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513B1 -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513B1
KR101029513B1 KR1020057022164A KR20057022164A KR101029513B1 KR 101029513 B1 KR101029513 B1 KR 101029513B1 KR 1020057022164 A KR1020057022164 A KR 1020057022164A KR 20057022164 A KR20057022164 A KR 20057022164A KR 101029513 B1 KR101029513 B1 KR 101029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le
case
mission case
gear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2637A (ko
Inventor
코지 키요오카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Sealing Of Bearing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Arrangement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에 관하여, 미션 케이스로부터 액슬 케이스나 차축을 분리해도 미션 케이스로부터 오일이 새어나가는 일이 없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미션 케이스(22)에 액슬 케이스(27)를 연설해서 상기 미션 케이스(22)와 액슬 케이스(27)에 차축(26)을 지지하고, 상기 미션 케이스(22) 내의 차축(26)의 일단에 동력전달체로서의 캐리어(28)를 설치하는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28)의 차축 연결부인 차축 끼워맞춤부(28a)를 밀폐함과 아울러, 액슬 케이스(27) 외단부와 차축(26) 사이, 및, 미션 케이스(22)와 차축 지지부인 상기 캐리어(28) 사이에 각각 오일 시일(39)과 오일 시일(40)을 설치했다.

Description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AXLE SUPPORTING STRUCTURE OF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 등의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에 있어서는, 미션 케이스 내부나, 상기 미션 케이스에 연설되는 액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베어링 지지부에 의해 차축이 지지된다. 이와 같은 차축 지지부의 구조로서,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5-30601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차축의 지지부에 있어서의 액슬 케이스 내부의 오일을 윤활유로서 공급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1 참조). 구체적으로는, 액슬 케이스의 양단부를 시일해서 오일 저류실을 형성시키고, 상기 오일 저류실 내의 오일을 외단부의 축받이에 대한 윤활 오일로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축 지지구조에 있어서는, 주행차축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액슬 케이스 내부에 있어서 오일을 저장하는 작용도 나타내는 것이다. 통상으로는, 액슬 케이스의 외단부에 오일 시일이 설치되어 있고, 액슬 케이스 내부에 오일을 저장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상기 오일이 외부에 누설되지 않게 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액슬 케이스 외단부에 오일 시일을 설치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진흙이나 모래 등이 액슬 케이스 내에 혼입되는 것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콤바인 등의 작업기에 있어서는, 지표면이 질퍽한 작업장 등에서의 작업이 상정된다. 그 때문에, 액슬 케이스의 외단부에 오일 시일을 설치한 것 만으로는, 미션 케이스 내에까지 진흙 등이 혼입되는 것을 막기에는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일본 특허공개 2002-274205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콤바인의 트랜스미션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승용 전식기에 있어서 서스펜션 기구를 통해서 액슬 케이스 내에 진흙 등이 침입했을 경우에 있어서도, 미션 케이스와 액슬 케이스가 접합되어 있는 접합부와의 사이에 시일재를 개설해서, 미션 케이스에까지 상기 진흙 등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특허문헌2 참조).
그러나, 상기 시일재가 마모나 열화되었을 경우에는, 이것을 차례대로 바꿀 필요가 있지만, 종래의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시일재를 교환·부착할 때나, 그 외의 미션 케이스 내의 보수·유지를 행할 때 등에, 액슬 케이스나 차축을 미션 케이스로부터 분리하면, 미션 케이스로부터 오일이 누출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상기 미션 케이스 하부에 설치된 오일 드레인으로부터 미션 케이스 내의 오일을 한번 빼내고, 또한, 조립할 때에는 오일을 미션 케이스 내에 재주입해야 해서 번거롭다는 과제가 있었다.
특히, 일본 특허공개 2002-274205호 공보에 기재된 트랜스미션 구조에 있어서는, 서스펜션 기구의 상하 슬라이딩에 의한 진흙 등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 시일재를 미션 케이스와 액슬 케이스의 접합부에 개설하여, 진흙 등에 대한 시일 효과를 높이는 것이지만, 미션 케이스 하부가 완전히 밀폐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액 슬 케이스나 차축이 분리되었을 때에, 미션 케이스 내부로부터 오일이 누출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었던 것이다.
[특허문헌1]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5-30601호 공보
[특허문헌2] 일본 특허공개 2002-274205호 공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에 관하여,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미션 케이스로부터 액슬 케이스나 차축을 분리해도 오일이 새어나가는 일이 없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형태로서, 내부에 동력전달체를 지지한 미션 케이스에, 차축을 지지한 액슬 케이스를 탈착할 수 있게 연설해서, 상기 차축의 끝부를 상기 동력전달체의 구멍에 끼워 넣는 것으로 한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로서, 상기 동력전달체의 구멍 내에 상기 차축의 끝부에 대면하도록 시일재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미션 케이스와 상기 동력전달체 사이에 상기 미션 케이스에 연설된 액슬 케이스의 내단부에 대면하도록 시일재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오일 시일을 바꾸거나, 차축 지지부에 있어서의 보수·유지를 행하거나 할 때에, 상기 차축이나 액슬 케이스를 분리해도 오일이 미션 케이스 내부로부터 누출되는 일이 없다. 보수·유지작업에 있어서, 미션 케이스 내의 오일을 빼낼 필요가 없어서 번거롭지 않다. 또한, 사태에 따라서 액슬 케이스 내에 상기 진흙 등이 혼입된 경우에 있어서도, 미션 케이스 내에까지 진흙 등이 혼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차동기구 등에 있어서 좌우의 차축 사이에 간격이 있을 경우에 있어서도 미션 케이스 내부로부터의 오일이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의 형태로서, 상기 미션 케이스와 상기 동력전달체 사이에 베어링을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액슬 케이스 내에 오일을 넣는 대신에 그리스유로 끝마칠 수 있게 되어, 상기 액슬 케이스를 경량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축 지지구조를 갖춘 콤바인의 전체 좌측면도이다.
도 2는, 트랜스미션의 단면정면도이다.
도 3은, 차축 지지구조의 일부 단면전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축 지지구조의 일부 단면전개도이다.
도 5는, 마찬가지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축 지지구조의 일부 단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콤바인의 전체구성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는 트랙 프레임(1)의 좌우에 크롤러식 주행장치(2)가 구성되고, 기대(3)가 가설되어 있다. 상기 기대(3)의 전단에는 일으켜세움·예취부(8)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일으켜세움·예취부(8)의 선단에 있어서 분초된 짚이, 상기 일으켜세움·예취부(8)의 하부에 설치된 예취날(9)로 밑둥이 베어진다. 이와 같이 해서 베어진 짚은 짚 반송기구(10)로 콤바인 후부로 반송되고, 상기 짚 반송기구(10)의 상단부로부터 밑둥이 피드 체인(5)에 이어 받아져 탈곡부(4) 내에 반송된다.
상기 피드 체인(5) 후단에는, 짚배출 체인(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짚배출 체인(14) 후부 하방에는, 짚배출 처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탈곡부(4) 측부에는 상기 그렌 탱크(15)가 설치되고, 상기 그렌 탱크(15)에는 도시생략된 양곡통을 통해서 상기 탈곡부(4)로부터의 선별 후의 정립(精粒)이 반입된다. 상기 그렌 탱크(15) 전부에는 운전실(18)이 설치되며, 상기 운전실(18) 내에는 원형 조향 핸들(19)과 운전석(2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그렌 탱크(15) 후부에는 배출 오거(17)의 세로 오거(17a)가 세워 설치되고, 배출 오거(17) 선단으로부터 트랙 등으로, 그렌 탱크(15) 내의 곡립(穀粒)을 배출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트랙 프레임(1)의 전방 상부에, 엔진(21)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콤바인에 있어서는, 정유압식 무단변속장치(이하 「HST」로 약기한다), 즉, 도시생략된 주행계의 주행용 HST와 선회계의 선회용 HST로 이루어지는 트랜스미션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HST는, HST 케이스(23) 내에 형성되고, 상기 HST 케이스(23)가 미션 케이스(22)의 상부 측면에 부설되어 엔진(21)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엔진(21)으로부터 차축(26)으로의 동력의 전달기구를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미션 케이스(22) 내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엔진(21)으로부터의 동력은, 우선 전동축(62)에 스플라인으로 끼워 맞춰진 베벨 기어(63)에 전달된다. 상기 전동축(62)에는, 기어(64)가 스플라인으로 끼워 맞춰져 있고, 상기 기어(64)는 카운터축(66)에 끼워 맞춰진 기어(67)와 상시 맞물려져 있다. 카운터축(66)에는 기어(68)가 끼워 맞춰져 있고, 상기 기어(68)는 후술하는 주행용 HST의 입력축(69) 위의 입력 기어(70)와 상시 맞물려 있다. 또한, 미션 케이스(22)의 측방에 돌출된 전동축(62)의 돌출부에는, 엔진 라디에이터 및 냉각용 팬 구동용 풀리(62)가 단단히 설치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22)의 상방부에는, HST 케이스(23)가 부설되어 있다. 상기 HST 케이스(23) 내에는, 도시생략된 주행용 HST의 주행 유압펌프 및 주행 유압모터가 상하로 병설되어 있고, 상기 주행 유압펌프의 입력축(69) 및 주행 유압모터의 출력축(71)이 미션 케이스(22)의 좌우 축방향으로 축지지되어, 서로 상하방향으로 병렬되어 있다. 또한, 상기 HST 케이스(23) 내에는, 도시생략된 선회용 HST의 선회 유압펌프 및 선회 유압모터가 상하로 병설되어 있고, 상기 선회 유압펌프의 입력축 및 선회 유압모터의 출력축이 기체 좌우 축방향으로 축지지되어, 서로 상하방향으로 병렬되어 있다. 또한, 예취출력축(61)이 상기 HST 케이스(23)의 측방에 돌출되어 있고, 상기 예취출력축(61)을 통해서 상기 예취부(8)가 구동된다. 이와 같이, 주행용 HST와 선회용 HST가 단일 HST 케이스(23) 내에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HST 자체의 조립 및 상기 HST 케이스(23)의 미션 케이스(22)로의 탈착이 용이하게 되어, 유지·보수성이 향상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주행용 HST의 입력축(69)의 하방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용 HST의 출력축(71)이 횡설되고, 부변속구동기구(60)가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출력축(71)에는 기어(72)가 끼워 맞춰지고, 상기 기어(72)에는 저속주행용 외측 톱니(72a)와 고속주행용 외측 톱니(72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출력축(71)의 하방에는 부변속구동축(73)이 횡설되고, 상기 부변속구동축(73)에는 기어(74)와 기어(75)가 각각 느슨히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기어(74) 및 기어(75)는, 상기 기어(72)의 저속주행용 외측 톱니(72a) 및 고속주행용 외측 톱니(72b)에 상시 맞물려 있다. 상기 부변속구동축(73)에는 전동 기어(77)가 끼워 맞춰지고, 상기 전동 기어(77)는, 부변속구동축(73)의 하방에 횡설된 부변속종동축(78) 위의 기어(79)와 상시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부변속구동축(73)에는, 상기 기어(74)와 기어(75)에 각각 맞물릴 수 있는 클러치 슬라이더(76)가 좌우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스플라인으로 끼워 맞춰져 있다. 상기 클러치 슬라이더(76)에는, 도시생략된 시프트 포크가 외장되어 있다. 상기 시프트 포크는, 상기 운전석(20) 근방에 설치된 1개의 도시생략된 부변속레버에 연결 연동되어 있고, 상기 부변속레버를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슬라이더(76)가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이, 부변속구동기구(60)에 있어서는, 상기 클러치 슬라이더(76)가 상기 기어(74) 및 기어(75)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도록 구성함으로 써, 부변속종동축(78)에 2단계의 변속회전이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부변속종동축(78)의 좌단부에는, 주차 브레이크 기구(8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차 브레이크 기구(81)는, 도시생략된 핸드 브레이크에 의해 제동력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주차 브레이크 기구(81)에 있어서는, 핸드 브레이크에 연결 연동된 도시생략된 브레이크 암·캠축을 통해서, 프레셔 플레이트(82)가 회전된다. 그리고, 도 2에 있어서의 왼쪽 방향으로 추력(推力)이 발생하여, 상기 프레셔 플레이트(82)에 의해 부변속종동축(78) 위에 일체적으로 장착된 마찰판과, 미션 케이스(22)측에 장착된 마찰판이 서로 겹쳐져 이루어지는 다판식 마찰 브레이크(83)가 눌러진다. 이 누름에 의해 부변속종동축(78)에 저항을 부여해서 주차 브레이크 작용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부변속종동축(78)의 하방에는 전동축(84)이 횡설되어 있다. 상기 전동축(84)에는 전동 기어(85)가 끼워 맞춰지고, 상기 전동 기어(85)는 상기 부변속종동축(78)에 끼워 맞춰진 변속구동출력 기어(80)와 상시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전동축(84)에는, 좌우의 차축(26)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는 출력 기어(86)가 단단히 설치되고, 상기 출력 기어(86)가 차동기구(25)의 링기어(29)와 맞물려 있다.
상기 차동기구(25)는, 좌우 한 쌍의 유성기어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상기 전동축(84)의 하방이고, 또한 차축(26)과 동축선상에 선기어축(90)이 횡설되고, 상기 선기어축(90)에 선기어(87)가 단단히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기어(87)의 외주에는, 복수의 플래니터리 기어(88·88…)가 선기어(87)와 맞물림 가능하게 캐리어(28)에 의해 피봇팅되고, 동시에 상기 링기어(29)에 일체 형성된 인터널기어(89)와 맞물려 있다. 링기어(29)는 베어링부에 있어서 캐리어(28)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28)는 차축(26)으로의 동력전달체로 되고, 축심부를 바깥 방향으로 연장해서 차축(26)의 외주부에 보스부를 형성하여, 미션 케이스(22)에 형성된 지지부(22a)에 삽입지지되고, 차축 지지부인 베어링 지지부(31)에 의해 좌우축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안으로 끼워져 지지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28)에는, 상기 인터널기어(89)의 위치고정용 멈춤링(32)이 상기 인터널기어(89)의 베어링부와 상기 베어링 지지부(31) 사이에 끼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28)의 차축연결부인 차축 끼워맞춤부(28a)에 상기 차축(26)이 인발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또한, 상기 선기어축(90)에는, 좌우 대략 중앙에 역전 기어(91)가 단단히 설치되고, 상기 역전 기어(91)는 각각 좌우의 차동기구(25)의 상기 선기어(87)와 상시 맞물려 있다. 그리고, 미션 케이스(22) 내에는 도시생략된 정역전 부여기구가 구성되어 있고, 엔진(21)으로부터의 동력은 상기 HST 케이스(23) 내의 선회용 HST의 선회용 출력측으로부터 정역전 부여기구를 경유해서, 상기 역전 기어(91)에까지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역전 기어(91)가 좌우 한 쌍의 유성기어기구가 구성하는 선기어(87)에 맞물려 있기 때문에, 선회용 HST에 의해 정역의 회전방향과 회전수 증감의 제어가 행해지면, 상기 제어는 상기 역전 기어(91)를 통해서 각각 좌우의 차동기구(25)에 작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엔진(21)으로부터의 동력은, 상기 주행용 HST 및 부변속구동기구(60)를 통해서 차동기구(25)에 전달된다. 또한, 엔진(21)으로부터의 구동력은 선회 용 HST에도 전달되고, 상기 선회용 HST에 의해 정역의 회전방향과 회전수 증감의 제어가 행해진 후, 구동력이 미션 케이스(22) 내의 도시생략된 저역전 부여기구를 통해서 차동기구(25)에 전달된다. 즉, 상기 차동기구(25)에 연동 연결된 차축(26)을 통해서, 크롤러식 주행장치(2)의 구동 스프로킷(24)에 구동력을 상시 전달함으로써 전후 직진주행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구동 스프로킷(24)에 대한 회전수의 상대적인 증감제어에 의해 선회를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차축 지지구조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22)의 하부에 있어서 좌우 양측부에는 액슬 케이스(27)가 볼트(34)에 의해 단단히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축(26)의 양단부는, 차축 지지부인 베어링 지지부(35)를 통해서 상기 액슬 케이스(27)의 외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 지지부(35)는, 차축(26)에 끼워 장착되고, 상기 차축(26)의 동축상에 형성된 칼라(collar)(36)와 베어링 지지부(35)의 위치고정용 멈춤링(37)에 의해 액슬 케이스(27)의 외단부에 위치고정되어 있다. 상기 차축(26)의 일측단에는, 너트(38)에 의해 구동 스프로킷(24)이 단단히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캐리어(28)에 끼워 맞춰진 상기 차축(26)은, 미션 케이스(22)의 베어링 지지부(31)와 액슬 케이스의 베어링 지지부(35)에 의해 수평축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차축(26)의 내부에는, 이와 같은 차축(26)의 끼워맞춤부에 혼입된 에어를, 상기 끼워맞춤부로부터 방출시키는 에어 배출 통로(26a)가 형성되어 있다.
액슬 케이스(27)의 외단부에 있어서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35)보다 외측이 고, 또한 차축(26)과 액슬 케이스(27)의 간극을 완전히 밀폐하도록 시일재로서의 오일 시일(39)이 끼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콤바인은 지표면이 질퍽한 작어장 등에 있어서도 실시되는 것이고, 상기 오일 시일(39)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액슬 케이스(27)와 구동 스프로킷(24)의 접촉부로부터 액슬 케이스(27) 내에 진흙이나 물 등이 혼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액슬 케이스(27) 내에는, 윤활 오일로서 공급되는 오일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오일은, 액슬 케이스(27)의 일측면부에 뚫려 형성된 오일 구멍(42)에 의해 공급된다. 액슬 케이스(27) 내에 오일을 넣었을 경우에는, 차축 스플라인부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외단부의 오일 시일(39)이 파손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액슬 케이스(27) 외부로부터의 발견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미션 케이스(22) 내부에 있어서는, 상기 미션 케이스 하부를 유밀(油密)적으로 밀폐하는 밀폐수단으로서, 상기 미션 케이스(22)와 액슬 케이스(27)의 접합부 근방,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31)보다 외측이고, 또한 상기 미션 케이스(22)와 상기 캐리어(28)의 간극을 완전히 밀폐하도록 시일재로서의 오일 시일(40)이 끼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28)의 차축연결부인 차축 끼워맞춤부(28a)의 내부에 있어서 캡 형상의 시일재(41)가 상기 차축 끼워맞춤부(28a)의 내측에 장착되어서, 상기 시일재(41)의 외주와 차축 끼워맞춤부(28a)의 내측 사이에 O링 등을 끼워 장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28)의 미션 케이스(22) 내측으로부터는 상기 선기어축(90)이 끼워져 있고, 상기 선기어축(9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기어(87), 역전 기어(91) 및 베어링부(92)가 끼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선기어축(90)은 좌우의 캐리어(28)를 끼워 설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미션 케이스(22)로부터 상기 선기어축(90)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통해서 오일이 누출되는 일 없이, 상기 오일 시일(39) 등을 바꾸고, 차축 지지부에 있어서의 유지·보수를 행할 때에 상기 차축(26)이나 액슬 케이스(27)를 분리해도 오일이 미션 케이스(22) 내부로부터 누출되는 일이 없다. 또한, 미션 케이스(22) 내의 오일을 빼내는 일 없이, 상기 차축(26)이나 액슬 케이스(27)의 탈착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의 차축 지지구조에 더해서, 오일 시일(40) 및 시일재(41)를 설치함으로써, 미션 케이스(22)의 하단부가 외부에 대해서 밀유적으로 밀폐된 상태가 되어, 미션 케이스(22)와 상기 캐리어(28)의 간극, 및, 상기 차축 끼워맞춤부(28a)를 통해서 오일이 미션 케이스(22) 외부에 누출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일 시일(39)에서는, 상기 액슬 케이스(27) 내로의 진흙 등의 혼입을 완전하게는 막을 수는 없다. 상기 진흙 등이 미션 케이스(22) 내에까지 혼입되었을 경우에는, 기어 등의 마모나 파손으로 이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미션 케이스(22)의 차축 지지부가 상기 오일 시일(40) 및 시일재(41)에 의해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사태에 따라서 액슬 케이스(27) 내에 상기 진흙 등이 혼입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미션 케이스(22) 내에까지 진흙 등이 혼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엔진(21)의 동력전달기구에 있어서, 트랜스미션은 상기의 HST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파워 시프트, 및 슬라이딩 기어식이나 상시 맞물림식, V 벨트식 등의 트랜스미션이어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압식 트랜스미션과 유압식 조향 클러치가 설치된 것이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차축 지지구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회형식이 좌우 한 쌍의 유성기어기구에 의한 차동기구에 한정되지 않고, 사이드 클러치·브레이크의 트랜스미션을 채용하는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에 있어서도 적용가능하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22) 내에 있어서 전방 방향의 중심부위에 도시생략된 유악식 변속기구가 지지되고 이 유압식 변속기구를 통해서 상기 엔진(21)의 동력이 종동기어(45)에 전달된다. 종동기어(45)는, 데프기구의 조행축(47)과 동축상에 단단히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행축(47)에는, 사이드 기어(48)와 사이드 브레이크 기구(49)가 설치되고, 상기 사이드 기어(48)는 후술하는 최종 감속기어(50)와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최종 감속기어(50)는, 미션 케이스(22)에 형성된 지지부(22a)에 있어서 차축 지지부로서 베어링 지지부(51)에 의해, 상기 미션 케이스(22)의 좌우 축중심에 회전가능하게 안으로 끼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최종 감속기어(50)의 위치고정용 멈춤링(52)이, 상기 최종 감속기어(50)의 베어링 지지부(51)를 사이에 두고 끼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차축 연결부로서의 차축 끼워맞춤부(50a)에 상기 차축(26)이 인발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그리고, 상기 액슬 케이스(27)의 외단부에 있어서는 미션 케이스(22)의 하부 를 유밀적으로 밀폐하는 밀폐수단으로서, 차축(26)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지지부(35)보다 외측이고, 또한 상기 차축(26)과 액슬 케이스(27)의 간극을 완전히 밀폐하도록 오일 시일(39)이 끼워 장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미션 케이스(22) 내부에 있어서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51)보다 외측이고, 또한 상기 미션 케이스(22)와 상기 최종 감속기어(50)의 간극을 완전히 밀폐하도록 오일 시일(53)이 끼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최종 감속기어(50)의 차축 끼워맞춤부(50a)의 내부에 있어서 차축(26)의 내측단보다 내측에, 시일재(41)가 상기 차축 끼워맞춤부(50a)의 내측을 밀폐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시일재(41)를 끼워 설치함으로써, 미션 케이스(22) 내의 오일이 상기 관통구멍(50b)을 통해서 외부에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미션 케이스(22)의 하부를 유밀적으로 밀폐하는 밀폐수단으로서, 상기 최종 감속기어(50)에 있어서의 차축(26)의 삽입통과방향과 반대 방향의 관통구멍(50b)에 상기 시일재(41)를 끼워 설치하고, 또한, 그 외측에 뚜껑체(55)로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뚜껑체(55)는 철판제로 하고, 최종 감속기어(50)에 끼워 설치된 뚜껑체(55)의 외주를 빔 용접하거나 해서, 상기 뚜껑체(55)와 최종 감속기어(50)를 일체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미션 케이스(3) 내부 하방의 밀유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슬 케이스(27) 내에 진흙 등이 혼입되었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최종 감속기어(50)의 관통구멍(50b)을 통해서 미션 케이스(22) 내에까지 상기 진흙 등이 침입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는 좌우의 상기 최종 감속기어(50·50) 사이에는, 내경이 상기 관통구멍(50b)의 내경 이상이 되도록 통형상으로 형성된 시일재(56)가 상기 관통구멍(50b)을 밀폐하도록 끼워 설치되어 있다. 최종 감속기어(50)에는 관통구멍(50b)으로부터 미션 케이스(22)의 내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시일재(57)가 끼워 맞춰져 있고, 상기 시일재(57)의 돌출부와 상기 시일재(56)가 끼워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미션 케이스(22) 내의 오일이 상기 관통구멍(50b)(차축 연결부)을 통해서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데프기구(46)를 통해서 좌우의 차축의 회전속도에 차이가 생겼을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관통구멍(50b)을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55) 및 시일재(57)를 상기 최종 감속기어(50)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스플라인 보스가 형성되는 차축 연결부를 축구멍을 형성하지 않는 최종 감속기어(50)의 측면에 직접 빔 용점시켜서, 상기 차축 연결부를 유밀적으로 밀폐해도 된다.
또한, 상술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미션 케이스(22) 내의 베어링 지지부(31, 51) 및 액슬 케이스(27)의 베어링 지지부(35)에 있어서 시일이 있는 베어링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시일이 있는 베어링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상기 베어링 지지부(35)의 베어링부에 있어서는 윤활의 필요가 없고, 또한 상기 액슬 케이스(27) 내에 오일을 공급하는 대신에 그리스유로 끝마치게 함으로써 상기 액슬 케이스(27)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점에서 특히 유효하다.

Claims (3)

  1. 내부에 동력전달체(28, 50)를 지지한 미션 케이스(22)에, 차축(26)을 지지한 액슬 케이스(27)를 착탈 가능하게 연설해서 상기 차축(26)의 끝부를 상기 동력전달체(28, 50)의 구멍에 끼워 넣는 것으로 한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로서, 상기 동력전달체(28, 50)의 구멍 내에, 상기 차축(26)의 끝부에 대면하도록 시일재(41, 57)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미션 케이스(22)와 상기 동력전달체(28, 50) 사이에 상기 미션 케이스(22)에 연설된 상기 액슬 케이스(27)의 내단부에 대면하도록 시일재(40, 5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 케이스(22)와 상기 동력전달체(50) 사이에 시일이 있는 베어링(5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
  3. 삭제
KR1020057022164A 2003-05-22 2004-05-21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 KR101029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44795 2003-05-22
JP2003144795A JP4328127B2 (ja) 2003-05-22 2003-05-22 作業機の車軸支持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637A KR20060012637A (ko) 2006-02-08
KR101029513B1 true KR101029513B1 (ko) 2011-04-18

Family

ID=3347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164A KR101029513B1 (ko) 2003-05-22 2004-05-21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28127B2 (ko)
KR (1) KR101029513B1 (ko)
CN (1) CN100451396C (ko)
WO (1) WO20041044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065B1 (ko) * 2007-02-28 2009-06-18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KR101704469B1 (ko) * 2015-04-09 2017-02-22 이은석 요트 트레일러의 타이어 고정용 허브 이탈 방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0428U (ko) 1973-07-14 1975-04-05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935089Y1 (ko) * 1962-11-05 1964-11-25
JPS593056U (ja) * 1982-06-29 1984-01-10 株式会社クボタ 油圧式パワ−トランスミツシヨンケ−スの構造
JPS601562U (ja) * 1983-06-16 1985-01-08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伝動ケ−ス
JPH0351213Y2 (ko) * 1985-07-11 1991-11-01
JPH0832505B2 (ja) * 1989-10-21 1996-03-29 株式会社クボタ 伝動装置のクラッチ取付部構造
JP3621211B2 (ja) * 1996-10-31 2005-02-16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4063415B2 (ja) * 1998-09-02 2008-03-19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油圧駆動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01315661A (ja) * 2000-05-08 2001-11-13 Seirei Ind Co Ltd クローラ式走行車両のミッション部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0428U (ko) 1973-07-14 1975-04-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5341A (zh) 2006-06-28
WO2004104451A1 (ja) 2004-12-02
CN100451396C (zh) 2009-01-14
JP2004347026A (ja) 2004-12-09
JP4328127B2 (ja) 2009-09-09
KR20060012637A (ko) 2006-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82918B (zh) 具备具有车轮的行驶装置的作业车辆
JP4490316B2 (ja) ダンプトラックの走行駆動装置
US7743888B2 (en) Transmission and transfer case having integrated lubrication systems
JP4699817B2 (ja) ダンプトラックの走行駆動装置
JP4750516B2 (ja) 水田作業車
JP2011184040A (ja) ダンプトラック用走行装置
US6786289B2 (en) Skid steer vehicle with direct drive
JP4728057B2 (ja) ダンプトラックの走行駆動装置
KR101029513B1 (ko) 작업기의 차축 지지구조
WO2020158271A1 (ja) 作業機械
JP4643322B2 (ja) アクスルケース
WO2017065118A1 (ja) 油圧式変速装置
JP4544448B2 (ja) 走行作業機の動力伝達機構における潤滑油給油装置
JP2011179642A (ja) 作業車両
JP4643047B2 (ja) 乗用田植機のサスペンション機構
KR102267175B1 (ko) 트랙터의 구동 기어 어셈블리
US20220397189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work vehicle
US20240060601A1 (en) Screen assembly
US20220205526A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work vehicle
JPH06199140A (ja) 農作業車のオイルフィルター取付構造
JPH11278079A (ja) 車両用駆動装置
WO2017065119A1 (ja) 車両用駆動装置及びコンバイン
JP2002284056A (ja) 削土運搬用装軌車両の動力伝達装置
JPH11280868A (ja) 車両用駆動装置
JP2002054725A (ja) 走行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