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485U - 차량용 코일스프링의 개선된 인슐레이팅 링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코일스프링의 개선된 인슐레이팅 링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485U
KR19990006485U KR2019970019958U KR19970019958U KR19990006485U KR 19990006485 U KR19990006485 U KR 19990006485U KR 2019970019958 U KR2019970019958 U KR 2019970019958U KR 19970019958 U KR19970019958 U KR 19970019958U KR 19990006485 U KR19990006485 U KR 199900064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insulating ring
vehicle
spring
rest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9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485U/ko
Publication of KR19990006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485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리어측 코일스프링의 하단부와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로워 스프링 시트와의 사이에 구비장착되되, 상기 코일스프링의 압축·복원작용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는 인슐레이팅 링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팅 링의 상단부를 코일스프링의 단부를 감싸도록 헤밍부(21)로 형성한 것에 관한것으로, 차량의 주행중 후륜이 리바운드될 때 코일스프링(1)의 압축후 복원작용시 하단부와 인슐레이팅 링(20)과의 밀착부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 등의 유입등으로 상기 코일스프링(1)의 표면에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스프링(1)의 제위치를 파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코일스프링의 개선된 인슐레이팅 링 구조
본 고안은 차량용 코일스프링의 개선된 인슐레이팅 링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리어측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중 충격에 의한 진동을 감쇠시키는 코일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과 로워 스프링 시트의 밀착부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진동을 흡수하는 인슐레이팅 링(Insulating Ring)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의 안착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녹발생 등을 방지토록 한 차량용 코일스프링의 개선된 인슐레이팅 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현가장치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현가장치는 구성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이 있으나 대체로 프론트측은 차축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바퀴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진동을 완화하여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코일스프링(미도시됨)과,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감싸지되, 상기 코일스프링의 고유진동을 흡수하는 쇽압쇼바(미도시됨)로 구성되며, 리어측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의 리어측 프레임(5)에 코일스프링(1)과 쇽압쇼바(2)가 별개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체의 리어측 프레임(5)에 로워 스프링 시트(4)를 사이에 두고 하단부가 장착되며, 어퍼 스프링 시트(3)를 사이에 두고 상단부가 차축(6)과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코일스프링(1)을 차축(6) 및 프레임(5)에 각각 어퍼 및 로워 스프링 시트(3,4)를 사이에 두고 고정장착시키고 차량을 주행하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1)의 압축·복원시 상호 마찰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 및 마모가 촉진되므로 상기한 바에서 코일스프링(1)과 어퍼 및 로워 스프링 시트(3,4) 사이에는 각각 러버재의 리어액슬 범퍼(7)와 인슐레이팅 링(8)이 구비장착되어 이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압축·복원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도록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와 로워 스프링 시트와의 사이에 구비장착되는 인슐레이팅 링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코일스프링에 대하여 제대로 홀딩구조를 갖추지 못함으로써, 차량의 주행중 범프 및 리바운드에 따른 상기 코일스프링의 압축·복원작용시 상기 코일스프링의 움직임에 따른 이탈을 제대로 제어하기가 곤란할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이 약간 들려질 때 상기 코일스프링과 인슐레이팅 링의 틈새로 각종 이물질등이 들어가 상기 코일스프링의 녹발생 등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리어측 코일스프링 하단부와 로워 스프링 시트 사이에 구비장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압축·복원작용시 진동을 흡수하는 인슐레이팅 링의 구조를 헤밍(Hemming)부로 형성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의 안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코일스프링의 움직임에 대한 제어를 효과적으로 함과 아울러 이물질에 의한 녹발생 등을 방지토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리어측 프레임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중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코일스프링의 장착관계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하여 상기 코일스프링과 밀착되어 진동을 감쇠시키는 인슐레이팅 링의 구조가 헤밍부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코일스프링, 3:어퍼 스프링 시트, 4:로워 스프링 시트, 8,20:인슐레이팅 링, 21:헤밍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안된 본 고안은 차량의 리어측 코일스프링의 하단부와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는 로워 스프링 시트와의 사이에 구비장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압축·복원작용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는 인슐레이팅 링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팅 링의 상단부가 코일스프링의 단부를 감싸도록 헤밍부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의 리어측 코일스프링의 하단부와 프레임에 장착되는 로워 스프링 시트와의 사이에 구비장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압축·복원작용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는 인슐레이팅 링의 구조를 코일스프링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하는 헤밍부로 형성하게 되면 상기 코일스프링이 차량의 범프 및 리바운드에 따라 압축·복원작용을 하게될 때 상기 코일스프링이 인슐레이팅 링의 헤밍부에 의해 이탈됨이 단속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중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진동을 감쇠시켜 승차감 및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프론트부와 리어부에 각각 서스펜션이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상기한 바와같이 차량의 리어부에 구비되어 차량의 주행중 노면으로부터 받는 충격 및 진동을 감쇠시키는 코일스프링(1)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단부가 어퍼 스프링 시트(3)를 사이에 두고 차축(6)과 장착되어 있고, 하단부는 로워 스프링 시트(4)를 사이에 두고 역시 하단측의 프레임(5)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1)의 압축·복원작용에 따라 상기 코일스프링(1)이 어퍼 및 로워 스프링 시트(3,4)에 직접접촉되어 마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호 마찰에 의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토록 상기 코일스프링(1)의 상단부와 어퍼 스프링 시트(3) 사이에 러버재의 리어 액슬범퍼(7)가 구비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스프링(1)의 하단부와 로워 스프링 시트(4) 사이에 역시 러버재의 인슐레이팅 링(20)이 구비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1)의 상하 단부들은 각각 리어 액슬범퍼(7) 및 인슐레이팅 링(20)에 접촉되므로써, 차량의 주행중 차량바퀴의 범프 및 리바운드에 따른 코일스프링(1)의 압축·복원작용시 충격력에 의한 진동을 감쇠시키게 된다.
그런데, 차량의 바퀴가 굴곡이 심한 요철부를 지나면서 리바운드될 때 상기 코일스프링(1)이 압축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코일스프링(1)이 순간적으로 압축되었다가 리바운드될 때 인슐레이팅 링(20)과 밀착되어진 하단부가 상기 인슐레이팅 링(20)과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게 되는등 안착성에 문제가 있게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인슐레이팅 링(20)에서 코일스프링의 단부가 밀착되는 부위를 헤밍부(21)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차량의 주행중 후륜이 요철부 등을 지나면서 리바운드될 때 상기 코일스프링(1)이 압축된후 복원작용을 하더라도 상기 코일스프링(1)의 하단부가 인슐레이팅 링(20)의 헤밍부(21)에 의해 단속되어 제위치에서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방지되게 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차량의 리어부에 장착되되, 차축과 프레임과 각각 상하단이 어퍼 및 로워 스프링 시트를 사이에 두고 고정장착되어 차량의 주행중 노면으로부터의 충격 및 진동을 감쇠시키는 코일스프링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와 로워 스프링 시트 사이에 구비장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압축·복원작용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는 인슐레이팅 링에서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와 밀착되는 부위를 헤밍부로 형성하여 상기 코일스프링의 압축후 복원작용시 하단부와 인슐레이션 링과의 밀착부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 등의 유입등으로 상기 코일스프링의 표면에 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스프링의 제위치를 파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리어측 코일스프링(1)의 하단부와, 프레임(5)의 일측에 장착되는 로워 스프링 시트(4)와의 사이에 구비장착되어 상기 코일스프링(1)의 압축·복원작용 따른 진동을 흡수하는 인슐레이팅 링(20)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팅 링(20)의 상단부가 코일스프링(1)의 단부를 감싸도록 헤밍부(20)로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코일스프링의 개선된 인슐레이팅 링 구조.
KR2019970019958U 1997-07-26 1997-07-26 차량용 코일스프링의 개선된 인슐레이팅 링 구조 KR199900064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958U KR19990006485U (ko) 1997-07-26 1997-07-26 차량용 코일스프링의 개선된 인슐레이팅 링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958U KR19990006485U (ko) 1997-07-26 1997-07-26 차량용 코일스프링의 개선된 인슐레이팅 링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85U true KR19990006485U (ko) 1999-02-25

Family

ID=6969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958U KR19990006485U (ko) 1997-07-26 1997-07-26 차량용 코일스프링의 개선된 인슐레이팅 링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4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21051A (ja) * 2018-04-13 2021-08-26 リ, サン ウクLEE, Sang Wuk 車懸架装置用コイルスプリング支持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21051A (ja) * 2018-04-13 2021-08-26 リ, サン ウクLEE, Sang Wuk 車懸架装置用コイルスプリング支持台
US11421748B2 (en) 2018-04-13 2022-08-23 Sang Wuk Lee Coil spring support for vehicular suspension system
JP7399103B2 (ja) 2018-04-13 2023-12-15 ウク リ,サン 車懸架装置用コイルスプリング支持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5492A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KR102474609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현가장치
KR19990006485U (ko) 차량용 코일스프링의 개선된 인슐레이팅 링 구조
JPS5943324B2 (ja) 自動車用懸架装置におけるコイルばね支持構造
KR018162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서브 스프링 구조
KR10018745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KR101786538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0167540Y1 (ko) 자동차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
KR0140529Y1 (ko) 철도차량용 1차 현가장치
KR100330893B1 (ko) 충격흡수용 댐퍼구조
KR100224491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19980054349U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어셈블리구조
KR19980052693U (ko) 현가장치
KR19990003151U (ko) 차량용 리어 쇽압쇼바의 어퍼 및 로워범퍼구조
KR20020050610A (ko) 자동차용 리프스프링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00766005B1 (ko) 현가장치
KR20060102209A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트럿 마운트
KR19980052965U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Shock Absorber)의 피스톤(Piston) 지지구조
KR19980054446U (ko) 2중판스프링의 노이즈방지장치
KR20200039181A (ko) 쇽업소버 지지 포크 장치
KR19980061282A (ko) 인장스프링을 이용한 롤링방지장치
KR19990012082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개선된 스트러트 마운트구조
KR19990020410A (ko) 차량용 리어 서스펜션의 트레일링암 부싱
KR19990035378A (ko) 현가장치의 쇽업소오바와 상 콘트롤 아암의 결합부 완충 부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