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9192B1 - 송신 출력 회로 및 이동체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송신 출력 회로 및 이동체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9192B1
KR101029192B1 KR1020037013701A KR20037013701A KR101029192B1 KR 101029192 B1 KR101029192 B1 KR 101029192B1 KR 1020037013701 A KR1020037013701 A KR 1020037013701A KR 20037013701 A KR20037013701 A KR 20037013701A KR 101029192 B1 KR101029192 B1 KR 101029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ower
data
transmission
powe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541A (ko
Inventor
다까시 나까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40078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07Control dependent on the supply vol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66Fault detection or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항상 정확한 송신 전력 제어를 할 수가 있으며, 또한, 다른 사용자로의 간섭으로 되는 송신 전력의 이상이나 오송신을 야기하는 부품 고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송신 출력 회로이다. 전력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 레벨이 목적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되도록 이득 제어 증폭 수단을 피드 포워드 제어하기 위한 이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생성 수단과, 전력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검파하여 검파 신호 데이터를 얻기 위한 검파 수단과, 검파 수단으로부터의 검파 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송신 출력계에서의 고장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37013701
전력 증폭 수단, 송신 출력 회로, 송신 출력계, 검파 수단, 이동체 통신 단말기

Description

송신 출력 회로 및 이동체 통신 단말기{TRANSMISSION OUTPUT CIRCUI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직접 확산-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이후, DS-CDMA(Direct Sequence-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라 함)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 적용하는 데 적합한 송신 출력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에서는 이동국(이동체 통신 단말기)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상향 링크(업 링크)에서, 각 이동국이 동일한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였다고 하여도, 각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까지의 거리나 전파 환경이 각각 상이하기 때문에, 기지국 근처에 있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송신 신호가 기지국으로부터 멀리 있는 이동국의 송신 신호를 마스크하는, 소위 원근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에서는, 모든 이동국에서의 수신 신호 레벨이 기지국에서 일정해지도록 각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에서는, 이동국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의 방법으로서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방법과,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이 있다.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이동국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전계 레벨(수신 전계 레벨)에 따라, 이동국 자체에 의해 송신 전력을 가변 제어하는 방법이다.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서는, 원하는 송신 전력이 얻어지도록 한번의 제어로 10dB 이상의 광범위한 가변 제어가 행해진다. 이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서는 송신 전력의 절대값을 보증할 필요가 있다.
한편,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의 업 링크 신호의 수신 레벨이 일정해지도록 이동체 통신 단말기와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업 링크 신호의 출력 레벨을 보증하기 위한 폐루프 제어를 행하는 방법이다. 즉,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의 업 링크 신호의 수신 결과에 기초하여 TPC(Transmit Power Control)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한 TPC 커맨드를 이동국으로 보내어,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가변 제어한다.
이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서는, 이동국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TPC 커맨드에 기초하여, 1∼3dB씩의 좁은 범위의 가변 제어가 행해져서, 원하는 송신 전력으로의 조정이 행해진다. 이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서는 이동국의 송신 전력의 상대값을 보증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방법 혹은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종래의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 출력 회로는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이 도 13의 송신 출력 회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3에서, 참조 부호 100은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 신호 처리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참조 부호 200은 송신 전력 제어계를 나타내고 있다.
송신 신호 처리계(100)에서는, 이것에 입력되는, 스펙트럼 확산되어 소정의 직교 변조가 실시된 송신 신호의 중간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하, IF(Intermediate Frequency) 대역 송신 신호라 함) Sif를 RF(Radio Frequency) 대역의 송신 신호로 업 컨버트함과 함께, 그 RF 대역의 송신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안테나 커넥터단(2)을 통해 안테나(1)에 공급하고,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송신 신호 처리계(100)에서는 IF 대역 송신 신호 및 RF 대역 송신 신호에 대하여, 송신 전력 제어계(200)로부터의 AGC(Automatic Gain Control; 자동 이득 제어) 신호에 의해 AGC를 걸어줌으로써, 송신 신호의 전력이 희망하는 것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송신 신호 처리계(100)의 보다 상세한 구성 및 그 처리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즉, IF 대역 송신 신호는 IF 대역 AGC 증폭기(101)에 공급되며, 이 IF 대역 AGC 증폭기(101)에서, 송신 전력 제어계(200)로부터 D/A 컨버터(102)를 통해 공급되는 IF 대역 송신 신호용 AGC 전압 IFagc에 의해 이득 제어되면서 증폭된다.
이 IF 대역 AGC 증폭기(101)에서 증폭된 IF 대역 송신 신호는 IF 대역 대역 통과 필터(IF 대역 BPF)(103)에서 대역 제한되어, 믹서 회로(104)에 공급된다. 믹서 회로(104)에서는 IF 대역 송신 신호는 로컬 발진부(105)로부터의 로컬 주파수의 신호와 믹스되어, 미리 정해져 있는 RF 대역의 주파수 신호(이하, RF 대역 송신 신호라 함)로 업 컨버트된다.
이 믹서 회로(104)로부터의 RF 대역 송신 신호는 RF 대역 AGC 증폭기(106)에서, 송신 전력 제어계(200)로부터 D/A 컨버터(107)를 통해 공급되는 RF 대역용 AGC 전압 RFagc에 의해 이득 제어되면서 증폭된다. 증폭된 RF 대역 송신 신호는 RF 대역의 대역 통과 필터(RF 대역 BPF)(108)에서 대역 제한된 후, 전력 증폭기(109)에 공급되어, 소정의 전력까지 증폭된다.
전력 증폭기(109)에서 전력 증폭된 RF 대역 송신 신호는 아이솔레이터(110) 및 듀플렉서(111)를 통과한 후에, 안테나 커넥터단(2)으로 보내지며, 안테나(1)로부터 송신된다.
상술한 IF 대역 송신 신호용 AGC 전압 IFagc 및 RF 대역 송신 신호용 AGC 전압 RFagc의 기초로 되는 디지털 데이터인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Cif 및 Crf는 송신 전력 제어계(200)에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생성된다.
이 송신 전력 제어계(200)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01)와,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을 저장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02)와,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을 저장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03)를 구비한다.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01)는 예를 들면, DSP(Digital Signal Processor)에 의해 구성된다.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02)에는 소정의 전원 전압, 온도, 송신 주파수 등의 환경 조건에서, 지시 데이터 Po로 지시되는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각종 값에 대하여 최적이 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가,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입된다.
또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03)에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에 기입되어 있는 각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상기 환경 조건 등의 파라미터에 따라 보정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의 정보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기입되어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용의 파라미터로서는, 송신 출력 회로의 사용 환경 온도(주위 온도)와 전원 전압과 송신 신호의 주파수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송신 전력 제어계(200)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01)는 상기 파라미터인 전력 증폭기(109)의 전원(112)의 전압과, 송신 신호 처리계(100)가 탑재되어 있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주위 온도의 정보와, 도시하지 않은 통신 제어부로부터의 송신 주파수의 정보 Fx를 수신함과 함께, 출력하고자 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지시하는 지시 데이터 Po를 받아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02)와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03)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하여, 최적이 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Cif 및 Crf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전력 증폭기(109)의 전원(112)의 전압은 A/D 컨버터(113)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송신 전력 제어계(200)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01)에 공급된다. 또한, 송신 신호 처리계(100)에는 온도 센서(114)가 제공되며, 이 온도 센서(114)에서 검출된 송신 신호 처리계(100) 근방의 온도 정보가 A/D 컨버터(113)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 송신 전력 제어계(200)의 송 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01)에 공급된다.
도 14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02)로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의 정보의 기입 및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03)로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의 정보의 기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의 정보는 미리, 파라미터로서의 온도 변화, 전원 전압 변동, 송신 주파수의 변화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를 송신 출력 회로 혹은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설계 단계 및/또는 개발 단계에서 작성한다. 그리고, 그 작성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를 송신 출력 회로의 양산시의 조정 라인 상에서, 혹은 송신 출력 회로를 탑재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양산시의 조정 라인 상에서, 도 14에 도시하는 제어 데이터 기입기(21)를 이용하여, 외부 인터페이스(외부 I/F)(204)를 통해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03)에,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로서 기입한다.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의 정보는 소정의 환경 조건에서의 송신 신호에 대한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과, 그것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와의 대응 테이블이다.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02)로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의 기입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한다.
목적으로 하는 있는 1개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상정한다. 안테나 커넥터단(2)으로부터의 RF 대역 송신 신호 출력을 파워 미터 및 송신기 테스터(22)에 의해 모니터하면서, RF 대역 송신 신호 출력이 상기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되도록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조정하고,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되었을 때, 그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로 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02)에 기입한다. 이상의 동작을, 필요로 하는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모든 값에 대하여 행하고,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02)에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을 기입한다.
이 기입 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기입하였을 때의 주위 온도나 전원(112)의 전압, RF 대역 송신 신호의 주파수 등을 기준 파라미터 정보로 하여 송신 전력 제어 테이블 메모리(202)에 보존하도록 한다. 혹은, 이 기준 정보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01)에 보존시킨다.
이상과 같이, 각 테이블 메모리(202, 203)에 기입되어 있는 테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01)는 IF 대역 송신 신호용 AGC 전압 IFagc 및 RF 대역 송신 신호용 AGC 전압 RFagc의 기초로 되는 디지털 데이터인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Cif 및 Crf를 다음과 같이 하여 출력한다.
먼저,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01)에서는, 이것에 공급되는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지시하는 신호 Po를 참조하여, 그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되도록 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02)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추출한다.
다음으로, A/D 컨버터(113)로부터의 전원 전압의 디지털 데이터와, A/D 컨버터(115)로부터의 온도 센서(114)에 의해 검출된 온도 정보의 디지털 데이터와, 송 신 주파수 정보 Fx를 상술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에 대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03)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로부터 적절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02)로부터 얻은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데이터값과, 현재의 전원 전압과, 온도 및 송신 주파수의 데이터 정보로부터 송신하고자 하는 출력 레벨에 대하여, 최적이 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연산한다.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IF 대역 AGC용 데이터 IFagc와 RF 대역 AGC용 데이터 RFagc가 연산되어, D/A 컨버터(102 및 107)에 보내진다.
이렇게 해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01)는 실제 사용 환경 조건에서의 온도나 전원 전압, 또한, 사용 주파수 등의 환경 파라미터의 영향을 제거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Cif 및 Crf를 생성한다. 그리고,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Cif 및 Crf의 D/A 변환 출력인 AGC 전압 IFagc 및 RFagc에 의해 AGC 증폭기(101 및 106)에서 송신 신호에 대하여 AGC 제어가 행해짐으로써, 전력 증폭기(109)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원하는 송신 전력의 송신 신호가 얻어지도록 제어된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송신 출력 회로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에서는 주파수, 온도 및 전원 전압 변동에 대하여, 각각, 미리 양산 시의 조정 라인에서 기입한 보정 테이블을 가짐으로써, 주위 환경 변화에 따라 송신 전력을 보상하는, 피드 포워드 방식의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실제로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3에 도시한 종래예의 송신 전력 제어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드 포워드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로 송신하고 있는 송신 신호의 전력이 올바르므로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되어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은 행하지 않으며, 전력 증폭기(109)의 출력이 목적으로 하는 원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되어 있다는 보증은 없다. 그 때문에, 만일, 송신 신호 처리계(100)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품, 예를 들면, 전력 증폭기(109)나 RF 대역 AGC 증폭기(106) 등이 고장났을 때 송신 전력의 이상이나 오송신이 있어도,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는 그것을 검출할 수 없었다.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전력의 이상은 다른 사용자로의 간섭이나, 셀의 프린지 에리어에서 기지국으로의 업 링크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한다.
한편,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송신 특성으로서 3 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규격 및 일본의 TELEC의 규격에서, 최대 송신 전력 및 최소 송신 전력 항목(공중선 전력 편차의 항목)의 규정이 있다.
최대 송신 전력의 항목은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이동기 파워 클래스에 기초하여 정해져 있는 최대 송신 전력을 규정 레벨 범위 내로 유지하여 송신하는 능력을 규정하는 것이다. 또한, 최소 송신 전력의 항목은 마찬가지로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이동기 파워 클래스에 기초하여 정해져 있는 최소 송신 전력을 규정하는 것 이다.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 특히 최대 송신 전력으로 송신하는 경우에는 주파수, 전원 전압이나 온도 등의 환경 조건 변화에 대한 전력 증폭기, RF 대역 AGC 증폭기, IF 대역 AGC 증폭기 등의 송신 신호 처리계(100)의 RF 능동 부품의 변동분을 보상하여 주어야 한다.
또한, 이동체 통신 단말기를 대량 생산한 경우에는 상술한 송신 신호 처리계(100)에서, 개개의 부품에 변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설계, 개발 단계에서 일의적으로 정한 주파수, 전원 전압, 온도에 대한 보정 테이블을 제공하여도, 그 보정 테이블의 정보에 대하여 차이가 생긴다.
즉, 상술한 종래의 피드 포워드 방식의 송신 전력 제어에서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를 대량 생산하는 경우에, 상기 최대 송신 전력의 규격값을 만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상기 최소 송신 전력에 대해서도 규격값을 만족하는 것은 마찬가지로 용이하지 않다.
또한,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는 고속 데이터 속도를 실현하기 위해 멀티 코드 전송을 이용한다. 멀티 코드 전송에서는 복수종의 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코드 채널을 다중하기 때문에, 그 채널 다중 수에 따라 평균 송신 전력에 대한 피크 전력이 달라진다. 이 때문에, 채널 다중 수의 전환이 있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하여 그 채널 다중 수에 따라 보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피드 포워드 방식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에서는 주파수, 전원 전압, 온도에 대한 보정 테이블은 포함하고 있지만, 채널 다중 수에 대한 보정 테이블은 포함하고 있지 않다. 또한, 만일 이동체 통신 단말기가 채널 다중 수에 대한 보정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었다고 하여도, 최대 송신 전력이나 최소 송신 전력으로 업 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있을 때에, 채널 다중 수를 변화시켰을 경우에 규격값을 만족하도록 하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상기 송신 특성의 규격값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사용자 간섭에 의한 셀 용량의 저하나, 셀의 프린지 에리어에서 업 링크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이 경우,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는,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시에, 기지국으로부터의 TPC 제어에 기초한 좁은 범위의 가변 제어에 의해 원하는 송신 전력으로의 조정이 행해지지만, 겨우 1∼3dB 스텝을 위해 잠시 동안, 문제가 계속된다. 또한, 무엇보다도 규격값을 만족하지 않는 것은 이동체 통신 단말기로서 큰 문제로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항상 정확한 송신 전력 제어를 할 수가 있으며, 또한, 다른 사용자에게 간섭이 되는 송신 전력의 이상이나 오송신을 야기하는 부품 고장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송신 출력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회로는 입력 신호의 이득을 이득 제어 신호에 따라 가변하는 이득 제어 증폭 수단과, 상기 이득 제어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전력 증폭 수단과, 목적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지정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 지시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 레벨이 상기 목적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되도록 상기 이득 제어 증폭 수단을 피드 포워드 제어하기 위한 상기 이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생성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검파하여 검파 신호 데이터를 얻기 위한 검파 수단과, 상기 검파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검파 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송신 출력계에서의 고장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송신 출력 회로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검파하고, 그 검파 출력에 기초하여, 송신 출력계의 부품에 고장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검출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이상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일 때에는 송신을 정지하는 등을 행하여 다른 사용자로의 간섭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송신 출력 회로는 입력 신호의 이득을 제어 전압에 따라 가변하는 이득 제어 증폭 수단과, 상기 이득 제어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갖는 송신 신호를 얻기 위한 전력 증폭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검파하여 검파 신호 데이터를 얻기 위한 검파 수단과, 상기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다양한 값에 대응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가 기입된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과, 상기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다양한 값에 대응하는, 상기 이득 제어 증폭 수단에 공급하는 제어 전압을 생성하기 위 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가 기입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과, 상기 검파 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상기 검파 신호 데이터와, 상기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로부터의 상기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를 비교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 수단과,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로부터의 현재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와, 상기 검파 신호 비교 수단으로부터의 비교 출력 데이터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연산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 수단과,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D/A 변환하여, 상기 이득 제어 증폭 수단으로의 제어 전압으로 하는 D/A 변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 수단은 상기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 수단의 비교 출력 데이터가 소정 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연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드 포워드 제어에 의해 송신 전력 제어를 하는 것 뿐만아니라, 전력 증폭기의 출력 레벨을 검파 수단에 의해 검파하고, 그 검파 출력인 검파 신호 데이터와,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와의 차가 소정값 이하가 되도록 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가 연산되어 구해지기 때문에, 항상 송신 특성의 규격을 만족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종래의 피드 포워드 제어인 경우만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송신 출력 회로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송신 출력 회로에서, 송신 주파수 및/또는 송신 채널 다중 수를 파라미터로 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보정용 데이터가 기입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 수단은 현재의 송신 주파수 및/또는 현재의 채널 다중 수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보정용 데이터를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로부터 얻어서, 상기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널 다중 수가 변화하여도, 송신 규격을 만족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항상 얻도록 송신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회로의 실시 형태의 블록도.
도 2는 실시 형태의 송신 출력 회로에서의 테이블 데이터의 기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실시 형태의 블록도.
도 4는 실시 형태의 송신 출력 회로에 이용하는 검파 회로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실시 형태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제어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실시 형태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제어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 형태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제어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도 8은 실시 형태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제어 처리 동작의 설명에 이용하는 도면.
도 9는 실시 형태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장 검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도면.
도 10은 실시 형태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장 검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도면.
도 11은 실시 형태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장 검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 형태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의 고장 검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종래의 송신 출력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4는 종래의 송신 출력 회로에서의 테이블 데이터의 기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출력 회로 및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휴대 전화 단말기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에 적용한 경우이다.
[이동체 통신 단말기 구성의 설명]
먼저, 이 실시 형태에서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이 실시 형태에서의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전체 블록도를 도시함으로써, 안테나(1)와, 안테나 커넥터단(2)과, RF부(3)와, 통신 제어부(4)와, 메모리부(5)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6)와, 마이크로폰부(7)와, 스피커부(8)와, 착신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부(9)와, 표시부(10)와, 바이브레이터부(11)와, 그 밖에 주변 회로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F부(3)는 송신 출력 회로, 송신 신호 변조 회로 및 수신 처리부, 수신 신호 복조 회로를 포함하며,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에 대한 고주파 처리를 행한다. 즉, RF부(3)는 통신 제어부(4)로부터의 송신해야 할 신호를 송신 신호 변조 회로에서 변조하고, 송신 출력 회로에서 소정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전력 증폭하여, 안테나(1)로부터 기지국을 향해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1)로부터 얻은 수신 신호는 RF부(3)의 수신 신호 복조 회로에서 복조되어 통신 제어부(4)에 공급된다. 그리고, 그 수신 신호가 메모리부(5)에 저장되거나, 어플리케이션 제어부(6)를 통해 스피커부(8)에 의해 방음되기도 한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6)는 착신을 검지하면, 착신 LED부(9)를 점등하거나, 스피커부(8)에 의해 착신음을 방음하거나, 바이브레이터부(11)에 의해 진동시키기도 하여 사용자에게 착신을 통지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6)는 수신 신호나,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표시부(10)에 문자 정보나 화상 정보를 표시한다.
[송신 출력 회로의 설명]
다음으로, RF부(3)에 포함되는 송신 출력 회로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이 실시 형태의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송신 출력 회로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상술한 종래예의 도 13과 마찬가지로, 송신 신호 처리계(120)와 송신 전력 제어계(210)에 의해 구성된다.
〔송신 신호 처리계의 설명〕
송신 신호 처리계(120)에서, 상술한 도 13의 송신 신호 처리계(100)의 각 부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며 여기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증폭기(109)와 아이솔레이터(110)와의 사이에는 방향성 결합기(121)가 제공되며, 전력 증폭기(109)에 의해 소정의 전력까지 증폭된 송신 출력 신호의 일부는 이 방향성 결합기(121)를 통해 대수 검파 회로(122)에 공급된다.
이 대수 검파 회로(122)는 그 입력 신호의 레벨(dBm 값)에 대응하여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검파 전압을 얻을 수 있는 회로이다. 이 대수 검파 회로(122)로서는 온도 보상이 되어 있는 매우 직선성이 우수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이 대수 검파 회로(122)의 검파 전압은 A/D 컨버터(123)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후에, 송신 전력 제어계(210)로 보내진다.
도 4에,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한 A/D 컨버터(123)로부터의 검파 신호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낸다.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대수 검파 회로(122)는 온도 보상이 되어 있는 매우 직선성이 우수한 것이 이용되고 있다.
송신 신호 처리계(120)의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송신 신호 처리계(100)와 전부 마찬가지로 되어 있다.
〔송신 전력 제어계의 구성의 설명〕
이 실시 형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생성 수단으로서의 송신 전력 제어계(210)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와,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을 저장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2)와,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을 저장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13) 이외에,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을 저장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와,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와,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를 포함한다.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 및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이 실시 형태에서는 DSP에 의해 구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13)에 저장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은 환경 조건 파라미터로서, 온도 변화, 전원 전압 변동, 송신 주파수 이외에, 채널 다중 수가 이용된다. 이들 4종의 환경 조건 파라미터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보정 데이터가 송신 출력 회로 혹은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설계 단계 및/또는 개발 단계에서 작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13)에 기입된다.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에는 전력 증폭기(109)의 출력 레벨이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되었을 때에 대응하는 대수 검파 회로(122)로부터 얻어지는 검파 신호 데이터가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로서 기입된다. 또 한, 이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에는 검파 신호 데이터 보정 테이블의 정보도 기입된다.
이 검파 신호 데이터 보정 테이블의 정보는 대수 검파 회로(122)가 온도 보상되어 있는 매우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검파 전압이 얻어지는 회로인 것이기 때문에, 환경 조건 파라미터로서는 송신 주파수와, 채널 다중 수의 2종이 이용되어, 이들 2종의 파라미터에 대한 검파 신호 데이터 보정 데이터가 송신 출력 회로 혹은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설계 단계 및/또는 개발 단계에서 작성되며, 이하와 같이 하여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에 기입된다.
도 2는 이 실시 형태에서의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양산 시에서의 메모리(212, 213, 214)로의 테이블 데이터의 기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양산 시의 조정 라인 상에서, 제어 데이터 기입기(21)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미리 설계 단계 및/또한 개발 단계에서 작성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의 정보를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13)에 기입함과 함께, 검파 신호 데이터 보정 테이블의 정보를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에 기입한다.
다음으로,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상정하여, 안테나 커넥터단(2)으로부터의 RF 대역 송신 신호 출력을 파워 미터 및 송신기 테스터(22)에 의해 모니터하면서, RF 대역 송신 신호 출력이 상기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되도록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조정하여, 안테나 커넥터단(2)으로부터의 RF 대역 송신 신호 출력이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되었을 때, 그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상기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로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2)에 기입한다.
또한, 안테나 커넥터단(2)으로부터의 RF 대역 송신 신호 출력이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되었을 때, 대수 검파 회로(122)의 검파 신호를 A/D 컨버터에 의해 디지털화한 검파 신호 데이터를 상기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로서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에 기입한다.
이상의 처리 동작을, 필요로 하는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모든 값에 대하여 행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2)에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을 기입하고, 또한,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에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을 기입한다.
이 기입 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및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을 메모리(212 및 214)에 기입하였을 때의 주위 온도나 전원(112)의 전압, RF 대역 송신 신호의 송신 주파수, 채널 다중 수 등을 기준 파라미터 정보로 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 설정하도록 한다. 또한, 송신 주파수, 채널 다중 수에 대한 기준 파라미터 정보는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에 기입하여 둔다.
이상의 처리 공정에 의해,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송신 출력 회로에는 송신하고자 하는 RF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와 검파 신호 데이터, 및 환경 조건 파라미터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용 데이터와 검파 신호 데이터 보정용 데이터가 양산 시에 미리 테이블로서 메모리(212, 213, 214)에 기입된다.
또, 여기서는 검파 신호 데이터 보정 테이블의 정보에 대한 파라미터로서 전원 전압은 이용하지 않았지만, 전원 전압도 파라미터 이외에 검파 신호 데이터 보정 데이터를 작성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A/D 컨버터(113)로부터의 전원 전압의 값을 참조하여, 검파 신호 데이터의 전원 전압의 변동에도 대응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이다.
다음으로,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송신 전력 제어계(210)에서의 각 부의 동작 및 처리의 제어를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실시 형태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의 수신 전계 레벨에 따라 이동체 통신 단말기 자체에서 송신 전력을 가변 제어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의 모드와, 기지국으로부터의 TPC 제어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가변 제어하는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를 적절히 전환하여 행하도록 한다.
통신 제어부(4)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에,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로 할 것인지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로 할 것인지의 지시를 보냄과 함께,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일 때에는 수신 전계 강도에 기초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지시 신호를,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일 때에는 수신한 TPC 데이터에 기초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지시 신호를 각각 보낸다.
통신 제어부(4)는 또한, 송신 주파수 및 채널 다중 수의 정보를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에 공급한다.
그리고,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송신 전력 제어계(210)에서,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로 할 것인지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로 할 것인지를 제어함과 함께, TPC 데이터에 기초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지시 신호 혹은 수신 전계 강도에 기초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지시 신호 및 그 때의 송신 주파수, 채널 다중 수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 송신 전력 제어계(210)의 각 부를 제어함으로써, 지시된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되도록 송신 전력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A/D 컨버터(123)로부터의 검파 신호 데이터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에도 공급된다.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이 검파 신호 데이터로부터 전력 증폭기(109)로부터의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 레벨을 모니터하여,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정해져 있는 규격값의 범위 이외로 되어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예를 들면,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에서, 현재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규격값의 최대 송신 전력 출력 레벨 혹은 그 근방의 레벨로 되어 있을 때에, 기지국으로부터의 TPC 커맨드가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상승시키는 지시였던 경우에, 해당 TPC 커맨드의 지시대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상승시키면,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규격 범위 이외의 큰 레벨로 되어서,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마스킹하여, 셀 용량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에서, 현재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규격 값의 최소 송신 전력 출력 레벨 혹은 그 근방의 레벨로 되어 있을 때에, 기지국으로부터의 TPC 커맨드가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하강시키는 지시였던 경우에, 해당 TPC 커맨드의 지시대로 송신 출력 레벨을 상승시키면, 송신 출력 레벨이 규격 범위 이외의 작은 레벨로 되어서, 셀의 프린지 에리어에서 이동체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업 링크 신호가 기지국에 도달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것을 고려하여, 이 실시 형태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전력 증폭기(109)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검파 신호 데이터에 의해 모니터하고,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TPC 커맨드를 무시하여,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규격 범위 이외가 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 형태의 송신 전력 제어계(210)에서는 A/D 컨버터(123)로부터의 검파 신호 데이터와,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의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드 포워드 제어에 의해 제어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제어하도록 한다.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는 그 제어를 위한 것으로, A/D 컨버터(123)로부터의 현재의 검파 신호 데이터와,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로부터의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일 때의 검파 신호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차 출력을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 공급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는 이 예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에 의해 그 비교 처리 동작이 온, 오프 제어된다. 송신 전 력 제어 처리부(216)에 의해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가 온으로 되어, 비교 처리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송신 전력 제어는 피드 포워드 제어 이외에, 검파 신호 데이터에 기초한 루프 제어를 수반한다. 이 루프 제어를 이하,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라 한다.
또한,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에 의해 오프 상태로 될 때에는 비교 처리 동작을 정지하고, 비교차 출력으로서 예를 들면, 「0」을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 출력한다. 이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계(210)에서, 상술한 도 13의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피드 포워드 방식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가 행해진다. 단, 이 실시 형태에서는 채널 다중 수에 의해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보정이 행해지는 점이 상술한 도 13의 종래의 경우와 다르다.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의 제어를 받으면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2)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및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13)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을 이용하여 연산하여 생성한다. 또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는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의 비교차 출력이, 미리 규격값에 따라 정해진 오차 허용값의 범위 내로 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의 비교차 출력이 제로(0)가 되도록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는 제어, 즉, 상술한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도 행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TPC 커맨드를 이용하여,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와, 자신이 검출한 수신 전계 강도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를 포함하지만,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에, 상술한 검파 신호 데이터를 이용하는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를 행하면, 2중 루프 제어로 되어서, 각각의 루프 제어에 의한 제어 방향에 보았을 때 어긋남(부적합)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생길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일 때에만,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를 함께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한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의 온 오프 전환 제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가 행한다.
〔송신 전력 제어 동작의 설명〕
이상과 같은 구성의 송신 전력 제어계(210)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의 제어에 따라,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송신 전력 제어가 행해진다. 즉, 도 5 및 이에 계속되는 도 6은 이 실시 형태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의 처리 동작은 주로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의 제어 처리 및 그 제어 하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의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통신 제어부(4)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로 할지,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로 할지를 판단한다(단계 S101).
이 단계 S101에서,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가 선택된 취지의 지시를 보냄과 함께,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를 온으로 한다. 이 예에서는,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를 온으로 제어한다(단계 S102).
그리고,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통신 제어부(4)로부터의 수신 전계 강도에 기초한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 즉,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결정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2)에 대하여, 상기 결정한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추출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2)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필요한 IF 대역 AGC용 및 RF 대역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를 취득한다(단계 S103).
다음으로,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 통신 제어부(4)로부터 지시된 송신 주파수 및 채널 다중 수의 정보를 공급한다. 그리고,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는 A/D 컨버터(113)로부터의 현재의 전원 전압과, A/D 컨버터(115)로부터의 현재의 온도 정보와,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로부터의 현재의 송신 주파수 및 채널 다중 수의 정보를 참조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2)에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 블을 기입하였을 때의 이들 환경 조건 파라미터의 기준 정보에 대한 차이를 인식한다.
그리고, 그 차이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13)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환경 조건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로 되도록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취득한 IF 대역 AGC용 및 RF 대역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여, 송신 신호 처리계(120)에 출력한다(단계 S104). 이 경우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보정은 보정 테이블로부터의 보정 데이터를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에 대하여 가산 혹은 감산하는 처리이다.
송신 신호 처리계(120)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계(210)로부터의 IF 대역 AGC용 및 RF 대역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가 D/A 컨버터(102 및 107)에 의해 IF 대역 송신 신호용 AGC 전압 IFagc 및 RF 대역 송신 신호용 AGC 전압 RFagc로 변환되며, 각각 IF 대역 AGC 증폭기(101) 및 RF 대역 AGC 증폭기(106)에 공급되어 송신 신호에 대한 이득 제어가 행해져서, 그 결과의 송신 신호가 전력 증폭기(109)에 의해 전력 증폭된다.
그리고, 전력 증폭기(109)의 출력은 대수 검파 회로(122)에서 검파되고, A/D 컨버터(123)에 의해 검파 신호 데이터로 변환되어, 송신 전력 제어계(210)로 공급된다.
한편,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에 대하여, 통신 제어부(4)로부터 지시된 송신 신호의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 력 레벨에 대응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를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에 저장되어 있는 검파 신호 데이터 보정 테이블의 통신 제어부(4)로부터 지시된 송신 주파수 및 채널 다중 수일 때의 보정 데이터에 의해 검파 신호 데이터를 보정하여,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에서의 검파 신호 데이터의 보정은 보정 테이블로부터의 보정 데이터를 검파 신호 데이터에 대하여 가산 혹은 감산하는 처리이다.
그리고, 이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는 온 상태로 되기 때문에,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는 현재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따른 검파 신호 데이터와,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로부터 판독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따른 검파 신호 데이터와의 비교차 출력을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 공급한다.
따라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서는,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로부터의 비교차 출력을 검사하여(단계 S105), 그 비교차 출력이 미리 정해진 오차 허용값의 범위 내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06).
단계 S106에서, 비교차 출력이 오차 허용값의 범위 내에 없을 때에는 해당 비교차 출력의 크기에 따라, 비교차 출력이 0으로 되도록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13)의 보정 테이블로부터의 보정 데이터에 의해 보정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보다 보정 연산한다(단계 S107). 그리고, 단계 S101로 되돌아 간다.
이 단계 S107에서의 비교차 출력의 크기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보정 연산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비교차 출력의 크기에 따른 복수 단계의 보정 제어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 단계의 경우이면, 비교차 출력이 오차 허용값의 범위 내가 아니지만, 그 크기가 비교적 작을 때에는 예를 들면, 1dB의 단위로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에 의해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보정을 행하며, 또한, 오차 허용값의 범위 내가 아니라 비교차 출력의 크기가 비교적 클 때에는 예를 들면, 3dB의 단위로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에 의해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보정을 행한다.
여기서, 이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에 대하여, 도 4 및 도 7의 특성도를 참조하면서 보다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직선(31)은 전력 증폭기(109)의 출력 신호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한 검파 신호 데이터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대수 검파 회로(122)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7의 직선(32 및 33)은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에 대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직선(32)은 IF 대역 AGC 증폭기(101)의 특성이며, 직선(33)은 RF 대역 AGC 증폭기(106)의 특성이다. 또, 주파수, 전원 전압, 온도, 채널 다중 수에 의한 보정 테이블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로 오프셋되어 연산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고찰을 간단히 하기 위해 무시하고 생각한다.
지금, 예를 들면, 목표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P1[dBm], 실제 송신되고 있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P2[dBm]로 하여, 레벨 P1에 대응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를 T, 레벨 P2에 대응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를 S로 하자. 여기서, P2는 P1보다도 크다고 하면,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에서는 도 4와 같이, (S-T) 비트분의 검파 신호 데이터의 차가 생긴다. 이 검파 신호 데이터의 차는 |P1-P2|[dB]의 전력 차를 나타낸다.
즉, 이것은 이하의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목표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P1[dBm]로 하였을 때에 실제로 송신되고 있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은 P2이기 때문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때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는 IF 대역 AGC용은 U11이며, RF 대역 AGC용은 U21이다. 그러나, 이들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U11 및 U21에서는 실제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은 목표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 P1보다도 큰 P2로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7에서, 목표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 P1[dBm]로부터 |P1-P2|[dB]의 전력 차를 뺀 값을 P3[dBm]으로 하면, 이 송신 전력 출력 레벨 P3을 목표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하고, 그 때의 RF 대역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및 IF 대역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 대역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는 U12, IF 대역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는 U22로 각각 설정되며, 이것에 의해,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은 목표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 P1[dBm]로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에서, 만일 최초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목표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값과 상이하였다고 하여도, 제어의 2번째 이후에는 목표값에 대하여 정확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송신 동작이 개시되어서 최초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해서는 비교하기 위한 검파 신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피드 포워드 방식의 송신 전력 제어와 마찬가지로, 각 환경 조건 파라미터에서의 보정 테이블값과 미리 기입된 송신 전력 제어용 데이터만이 이용되어서, 최적이 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가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서 연산되어 생성된다.
단계 S106에서, 비교차 출력이 오차 허용값의 범위 내에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서는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는 행하지 않고, 단계 S101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이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는 단계 S103에서 생성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송신 신호 처리계(120)에 공급하는 상태로 된다.
즉, 상술한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는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 차 |P1-P2|[dB]가 목표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하여 소정의 규격값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검파 신호 데이터에 기초한 보정 연산 동작이 행해지지 않으며, 종래와 마찬가지의 피드 포워드 방식의 송신 전력 제어가 이루어져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빈번하게 변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단계 S101에서, 통신 제어부(4)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가 선택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가 선택된 것을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 통지함과 함께,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는 오프 상태로 한다(단계 S108). 이 예에서는,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를 오프 상태로 한다.
그리고,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통신 제어부(4)로부터의 TPC 커맨드를 판독하여, 그 TPC 커맨드에 기초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결정한다(도 6의 단계 S201).
그리고,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2)에 대하여, 상기 결정한 송신하고자 하는 송신 신호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따른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추출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2)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필요한 IF 대역 AGC용 및 RF 대역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취득한다(단계 S202).
다음으로,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 통신 제어부(4)로부터 지시된 송신 주파수 및 채널 다중 수의 정보를 전달한다.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는 A/D 컨버터(113)로부터의 현재의 전원 전압과, A/D 컨버터(115)로부터의 현재의 온도 정보와,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로부터의 현재의 송신 주파수 및 채널 다중 수의 정보를 참조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2)에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을 기입하였을 때의 이들 파라미터의 기준 정보에 대한 차이를 인식한다.
그리고, 그 차이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메모리(213)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파라미터 조건에 대응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로 되도록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로부터 취득한 IF 대역 AGC용 및 RF 대역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보정하여, 송신 신호 처리계(120)에 출력한다(단계 S203). 이 경우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보정은 보정 테이블로부터의 보정 데이터를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에 대하여 가산 혹은 감산하는 처리이다.
송신 신호 처리계(120)에서는 송신 전력 제어계(210)로부터의 IF 대역 AGC용 및 RF 대역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는 D/A 컨버터(102 및 107)에 의해 IF 대역 송신 신호용 AGC 전압 IFagc 및 RF 대역 송신 신호용 AGC 전압 RFagc로 변환되어, 각각 IF 대역 AGC 증폭기(101) 및 RF 대역 AGC 증폭기(106)에 공급되고, 송신 신호에 대한 이득 제어가 행해져서, 그 결과의 송신 신호가 전력 증폭기(109)에 의해 전력이 증폭된다.
그리고, 전력 증폭기(109)의 출력은 대수 검파 회로(122)에서 검파되며, A/D 컨버터(123)에 의해 검파 신호 데이터로 변환되어, 송신 전력 제어계(210)에 공급된다.
그리고,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계(210)의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는 오프 상태로 되고, 상술한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는 행해지지 않는다. 그 대신, 검파 신호 데이터를 이용하여,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규격값의 최대값 이상이 되지 않도록 또한, 규격값의 최소 값 이하가 되지 않도록 한 제어가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에서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먼저,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에서는 A/D 컨버터(123)로부터의 검파 신호 데이터의 크기를 검사한다(단계 S204). 그리고, 검파 신호 데이터가 미리 정해진 최대 송신 전력 규정값의 범위 Wmax(도 8 참조) 내에 있는지를 판별한다(단계 S205).
여기서, 최대 송신 전력 규정값의 범위 Wmax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규격 범위의 최대값(최대 송신 전력 출력 레벨) 혹은 그 근방이 되며, 또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상승시키면 송신 전력의 규격 범위를 초과할 우려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범위이며, 도 8에서 사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최대 송신 전력 출력 레벨과, 그것보다도 미리 정해진 레벨만큼 낮은 송신 전력 출력 레벨 EH와의 사이의 레벨 범위 Wmax로서 설정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이 최대 송신 전력 규정값의 범위 Wmax는 레벨 EH를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계 S205에서, 검파 신호 데이터가 최대 송신 전력 규정값의 범위 Wmax 내에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다음 TPC 커맨드를 판독하고(단계 S206), 그 TPC 커맨드가 송신 전력을 올리는 방향의 제어를 지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07).
그리고, TPC 커맨드가 송신 전력을 올리는 방향의 제어를 지시하고 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단계 S206에서 판독한 TPC 커맨드를 무시하고(단계 S208), 그 후, 단계 S202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이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계(210)에서는 이전 번의 TPC 커맨드에 따랐던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한 피드 포워드 제어가 계속되어,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규격 범위의 최대 레벨보다도 커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단계 S207에서, TPC 커맨드가 송신 전력을 올리는 방향의 제어를 지시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단계 S206에서 판독한 TPC 커맨드에 기초하여, 새로운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결정하고(단계 S209), 그 후, 단계 S202로 되돌아가서 그 결정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 보낸다. 따라서, 이 때에는 새로운 TPC 커맨드에 기초한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가 실행된다.
또한, 단계 S205에서, 검파 신호 데이터가 최대 송신 전력 규정값의 범위 Wmax 내에는 없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검파 신호 데이터가 최소 송신 전력 규정값의 범위 Wmin(도 8 참조)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10).
여기서, 최소 송신 전력 규정값의 범위 Wmin은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그 규격 범위의 최소값(최소 송신 전력 출력 레벨) 혹은 그 근방이 되어 있으며, 또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하강시키면, 송신 전력의 규격 범위 이외가 될 우려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범위이며, 도 8에서 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소 송신 전력 출력 레벨과, 그것보다도 미리 정해진 레벨만큼 높은 송신 전력 출력 레벨 EL과의 사이의 레벨 범위 Wmin으로서 설정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이 최소 송신 전력 규정값 EL의 범위 Wmin은 이 레벨 EL을 변경함으로써,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계 S210에서, 검파 신호 데이터가 최소 송신 전력 규정값의 범위 Wmin 내에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다음 TPC 커맨드를 판독하여(단계 S211), 그 TPC 커맨드가 송신 전력을 내리는 방향의 제어를 지시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12).
그리고, TPC 커맨드가 송신 전력을 내리는 방향의 제어를 지시하고 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단계 S211에서 판독한 TPC 커맨드를 무시하고(단계 S208), 그 후, 단계 S202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이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계(210)에서는 이전 번의 TPC 커맨드에 따른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의한 피드 포워드 제어가 계속되어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규격 범위의 최소 레벨보다도 작아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단계 S207에서, TPC 커맨드가 송신 전력을 내리는 방향의 제어를 지시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단계 S206에서 판독한 TPC 커맨드에 기초하여, 새로운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결정하고(단계 S209), 그 후, 단계 S202로 되돌아가서 그 결정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 보낸다. 따라서, 이 때에는 새로운 TPC 커맨드에 기초한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가 실행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의 경우에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 자체에서, 어느 정도 올바른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보증해야 만 하기 때문에, 피드 포워드 송신 전력 제어 방식에 추가하여, 자국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검파한 후에, 그 값과 조정 라인에서 미리 기입해 둔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의 값이 허용값 이상으로 상이한 경우에는 해당 검파 신호 데이터의 비교 오차가 0이 되도록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보정 연산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보다도 확실하게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보증을 할 수 있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에서는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를 행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2중의 송신 전력 제어 루프가 존재함으로써, 시스템적으로 동작이 혼란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에서,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검파하여, 그 검파 출력을 모니터함으로써,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규격 범위의 최대값 근방이나 최소값 근방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TPC 커맨드가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그 규격 범위 이외로 하도록 한 지시였을 때에는 그 TPC 커맨드를 무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항상 그 규격 범위 내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의 온 오프는 상술한 예에서는,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의 온 오프에 의해 행하도록 하였지만,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서,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부(215)로부터의 비교차 출력을 이용할지 여부를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의 온 오프를 할 수도 있다.
〔고장 검출 동작에 대하여〕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증폭기(109)의 출력을 검파하여,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모니터할 수 있으므로, 그 모니터 출력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송신 출력 회로에서의 고장의 발생을 검출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의 고장 검출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이동체 통신 단말기가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해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서의 고장 검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IF AGC용 및 RF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에 대응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의 기대값이 예측되는 정상 동작 범위에 있는지 여부에 의해 고장을 검출하는 것이다.
이동체 통신 단말기 토탈로서의 주파수, 전원 전압, 온도 등의 환경 변화에서의 송신 출력 특성은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 사용하고 있는 전력 증폭기(109), RF 대역 AGC 증폭기(106), IF 대역 AGC 증폭기(101) 등의 송신 신호 처리계(100)의 구성 부품의 특성에 의해 거의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여기서, IF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와 RF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조를 제어 데이터 세트로 하면, 이 제어 데이터 세트와 이동체 통신 단말기 토탈에서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과의 관계는 도 9의 직선(3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으로 된다.
따라서, 현재, 제어 데이터 세트로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A1을 설정했을 때에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 토탈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은 Po로 될 것이다. 그러나, 주파수, 전원 전압, 온도 변동에 의해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변동이 있을 것을 고려하여, 예상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는 소정의 폭을 가질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전원 전압, 온도 변동, 채널 다중 수에 의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변동의 상한값이 도 9에서 일점 쇄선(35)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것으로 되며, 또한, 주파수, 전원 전압, 온도 변동, 채널 다중 수에 따른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변동의 하한값이 도 9에서 일점 쇄선(3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것으로 되도록 하면,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변동한 경우의 최대값은 Pmax, 최소값은 Pmin으로 된다.
이상의 것으로부터, 도 9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가 제어 데이터 세트 A1을 설정했을 때에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 토탈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은 Pmin 내지 Pmax의 범위에 있는 것이 예상된다. 실제로는, 개개의 부품의 변동이 있기 때문에, 변동 마진분 Δp를 고려하여, 이 마진분 Δp를 Pmax, Pmin에 대하여 각각 가산한 값 Emax, Emin을 구하고, 제어 데이터 세트 A1을 설정했을 때에 대응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 토탈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상기 값 Emin 내지 Emax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정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검파 신호 데이터와 이동체 통신 단말기 토탈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과의 관계는 도 10의 직선(3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으로 된다. 여기서, 대수 검파 회로(122)는 주파수, 전원 전압, 온도에 대하여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를 상기 제어 데이터 세트 A1로 설정했을 경우에서의 검파 신호 데이터의 정상적인 레벨의 범위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 토탈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정상적인 범위로서의 상기 Emin 내지 Emax의 범위에 대응하 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Dmin 내지 Dmax 사이의 범위로 된다.
바꾸어 말하면, Dmin 내지 Dmax 사이의 범위에 검파 신호 데이터가 있으면,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송신 출력 회로는 정상 동작을 하고 있는 상태로 할 수 있다.
만일, 제어 데이터 세트를 A1로 설정했을 때의 검파 신호 데이터가 도 10에서, D1이 되었을 경우에는 이것은 정상 동작 범위를 벗어나 있으므로, 설계한 표준 출력값에 대하여 분명하게 이상값(異常値)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송신 신호 처리계 부품에서 어떠한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서의 정상 동작 범위와 고장 동작 범위에 대해서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가,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한 것으로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에서 설정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와, 그 시점에서의 전원 전압, 온도, 주파수, 채널 다중 수 등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도출하는 방법과, 미리 설계, 개발 단계에서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응하여 일의적으로 정상 동작 범위와 고장 동작 범위를 정하여, 그 범위의 데이터를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 혹은 전용 테이블 메모리에 기입해 두는 방법이 있다.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전자의 방법인 경우에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와, 전원 전압이나 온도의 파라미터 정보를 수취하며, 또한, 통신 제어부(4)로부터의 주파수, 채널 다중 수의 정보를 수취하고, 이들 파라미터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값 Emax, Emin을 설정한다.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가 전원 전압이나 온도의 파라미터 데이터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를 통해 얻는 방법이 아니라, A/D 컨버터(113, 115)로부터 이들 데이터를 직접 얻는 방법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로부터 이들 값 Emax, Emin에 대응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정상 동작 범위의 상한값 Dmax 및 하한값 Dmin을 구한다.
또한,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후자의 방법인 경우에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를 수취하여, 이 데이터 세트에 대응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의 정상 동작 범위의 데이터를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 혹은 전용 메모리로부터 판독함으로써, 정상 동작 범위의 상한값 Dmax 및 하한값 Dmin을 구한다.
그리고,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구한 정상 동작 범위 내에, A/D 컨버터(123)의 출력인 검파 신호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에 의해 고장 검출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이동체 통신 단말기가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해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서의 고장 검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방법은 그 때의 검파 신호 데이터에 대응하는 IF AGC용 및 RF AGC용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의 기대값이 예측되는 정상 동작 범위에 있는지 여부에 의해 고장 검출하는 것이다.
즉, 상술한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의 경우와는 반대로, 도 10에서 검파 신호 데이터가 Dmin 내지 Dmax의 범위에 있었던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상술 한 바와 같이, 대수 검파 회로(122)는 주파수, 전원 전압, 온도에 대하여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 토탈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은 거의 Emin 내지 Emax의 범위에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로부터,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으면, 이동체 통신 단말기 토탈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이 Emin 내지 Emax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는 Amin 내지 Amax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어 있다고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검파 신호 데이터가 Dmin 내지 Dmax의 범위에 있었던 경우에, 도 9에서 설정되어 있었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가 A2인 경우에는 검파한 표준 출력값에 대하여 분명히 이상값을 나타내게 된다. 즉, 이 경우에도, 송신 신호 처리계(120)의 부품에서 어떠한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9에서의 정상 동작 범위와 고장 동작 범위에 대해서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에서 도출하는 방법과, 미리 설계, 개발 단계에서 일의적으로 정한 데이터 범위를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 메모리(214)나 전용 메모리에 기입해 두는 방법이 있다.
고장 검출된 경우에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는 그것에 대응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고장 대응 처리 시에는 이하의 점이 고려된다.
일반적으로, 이동체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에 대하여 업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위치 등록 등의 제어 정보를 송출하는 슬롯티드 ALOHA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는 경우와, 데이터 링크가 확립된 후에 기지국과 사용자와의 사이에서 통신 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후자의 경우에서 기지국에 대하여 정상적인 호출 중지 처리를 행하지 않고 송신 동작을 정지하면, 기지국의 네트워크측에 악영향을 미친다.
상기한 문제에 비추어 보았을 때,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 송신 중에 고장이 검출되었을 때에, 예를 들면, 위치 등록 중 등이었던 경우에는 곧 송신 동작을 정지하고, 사용자에 대하여 고장 통지를 행한다. 또한, 이동체 통신 단말기에서, 송신 중에 고장이 검출되었을 때에, 이미 이동체 통신 단말기가 기지국과 통신 중인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4)에서 정상적인 호출 중지 처리를 행한 후에, 사용자에 대하여「고장」 통지를 행하도록 한다.
또한, 고장 검출한 이동체 통신 단말기를 계속 사용하는 것은 기지국측에도 사용자측에도, 이동체 통신 서비스에 있어서 악영향을 미친다. 그 때문에, 이동체 통신 단말기가 송신 중에 고장을 검출하여, 고장 통지를 사용자에 대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의 표시부(10)의 화면 상에서의 애니메이션에 의한 통지와, 스피커부(8)에서의 공진에 의한 통지와, 바이브레이터부(11)의 진동에 의한 통지와, 또한 착신 LED부(9)에서의 광에 의한 통지 수단을 포함하며, 이들 고장 통지를 동시에 행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하여 이상한 점을 빠르게 알리도록 한다. 물론, 상기한 모든 통지 방법을 채용하는 것은 아니라, 이들 통지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몇 가지를 조합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고장 검출 처리를 도 11 및 이에 계속되는 도 1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 설명한다. 이 예는 검파 신호 데이터의 정상 동작 범위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에서 도출하는 경우이다.
먼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로부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와, 전원 전압, 온도의 정보를 수취하여, 통신 제어부(4)로부터의 송신 주파수나 채널 다중 수의 정보도 고려하여,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로부터 가정되는 검파 신호 데이터의 정상 동작 범위를 도출한다. 즉, 상기 Dmax 및 Dmin의 값을 구한다(단계 S301).
다음으로, A/D 컨버터(123)로부터의 현재의 검파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며, 해당 검파 신호 데이터가 단계 S301에서 도출된 정상 동작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302).
단계 S302에서, 검파 신호 데이터가 정상 동작 범위 내에 없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그 취지를 통신 제어부(4)에 통지한다. 이 통지를 받은 통신 제어부(4)는 현재, 기지국과 접속 중인지 여부를 판별하여(도 12의 단계 S406), 기지국과 접속 중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송신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하고(단계 S409), 고장 발생을 어플리케이션 제어부(6)에 통지한다. 이 고장 발생의 통지를 받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부(8), 착신 LED부(9), 표시부(10), 바이브레이터부(11)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 중 몇 개의 조합, 혹은 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고장 통지를 행한다(단계 S410).
단계 S302에서, 검파 신호 데이터가 정상 동작 범위 내에 있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통신 제어부(4)로부터의 지시가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인지,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인지를 판별한다(단계 S303).
그리고, 이 단계 S303에서,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상술한 도 5의 단계 S102∼단계 S106의 처리와 전적으로 마찬가지로 하여, 단계 S304∼단계 S308의 처리를 실행시켜서, 검파 신호 데이터를 이용한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에 수반하는 수신 전계 강도에 기초한 피드 포워드 제어를 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단계 S301로 되돌아가서 이상의 동작을 반복한다.
또한, 단계 S303에서,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상술한 도 6의 단계 S201∼단계 S203의 처리와 전적으로 마찬가지로 하여, 도 12의 단계 S401∼단계 S403의 처리를 실행시켜서,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 링크에 의한 TPC 커맨드를 이용한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실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에서는 검파 신호 데이터를 이용한 자기 루프 송신 전력 보정 제어는 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A/D 컨버터(123)로부터의 현재의 검파 신호 데이터를 수신함과 함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로부터 전원 전압, 온도의 정보를 수취하며, 또한 통신 제어부(4)로부터의 송신 주파수나 채널 다중 수의 정보도 고려하여, 검파 신호 데이터로부터 가정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의 정상 동작 범위를 도출한다. 즉, 상기 Amax 및 Amin 값을 구한다(단계 S404).
다음으로,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연산 처리부(211)로부터 현재의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를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 세트가 단계 S404에서 도출된 정상 동작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405). 정상 동작 범위 내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도 11의 단계 S303으로 되돌아가서, 개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인지,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인지를 판별하여, 이하 상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단계 S405에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세트가 정상 동작 범위 내에는 없다고 판별했을 때에는 송신 전력 제어 처리부(216)는 그 취지를 통신 제어부(4)에 통지한다. 이 통지를 받은 통신 제어부(4)는 현재, 기지국과 접속 중인지 여부를 판별하여(도 12의 단계 S406), 기지국과 접속 중이 아니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송신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며(단계 S409), 고장 발생을 어플리케이션 제어부(6)로 통지한다. 이 고장 발생의 통지를 받은 어플리케이션 제어부(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부(8), 착신 LED부(9), 표시부(10), 바이브레이터부(11)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 중 몇 개의 조합, 혹은 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고장 통지를 행한다(단계 S410).
이상과 같이 하여, 이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검파 신호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종래에는 곤란하였던 송신 신호 처리계의 부품의 고장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 도 11 및 도 12의 예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규격 범위의 최대값 근방 및 최소값 근방에서의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 시의 처리를 행하지 않았지만, 도 11및 도 12의 예에서도,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규격값의 최대값 근방 및 최소값 근방에서의 처리를 폐루프 송신 전력 제어 모드 시와 더불어 행하도록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는 DS-CDMA 방식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의 송신 출력 회로에 적용한 경우이지만, 본 발명의 송신 출력 회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는 곤란하던 송신 출력 회로의 고장 검출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검파하여 모니터링함으로써,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규격값 범위 내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의 이동체 통신 단말기로의 간섭이나, 프린지 에리어 내에서 기지국으로의 업 링크 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체 통신 서비스에서, 통신 사업자측에서는 셀 용량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단말기 사용자측에서는 연관시키기 어려운 등의 원인을 고장 표시에 의해 빨리 알릴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송신 출력 회로에 따르면, 온도, 전원 전압의 변동이나 주파수, 채널 다중 수의 변화 등에 의해서도 항상 정확한 송신 전력 제어가 가능해져서, 양산화 시의 부품 변동 등에 의해 송신 특성의 규격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Claims (24)

  1. 입력 신호의 이득을 이득 제어 신호에 따라 가변하는 이득 제어 증폭 수단과,
    상기 이득 제어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전력 증폭 수단과,
    수신 신호 강도에 근거한 목적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지정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 지시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 레벨이, 상기 목적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되도록 상기 이득 제어 증폭 수단을 피드 포워드 제어하기 위한 상기 이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생성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검파하여 검파 신호 데이터를 얻기 위한 검파 수단과,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전원 전압 검출 수단과,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전원 전압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전원 전압의 데이터와, 상기 온도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온도의 데이터와,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생성 수단으로 생성된 상기 이득 제어 신호로부터, 상기 이득 제어 신호에 의한 상기 이득 제어 증폭 수단의 제어에 의해서 가정되는 상기 검파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검파 신호 데이터가 정상 동작이 되는 데이터 범위를 구하는 정상 동작 범위 산출 수단과,
    상기 검파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검파 신호 데이터가 상기 정상 동작 범위 산출 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정상 동작이 되는 데이터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에 의해, 송신 출력계에서의 고장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회로.
  2. 입력 신호의 이득을 이득 제어 신호에 따라 가변하는 이득 제어 증폭 수단과,
    상기 이득 제어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전력 증폭하는 전력 증폭 수단과,
    송신측으로부터의 송신 전력 데이터에 근거한 목적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을 지정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 지시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 레벨이, 상기 목적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로 되도록 상기 이득 제어 증폭 수단을 피드 포워드 제어하기 위한 상기 이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생성 수단과,
    상기 전력 증폭 수단의 출력 신호를 검파하여 검파 신호 데이터를 얻기 위한 검파 수단과,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전원 전압 검출 수단과,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전원 전압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전원 전압의 데이터와, 상기 온도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온도의 데이터와,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생성 수단으로 생성된 상기 이득 제어 신호로부터, 상기 검파 수단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현재의 검파 신호 데이터에 대해서 가정되는 상기 이득 제어 신호가 정상 동작이 되는 데이터 범위를 구하는 정상 동작 범위 산출 수단과,
    상기 현재의 이득 제어 신호가 상기 정상 동작 범위 산출 수단에 의해 구해진 상기 정상 동작이 되는 데이터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에 의해, 송신 출력계에서의 고장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여러가지 값에 대응하는, 상기 이득 제어 증폭 수단에 공급하는 이득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가 기입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테이블과,
    상기 전원 전압 및 온도를 파라미터로 한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보정용 데이터가 기입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보정 테이블에서 얻은 상기 전원 전압의 데이터 및 상시 온도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의 보정용 데이터를 이용하고, 상기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구하여, 구해진 해당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이득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전력 출력 레벨의 여러가지 값에 대응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가 기입된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과,
    상기 검파 수단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검파 신호 데이터와, 상기 검파 신호 데이터 테이블에서의 상기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응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를 비교하는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 생성 수단은, 상기 검파 신호 데이터 비교 수단의 비교 출력 데이터가, 소정의 값 이하가 되도록 상기 목적으로 하는 송신 전력 출력 레벨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 데이터를 보정 연산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 제어 신호에 의한 상기 이득 제어 증폭 수단의 제어에 의해 가정되는 상기 검파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검파 신호 데이터가 정상 동작이 되는 데이터 범위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회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파 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현재의 검파 신호 데이터에 대하여 가정되는 상기 이득 제어 신호가 정상 동작이 되는 데이터 범위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출력 회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 출력 회로를 포함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
  22.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송신 출력 회로를 포함함과 함께,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파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검파 신호 데이터가 정상 동작 범위의 값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때에, 사용자에 대하여 고장 통지를 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검파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검파 신호 데이터가 정상 동작 범위의 값이 아니라고 판정했을 때에, 기지국과 통신 중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수단과,
    상기 기지국과 통신 중이라고 판별했을 때에는 호출 중지 처리를 행한 후, 송신 동작을 정지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통지를 행하는 수단은 표시 화면에서의 표시에 의한 통지, 스피커로부터의 음성에 의한 통지,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한 통지, 발광 소자에 의한 통지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 조합에 의해 상기 고장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기.
KR1020037013701A 2002-02-21 2003-02-20 송신 출력 회로 및 이동체 통신 단말기 KR101029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4463 2002-02-21
JP2002044463A JP3958066B2 (ja) 2002-02-21 2002-02-21 送信出力回路および移動体通信端末
PCT/JP2003/001885 WO2003071694A1 (fr) 2002-02-21 2003-02-20 Circuit de sortie de transmission et terminal de communication mobi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864A Division KR101025693B1 (ko) 2002-02-21 2003-02-20 송신 출력 회로 및 이동체 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541A KR20040078541A (ko) 2004-09-10
KR101029192B1 true KR101029192B1 (ko) 2011-04-12

Family

ID=277505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864A KR101025693B1 (ko) 2002-02-21 2003-02-20 송신 출력 회로 및 이동체 통신 단말기
KR1020037013701A KR101029192B1 (ko) 2002-02-21 2003-02-20 송신 출력 회로 및 이동체 통신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9864A KR101025693B1 (ko) 2002-02-21 2003-02-20 송신 출력 회로 및 이동체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39537B2 (ko)
EP (2) EP1478095B1 (ko)
JP (2) JP3958066B2 (ko)
KR (2) KR101025693B1 (ko)
WO (1) WO2003071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8181B2 (en) * 2002-12-02 2013-04-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transmitter power efficiency
US7068985B2 (en) * 2003-05-19 2006-06-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Ab Radio transmitters with temperature compensated power control profil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7769406B2 (en) * 2003-08-21 2010-08-03 Alcatel-Lucent Usa Inc. Monitoring and adjusting transmit power level(s)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7880588B2 (en) * 2003-12-05 2011-02-01 Stmicroelectronics S.A. Resistive and capacitive modulation in an electromagnetic transponder
JP3978433B2 (ja) 2004-02-12 2007-09-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装置
KR100595652B1 (ko) * 2004-02-12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3900433B2 (ja) * 2004-02-18 2007-04-04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端末
US7333563B2 (en) 2004-02-20 2008-02-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ower amplifier effici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high peak to average power ratios
US20080311864A1 (en) * 2004-07-28 2008-12-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termining the Current Value of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elecommunication Device
KR100903453B1 (ko) * 2004-07-30 2009-06-18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100725773B1 (ko) * 2004-08-20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듀플렉스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의상태에 따라 상향링크 전력제어방식을 적응적으로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203494B2 (en) * 2004-11-12 2007-04-10 Motorola, Inc. Optimizing radio communication efficiency and methods thereof
US7596355B2 (en) * 2004-11-29 2009-09-29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closed loop MIMO calibration
US7693491B2 (en) * 2004-11-30 2010-04-0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er output power compensation
JP4569287B2 (ja) * 2004-12-15 2010-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19973B1 (ko) * 2004-12-21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통신 단말기의 채널별 최대 출력 제한 방법
US7224215B2 (en) * 2004-12-28 2007-05-29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telligent RF power control for wireless modem devices
WO2006082881A1 (ja) * 2005-02-02 2006-08-10 Nec Corporation 送信電力目標値可変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移動通信端末
JP2006245835A (ja) * 2005-03-02 2006-09-14 Nec Corp 無線伝搬特性測定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送受信機
WO2006112764A1 (en) * 2005-04-22 2006-10-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relating to power control
US20060246938A1 (en) * 2005-05-02 2006-11-02 Nokia Corporation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07072427A1 (en) * 2005-12-23 2007-06-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ransmit power control in a radio station
CA2637000A1 (en) * 2006-01-10 2007-07-19 Diobex,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prostate cancer,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polycystic ovary syndrome and other conditions
US20070177544A1 (en) * 2006-01-27 2007-08-02 Dongzhe Cui Using the repetition of an erasure indicator bit to enhance a power control command during handoff
JP4735842B2 (ja) * 2006-04-25 2011-07-27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出力制御装置および故障検出方法
EP2027651B1 (en) 2006-06-14 2012-12-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Improved control of switcher regulated power amplifier modules
US8761305B2 (en) 2006-06-14 2014-06-24 Blackberry Limited Input drive control for switcher regulated power amplifier modules
BRPI0702896A2 (pt) * 2006-06-14 2011-03-15 Res In Motoion Ltd controle de acionamento de entrada para módulos de amplificador de energia regulados por comutador
CN1983851B (zh) * 2006-06-16 2010-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使功放支持多功率的方法及射频模块
KR100723235B1 (ko) * 2006-07-26 2007-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듈 설정치 보정 시스템 및 방법
JP4658198B2 (ja) * 2006-07-28 2011-03-23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EP2088694A4 (en) * 2006-10-27 2012-07-25 Nec Corp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US7643800B2 (en) * 2007-01-30 2010-01-05 Broadcom Corporation Transmit power management for a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with
US20080194215A1 (en) * 2007-02-12 2008-08-14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reliably sending data based on data size and temperature margin
US8750917B2 (en) * 2007-05-18 2014-06-10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and power control of up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58784B2 (en) * 2007-06-28 2016-02-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mobile radio transmitter/receiver having antenna
JP4804440B2 (ja) * 2007-10-05 2011-11-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ポーラ変調送信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並びにポーラ変調送信方法
US8644874B2 (en) * 2008-01-07 2014-02-0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Uplink power control for power limited terminals
EP2086269B1 (en) * 2008-01-31 2017-03-15 Mediatek Inc. A transmit power controller
US8166340B2 (en) * 2008-06-24 2012-04-24 Litepoin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communication circuit
JP2010026947A (ja) * 2008-07-23 2010-02-04 Daihen Corp 可動機械制御システム及び可動機械制御装置
JP5255986B2 (ja) * 2008-10-20 2013-08-07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パターンドメディア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
JP5396874B2 (ja) * 2009-01-21 2014-01-22 日本電気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ならびに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JP2010187274A (ja) * 2009-02-13 2010-08-26 Nec Network & Sensor Systems Ltd 高周波増幅器のレベル調整回路及び高周波増幅器のレベル制御方法
DE102009022108B4 (de) * 2009-05-20 2013-10-31 Atmel Corp. Schal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chaltung eines Knotens eines Funknetzes
JP2010273251A (ja) * 2009-05-25 2010-12-02 Fujitsu Telecom Networks Ltd 音声信号処理回路及び出力レベル設定処理方法
US8359057B2 (en) * 2009-09-01 2013-01-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electronics device with programmable battery
US8688163B2 (en) * 2009-12-30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Interaction between accumulative power control and minimum/maximum transmit power in LTE systems
CN101959296B (zh) * 2010-02-11 2013-10-09 华为终端有限公司 无线局域接入网的路由设备以及信号发射方法
JP2011223479A (ja) * 2010-04-14 2011-11-04 Sharp Corp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8620238B2 (en) 2010-07-23 2013-12-31 Blackberry Limited Method of power amplifier switching power control using post power amplifier power detection
KR101683088B1 (ko) * 2010-10-01 2016-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펨토 기지국의 송신 전력 설정 장치 및 방법
US20120105201A1 (en) * 2010-10-29 2012-05-03 Cisco Technology, Inc. Validating Sensor Data at a Property Sensor-Coordinating Entity
US8963692B2 (en) 2010-10-29 2015-02-24 Cisco Technology, Inc. Aggregating and routing sensor data at a community sensor-coordinating entity
US8489045B2 (en) * 2011-02-02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transmission power
EP3449641B1 (en) 2016-04-28 2023-08-0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eadset system failure detection
WO2018096919A1 (ja) * 2016-11-25 2018-05-31 三菱電機株式会社 出力電力安定化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高出力増幅装置
JP7208093B2 (ja) * 2019-04-23 2023-01-18 ホーチキ株式会社 設定システム
JP7171952B1 (ja) 2022-02-16 2022-11-15 株式会社フジクラ 無線通信モジュールの出力調整方法、無線通信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無線通信モジュールの出力調整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2334A (en) * 1996-07-04 1998-03-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adio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by radio transmitter
JPH11112366A (ja) 1997-10-07 1999-04-23 Fujitsu Ltd 自動送信電力制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836U (ko) * 1985-07-10 1987-01-29
JPS6214836A (ja) 1985-07-12 1987-01-23 株式会社 日立メデイコ Ctスキヤナのケ−ブル類の処理装置
JPH01154614A (ja) * 1987-12-11 1989-06-16 Fujitsu Ltd 送信装置の出力電力制御回路
JP2884578B2 (ja) * 1988-11-28 1999-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力増幅装置
US5287555A (en) * 1991-07-22 1994-02-15 Motorola, Inc. Power control circuitry for a TDM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CA2088813C (en) * 1992-03-02 2004-02-03 Willem G. Durtler Automatic level control circuit for dual mode analog/digital cellular telephone
US5420536A (en) * 1993-03-16 1995-05-30 Victoria University Of Technology Linearized power amplifier
JP2845732B2 (ja) 1993-10-22 1999-01-13 日本電気移動通信株式会社 無線電話機
JPH0993062A (ja) * 1995-09-26 1997-04-04 Saitama Nippon Denki Kk 送信出力制御回路
JPH09199963A (ja) 1996-01-12 1997-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電力制御回路
KR100266806B1 (ko) * 1996-12-11 2000-09-15 윤종용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의전력제어회로및방법
KR100212576B1 (ko) 1997-01-31 1999-08-02 윤종용 페이징송신기에서 주파수 및 온도 변환에 따른 무선신호 전력제어방법
SE9702272L (sv) * 1997-06-13 1998-12-14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i en radioenhet
US6216012B1 (en) * 1997-11-07 2001-04-10 Conexant Systems, Inc. Dualband power amplifier control using a single power amplifier controller
JPH11205165A (ja) * 1998-01-12 1999-07-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信電力制御装置
JP3712160B2 (ja) 1998-04-17 2005-11-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装置、無線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566083B2 (ja) * 1998-06-25 2004-09-15 三菱電機株式会社 送信出力制御装置
JP3240998B2 (ja) 1998-07-27 2001-12-25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パワー制御回路
JP2000165261A (ja) 1998-11-20 2000-06-16 Kenwood Corp 無線通信機の送信出力制御回路
US6272336B1 (en) * 1998-12-30 2001-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ffic-weighted closed loop power detection system for use with an RF power amplifier and method of operation
JP4156735B2 (ja) * 1999-01-08 2008-09-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装置、無線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3426991B2 (ja) 1999-01-21 2003-07-14 株式会社東芝 送信電力制御回路
JP3358598B2 (ja) 1999-09-14 2002-12-24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パワー補正回路
JP4679686B2 (ja) 2000-02-07 2011-04-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2001308724A (ja) 2000-04-25 2001-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制御調整方法、送信機、および送信機調整装置
JP4258109B2 (ja) * 2000-07-12 2009-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マルチコード伝送を行うスペクトラム拡散送信機
FI114261B (fi) * 2000-09-12 2004-09-15 Nokia Corp Lähetin ja langaton viestintälaite
US6560448B1 (en) * 2000-10-02 2003-05-06 Intersil Americas Inc. DC compensation syste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figured in a zero intermediate frequency architecture
US6731915B1 (en) * 2000-10-31 2004-05-04 Nokia Corporation Combined RF power detector and power precorrector
WO2002060052A2 (en) * 2001-01-02 2002-08-01 Intersil Americas Inc. Precisio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6704579B2 (en) * 2001-02-15 2004-03-09 Ensemble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calibrating the gain for a distribu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711389B2 (en) * 2001-02-16 2004-03-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ower controller for a mobile terminal
JP2003037509A (ja) * 2001-07-25 2003-02-07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
ATE470998T1 (de) * 2002-03-07 2010-06-15 Nokia Corp Leistungsregel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kalibrieren der leistung eines senders oder empfängers in einem mobilkommunikationsnetz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2334A (en) * 1996-07-04 1998-03-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Radio transmit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by radio transmitter
JPH11112366A (ja) 1997-10-07 1999-04-23 Fujitsu Ltd 自動送信電力制御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243997A (ja) 2003-08-29
EP1478095A1 (en) 2004-11-17
US20040180686A1 (en) 2004-09-16
US7139537B2 (en) 2006-11-21
EP2267906A2 (en) 2010-12-29
EP1478095B1 (en) 2012-12-19
JP2007189736A (ja) 2007-07-26
JP3958066B2 (ja) 2007-08-15
EP1478095A4 (en) 2005-08-24
EP2267906B1 (en) 2015-04-01
EP2267906A3 (en) 2012-05-09
KR101025693B1 (ko) 2011-03-30
JP4619378B2 (ja) 2011-01-26
KR20040078541A (ko) 2004-09-10
WO2003071694A1 (fr) 2003-08-28
KR20100052575A (ko) 201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192B1 (ko) 송신 출력 회로 및 이동체 통신 단말기
KR10035049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주파수 송신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6973334B2 (en) Cellular telephone
JP3150115B2 (ja) Cdma開ループ制御における上りチャネル干渉補正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KR10029141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송신전력제어장치
JP4267454B2 (ja) 順方向リンク電力制御式リピータ
US20040235417A1 (en) Repeater oscillation prevention
JP4487768B2 (ja) 無線送信装置及びその送信電力調整方法
KR100431912B1 (ko) 기지국 송신 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cdma 이동 통신시스템
KR100575551B1 (ko)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 및 네트워크 요소
JP3958275B2 (ja) 携帯端末機の出力電力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US2005009021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70021794A (ko)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014465B1 (ko) 이동국 신호에 의해 제 2 기지국에서 발생하는 간섭의 추정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이동국과 제 1 기지국 사이의 통신 적응
JP2006180495A (ja) 移動通信端末機の伝送チャネル別最大出力制限装置及び方法
JP2006279275A (ja) 携帯電話機、電圧切替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0700594B1 (ko)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JPH08335904A (ja) 移動局装置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20060004037A (ko) 역방향 송출전력 설정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JPH1098430A (ja) 無線通信装置
JP2010233247A (ja) 携帯電話機、電圧切替制御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