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859B1 -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859B1
KR101028859B1 KR1020080075122A KR20080075122A KR101028859B1 KR 101028859 B1 KR101028859 B1 KR 101028859B1 KR 1020080075122 A KR1020080075122 A KR 1020080075122A KR 20080075122 A KR20080075122 A KR 20080075122A KR 101028859 B1 KR101028859 B1 KR 10102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crane
rotating member
magnetic bas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547A (ko
Inventor
김석원
이원규
박세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연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연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연산업
Priority to KR1020080075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8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3Mechanisms with latches or braking devices in general for capstans, hoists or similar devices as well as braking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or by fluid u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크레인 거더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를 정지시키기 위한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에 있어서, 호이스트의 일측에 마그네틱 베이스를 설치하고, 마그네틱 베이스를 크레인 거더의 일측으로 이동시켜, 마그네틱 베이스가 자력에 의해 크레인 거더의 일측에 부착되어 호이스트와 함께 고정됨으로써 호이스트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원공급이 차단된 경우 용이하게 호이스트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크레인, 호이스트, 제동, 거더, 가이드레일, 영구자석, 마그네틱, 스토퍼

Description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METHOD AND DEVICE FOR BRAKING HOIST OF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 거더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를 정지시킴에 있어서, 영구자석의 자력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이스트 크레인(hoist crane)은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들어 올려 수평으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를 말하고,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권상, 권하 동작과 들어올린 중량물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주행, 횡행 등의 동작을 하며, 이러한 동작이 서로 조합되어 3차원 공간에서 중량물을 취급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이러한 호이스트 크레인(10)의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한 쌍의 주행레일(21)과, 이 주행레일(21) 상에 설치되어 이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주행하는 크 레인 거더(20)와, 이 크레인 거더(20)의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호이스트(30)가 구비된다.
이때, 크레인 거더와 호이스트의 이동은 전동모터에 의해 이루어지고, 예기치 못하게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호이스트의 유동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작업으로 호이스트를 크레인 거더의 일측으로 견인시켜 고정시키게 되는데, 특히 해상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는 해상의 조건에 따라 롤링(rolling) 및 피칭(pitching)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크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크레인 거더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를 정지시키기 위한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에 있어서, 호이스트의 일측에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마그네틱 베이스를 설치하고, 마그네틱 베이스를 크레인 거더의 일측으로 이동시켜, 마그네틱 베이스가 자력에 의해 크레인 거더의 일측에 부착되어 호이스트와 함께 고정됨으로써 호이스트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와 관련되며, 전원공급이 차단된 경우 용이하게 호이스트를 고정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크레인 거더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를 정지시키기 위한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에 있어서, 호이스트의 일측에 마그네틱 베이스를 설치하고, 마그네틱 베이스를 크레인 거더의 일측으로 이동시켜, 마그네틱 베이스가 자력에 의해 크레인 거더의 일측에 부착되어 호이스트와 함께 고정됨으로써 호이스트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마그네틱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부재를 설치하고,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마그네틱 베이스의 자력이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ON/OFF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마그네틱 베이스가 크레인 거더의 일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회전부재는 풀리 또는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은, 크레인 거더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호이스트와 함께 이동하되, 크레인 거더의 일측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함체형의 케이스, 케이스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회전부재,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자력이 ON/OFF 되는 마그네틱 베이스, 및 풀리의 회전에 따라 마그네틱 베이스를 크레인 거더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마그네틱 베이스가 자력에 의해 크레인 거더의 일측에 부착됨으로써 호이스트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마그네틱 베이스의 일측에는 회전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직방향으로 전환하여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기어박스가 설치되고, 출력축의 회전에 의해 마그네틱 베이스의 자력이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ON/OFF 된다.
또한, 전술한 이동수단은, 회전부재의 회전축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크류 타입의 웜과, 일단은 스크류 타입의 웜에 치합되고 타단은 마그네틱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마그네틱 베이스를 크레인 거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한편, 회전축은 스크류 타입의 웜의 축공에 소정 각도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회전부재의 회전축 일측 외주면에 단턱이 형성되고, 스크류 타입의 웜의 축공 내주면에는 단턱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단턱과 돌출부 사이에 소정 각도로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회전부재는 풀리 또는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에 의하면,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호이스트를 용이하게 정지 및 고정시킴으로써, 호이스트의 유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레인 거더 상의 어느 지점에서나 호이스트의 고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크레인 작업시에도 작업지점 상에 호이스트를 고정하여 안정적인 상태에서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게 크레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중복되는 부가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호이스트 크레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장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장치 내부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베이스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풀리와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풀리의 회전축과 스크류 타입의 웜의 결합관계를 보인 상세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 크레인(10)은 한 쌍의 주행레일(21)과, 이 주행레일(21) 상에 설치되어 이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주행하는 크레인 거더(20)와, 이 크레인 거더(20)의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호이스트(30)가 구비된다.
이때, 호이스트(30)는 전동모터(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호이스트 롤러(31)가 회전하면서 이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호이스트 롤러(31)는 호이스트(30)의 전후 상단에 각각 나란히 한 쌍씩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장치(이하, '제동장치'라 한다)는, 크레인 거더(2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는 크레인 거더(20)의 일측에 설치된 제동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크레인 거더(20)의 타측에도 이와 동일하게 제동장치(1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동장치(100)는, 호이스트(30)의 일측에 결합되어 호이스트(30)와 함께 이동하며, 자력에 의해 크레인 거더(20)의 일측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제동장치(100)와 결합된 호이스트(30)가 그 자리에 고정되게끔 한다.
즉, 호이스트(30)의 이동중에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정지한 경우, 호이스트(30)가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유동하면서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고, 종래에는 수작업으로 호이스트(30)를 크레인 거더(20)의 일측으로 견인시켜 고정하는 방식을 취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동장치(100)는 자력에 의해, 호이스트(30)가 정지한 위치에서 크레인 거더(20)의 일측에 부착,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동장치(1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형의 케이스(200)와, 케이스(200)의 외측에 회전축(310)에 의해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케이스(2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마그네틱 베이스(magnetic base,400)와, 마그네틱 베이스(400)를 크레인 거더(2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6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이스트(30)의 전후에 각각 구비되는 호이스트 롤러(3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으로 내부가 빈 직육면체의 함체형으로서 크레인 거더(20)의 가이드레일(22) 방향으로 일측에 개방부(210)가 형성되고, 결합부(220)에 의해 호이스트(30)의 일측에 결합된다.
또한, 케이스(200)의 개방부(210) 반대쪽에는 회전부재가 회전축(310)에 의해 축결합되는데, 이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후술하는 마그네틱 베이스(400)가 크레인 거더(20) 방향으로 이동하고 자력을 띄게 된다.
이때, 회전부재는 풀리(300) 또는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로서 풀리(300)를 사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케이스(200) 내부의 개방부(210) 일측에는 한 쌍의 마그네틱 베이스(400)가 나란히 구비되는데, 이 마그네틱 베이스(400)는 풀리(300)의 회전에 따라 자력이 ON/OFF 되면서 크레인 거더(20) 방향으로 자력을 띄게 되거나 잃게 된다.
여기서, 마그네틱 베이스(400)는 레버의 조작에 따라,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부착되면서 임의로 고정되는 장치로서, 이러한 장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8432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그 구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후술하는 출력축(540,550)이 마그네틱 베이스(400)의 자력을 ON/OFF 시키는 레버의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설치 조건에 따라 마그네틱 베이스(400)의 크기 등 규격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 쌍의 마그네틱 베이스(400)의 사이에 기어박스(500)가 설치된다.
이 기어박스(500)는 풀리(300)의 회전력을 회전축(310)을 통해 전달받아, 그 회전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전환한 후 출력축(540,550)을 통해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0)의 끝단이 기어박스(500)의 일측으로 삽입되어 회전축(310)의 회전력을 제1베벨기어(510)에 전달하고, 제1베벨기어(510)와 치합하는 제2베벨기어(520) 및 제3베벨기어(530)가 다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출력축(540)과 제2출력축(55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회전축(310)의 끝단과, 제1베벨기어(510)의 축공 내주면에는 서로 치합하도록 치형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출력축(540)과 제2출력축(550)은 각각 마그네틱 베이스(400)에 연결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베이스(400)에 자력을 ON/OFF 시키는 레버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풀리(300)가 회전하게 되면, 풀리(300)의 회전축(310)이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제1베벨기어(510)에 전달하고, 제1베벨기어(510)가 회전하면서 제1베벨기어(510)와 치합하는 제2베벨기어(520) 및 제3베벨기어(530)가 함께 회전하며, 제2베벨기어(520)는 제1출력축(540)을, 그리고 제3베벨기어(530)는 제2출력축(550)을 회전시켜 마그네틱 베이스(400)에 자력을 ON/OFF 시키게 된다.
호이스트(30)를 정지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호이스트(30) 일측에 구비되는 마그네틱 베이스(400)가 자력에 의해, 크레인 거더(20)의 일측에 부착, 고정되어야 하므로, 마그네틱 베이스(400)를 크레인 거더(20) 방향으로 이동시켜, 크레인 거더(20)의 일측에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마그네틱 베이스(400)를 크레인 거더(2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600)이 구비되는데, 풀리(300)의 회전에 따라 마그네틱 베이스(400)가 크레인 거더(20) 방향으로 이동되게끔 구성된다.
풀리(300)의 회전축(310) 일측 외주면 즉, 회전축(310)의 외주면 상에서 제1베벨기어(510)와 치합하도록 치형이 형성된 부분과 풀리(300)에 삽입 결합된 부분 사이에, 내부에 축공을 가진 원통형의 스크류 타입의 웜(610)이 결합된다.
그리고, 이 스크류 타입의 웜(610)에 일단이 치합되고 타단은 마그네틱 베이스(400)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넥터(620)가 구비되는데, 이 커넥터(620)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풀리(30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 타입의 웜(610)이 회전하면서 스크류 타입의 웜(610)에 치합된 커넥터(620)의 일단이 회전축(31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커넥터(620)의 타단에 결합된 마그네틱 베이스(400)가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틱 베이스(400)는 크레인 거더(20)의 가이드레일(22)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하게 되거나 이격하여 멀어지게 되며, 케이스(200) 내에서 개방부(210)의 반대쪽 면에는 스토퍼(630)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마그네틱 베이스(400)에 자력이 ON 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2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레일(22)과 가까워지면서 자력에 의해 가이드레일(22)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힘이 가해지거나 급격한 이동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충격에 의한 소음발생, 또는 제동장치(100)의 부품에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마그네틱 베이스(400)가 가이드레일(22)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하기 전에는 자력이 OFF 상태이다가, 가이드레일(22)과 접촉한 후에 자력이 ON 상태로 전환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리(300)의 회전축(310)과 스크류 타입의 웜(610)의 축공이 서로 결합할 때 소정 각도의 공간부(612)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풀리(300)의 회전축(310) 일측 외주면에 단턱(311)을 형성하고, 스크류 타입의 웜(610)의 축공 내주면에는 이 단턱(311)과 대응되도록 돌출부(611)를 형성하되, 단턱(311)과 돌출부(611) 사이에 소정 각도로 공간부(612)가 형성되도록 하여, 도 6a의 상태에서 회전축(310)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이 공간부(612)를 따라 소정 각도로 공회전한 후에, 도 6b와 같이 회전축(310)의 단턱(311)이 스크류 타입의 웜(610) 축공 내주면의 돌출부(611)와 맞닿게 되면 이때부터 회전축(310)과 함께 스크류 타입의 웜(61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6a와 같이 회전축(310)이 공간부(612)를 따라 공회전하면서 제1베벨기어(510), 제2베벨기어(520), 제3베벨기어(530)의 회전과 함께 제1출력축(540)과 제2출력축(550)이 회전하여 각각의 마그네틱 베이스(400)에 자력을 OFF 시키게 되고, 이어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310)의 단턱(311)이 스크류 타입의 웜(610) 축공의 돌출부(611)와 맞닿아 회전축(310)과 스크류 타입의 웜(610)이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커넥터(620)가 마그네틱 베이스(400)를 가이드레일(22) 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마그네틱 베이스(400)에 자력이 ON 되는 것이다.
호이스트(3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은 전술한 바와 반대로 진행된다.
즉, 도 6b 상태에서 풀리(30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풀리(300)의 회전축(310)이 공간부(612)를 따라 공회전하면서 마그네틱 베이스(400)의 자력을 OFF 시키고, 도 6a의 상태에 이르러 도 6b의 화살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서 마그네틱 베이스(400)를 가이드레일(22)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풀리(300)의 회전은 인력에 의해서도 가능하고, 호이스트(30)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동모터(미도시)에 의해서도 가능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300a)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회전부재로서 기어를 사용하는 경우, 체인을 감아서 회전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동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크레인 거더(20)의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30)에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호이스트(30)가 정지한 상태에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호이스트(30)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풀리(300)에 감긴 로프(300a)를 사용하여 풀리(300)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풀리(300)의 회전축(310)이 공회전하면서 제1베벨기어(510), 제2베벨기어(520), 제3베벨기어(530)의 회전과 함께 제1출력축(540)과 제2출력축(550)을 회전시켜 마그네틱 베이스(400)에 자력을 OFF 시키게 되고, 이어서 회전축(310)의 단턱(311)이 스크류 타입의 웜(610) 축공의 돌출부(611)와 맞닿아 회전축(310)과 스크류 타입의 웜(610)이 함께 회전하게 되면서, 커넥터(620)가 마그네틱 베이스(400)를 가이드레일(22) 방향으로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마그네틱 베이스(400)에는 자력이 ON 되어 가이드레일(22)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호이스트(30) 역시 정지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며, 호이스트(30)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는 과정은 전술한 과정이 역으로 진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원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호이스트(30)를 용이하게 정지 및 고정시킴으로써, 호이스트(30)의 유동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레인 거더(20) 상의 어느 지점에서나 호이스트(30)의 고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크레인 작업시에도 작업지점 상에 호이스트(30)가 고정되어 안정적인 상태에서 중량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게 크레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도면 및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따라서, 기재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고, 그 범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수정, 변형, 대안, 균등물을 포함한다.
도 1은 호이스트 크레인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장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장치 내부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베이스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풀리와 커넥터의 결합관계를 보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풀리의 회전축과 스크류 타입의 웜의 결합관계를 보인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호이스트 크레인 20 : 크레인 거더
30 : 호이스트 40 : 전동모터
100 : 제동장치 200 : 케이스
210 : 개방부 300 : 풀리
300a : 로프 310 : 회전축
400 : 마그네틱 베이스 500 : 기어박스
610 : 스크류 타입의 웜 611 : 돌출부
612 : 공간부 620 : 커넥터

Claims (20)

  1. 크레인 거더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를 정지시키기 위한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의 일측에 마그네틱 베이스를 설치하고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를 상기 크레인 거더의 일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가 자력에 의해 상기 크레인 거더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호이스트와 함께 고정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를 정지시키며,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의 자력이 상기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ON/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가 상기 크레인 거더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풀리 또는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5. 크레인 거더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호이스트와 함께 이동하되,
    상기 크레인 거더의 일측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함체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회전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자력이 ON/OFF 되는 마그네틱 베이스;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를 상기 크레인 거더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가 자력에 의해 상기 크레인 거더의 일측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호이스트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직방향으로 전환하여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기어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의 자력이 상기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ON/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크류 타입의 웜과, 일단은 상기 스크류 타입의 웜에 치합되고 타단은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를 상기 크레인 거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스크류 타입의 웜의 축공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 일측 외주면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타입의 웜의 축공 내주면에는 상기 단턱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장치.
  10.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9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풀리 또는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장치.
  11. 크레인 거더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를 정지시키기 위한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에 있어서,
    일측에 회전부재가 마련되고 타측에 마그네틱 베이스가 구비되는 제동장치가 상기 호이스트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하되, 상기 회전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에 자력이 OFF 되고, 상기 회전부재가 동일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가 상기 크레인 거더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됨과 아울러,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에 상기 크레인 거더 방향으로 자력이 ON 되면서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가 상기 크레인 거더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호이스트와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12. 크레인 거더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호이스트를 정지시키기 위한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에 있어서,
    일측에 회전부재가 마련되고 타측에 마그네틱 베이스가 구비되는 제동장치가 상기 호이스트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에 스크류 타입의 웜이 끼워지되, 상기 회전축이 상기 스크류 타입의 웜의 축공에서 공회전 가능하며, 상기 스크류 타입의 웜에는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된 커넥터의 타단이 치합하여, 상기 회전축이 공회전할 때에는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에 자력이 ON/OFF 되고, 상기 회전축이 상기 스크류 타입의 웜과 함께 상기 공회전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더 회전할 때에는 상기 커넥터의 이동과 아울러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에 자력이 OFF/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동장치는,
    상기 크레인 거더의 일측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함체형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회전부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자력이 ON/OFF 되는 마그네틱 베이스; 및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를 상기 크레인 거더의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수직방향으로 전환하여 출력축으로 전달하는 기어박스가 설치되고, 상기 출력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의 자력이 상기 가이드레일 방향으로 ON/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 일측 외주면에 결합되는 스크류 타입의 웜과, 일단은 상기 스크류 타입의 웜에 치합되고 타단은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그네틱 베이스를 상기 크레인 거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스크류 타입의 웜의 축공에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 일측 외주면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 타입의 웜의 축공 내주면에는 상기 단턱에 대응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18.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풀리 또는 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19.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호이스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20.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회전부재에 연결된 로프 또는 체인에 의해 회전 가능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KR1020080075122A 2008-07-31 2008-07-31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 KR101028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122A KR101028859B1 (ko) 2008-07-31 2008-07-31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122A KR101028859B1 (ko) 2008-07-31 2008-07-31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547A KR20100013547A (ko) 2010-02-10
KR101028859B1 true KR101028859B1 (ko) 2011-04-12

Family

ID=4208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122A KR101028859B1 (ko) 2008-07-31 2008-07-31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8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770A (ja) * 1994-05-30 1995-12-05 Meidensha Corp 微速機構付ホイスト
JPH081269Y2 (ja) * 1988-05-27 1996-01-17 株式会社明電舎 ホイスト
JPH10316377A (ja) 1997-05-22 1998-12-02 Meidensha Corp 非常吊り降ろし装置
KR20060101575A (ko) *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두비원 이동식 호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건조 장치와 그립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69Y2 (ja) * 1988-05-27 1996-01-17 株式会社明電舎 ホイスト
JPH07315770A (ja) * 1994-05-30 1995-12-05 Meidensha Corp 微速機構付ホイスト
JPH10316377A (ja) 1997-05-22 1998-12-02 Meidensha Corp 非常吊り降ろし装置
KR20060101575A (ko) *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두비원 이동식 호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건조 장치와 그립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547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7763U (ja) 水門扉の昇降開閉装置
CN103079987B (zh) 绞盘
KR100509011B1 (ko) 수문 권양기의 동력전달 변환장치
CN109095375B (zh) 一种基于正反转螺杆均匀布绳实现匀速卷扬的卷扬机
KR101028859B1 (ko)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
JP2001294149A (ja) 索道の原動装置
KR100686582B1 (ko) 정, 역회전이 자유로운 윈치장치
KR200447786Y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CN203511949U (zh) 一种电动车换档锁档装置
CN201074169Y (zh) 后驱动电动葫芦
CN101424134B (zh) 停车设备紧急取车装置
KR200206947Y1 (ko) 윈치
KR200295822Y1 (ko) 릴 와인더 부착형 자주식 엔진풀라의 와이어 로프 견인롤러
CN216105750U (zh) 一种卷扬机结构及制动器松懈报警装置
JP2012047027A (ja) 開閉機の巻取りドラムの駆動装置
CN214059704U (zh) 一种船舶牵引起重用卷扬机
KR200191403Y1 (ko) 호스 로울러기
CN216580894U (zh) 单辊筒液压锚机
CN219751709U (zh) 一种起重机应急状态下的安全保护装置
CN201121429Y (zh) 停车设备紧急取车装置
CN213738342U (zh) 一种一级行星减速低速大扭矩内转永磁电机直驱机构
JP7355675B2 (ja) 電動巻上機
CN210235122U (zh) 一种手电一体旋转式驾驶室举升泵
CN117533890A (zh) 一种高压岸电绞车装置
KR200255834Y1 (ko) 어구 견인용 양방로울러의 구동 감속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