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546B1 -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546B1
KR101028546B1 KR1020080098185A KR20080098185A KR101028546B1 KR 101028546 B1 KR101028546 B1 KR 101028546B1 KR 1020080098185 A KR1020080098185 A KR 1020080098185A KR 20080098185 A KR20080098185 A KR 20080098185A KR 101028546 B1 KR101028546 B1 KR 101028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lower arm
rear suspension
insulating tub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996A (ko
Inventor
배경일
오윤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8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5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은, 하단부에 절연 튜브가 끼워진 스프링을 로워암의 상부면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로워암의 상부면에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시트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워암의 스프링 안착면에 있어 상기 로워암의 상하 거동에 따른 상기 스프링의 슬립 방향과 상기 절연 튜브의 틈새 방향이 상호 일치하는 영역에 홈 형태의 포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어 서스펜션, 로워암, 스프링, 슬립, 절연 튜브, 포밍부

Description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 {SPRING MOUNTING UNIT FOR REAR SUSPENSION OF VEHICL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을 로워암에 장착하기 위한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은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 및 외력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특히, 승용 차량에 주로 적용되는 리어 서스펜션은 도 4에서와 같이, 차체의 서브 프레임(110) 및 휠 베어링 어셈블리(120)가 로워암(101)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로워암(101)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상판과 하판이 용접 또는 결착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서브 프레임(110)과 연결되는 스프링(140)이 장착된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140)은 로워암(101)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휠의 범프 및 리바운드시 로워암(101)의 상하 거동에 따라 압축 및 인장 됨으로써 차체의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스프링 장착 구조는 도 5에서와 같이, 스프링(140)이 로워암(101)의 상부면에 스프링 시트(111)를 통해 지지되며, 그 스프링(140)의 하단부에 로워암(101)과의 절연을 위한 절연 튜브(104)가 소정의 틈을 지니며 끼워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휠의 범프 및 리바운드시 로워암(101)의 상하 거동에 따라 스프링(140)의 하단부와 로워암(101)의 스프링 안착면 상호 간에 슬립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종래 기술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로워암(101)의 스프링 안착면에 있어 도면에 "A"로 표시된 영역에서는 절연 튜브(104)의 개구(틈새) 방향과 스프링(140)의 슬립 방향이 상호 직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로워암(101)의 스프링 안착면에서 스프링(140)의 슬립이 일어나더라도 절연 튜브(104)는 스프링(140)의 하단부로부터 벗겨지지 않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로워암(101)의 스프링 안착면에 있어 도면에 "B"로 표시된 영역에서는 절연 튜브(104)의 개구 방향과 스프링(140)의 슬립 방향이 상호 일치하기 때문에, 스프링(140)의 하단부와 로워암(101)의 스프링 안착면 상호 간의 슬립으로서 절연 튜브(104)가 스프링(140)의 하단부로부터 벗겨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와 같이 절연 튜브(104)의 개구 방향과 스프링(140)의 슬립 방향이 상호 일치하는 영역에서 절연 튜브(104)가 스프링(140)의 하단부로부터 벗겨지므로, 스프링(140)의 하단부와 로워암(101)의 접촉에 의한 비 정상적인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로워암의 스프링 안착면에 있어 절연 튜브의 개구 방향과 스프링의 슬립 방향이 일치하는 영역의 안착면을 제거하여 그 영역에서 스프링과 로워암의 슬립으로서 절연 튜브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은, 하단부에 절연 튜브가 끼워진 스프링을 로워암의 상부면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로워암의 상부면에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시트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워암의 스프링 안착면에 있어 상기 로워암의 상하 거동에 따른 상기 스프링의 슬립 방향과 상기 절연 튜브의 틈새 방향이 상호 일치하는 영역에 홈 형태의 포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에 있어서, 상기 포밍부는 상기 스프링 시트와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의 코일링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로워암의 스프링 안착면에 있어 절연 튜브의 개구 방향과 스프링의 슬립 방향이 일치하는 영역에 홈 형태의 포밍부를 형성하여 절연 튜브가 스프링으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로워암과 스프링의 직접적인 슬립 접촉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소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100)은 로워암(1)의 상부면에 스프링(3: 당 업계에서는 "서스펜션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 이라고도 한다)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로워암(1)은 서브 프레임(미도시) 및 휠 어셈블리(미도시)와 연결되게 구성되는 바, 이러한 로워암(1)을 구성하는 리어 서스펜션의 기본적인 구조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3)은 코일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로워암(1)의 상부면에 지지된 상태로 서브 프레임(미도시)과 연결되고, 이의 하단부에는 로워암(1)과의 절연을 위한 우레탄 소재의 절연 튜브(4)가 소정의 틈을 지니며 감싼 형태로 끼워진다.
이러한 절연 튜브(4)는 로워암(1)의 상하 거동 시 스프링(3)의 하단부와 로워암(1)의 스프링 안착면 상호 간에 슬립이 발생하는 경우, 그 스프링(3)의 하단부와 로워암(1)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이음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100)의 구성을 살펴 보면, 로워암(1)의 상부면에 스프링(3)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시트(11)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워암(1)의 스프링 안착면에 있어, 그 로워암(1)의 상하 거동에 따른 스프링(3)의 슬립 방향과 절연 튜브(4)의 틈새 방향이 상호 일치하는 영역에 홈 형태의 포밍부(21)가 형성된다.
즉, 상기 포밍부(21)는 로워암(1)의 스프링 안착면에 있어, 절연 튜브(4)의 개구 방향과 스프링(3)의 슬립 방향이 일치하는 부위에만 형성되며, 절연 튜브(4)의 개구 방향과 스프링(3)의 슬립 방향이 상호 직각인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포밍부(21)는 절연 튜브(4)의 개구 방향과 스프링(3)의 슬립 방향이 일치하는 부위의 안착면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포밍부(21)는 스프링 시트(11)와 연결되며, 스프링(3)의 코일링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100)에 의하면, 휠의 범프 및 리바운드 시 로워 암(1)의 상하 거동에 따라 스프링(3)의 하단부와 로워암(1)의 스프링 안착면 상호 간에 슬립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로워암(1)의 스프링 안착면에 있어, 절연 튜브(4)의 개구 방향과 스프링(3)의 슬립 방향이 일치하는 영역에서 스프링(3)의 슬립으로 인해 절연 튜브(4)가 벗겨지는데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영역에 홈 형태의 포밍부(21)를 형성하여 그 영역에서의 스프링 안착면이 제거되므로, 상기 안착면에 대한 절연 튜브(4)의 슬립을 방지함으로써 그 절연 튜브(4)가 스프링(3)으로부터 벗겨질 수 있는 가능성이 배제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 튜브(4)가 벗겨진 스프링(3)의 하단부와 로워암(1) 간의 접촉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소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 구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 구성도이다.

Claims (2)

  1. 하단부에 절연 튜브가 끼워진 스프링을 로워암의 상부면에 장착하기 위한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에 있어서,
    상기 로워암의 상부면에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시트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워암의 스프링 안착면에 있어 상기 로워암의 상하 거동에 따른 상기 스프링의 슬립 방향과 상기 절연 튜브의 개구 방향인 틈새 방향이 상호 일치하는 영역에 홈 형태의 포밍부가 형성되며,
    상기 포밍부는 상기 절연 튜브의 개구 방향과 스프링의 슬립 방향이 일치하는 부위의 안착면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프링 시트와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의 코일링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
  2. 삭제
KR1020080098185A 2008-10-07 2008-10-07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 KR101028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185A KR101028546B1 (ko) 2008-10-07 2008-10-07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185A KR101028546B1 (ko) 2008-10-07 2008-10-07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996A KR20100038996A (ko) 2010-04-15
KR101028546B1 true KR101028546B1 (ko) 2011-04-11

Family

ID=42215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185A KR101028546B1 (ko) 2008-10-07 2008-10-07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5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2560B2 (ja) * 2020-09-25 2023-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アサスペンションとそのコイルスプリン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888B1 (ko) * 2002-07-04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암어셈블리
KR20050035384A (ko) * 2003-10-13 2005-04-18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쇽 업소버의 하부 스프링 시트
KR100828788B1 (ko) * 2006-09-28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 장치의 스프링 좌굴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888B1 (ko) * 2002-07-04 2004-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암어셈블리
KR20050035384A (ko) * 2003-10-13 2005-04-18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쇽 업소버의 하부 스프링 시트
KR100828788B1 (ko) * 2006-09-28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 장치의 스프링 좌굴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996A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592B1 (ko) Tm마운트의 스토퍼
KR100680331B1 (ko) 판 스프링 구조
KR101028546B1 (ko)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
KR20100114780A (ko) 철도차량의 대차 연결 장치
US7213671B2 (en) Structure for mounting engine
KR100726508B1 (ko) 리프 스프링구조
KR102417402B1 (ko)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
KR101162327B1 (ko) 쇽업소버용 마운트 조립체
KR102487823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KR101703610B1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KR20200111398A (ko) 변속기 마운트
JP5456520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0312564B1 (ko) 차축식 현가 장치
KR20060016334A (ko) 자동차용 범퍼스토퍼의 장착구조
KR200438361Y1 (ko) 차량 코일스프링용 완충기
KR101305680B1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
KR100952020B1 (ko) 차량의 트레일링암 마운팅 구조
KR20100016927A (ko)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착유닛
KR19990006485U (ko) 차량용 코일스프링의 개선된 인슐레이팅 링 구조
KR100803819B1 (ko) 차량의 바디 마운트
KR100456967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고정구조
JP5869294B2 (ja) 軸箱支持装置
KR20050121820A (ko) 차체와 프레임 결합용 마운팅 부시 장치
KR100589189B1 (ko) 현가 장치의 범퍼 스토퍼 구조
KR101103342B1 (ko) 스테빌라이져바용 부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