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939B1 -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939B1
KR101028939B1 KR1020030088822A KR20030088822A KR101028939B1 KR 101028939 B1 KR101028939 B1 KR 101028939B1 KR 1020030088822 A KR1020030088822 A KR 1020030088822A KR 20030088822 A KR20030088822 A KR 20030088822A KR 101028939 B1 KR101028939 B1 KR 101028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usion
bumping
receiver dryer
manufactur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5802A (ko
Inventor
안황재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8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939B1/ko
Publication of KR20050055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응축기 헤더파이프의 일측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이루는 원통형의 모재를 내측이 관통된 압출원관으로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와; 상기 압출성형단계 후, 압출원관의 일단부를 범핑가공하여 살을 모으는 범핑가공단계와;상기 범핑가공단계 후, 절삭가공하여 건조재를 지지하는 건조재 지지부를 성형하는 지지부 성형단계와; 상기 지지부 성형단계 후, 압출원관의 내측 소정위치에 엔드캡을 결합할 수 있도록 캡결합부를 성형하는 캡결합부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압출원관을 다이스를 통과시키지 않고 범핑(Bumping)가공을 통해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정 및 부품비용의 저감(低減)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30088822
응축기(Condenser), 헤더파이프(Header Pipe),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Receiver Drier Tank), 압출원관, 건조재 지지부, 캡결합부.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및 그 제조방법{A Receiver Drier Tank for a Ca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공조장치용 냉방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충격압출단계를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2b는, 상단부 축관단계를 도시한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가 헤더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압출원관,
102,202...건조재 지지부,
104,204...캡결합부,
110,210...지지틀,
120,220...범핑(Bumping) 부재,
130,230...지지부재,
140,240...캡(Cap).
본 발명은 차량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원관을 다이스를 통과시키지 않고 범핑(Bumping)가공을 통해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정 및 부품비용의 저감(低減)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 공기조화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 공기조화장치의 일반적인 냉방 시스템(S)의 일 예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Evaporator: EVAP)에서 저압의 상태로 배출되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액화하기 쉬운 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응축기(Condenser: COND)로 토출하는 압축기(Compressor: COMP)와, 상기 압축기(COMP)의 일측에 연결된 응축기(COND)와, 상기 응축기(COND)의 일측에 연결된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Receiver Drier Tank : R/D)를 포함한다.
즉, 상기 압축기(COMP)는, 증발기(EVAP)에서 배출된 저온·저압의 상태인 냉매를 액화하기 쉬운 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응축기(COND)로 보내고, 상기 응축기(COND)는 압축기(COMP)에 의해 고온·고압의 기체 상태로 전환된 냉매를 냉각 팬(미도시)의 송풍작용으로 응축시켜서 액체 상태로 만든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액체상태로 상변화가 이루어진 냉매는, 상기 냉매속에 발생되어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는 건조재(미도시) 및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된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R/D)를 통과한 후, 팽창 밸브(Expansion Valve: E/V)를 통해서 증발기(EVAP)에 도달하고, 상기 증발기(EVAP)에서 기체상태로 증발하게 된다. 이때, 증발 잠열이 주위의 온도를 하강시키게 되므로, 블로워(미도시)를 이용하여 냉각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에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00764호에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성형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바닥면(12)이 일체로 된 원통형 모재를 그 상단부(14)가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성형되도록 소정 길이로 압출하는 충격압출단계와, 압출된 관체(10)의 상단부(14)를 축관되도록 연신시켜 그 외경은 관체(10)의 다른 부분과 동일하게 하고, 그 내경은 관체(1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성형하는 상단부 축관단계와, 이 관체(10)의 상단부 내주면에 캡결합용 나선홈(미도시)등을 가공하는 캡결합부 가공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냉매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성형방법에 의하면, 상기 충격압출단계 및 상단부 축관단계에서, 원통형 모재의 상단 부(14)를 관체(10)의 다른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성형되도록 다이(Die, 20)와 펀치(Punch, 30)를 통해 가공한 후(後), 별도의 다이스를 통과시키는 공정을 통해 관체(10)의 상단부 외경을 관체(10)의 다른 부분과 동일하게 성형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으로써, 작업공정이 길어질 뿐만 아니라 관체(10) 외면에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크고, 부품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압출원관을 다이스를 통과시키지 않고 범핑(Bumping)가공을 통해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로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정 및 부품비용의 저감(低減)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Receiver Drier Tank)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이루는 원통형의 모재(母材)를 내측이 관통된 압출원관으로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와; 상기 압출성형단계 후(後), 압출원관의 일단부를 범핑(Bumping)가공하여 살을 모으는 범핑가공단계와; 상기 범핑가공단계 후(後), 절삭가공(切削加工)하여 건조재를 지지하는 건조재 지지부를 성형하는 지지부 성형단계와; 상기 지지부 성형단계 후(後), 압출원관의 내측 소정위치에 엔드캡을 결합할 수 있도록 캡결합부를 성형하는 캡결합부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출성형단계에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이루는 원통형의 모재를 일단부에 엔드캡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압출원관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범핑가공단계에서,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거친 압출원관을 지지틀안에 고정하고, 상기 지지틀에 고정된 압출원관의 내측 소정위치에 지지부재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後), 그 일단부를 범핑수단을 통해 범핑가공하여 살을 모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캡결합부 성형단계 후(後), 상기 캡결합부의 하부에 엔드캡의 O - 링(O - Ring)이 안착되는 O - 링 실링면을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는, 본 발명의 각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가 헤더파이프의 일측에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응축기 헤더파이프(Header Pipe)의 일측부에 장착되는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Receiver Drier Tank)를 이루는 원통형의 모재(母材)를 내측이 관통된 압출원관(100)으로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P1)와; 상기 압출성형단계(P1) 후, 압출원관(100)의 일단부를 범핑(Bumping)가공하여 살을 모으는 범핑가공단계(P2-1, P2-2)와; 상기 범핑가공단계(P2-1, P2-2) 후(後), 절삭가공(切削加工)하여 건조재(D)를 지지하는 건조재 지지부(102)를 성형하는 지지부 성형단계(P3)와; 상기 지지부 성형단계(P3) 후(後), 압출원관(100)의 내측 소정위치에 엔드캡(140)을 결합할 수 있도록 캡결합부(104)를 성형하는 캡결합부 성형단계(P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출성형단계(P1)에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R/D)를 이루는 원통형의 모재(母材)를 일단부에 엔드캡부(E/C)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압출원관(200)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2실시예는, 압출성형단계(P1)에서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이루는 압출원관(100, 200)의 성형방법에 그 차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 1실시예와 같이 압출원관(100)의 내측 전체가 관통되게 성형하거나, 제 2실시예와 같이 압출원관(200)의 일단부에 엔드캡부(E/C)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상기 압출성형단계(P1)는, 원통형의 모재에 그 내측 전체를 관통되게 성형하거나, 일단부에 엔드캡부(E/C)를 일 체로 구비하여 압출성형하는 단계이다. 상기 압출원관(100, 200)의 내측에는, 후술할 범핑가공단계(P2-1, P2-2)와 지지부 성형단계(P3) 및 캡결합부 성형단계(P4) 후(後), 냉매속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는 건조재(D) 및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미도시)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범핑가공단계(P2-1, P2-2)에서, 상기 압출성형단계(P1)를 거친 압출원관(100, 200)을 지지틀(110, 210)안에 고정하고, 상기 지지틀(110, 210)에 고정된 압출원관(100, 200)의 내측 소정위치에 지지부재(130, 230)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後), 그 일단부를 범핑수단(120, 220)을 통해 범핑(Bumping)가공하여 살을 모으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단계(P1) 및 범핑가공단계(P2-1, P2-2)에 의하면, 종래기술과 같은 다이스를 통과시키지 않고 압출원관(100, 200)에 후술할 건조재 지지부(102, 202) 및 캡결합부(104, 204)를 성형할 수 있도록 살을 모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 성형단계(P3)에서, 상기 범핑가공단계(P2-1, P2-2)에서 모아진 살 중 일부를 절삭가공(切削加工)하여 내측으로 돌출되어 건조재(D)를 지지하는 건조재 지지부(102, 202)를 성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캡결합부 성형단계(P4)에서, 상기 지지부 성형단계(P3) 후(後), 상기 건조재 지지부(102, 202)의 외측 방향으로 압출원관(100, 200)의 내측 소정위치에 엔드캡(140, 240)을 결합할 수 있도록 태핑(Tapping) 가공하여 캡결합부(104, 204)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 엔드캡(140, 240)의 소정위치에는 냉매의 외부누출에 대한 차단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O - 링(O-Ring)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캡결합부(104)의 하부에 엔드캡(140,240)의 O - 링이 안착되는 O - 링 실링면을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 - 링이 안착되는 갭결합부(104) 가공시, O - 링 실링면이 거칠어지는 경우에는 냉매 리크가 발생할 수 있는 데, O - 링이 안착되는 실링면을 가공해 줌으로써, 냉매 리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는, 본 발명의 각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압출원관을 다이스를 통과시키지 않고 범핑(Bumping)가공을 통해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정 및 부품비용의 저감(低減)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응축기 헤더파이프(Header Pipe)의 일측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Receiver Drier Tank)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를 이루는 원통형의 모재(母材)를 내측이 관통된 압출원관(100)으로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P1)와;
    상기 압출성형단계(P1) 후, 압출원관(100)의 일단부를 범핑(Bumping)가공하여 살을 모으는 범핑가공단계(P2-1, P2-2)와;
    상기 범핑가공단계(P2-1, P2-2) 후(後), 절삭가공(切削加工)하여 건조재(D)를 지지하는 건조재 지지부(102)를 성형하는 지지부 성형단계(P3)와;
    상기 지지부 성형단계(P3) 후(後), 압출원관(100)의 내측 소정위치에 엔드캡(140)을 결합할 수 있도록 캡결합부(104)를 성형하는 캡결합부 성형단계(P4);를 포함하고,
    상기 범핑가공단계(P2-1, P2-2)에서, 상기 압출성형단계(P1)를 거친 압출원관(100, 200)을 지지틀(110, 210)안에 고정하고, 상기 지지틀(110, 210)에 고정된 압출원관(100, 200)의 내측 소정위치에 지지부재(130, 230)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後), 그 일단부를 범핑수단(120, 220)을 통해 범핑(Bumping)가공하여 살을 모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단계(P1)에서, 상기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R/D)를 이루는 원통형의 모재(母材)를 일단부에 엔드캡부(E/C)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압출원관(200)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결합부 성형단계(P4) 후(後), 상기 캡결합부(104)의 하부에 엔드캡(140,240)의 O - 링(O - Ring)이 안착되는 O - 링(O - Ring) 실링면을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
  5. 제 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KR1020030088822A 2003-12-09 2003-12-09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028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822A KR101028939B1 (ko) 2003-12-09 2003-12-09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822A KR101028939B1 (ko) 2003-12-09 2003-12-09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802A KR20050055802A (ko) 2005-06-14
KR101028939B1 true KR101028939B1 (ko) 2011-04-12

Family

ID=3725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822A KR101028939B1 (ko) 2003-12-09 2003-12-09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745B1 (ko) 2016-02-22 2016-06-13 (주)신영프리텍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
KR20190037678A (ko) 2017-09-29 2019-04-08 (주)신영프리텍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4962A (ja) * 1996-06-04 1997-12-16 Denso Corp 受液器一体型凝縮器
JPH11257803A (ja) 1998-03-12 1999-09-24 Fujikoki Corp レシーバドライヤ
KR19990040504U (ko) * 1998-12-19 1999-12-06 김헌모 자동차 에어콘의 드라이어용 탱크
KR20050031473A (ko) * 2003-09-29 2005-04-06 대웅아이엔디 주식회사 리시버 드라이어탱크용 압출파이프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4962A (ja) * 1996-06-04 1997-12-16 Denso Corp 受液器一体型凝縮器
JPH11257803A (ja) 1998-03-12 1999-09-24 Fujikoki Corp レシーバドライヤ
KR19990040504U (ko) * 1998-12-19 1999-12-06 김헌모 자동차 에어콘의 드라이어용 탱크
KR20050031473A (ko) * 2003-09-29 2005-04-06 대웅아이엔디 주식회사 리시버 드라이어탱크용 압출파이프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802A (ko) 200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0567B1 (ko)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및 그 제작방법
US11209176B2 (en) Thermoelectric dehumidifier
KR101028939B1 (ko) 차량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탱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2610A (ko) 차량 공조장치용 소음기
US5787573A (en) Method of making air conditioner receiver dryer
DE50209991D1 (de) Kältemittelkondensator
KR200394121Y1 (ko) 에어컨용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의 밀봉캡 설치구조
KR100371934B1 (ko) 차량용 냉매 리시버 드라이어 어세이용 탱크 성형방법
KR100807752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수액기
KR100765919B1 (ko) 콘덴서 일체형 리시버 드라이어 제조공정
KR200161853Y1 (ko) 자동차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수구조(strusture for draining of an air conditioner for use in an automobile)
KR101851659B1 (ko) 차량용 냉매 리시버드라이어 탱크와 캡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JP2009085373A (ja) 配管継ぎ手構造、および車両用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001025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응축기
KR19980030439U (ko) 자동차 냉방장치의 건조기
KR102233359B1 (ko) 냉매 배관 시스템
KR19980044416U (ko) 자동차용 에어컨의 응축수 배출구조
KR100925113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응축기
KR20070025712A (ko) 에어컨 리시버 드라이어
KR20000047336A (ko) 공조장치 리시버 드라이어용 탱크 및 그 제조방법
KR100213503B1 (ko) 자동차용 과냉각식 에어컨
KR200341734Y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KR0148758B1 (ko) 냉장고용 냉동실밑판 취부구조
KR200201185Y1 (ko) 냉방시스템의 수평형 필터 드라이어
KR101002097B1 (ko) 증발기의 오일 분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