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947Y1 - 윈치 - Google Patents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947Y1
KR200206947Y1 KR2019980019160U KR19980019160U KR200206947Y1 KR 200206947 Y1 KR200206947 Y1 KR 200206947Y1 KR 2019980019160 U KR2019980019160 U KR 2019980019160U KR 19980019160 U KR19980019160 U KR 19980019160U KR 200206947 Y1 KR200206947 Y1 KR 200206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inch
teeth
shaft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9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704U (ko
Inventor
윤태욱
Original Assignee
윤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욱 filed Critical 윤태욱
Priority to KR2019980019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94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7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7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947Y1/ko

Links

Landscapes

  • Gear Transmission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농기계, 자동차크레인등에 설치사용하는 윈치(Winch)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윈치는, 독립적으로 운반사용하는 것이며,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취급이용이 불편할뿐더러 농기계 및 차량에 설치이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각종 농기계와 크래인차량에 설치이용할 수 있고 자동차크레인유압 및 트랙터유압펌프에 연결이용하기에 적합하게 구성시킨 고안으로 회전축의 선단에 피니언샤후트를 연결회전할 수 있게 하고 그 피니언샤후트후단에 톱니모양의 치부를 형성하여 기어커버와 고정판사이에 설치시킨 감속기어와 치합회전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감속기어의 일측기어치부에 치부면이 물려서 동시 접속회전하도록 하고 또 동력전달축의 다른측에 형성된 톱니부가 와이어로프권취용의 드럼내벽의 홈부에 상호 삽입결속되어져서 감속기어에 의한 드럼의 회전감속을 간단한 구조로 형성시키고 또 피니언샤후트의 나사부에는 라쳇트기어를 고정하여 그 측부의 탄성포올에 의하여 역회전 방지토록 함으로 안전한 작용으로 완전한 윈치를 사용할 수 있을 뿐더러 농기계와 자동차크레인등에 간단히 설치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윈치이다.

Description

윈치
본 고안은 농업용 트랙터, 경운기등 각종 농기계의 유압이나, AC, DC동력을 이용할 수가 있도록 하고 AC, DC모우터를 이용하여 승강기 대용으로 쓸수도 있으며, 각종 농기계 및 자동차크레인과 같은 곳에 간단히 설치하여 농어촌등지에서 유효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한 윈치(Winch)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치(Winch)는 동력모우터를 이용하여 와이어로프권취용의 드럼을 회전시키고 또 여러단의 기어감속으로 느린속도로 드럼을 회전시켜서 세찬힘으로 드럼에 와이어로프가 권취되면서 와이어로프 끝에 맨 후크로 드러올릴 하물이나 끌어당길 물체를 걸어서 하물을 들어올리고 또 무거운 물체를 끌어당겨서 운반하는데 큰 도움이 되어 왔다. 그런데 종래의 윈치는 부피가 큰 동력모우터를 사용한 것이 대부분이고 또 권취드럼을 서서히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외부에 여러단의 기어감속을 하도록 복잡한 구조로 구성한 것이어서, 고장이 자주 발생하고 또 윈치의 전체 부피가 매우 크고, 무게가 과중하여 별개의 독립기구로 윈치를 사용하여 왔을뿐 각종 농기계나 자동차크레인과 같은 곳에는 설치이용할 수 없었고 또 윈치가 필요할 때 운반사용하기가 어렵고 또 번거러워 특히 농어촌에서의 이용시 고가로 이용케 되는등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윈치의 구조적 문제점 때문에 농어촌에서의 이용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개선한 구조의 윈치인 것으로 본 고안은 각종 농기계의 유압으로 작동할 수 있는 유압모우터 또는 각종 농기계의 동력회전부와 연결사용할 수 있는 회전축의 선단에 피니언샤후트를 연결회전할 수 있게 하고 그 피니언샤후트의 후단에 톱니모양의 치부를 형성하여 이 치부가 기어커버에 설치시킨 감속기어를 동시 회전할 수 있게 하여 이 감속기어의 일측 치부면이 피니언샤후트외부로 끼워 회전하게된 동력전달축의 일측 기어치부에 치부면이 물려서 접속회전시키게 하고 또 동력전달축의 다른측에 형성된 톱니부가 와이어로프권취용의 드럼 내벽의 홈부에 상호삽입되어져서 결합구성되게 하므로 동력전달의 구조 및 드럼의 회전감속수단이 간단히 이루어져서 윈치의 부피가 적고 또 하중이 가벼운 소형으로서 취급이 용이간편할뿐더러 각종 농기계 및 자동차크레인에 간단히 설치하여 간편하고 유효하게 이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피니언샤후트와 연결회전케된 커풀링(Caupling)과 허브(Hub)사이에 라쳇트기어를 고정시켜서 탄성포올로서 안전회전을 꾀하도록 함으로 안전한 윈치를 이용할 수 있게 개선한 고안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어커버 2,2' : 감속기어 2a,2'a : 치부면
3 : 피니언샤후트 3' : 치부 3a,3'a : 나사부
4 : 동력전달축 3a : 톱니부 4'a : 기어치부
5,5' : 고정판 6 : 드럼 6a : 홈부
7 : 회전축 9 : 탄성포올 13 : 라쳇트기어
16 : 커풀링 16' : 접속돌기 16a : 라쳇트기어
16'a : 접속홈 17 : 동력모우터
두 개의 양측고정판(5)(5')중 일측고정판(5')에 내부가 빈 모우터지지통(15)을 고정하여 좌우회전의 동력모우터(17)를 설치하되 회전축(7)이 내향으로 되게 하여 접속돌기(16')를 일측에 형성한 커풀링(16)을 고정하고 또 고정판(5)(5') 중심부의 부싱(25)(25')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동력전달축(4)의 중심부에는 일측에 치부(3')와 그 반대측에 2단의 나사부(3a)(3a')를 형성한 피니언샤후트(3)을 삽입설치하여 피니언샤후트(3)의 나사부(3a)에 각각 허브(11)지지반(12)라쳇트기어(13)와 접속홈(16a)을 형성한 커풀링(16a)을 끼워 결합하여 피니언샤후트(3)의 나사부(3'a)에 너트(19)로 채우고 또 상기 회전축(7)에 고정시킨 커풀링(16)의 접속돌기(16')가 커풀링(16a)의 접속홈(16'a)에 삽입연결되게 하였다. 또한 와이어로프(23) 권취용의 드럼(6)은 두 개의 고정판(5)(5')사이의 동력전달축(4)에 끼워 설치하되 동력전달축(4)의 톱니부(4a)와 드럼(6)의 내벽에 형성시킨 홈부(6a)에 삽입결속되어서 일체로 같이 회전할 수 있게 하고 또한 피니언샤후트(3)치부(3')양측으로는 기어커버(1)와 고정판(5)사이에 부싱(27)(27')으로 설치시킨 감속기어(2)(2')가 회전감속을 하고 또 감속기어(2)(2')의 치부면(2a)(2'a)는 각각 동력전달축(4)의 기어치부(4'a)에 톱니가 상호물려서 회전감속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와이어로프(23)는 드럼(6)에 결속되어져서 감겨지고 와이어로프(23) 외부끝에는 후크(18)가 고정되어 물체를 끌어올리거나 끌어당길 때 걸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라쳇트기어(13)의 일측에 핀(8)과 스프링(10)으로 탄성포올(9)을 설치하고 탄지링(22)으로 탄력설치하여 포올(9)이 라쳇트기어(13)에 물려있게 하였다. 이러한 본 고안의 윈치를 각종 농기계 및 자동차크레인등에 설치사용할 때는 두 개의 고정판(5)(5')을 이용하여 장착고정케 되며, 동력모우터(17)가 유압모우터인 경우는 각종 농기계의 유압을 동력모우터(17)의 유압연결호스를 이용하여 연결사용하여서 동력전달을 하고 또 유압모우터가 아닌 농업기계의 회전부를 이용할 때에는 동력모우터(17)대신에 회전축(7)에 각종 농업기계의 회전부를 연결시켜서 동력을 전달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동력모우터(17)로부터 회전축(7)에 동력이 전달되어지고 회전축(7)의 회전에 따라 커풀링(16)과 커풀링(16a)의 접속돌기(16')와 접속홈(16'a)의 상호 삽입결속으로 연결되어진 피니언샤후트(3)는 일체로 되어 같이 회전작용을 하게 되고 또 피니언샤후트(3) 일단에 형성시킨치부(3')는 그 양측의 감속기어(2)(2')와 톱니가 물려 접속되어서 감속기어(2)(2')를 회전시키게 되고 동시에 감속기어(2)(2')를 회전시키게 되고 동시에 감속기어(2)(2')의 치부면(2a)(2'a)는 각각 동력전달축(4)의 기어치부(4'a)에 톱니가 상호물려서 회전감속작용과 함께 동력전달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동력전달축(4)의 회전으로 톱니부(4a)와 드럼(6)내부벽의 홈부(6a)에서 결속결합되어진 와이어로프(23)권취용의 드럼(6)이 이때 서서히 회전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로프(23)끝의 후크(18)가 각종 인상하물 또는 인장물체를 끌어올리거나 끌어당기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드럼(6)의 회전작용을 위한 동력전달을 동력전달축(4) 중심부에 설치된 피니언샤후트(3)을 통하여 감속기어(2)(2')의 치부면(2a)(2'a)과 동력전달축(4)의 기어치부(4'a)간에 원활한 감속작용을 하게 될뿐더러 피니언샤후트(3) 회전시는 라쳇트기어(13)에 설치된 탄성포올(9)이 역회전방지작용과 회전완충작용을 같이함으로 안전한 회전을 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이러한 동력전달과 감속회전을 하는 구조이므로 그들 고안구성이 간단하여 소형화로 되고 또 그 중량도 종래에 비하여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간편하고 각종 농기계 및 자동차크레인에 같이 설치하기에 용이할 뿐아니라 각종 농기계의 동력전달회전부 및 AC, DC동력을 이용할 수가 있고 어느 차량에도 손쉽게 설치이용할 수가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각종 농기계 및 자동차크레인등에 고정판(5)(5')을 장착사용하게 된 윈치에 있어서, 동력모우터(17)의 회전축(7)에 접속돌기(16')가 있는 커풀링(16)을 고정하고 고정판(5)(5')에 부싱(25)(25')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한 동력전달축(4)중심부로 일측에 치부(3')와 반대측에 2단의 나사부(3a)(3'a)을 형성한 피니언샤후트(3)을 삽입설치하여 나사부(5)에 허브(11) 라쳇트기어(13) 및 접속홈(16'a)에 삽입결속되게 하고 라쳇트기어(13)에는 탄성포올(9)을 핀(8)과 스프링(10)으로 설치하여 역회전을 방지케 하고 피니언샤후트(3)의 치부(3')는 기어커버(1)와 고정판(5) 사이에 설치한 감속기어(2)(2')와 톱니가 물려 회전하게 하고 감속기어(2)(2')의 치부면(2a)(2'a)은 동력전달축(4)의 기어치부(4'a)와 톱니가 물려 회전하게 하고 동력전달축(4)의 톱니부(4a)는 고정판(5)(5')사이에 설치된 드럼(6)의 내벽홈부(6a)에 결속으로 일체로 되어서 회전하도록된 윈치
KR2019980019160U 1998-10-07 1998-10-07 윈치 KR200206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160U KR200206947Y1 (ko) 1998-10-07 1998-10-07 윈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9160U KR200206947Y1 (ko) 1998-10-07 1998-10-07 윈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704U KR20000007704U (ko) 2000-05-06
KR200206947Y1 true KR200206947Y1 (ko) 2001-01-15

Family

ID=6971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9160U KR200206947Y1 (ko) 1998-10-07 1998-10-07 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9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12B1 (ko) * 2006-06-13 2007-03-02 김관중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398B1 (ko) * 2008-02-18 2011-04-11 임선우 선박용 소형 윈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12B1 (ko) * 2006-06-13 2007-03-02 김관중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704U (ko) 200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06380B2 (en) Cable winch
EP1914154A1 (en) Drum rotation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JPH04157241A (ja) フリーホイール機構を有する内接噛合形遊星歯車減速機付き回転駆動装置
CN103079987B (zh) 绞盘
CN202022688U (zh) 一种电动绞盘
KR200206947Y1 (ko) 윈치
US4909482A (en) Vehicle winch with retractable hitch
CN201309815Y (zh) 锥面刹车的动力绞车装置
US1913861A (en) Hoist
CN2440795Y (zh) 手摇式升降机
KR950031882A (ko) 소형 권상견인기
CN201074169Y (zh) 后驱动电动葫芦
KR200295822Y1 (ko) 릴 와인더 부착형 자주식 엔진풀라의 와이어 로프 견인롤러
KR101029907B1 (ko) 유압 윈치
JP4108176B2 (ja) 自由落下式クレーン
KR100686582B1 (ko) 정, 역회전이 자유로운 윈치장치
CN217148407U (zh) 防逆转绞磨机
CN217780626U (zh) 一种船用柴油机绞车
JPH0746832Y2 (ja) 動力出力装置
CN216105750U (zh) 一种卷扬机结构及制动器松懈报警装置
KR100276529B1 (ko) 릴와인더 부착형 자주식 엔진 풀라
CN214935594U (zh) 一种具有更大容绳量的双电机绞盘
US3313524A (en) Reeling device
CN110240019B (zh) 一种多功能工具车
KR101028859B1 (ko) 크레인의 호이스트 제동방법 및 그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