A KR20090114534 A KR 20090114534A KR 101032540 B1 KR101032540 B1 KR 101032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cylindrical body
connect
fuel tank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720A (ko
Inventor
다이이치 이시자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00059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16K15/03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spring-loa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74Arrangement of fuel filler pipes in relation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 B60K2015/0477Details of the filler neck tank 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54In couplings for coaxial conduits, e.g., drill pipe check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98Pivoted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348Tank with internally extending flow guide, pipe or conduit
    • Y10T137/86372Inlet internally ext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과제) 연료탱크와 관체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의 보강 통형상체를 극히 간소한 구조로 하여 적절하게 관체가 끼워맞춰지는 부착부의 내측에 위치시킨다.
(해결수단) 통형상 본체(1)와, 연료탱크(T)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관체(P)가 끼워맞춰지는 부착부(20)를 구비하며 상기 통형상 본체(1)에 조립되는 커넥트 통형상체(2)와, 이 커넥트 통형상체(2) 내에 수납되는 보강 통형상체(3)를 가지고 있다. 커넥트 통형상체(2)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부(24)와 상기 조립에 의해서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 내에 위치하는 통형상 본체(1)의 유지단부(16)에 의해서 보강 통형상체(3)를 그 양측에서 협지함으로써, 커넥트 통형상체(2)의 부착부(20)의 내측에 상기 보강 통형상체(3)를 위치시키고 있다.

Description

연료탱크용 커넥터 및 역지밸브{CONNECTOR FOR FUEL TANK AND CHECK VALVE}
본 발명은 연료탱크와 이 연료탱크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관체를 접속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커넥터 및 이것을 이용하여 구성된 역지밸브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연료탱크와 외부 배관을 접속시키는 밸브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이 있다. 이 밸브는 고정용 하우징과 칼라와 밸브 케이스를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밸브에 있어서는, 밸브 케이스에는 칼라의 상단부에 걸어맞춰지는 탄성걸림편과 상기 칼라의 하단부에 걸어맞춰지는 환형상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칼라는 상기 밸브 케이스의 내측에 조립되고, 이와 같이 칼라가 조립된 밸브 케이스를 고정용 하우징에 있어서의 외부 배관의 접속관부의 내측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접속관부의 내측에 상기 칼라를 위치시켜서 상기 접속관부를 보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밸브에 있어서는 상기 밸브 케이스에 칼라에 대한 탄성걸림 편과 고정용 하우징의 접속관부에 대한 탄성걸림편을 형성할 필요가 있음과 아울러, 접속관부와 칼라의 사이에 밸브 케이스를 개재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 접속관부의 내측에 있어서 연료의 유로를 가능한 한 넓게 확보한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부적당한 것이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5-127501호 공보(단락번호 0043, 도 8)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연료탱크와 관체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특허문헌 1에서의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역지밸브에 있어서의 보강 통형상체(특허문헌 1에서의 칼라)를 극히 간소한 구조로 하여 적절하게 관체가 끼워맞춰지는 부착부의 내측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이 부착부의 내측에 있어서 연료의 유로를 가능한 한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를 "통형상 본체와, 연료탱크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관체가 끼워맞춰지는 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형상 본체에 조립되는 커넥트 통형상체와,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 내에 수납되는 보강 통형상체를 가지고 있으며, 커넥트 통형상체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부와 상기 조립에 의해서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 내에 위치하는 통형상 본체의 유지단부에 의해서 보강 통형상체를 그 양측에서 협지(挾持)함으로써, 커넥트 통형상체의 부착부의 내측에 상기 보강 통형상체를 위치시키도록 한 것"으로 하였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의 부착부의 내측에 상기 보강 통형상체를 그 일단이 상기 스토퍼부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에 통형상 본체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부착부의 내측에 보강 통형상체를 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장되는 보강 통형상체에 의해서 연료 공 급관 등과의 접속, 또한 호스 밴드 등에 의한 체결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커넥트 통형상체의 부착부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 본체에는 이 통형상 본체의 유로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또는 폐쇄 가능하게 개방하는 밸브체를 구비하여 두는 것도 있다.
또,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연료탱크용 역지밸브를 "밸브체를 구비한 통형상 본체와, 연료 공급관이 끼워맞춰지는 부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형상 본체에 조립되는 커넥트 통형상체와,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 내에 수납되는 보강 통형상체를 가지고 있으며, 커넥트 통형상체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부와 상기 조립에 의해서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 내에 위치하는 통형상 본체의 유지단부에 의해서 보강 통형상체를 그 양측에서 협지함으로써, 커넥트 통형상체의 부착부의 내측에 상기 보강 통형상체를 위치시키도록 한 것"으로 하였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의 부착부의 내측에 상기 보강 통형상체를 그 일단이 상기 스토퍼부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에 통형상 본체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부착부의 내측에 보강 통형상체를 내장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장되는 보강 통형상체에 의해서 연료 공급관 등과의 접속, 또한 호스 밴드 등에 의한 체결에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커넥트 통형상체의 부착부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형상 본체의 유지단부 측의 내경과 상기 보강 통형상체의 내경이 같게 되도록 하여 두면, 보강 통형상체를 위치시킨 상기 구조에서는 연료 공급관으로부터 흘러 들어오는 연료의 흐름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통형상 본체의 유지단부에 이 통형상 본체의 중심축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기부를 형성하여 두면, 상기 돌기부와 유지단부에 의해서 확실하게 보강 통형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 및 역지밸브에 있어서는, 커넥트 통형상체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부와 이 커넥트 통형상체 내에 위치하는 통형상 본체의 유지단부에 의해서 보강 통형상체를 그 양측에서 협지함으로써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의 부착부의 내측에 상기 보강 통형상체를 위치시키는 것이므로, 보강 통형상체를 극히 간소한 구조로 하여 적절하게 관체가 끼워맞춰지는 부착부의 내측에 위치시킬 수 있고, 또 상기 부착부의 내측에 있어서 연료의 유로를 가능한 한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커넥터(C){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역지밸브(Ca)로서 구성되어 있다}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고, 도 2 내지 도 4는 상기 커넥터(C)의 측면, 저면 및 단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고, 도 5는 상기 커넥터(C)의 사용상태를 단면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연료탱크(T)의 단면 상태의 윤곽은 가상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연료탱크(T)의 윤곽 내에 삽입 되어 있는 커넥트 통형상체(2)의 환형상 융기부(22a)는 상기 연료탱크(T)의 외면부에 용착되는 용착부분이 된다. 또,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커넥터(C)의 일부를 변경한 예를 그 변경 개소만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C)는 연료탱크(T)와 이 연료탱크(T)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관체(P)를 접속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관체(P)로서는 연료 급유구로 이어지는 연료 공급관, 연료펌프로 이어지는 연료 공급라인을 구성하는 관, 캐니스터로 이어지는 에바포 튜브, 브리더 튜브 등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역지밸브(Ca)는 연료탱크(T)에 구비되어 이 연료탱크(T)와 연료 공급관{관체(P)}을 접속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역지밸브(Ca)는 상기 커넥터(C)에 밸브체(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커넥터(C)는 통형상 본체(1)와 커넥트 통형상체(2)와 보강 통형상체(3)를 가지고 있다. 보강 통형상체(3)는 커넥트 통형상체(2)의 후술하는 부착부(20)를 보강하기 위해서 이 부착부(20)에 내장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의 효과는, 전형적으로는 보강 통형상체(3)를 구성하는 재료를 커넥트 통형상체(2)를 구성하는 재료보다도 강성이 큰 재료로 구성함으로써 높일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커넥트 통형상체(2)는 연료탱크(T)에 대한 용착에 의한 고정 등의 관계에서 합성수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보강 통형상체(3)는 상기 합성수지보다 강성이 큰 재료, 예를 들면 SPCC 등의 금속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커넥터(C)의 중량 증가를 가능한 한 억제함과 아울러 보강 통형상체(3)의 두께의 최소화를 실현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커넥터(C)는 통형상 본체(1)에 밸브체(10)를 더 가지고 있 으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역지밸브(Ca)를 구성하고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밸브체(10)는 통형상 본체(1)의 유로(L)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C)에 밸브체(10)를 구비시킴에 있어서, 차단밸브 등의 통기계(通氣系)의 밸브를 구성시킨 경우에는, 통상시에는 통형상 본체(1)의 유로(L)가 개방되어 있고, 소정의 조건이 구비되었을 때에 상기 밸브체(10)에 의해서 상기 통형상 본체(1)의 유로(L)가 폐쇄되도록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료액 수위의 변화에 의해서 밸브폐쇄위치로 이동하는 플로트 밸브 등이 밸브체로서 이용된다.
통형상 본체(1)는 커넥트 통형상체(2)와 조립되어 연료탱크(T) 내외를 연통시키는 유로(L)를 구성한다. 즉, 통형상 본체(1)는 그 양단이 모두 개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통형상 본체(1)는 대략 원통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통형상 본체(1)의 일단(11)측이 커넥트 통형상체(2)에 대한 조립부(11a)로 되어 있으며, 도시한 예에서는, 통형상 본체(1)는 상기 조립부(11a)를 후술하는 커넥트 통형상체(2)의 피조립부(23) 내에 삽입함에 의해서, 통형상 본체(1)의 내부와 커넥트 통형상체(2)의 내부가 연통되어 연료의 유로(L)가 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통형상 본체(1)의 조립부(11a)의 외경은 커넥트 통형상체(2)의 내경과 거의 같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통형상 본체(1)의 외주측에 있어서의 상기 조립부(11a)측에는, 이 조립부(11a)의 기단부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서 이 통형상 본체(1)를 둘러싸는 주회(周回) 벽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회 벽부(13)의 내 면과 통형상 본체(1)의 외면과의 사이에는 그 둘레방향의 어느 위치에서나 커넥트 통형상체(2)의 두께와 거의 같은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주회 벽부(13)는 그 기단부(13a)가 상기 통형상 본체(1)의 외면에 일체로 연접되어 있다. 또, 상기 주회 벽부(13)에는 그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창구멍(13b)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서 복수의 창구멍(1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통형상 본체(1)의 조립부(11a)를 커넥트 통형상체(2) 내에 완전히 삽입한 위치에서, 상기 창구멍(13b)에 커넥트 통형상체(2)의 외면에 형성한 후술하는 걸어맞춤돌기부(23a)가 끼워져 걸어맞춰짐으로써 커넥트 통형상체(2)와의 조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통상시에는 상기 통형상 본체(1)의 타단(12)을 폐색하도록, 이 통형상 본체(1)에 밸브체(10)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밸브체(10)는 상기 통형상 본체(1)의 타단(12)을 외측에서 덮는 크기의 덮개판(10a)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판(10a)은 통형상 본체(1)의 타단(12)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비틀림 코일스프링(15)에 의해서 그 일면이 상기 타단(12)에 눌러붙여지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0b"로 나타낸 것은 통형상 본체(1)에 구비된 덮개판(10a)의 회동축이고, 도면부호 "10c"로 나타낸 것은 덮개판(10a)의 타면측에 형성된 상기 회동축(10b)의 축받이부이다. 비틀림 코일스프링(15)은 그 스프링 코일부(15a)가 상기 회동축(10b)에 끼워맞춰짐에 의해서 구비되며, 일단(15b)이 통형상 본체(1)측에, 타단(15c)이 덮개판(10a)의 타면에 누름접촉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 본체(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료탱 크(T)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밸브체(10)에 의해서, 연료 공급관{관체(P)}을 통해서 연료탱크(T) 내로 들어오는 연료의 유입은 상기 비틀림 코일스프링(15)의 탄지에 저항하여 덮개판(10a)을 통형상 본체(1)의 타단(12)에서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허용하지만, 연료 공급관{관체(P)}으로의 연료의 역류는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커넥트 통형상체(2)는 연료탱크(T)와 외부를 연결하는 관체(P)가 끼워맞춰지는 부착부(20)를 구비하며, 상기 통형상 본체(1)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이 커넥트 통형상체(2)도 그 양단이 모두 개방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도 대략 원통형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의 외측에 있어서 그 양단 사이에는, 이 커넥트 통형상체(2)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플랜지(22)를 사이에 둔 일방측이 상기 부착부(20)가 되고, 그 타방측이 상기 통형상 본체(1)의 조립부(11a)가 삽입되는 피조립부(23)(수납부)가 된다. 상기 플랜지(22)에 있어서의 상기 피조립부(23)측으로 향하는 측에는, 이 플랜지(22)의 돌출단부가 테두리를 두드도록 환형상 융기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수지제의 연료탱크(T)에 형성된 부착구멍(Ta){즉, 커넥트 통형상체(2)의 피조립부(23)는 통과하지만 플랜지(22)는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부착구멍(Ta)}에 대해서, 연료탱크(T)의 외측에서 커넥트 통형상체(2)의 피조립부(23) 및 이 커넥트 통형상체(2) 조립된 통형상 본체(1)를 연료탱크(T)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연료탱크(T)의 외면부에 걸리는 환형상 융기부(22a)를 열용착시킴으로써, 상기 연료탱크(T)에 역지밸브(Ca)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의 피조립부(23)의 외측에 상기 통형상 본체(1)의 주회 벽부(13)에 형성되어 있는 창구멍(13b)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돌기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통형상 본체(1)의 조립부(11a)를 커넥트 통형상체(2)의 피조립부(23)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감에 따라서, 커넥트 통형상체(2)의 피조립부(23)가 주로 주회 벽부(13)측을 탄성변형시키면서 통형상 본체(1)에 있어서의 조립부(11a)의 외면과 주회 벽부(13)의 내면과의 사이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각 창구멍(13b)에 상기 걸어맞춤돌기부(23a)가 끼워져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역지밸브(Ca)의 커넥트 통형상체(2)의 부착부(20)가 연료 공급관으로서의 관체(P) 내에 끼워맞춰지되, 상기 관체(P)의 일단이 상기 플랜지(22)에 맞닿는 위치까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역지밸브(Ca)를 통해서 연료탱크(T)와 연료 공급관을 접속시키고 있다(도 5 참조). 즉,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에 있어서의 연료탱크(T)의 외측에 위치하는 플랜지(22)의 일방측(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상기 부착부(20)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의 부착부(20)가 내측에 끼워맞춰진 연료 공급관{관체(P)}의 외측에는 호스 밴드(B)가 감져지며, 이 호스 밴드(B)에 의해서 연료 공급관과 부착부(20)가 체결된다.
보강 통형상체(3)는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 내에 수납되어 이 커넥트 통형상체(2)의 부착부(20)를 보강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보강 통형상체(3)는 상 기 커넥트 통형상체(2)의 부착부(20)의 내경과 거의 같은 외경을 구비함과 아울러, 그 양단이 모두 개방된 원통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통형상 본체(1)의 조립부(11a)측의 내경은 상기 보강 통형상체(3)의 내경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부(24)와 상기 조립에 의해서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 내에 위치하는 통형상 본체(1)의 유지단부(16)에 의해서 보강 통형상체(3)를 그 양측에서 협지함으로써, 커넥트 통형상체(2)의 부착부(20)의 내측에 상기 보강 통형상체(3)를 위치시키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커넥트 통형상체(2)의 부착부(20)의 내측에, 이 커넥트 통형상체(2)의 일단(21b)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두고서 이 커넥트 통형상체(2)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주회 돌기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회 돌기부(24a)의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의 내면에서 돌출되는 돌출치수가 보강 통형상체(3)의 두께치수와 거의 같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주회 돌기부(24a)와 상기 통형상 본체(1)의 일단(11){즉, 커넥트 통형상체(2)의 피조립부(23) 내에 조립부(11a)를 완전히 삽입한 상태에서의 통형상 본체(1)의 일단(11)}과의 사이의 간격이 보강 통형상체(3)의 축방향의 전체 길이와 거의 같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의 타단(21a)측에서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의 부착부(20)의 내측으로 상기 보강 통형상체(3)를 삽입하되, 이 보강 통형상체(3)의 일단이 상기 주회 돌기부(24a)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에 통형상 본체(1)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부착부(20)의 내측에 보강 통형상체(3)를 내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장되는 보강 통형상체(3)에 의해서 연료 공급관과의 접속, 또한 호스 밴드에 의한 상기 체결에 견딜수 있는 강성을 커넥트 통형상체(2)의 부착부(20)에 부여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트 통형상체(2)의 부착부(20)의 주회 돌기부(24a)가 상기 스토퍼부(24)로서, 또 통형상 본체(1)의 일단(11){즉, 조립부(11a)측의 일단}이 상기 유지단부(16)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통형상 본체(1)의 유지단부(16)측의 내경과 보강 통형상체(3)의 내경이 거의 같게 되어 있기 때문에, 보강 통형상체(3)를 위치시키는 상기 구조에서는 연료 공급관으로부터 흘러 들어오는 연료의 흐름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통형상 본체(1)의 유지단부(16)에는 이 통형상 본체(1)의 중심축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기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통형상 본체(1)의 유지단부(16)에 일단을 위치시킴과 아울러 이 통형상 본체(1)의 타단(12)측으로 향해서 이어지는 리브형상을 이루는 돌기부(17)가, 이 통형상 본체(1)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돌기부(17,17)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서 4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돌기부(17)와 유지단부(16)에 의해서 확실하게 보강 통형상체(3)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 본체(1)의 조립부(11a)의 내측에 커 넥트 통형상체(2)의 피조립부(23)를 삽입하도록 함에 의해서 통형상 본체(1)와 커넥트 통형상체(2)를 조립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립부(11a)의 내면과의 사이에 커넥트 통형상체(2)의 피조립부(23)를 받아들이는 간격을 두고서 상기 조립부(11a)의 내측에 유지용 벽부(18)를 형성하고, 이 유지용 벽부(18)의 단부가 상기 유지단부(16)가 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유지용 벽부(18)는 통형상 본체(1)의 중심축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몇 개로 분리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도 1은 커넥터(C)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커넥터(C)의 측면도
도 3은 커넥터(C)의 저면도
도 4는 커넥터(C)의 단면도
도 5는 커넥터(C)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도 4와 다른 위치에서의 단면도)
도 6은 커넥터(C)의 변경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 구성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T - 연료탱크 P - 관체(연료 공급관)
1 - 통형상 본체 16 - 유지단부
2 - 커넥트 통형상체 20 - 부착부
24 - 스토퍼부 3 - 보강 통형상체

Claims (5)

  1. 통형상 본체(1)와, 연료탱크(T)와 외부를 연결시키는 관체(P)가 끼워맞춰지는 부착부(20)를 구비하며 상기 통형상 본체(1)에 조립되는 커넥트 통형상체(2)와,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 내에 수납되는 보강 통형상체(3)를 가지고 있으며,
    커넥트 통형상체(2)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부(24)와 상기 조립에 의해서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 내에 위치하는 통형상 본체(1)의 유지단부(16)에 의해서 보강 통형상체(3)를 그 양측에서 협지(挾持)함으로써, 커넥트 통형상체(2)의 부착부(20)의 내측에 상기 보강 통형상체(3)를 위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본체(1)에는 이 통형상 본체(1)의 유로(L)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또는 폐쇄 가능하게 개방하는 밸브체(1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3. 밸브체(10)를 구비한 통형상 본체(1)와, 연료 공급관(P)이 끼워맞춰지는 부착부(20)를 구비하며 상기 통형상 본체(1)에 조립되는 커넥트 통형상체(2)와,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 내에 수납되는 보강 통형상체(3)를 가지고 있으며,
    커넥트 통형상체(2)의 내측에 형성된 스토퍼부(24)와 상기 조립에 의해서 상기 커넥트 통형상체(2) 내에 위치하는 통형상 본체(1)의 유지단부(16)에 의해서 보강 통형상체(3)를 그 양측에서 협지함으로써, 커넥트 통형상체(2)의 부착부(20)의 내측에 상기 보강 통형상체(3)를 위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역지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본체(1)의 유지단부(16)측의 내경과 상기 보강 통형상체(3)의 내경이 같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역지밸브.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통형상 본체(1)의 유지단부(16)에는 이 통형상 본체(1)의 중심축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기부(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역지밸브.
KR1020090114534A 2008-11-26 2009-11-25 연료탱크용 커넥터 및 역지밸브 KR101032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00590A JP4937236B2 (ja) 2008-11-26 2008-11-26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及び逆止弁
JPJP-P-2008-300590 2008-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720A KR20100059720A (ko) 2010-06-04
KR101032540B1 true KR101032540B1 (ko) 2011-05-04

Family

ID=42225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534A KR101032540B1 (ko) 2008-11-26 2009-11-25 연료탱크용 커넥터 및 역지밸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03001B2 (ko)
JP (1) JP4937236B2 (ko)
KR (1) KR101032540B1 (ko)
CN (2) CN102642463B (ko)
WO (1) WO20100617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46479B2 (en) * 2009-01-30 2014-06-10 Neal L. Keefer Method of closing a fuel tank with a pivotal door and seal
US20120060351A1 (en) * 2009-05-29 2012-03-15 Vestas Wind Systems A/S Shaft connection using a band
JP5570320B2 (ja) * 2010-06-29 2014-08-13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の配管構造体
US8997782B2 (en) * 2010-09-24 2015-04-07 Brunswick Corporation Inlet control valves for use with fuel delivery systems
JP6176187B2 (ja) * 2014-05-29 2017-08-09 豊田合成株式会社 給油装置
EP3183138A4 (en) * 2014-08-19 2018-04-18 Eaton Corporation Extension tube internal check valve
JP6150772B2 (ja) 2014-08-26 2017-06-21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逆止弁
EP3124306A1 (en) * 2015-07-31 2017-02-01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and Research An inlet check valve for a filler pipe welded to a liquid tank
JP6852633B2 (ja) * 2017-09-26 2021-03-31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逆止弁
CN109017281A (zh) * 2018-07-05 2018-12-18 安徽知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油箱口盖
US11858339B2 (en) * 2018-10-31 2024-01-02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Fuel filler neck for providing fuel to a fuel tank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fuel access to a fuel tank
EP3854618B1 (de) * 2020-01-21 2022-03-09 Magna Energy Storage Systems GesmbH Kraftstofftank umfassend ein verbindungsstück
EP4244516A4 (en) * 2020-11-11 2024-03-20 Jayasiri Wester SANITARY FITTIN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1221U (ko) * 1987-04-30 1988-11-08
JP2000249239A (ja) * 1999-03-03 2000-09-12 Nifco Inc バルブ
JP2005127501A (ja) * 2003-09-30 2005-05-19 Piolax Inc 樹脂燃料タンク取付け用バルブ
JP2006009850A (ja) * 2004-06-23 2006-01-12 Piolax Inc 樹脂タンク用シャッターバルブ取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1719B2 (ja) * 1996-10-23 2003-01-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フィラーチューブ接続部構造
US6296014B1 (en) * 1999-01-12 2001-10-02 Toyoda Gosei Co., Ltd. Check valve and fuel tank with check valve attached thereto
JP3824212B2 (ja) * 2000-11-17 2006-09-20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付設弁
JP3886344B2 (ja) * 2001-06-19 2007-02-2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燃料タンク用逆止弁
JP4694723B2 (ja) * 2001-06-26 2011-06-08 株式会社ニフコ 合成樹脂製燃料タンクの付属部品
US20030116202A1 (en) * 2001-12-21 2003-06-26 Eaton Corporation Assembling a siphonable filler tube with a check vlave on a fuel tank
JP2005098229A (ja) * 2003-09-25 2005-04-14 Toyoda Gosei Co Ltd 燃料タンク用継手
JP4232616B2 (ja) * 2003-11-26 2009-03-04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管接続体
JP4504772B2 (ja) * 2004-09-27 2010-07-14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の給油管
JP4564858B2 (ja) * 2005-02-08 2010-10-20 八千代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構造
US7082964B1 (en) * 2005-03-09 2006-08-01 Yachiyo Kogyo Kabushiki Kaisya Attachment structure of a component in a fuel tank made of res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71221U (ko) * 1987-04-30 1988-11-08
JP2000249239A (ja) * 1999-03-03 2000-09-12 Nifco Inc バルブ
JP2005127501A (ja) * 2003-09-30 2005-05-19 Piolax Inc 樹脂燃料タンク取付け用バルブ
JP2006009850A (ja) * 2004-06-23 2006-01-12 Piolax Inc 樹脂タンク用シャッターバルブ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03001B2 (en) 2013-03-26
KR20100059720A (ko) 2010-06-04
WO2010061734A1 (ja) 2010-06-03
US20110259447A1 (en) 2011-10-27
CN102642463B (zh) 2013-07-17
JP2010125914A (ja) 2010-06-10
CN102642463A (zh) 2012-08-22
JP4937236B2 (ja) 2012-05-23
CN101734145A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540B1 (ko) 연료탱크용 커넥터 및 역지밸브
JP6231843B2 (ja) 誤給油防止装置
JP4074113B2 (ja)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JP6200097B2 (ja) 弁ケースの取付構造
CN110185836B (zh) 燃料阀
WO2015146336A1 (ja) 燃料供給装置
US9931928B2 (en) Filler pipe and vehicle fuel filler port structure
BRPI0804503B1 (pt) mangote (hose)
JP6260865B2 (ja) 燃料供給装置
US6675843B2 (en) Non-return valve for fuel tank
US6338506B1 (en) Evaporation valve pipe-fastening structure
JP7172715B2 (ja) 燃料装置の組み付け構造
JP4253620B2 (ja) 樹脂燃料タンク取付け用バルブ
JP6415075B2 (ja) 燃料供給装置
US9919596B2 (en) Open-close device for fuel tank
US7842183B2 (en) Oil filter assembly
JP4310167B2 (ja) インタンク用バルブの取付け構造
JP7286473B2 (ja) 燃料タンク装置
WO2014112211A1 (ja) 燃料給油管の逆止弁
JP7222774B2 (ja) 逆流防止装置の取付構造
JP4484749B2 (ja) 逆止弁
JP5988675B2 (ja) バルブ
JP2008062878A (ja) 燃料タンク装着部品
JP2008105441A (ja) 燃料タンクへの弁部材取付構造
JP6338181B2 (ja) 燃料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