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786Y1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786Y1
KR200447786Y1 KR2020080001342U KR20080001342U KR200447786Y1 KR 200447786 Y1 KR200447786 Y1 KR 200447786Y1 KR 2020080001342 U KR2020080001342 U KR 2020080001342U KR 20080001342 U KR20080001342 U KR 20080001342U KR 200447786 Y1 KR200447786 Y1 KR 200447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eave
elevator
manual operation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818U (ko
Inventor
이용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특수엘리베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특수엘리베이터
Priority to KR2020080001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786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8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8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7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15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manually, e.g. additional safety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는 외주면에 치가 형성된 기어가 시브의 측면에 결합된다. 즉, 외주면에 치가 형성된 기어가 별도록 제작되므로, 가공이 용이하다. 그리고, 기어의 상단부측 외주면에 핸들부재가 맞물려 결합되므로, 수동조작장치가 수직으로 배치된다. 즉,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직방향 상측에 항상 존재하는 빈 공간에 수동조작장치가 설치되므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비하여 좁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HAND OPERATING DEVICE OF TRACTION MACHINE FOR ELEVATOR}
도 1은 종래의 권상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들부재를 좌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전동기 120 : 시브
130 : 브레이크 151 : 기어
154 : 지지관 157 : 핸들부재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택 및 빌딩 등에는 사람이나 물건을 하측에서 상측 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운반하기 위한 종(縱)적 교통수단인 엘리베이터가 설치된다.
엘리베이터는 권상기에 의하여 승강하는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5037호에 종래기술로 기재된 권상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 래의 권상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권상기는 전동기(12), 시브(Sheave)(14) 및 브레이크장치(18)를 가진다.
전동기(12)는 하우징(16)에 의하여 베이스판(15)에 고정되고, 시브(14)는 전동기(12)의 축(미도시)에 연결되어 전동기(12)에 의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시브(14)의 외주면에는 로프(14a)가 권선되는데, 로프(14a)의 일단부는 엘리베이터카(13)에 연결된다. 그리하여, 전동기(12)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시브(14)가 정역회전하고, 이로인해 로프(14a)가 시브(14)에 감기고 풀리면서 엘리베이터카(13)를 승강시킨다.
브레이크장치(18)는 전동기(12)가 정지한 경우, 시브(14)가 회전하지 않도록 제동한다.
정전 등에 의하여 전동기(12)가 멈춘 경우에는, 수동으로 엘리베이터카(13)를 올리거나 내릴수 있어야 한다.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20)는 시브(14)의 측면에 형성된 기어(22), 기어(22)와 맞물린 구동기어(24), 구동기어(24)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26a)가 설치된 감속기(26) 및 감속기(26)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수동핸들(28)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20)는 기어(22)가 시브(14)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기어(22)를 가공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그리고, 기어(22), 구동기어(24), 감속기(26) 및 수동핸들(28)이 수평면상에 서 연결되므로, 설치 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가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내에서도 설치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는,
베이스에 고정 설치된 전동기, 상기 전동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기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며 외주면에는 엘리베이터카와 연결된 로프가 권선된 시브(Sheave), 상기 시브를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
상기 시브의 일측면에는 외주면에 치(齒)가 형성된 기어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에는 상기 기어의 치측으로 지지관이 돌출 형성되며,
일단부측 외주면은 상기 지지관에 삽입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측 외주면에는 상기 기어의 치와 맞물리는 치(齒)가 형성된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타단부측에 결합된 핸들을 가지는 핸들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핸들부재를 좌측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권상기는 전동기(110), 시브(Sheave)(120) 및 브레이크(130)를 가진다.
전동기(110)는 브라켓(141)에 의하여 베이스(143)에 고정되며, 베이스(143)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최상층에 설치된다.
전동기(110)의 일측에는 시브(120)가 설치되는데, 시브(120)는 전동기(110)의 회전축(미도시)에 연결되어 전동기(110)에 의하여 정역회전한다. 시브(120)의 외주면에는 로프(123)가 권선되며, 로프(123)의 일단부측에는 엘리베이터카(145)가 연결된다. 그리하여, 전동기(110)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시브(120)가 정역회전하면, 로프(123)가 시브(120)에 감기고 풀리면서 엘리베이트카(145)가 승강하는 것이다.
브레이크(130)는 전동기(110)의 정역회전에 의하여 엘리베이트카(145)가 건물의 각 층에 정지하면, 시브(120)를 제동하여 엘리베이트카(145)가 승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브레이크(130)는 회동되면서 시브(120)에 접촉 및 비접촉되는 접촉바(131)와 접촉바(131)를 회동시키는 솔레노이드(133)를 가진다.
정전 또는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하여 전동기(110)가 정지하면, 엘리베이터카(145)가 승강도중에 멈추어 건물의 층과 층 사이에 위치된다. 그러면, 엘리베이터카(145)의 도어를 열고서 승객이 탈출할 수 없다.
이러한 비상 상태에 대비하여, 수동으로 시브(120)를 회전시켜 엘리베이터카(145)를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도어측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수동조작장 치(15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동조작장치(150)는 시브(120)의 일측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치(齒)(151a)가 형성된 기어(151)를 가진다. 기어(151)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52)에 의하여 시브(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기어(151)의 상단부측 외주면과 대응되는 브레이크(130)의 부위에는 지지관(154)이 기어(151)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지지관(154)에는 기어(151)를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부재(157)가 삽입 지지된다.
핸들부재(157)는 일단부측 외주면은 지지관(154)의 내주면에 삽입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측 외주면에는 기어(151)의 치(151a)와 맞물리는 치(齒)(158a)가 형성된 회전바(158)와 회전바(158)의 타단부측에 결합된 핸들(159)을 가진다.
그리하여, 전동기(110)가 멈춘 비상상태가 발생하면, 기어(151)를 시브(120)에 결합하고, 핸들부재(157)의 회전바(158)의 일단부측을 지지관(154)에 삽입함과 동시에 타단부측의 치(158a)를 기어(151)의 치(151a)와 맞물리게 한다. 그후, 엘리베이터카(145)가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도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핸들(159)을 적절하게 회전시켜 시브(120)를 회전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는 외주면에 치가 형성된 기어가 시브의 측면에 결합된다. 즉, 외주면에 치가 형성된 기어가 별도록 제작되므로, 가공이 용이하다.
그리고, 기어의 상단부측 외주면에 핸들부재가 맞물려 결합되므로, 수동조작장치가 수직으로 배치된다. 즉,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직방향 상측에 항상 존재하는 빈 공간에 수동조작장치가 설치되므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비하여 좁은 설치공간이 필요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2)

  1. 베이스에 고정 설치된 전동기, 상기 전동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기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며 외주면에는 엘리베이터카와 연결된 로프가 권선된 시브(Sheave), 상기 시브를 제동하는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있어서,
    상기 시브의 일측면에는 외주면에 치(齒)가 형성된 기어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에는 상기 기어의 치측으로 지지관이 돌출 형성되며,
    일단부측 외주면은 상기 지지관에 삽입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측 외주면에는 상기 기어의 치와 맞물리는 치(齒)가 형성된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타단부측에 결합된 핸들을 가지는 핸들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의 일단부측은 상기 지지관에 삽탈가능하게 삽입 지지되고,
    상기 지지관은 상기 기어의 상단부측 외주면과 대응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KR2020080001342U 2008-01-29 2008-01-29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KR200447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342U KR200447786Y1 (ko) 2008-01-29 2008-01-29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342U KR200447786Y1 (ko) 2008-01-29 2008-01-29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18U KR20090007818U (ko) 2009-08-03
KR200447786Y1 true KR200447786Y1 (ko) 2010-02-22

Family

ID=4129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342U KR200447786Y1 (ko) 2008-01-29 2008-01-29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7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97764A (zh) * 2017-11-09 2018-02-16 希姆斯电梯(中国)有限公司 座椅电梯盘车机构
KR102037852B1 (ko) * 2019-07-25 2019-10-30 주식회사 비티알수성 권상기용 시브의 수동 회전 조작 세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3063A (ja) 1998-08-19 2000-02-29 Hitachi Ltd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20000005037U (ko) * 1998-08-21 2000-03-15 백영문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KR200268032Y1 (ko) 2001-11-22 2002-03-1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 조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3063A (ja) 1998-08-19 2000-02-29 Hitachi Ltd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20000005037U (ko) * 1998-08-21 2000-03-15 백영문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KR200268032Y1 (ko) 2001-11-22 2002-03-1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 조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18U (ko) 2009-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4999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2270800B1 (ko) 엘리베이터용 처짐 방지시스템
CN204079281U (zh) 起重小车
CN101823658B (zh) 无机房电梯手动拉线式救援装置
KR200447786Y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수동조작장치
JP2001048450A5 (ko)
KR101261586B1 (ko) 상/하 개폐식 엘리베이터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CN102283619B (zh) 双绳槽多层起升机构
WO2003093156A1 (fr) Mecanisme elevateur/abaisseur pour ascenseur et procede afferent
CN201485153U (zh) 一种电梯的手动救援装置
CN201793302U (zh) 一种曳引机的手动盘车装置
CN201808982U (zh) 无机房电梯手动拉线式救援装置
JP5084838B2 (ja) エレベータ巻上機
CN210620101U (zh) 一种轻质墙板用吊板装置
CN201351101Y (zh) 双键脚蹬吊篮提升机
CN1657389A (zh) 电梯用卷扬机的手动旋转驱动装置及手动旋转驱动方法
CN113336084A (zh) 一种起重设备
JP3496344B2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KR100888667B1 (ko) 슬립방지수단을 포함하는 하부 구동식 엘리베이터
KR101791857B1 (ko) 엘리베이터용 하부체대구조
JP2013023335A (ja) エレベータ巻上げ機の人力駆動装置
KR200268032Y1 (ko)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수동 조작장치
KR200191024Y1 (ko) 이중 브레이크를 설치한 호이스트
CN213651562U (zh) 轿厢驱动式电梯驱动装置
CN213679411U (zh) 一种高强度电梯梳齿支撑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