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613B1 - 부하 구동 장치 및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부하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부하 구동 장치 및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부하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613B1
KR101027613B1 KR1020087021717A KR20087021717A KR101027613B1 KR 101027613 B1 KR101027613 B1 KR 101027613B1 KR 1020087021717 A KR1020087021717 A KR 1020087021717A KR 20087021717 A KR20087021717 A KR 20087021717A KR 101027613 B1 KR101027613 B1 KR 101027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circuit
control
loa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1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234A (ko
Inventor
모리꾸니 나쯔메
사또시 야기
다꾸야 고따니
야스아끼 미야바
히로따까 사루와따리
히로유끼 마쯔우라
마리오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0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25B49/025Motor contro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60Energy consum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7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 F25B2400/075Details of compressors or related parts with parallel compres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02Compressor control
    • F25B2600/021Invert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11Fan speed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제어 기판(307)에 대하여 동작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압축기 드라이버(31a), 팬 드라이버(31b)로의 전력의 차단을 행하여 전력 절약화를 실현한다. 제어 기판(307)에 전원을 투입하고 나서, 압축기 드라이버(31a), 팬 드라이버(31b)로 전력을 공급한다. 그리고 실내기가 운전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압축기 드라이버(31a), 팬 드라이버(31b)가 운전된다. 실내기가 운전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소정의 설정 하에서 10분 경과되거나 혹은 20분 경과된 것 중 하나로서, 압축기 드라이버(31a), 팬 드라이버(31b)로의 전력이 차단된다. 실내기의 운전이 재개되면 재차 압축기 드라이버(31a), 팬 드라이버(31b)로 전력이 공급된다.
제어 기판, 압축기 드라이버, 팬 드라이버, 운전, 실내기

Description

부하 구동 장치 및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부하의 구동 방법{OUTDOOR EQUIPMENT FOR LOAD DRIV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AND LOAD DRIVING METHOD}
본 발명은 부하를 구동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압축기를 구동하는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
종래부터 부하,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의 압축기를 구동할 때에, 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를 채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리고 전력 절약화의 요구로 인해, 대기 전력을 저감시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본건에 관련된 문헌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 문헌1 내지 5가 있다.
특허 문헌1 : 일본 특허 공개평11-211253호 공보
특허 문헌2 : 일본 특허 공개평11-311436호 공보
특허 문헌3 :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05627호 공보
특허 문헌4 :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33365호 공보
특허 문헌5 :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46425호 공보
도6은 압축기를 구동하는 기술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압축기(308, 309), 팬(310)이 각각 모터(321, 322, 323)에 의해 구동된다. 도6에서는 이러한 구동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삼상 전원(41)에는 R상, S상, T상의 전원선이 접속되고, 전원 스위치(301)는 이들 3개의 전원선에 개재되어 설치된다. 전원 스위치(301)는 삼상 전원(41)에 접속된 입력측과, 출력측을 갖고 있다. 모터(321)는 전원 스위치(301)의 출력측에 제어 스위치(302)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한편, 모터(322)는 전원 스위치(301)의 출력측에 압축기 드라이버(31a)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압축기 드라이버(31a)는 다이오드 브릿지(312) 및 스위칭 회로(314)를 포함하는 인버터 회로를 갖고 있다. 또한 양자간에 개재되는 필터(313)도 갖고 있다. 다이오드 브릿지(312)에 의해[혹은 또한 필터(313)에 의해] 얻어진 직류 전압은 스위칭 회로(314)로 공급된다. 스위칭 회로(314)는 당해 직류 전압을 스위칭하여 모터(322)로 공급한다.
또한 압축기 드라이버(31a)는 통상 인버터라고들 부르고 있으나, 여기에서는 보다 협의인 상기한 인버터 회로와 구별하기 위해, 드라이버로서 설명한다.
팬 드라이버(31b)는, 상기한 직류 전압을 스위칭하여 모터(323)로 공급하는 스위칭 회로(306)를 갖고 있다.
압축기(308, 309)는 냉매를 압축한다. 그리고 당해 냉매를 이용함으로써 공기 조화를 행하는 공기 조화기가 실내기(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팬(310)은 이들 압축기의 공냉을 행한다.
삼상 전원(41)에는 또한 중성점(N)의 전원선도 접속되고, R상, S상, T상의 전원선과 함께 압축기 드라이버(31a)에 접속된다. 상기한 인버터 회로에 대한 노이즈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전원 스위치(301)의 출력측과 압축기 드라이버(31a) 사이에는 노이즈 필터(3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상, S상, T상의 전원선은 전원선군(L1)으로 하고, R상 및 중성점(N)의 전원선은 전원선군(L2)으로 하여, 각각 압축기 드라이버(31a)에 접속한다. 전원 입력(311)은 전원선군(L2)에 접속되어, 압축기 드라이버(31a)의 동작 전력을 받는다. 전원선군(L3)은 압축기 드라이버(31a)를 경유하여 간접적으로 전원선군(L2)에 접속되어, 팬 드라이버(31b)로 팬 드라이버(31b)의 동작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 기판(307)에도 전원 스위치(301)의 출력측에서 R상 및 T상의 전원선이 접속되고, 또한 중성점(N)의 전원선도 접속되어, 삼상 전원(41)으로부터 동작 전력이 공급된다. 제어 기판(307)은 스위칭 제어 지령(CNTL1, CNTL2)을 생성하여, 이들은 각각 스위칭 회로(314, 306)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스위칭 제어 지령(CNTL2)은 스위칭 제어 지령(CNTL1)과 함께 일단은 압축기 드라이버(31a)를 경유하여 팬 드라이버(31b)에 부여되므로, 압축기 드라이버(31a)로부터 팬 드라이버(31b)에 부여된다고 볼 수도 있고, 제어 기판(307)으로부터 압축기 드라이버(31a)에 부여된다고 볼 수도 있다. 혹은 스위칭 제어 지령(CNTL2)은 압축기 드라이버(31a)를 경유하는 일 없이 팬 드라이버(31b)에 직접 부여되어도 된다.
압축기(308, 309)는 그 압축하는 냉매의 압력 이상을 검지하면, 압력 이상 정보(SHP1, SHP2)를 제어 기판(307)에 부여한다. 이들은 신호의 형태를 취해도 되나, 일반적으로는 스위치의 도통/비도통으로서 제어 기판(307)에 인식된다.
제어 기판(307)은 압력 이상 정보(SHP1, SHP2)에 기초하여 압력 이상 신호(HPS)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압력 이상 정보(SHP1, SH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압력 이상을 나타내고 있을 경우, 출력되는 압력 이상 신호(HPS)는 활성화된다.
압력 이상 신호(HPS)는 제어 스위치(302, 303)의 도통/비도통을 제어한다. 도6에 있어서 이 제어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통상은 압력 이상 신호(HPS)는 비활성이므로, 제어 스위치(302, 303)는 도통하고 있다.
도7은 대기 전력을 저감시키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로서, 주로 제어 기판(307)의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이 흐름도에서, 스텝을 나타내는 블록과 파선으로 연결된 블록은, 당해 스텝에 의해 제어 혹은 전력의 공급/정지가 이루어지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스텝 S11에서 제어 기판(3O7)의 동작 전에 전원 스위치(301)를 온하여 전원을 투입한다. 이에 의해 제어 기판(307), 압축기 드라이버(31a), 모터(321)로 동작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다이오드 브릿지(312)나 필터(313)를 통하여 팬 드라이버(31b)로도 동작 전력이 공급된다.
그 후, 제어 기판(307)과 실내기(5) 사이에서 통신(도6에서 윤곽선 화살표)이 행해져, 스텝 S12에서 실내기(5)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실내기(5)의 운전이 행해지고 있지 않으면 경로(R1)에 의해 스텝 S12의 판단이 반복된다. 그리고 실내기(5)의 운전이 행해지면 경로(R2)에 의해 스텝 S13으로 처리가 진행되어, 압축기 드라이버(31a)와 팬 드라이버(31b)의 운전이 지령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기판(307)으로부터 제어 지령(CNTL1, CNTL2)이 각각 압축기 드라이버(31a)와 팬 드라이버(31b)에 부여되어, 압축기 드라이버(31a)와 팬 드라이버(31b)의 운전의 구체적인 지시가 행해진다.
그 후, 스텝 S14에서 실내기(5)가 정지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것도 제어 기판(307)과 실내기(5) 사이에서의 통신에 의해, 제어 기판(307)이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기(5)가 정지되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15로 처리가 진행되어, 제어 기판(307)으로부터 제어 지령(CNTL1, CNTL2)이 각각 압축기 드라이버(31a)와 팬 드라이버(31b)에 대하여 운전의 정지를 지령한다. 이에 의해, 실내기(5)가 정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압축기(309)나 팬(310)의 동작을 정지시켜, 대기 전력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그 후, 스텝 S16에 의해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스텝 S17로 처리가 진행되어 전원이 차단되고(전원 스위치(301)의 비도통), 전원을 차단해야 한다고 판단될 때까지는 스텝 S12 내지 S15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실내기(5)가 정지되어 있는 기간에는 압축기(309)나 팬(310)의 동작이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기 드라이버(31a)와 팬 드라이버(31b)로 공급되는 전력은 불필요하다. 그리고 이들 전력은 대기 전력으로서 소비되기 때문에, 실내기(5)가 정지되어 있는 기간에서는 압축기 드라이버(31a)와 팬 드라이버(31b)로의 전력도 차단해야 한다.
그렇지만 실내기(5)의 정지에 수반하여 압축기(309)나 팬(310)의 동작을 정지시켜도, 그 후에 스텝 S12에서 실내기(5)의 운전이 확인되면, 이들 동작을 스텝 S13에서 재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6, 도7에 예시된 기술에 있어서 스텝 S16을 생략하여, 압축기 드라이버(31a)와 팬 드라이버(31b)로의 전력의 공급을, 단순히 스텝 S17에서 차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트레이드 오프를 감안한 것으로, 제1 제어 회로의 제어 하에서 제2 제어 회로가 부하를 구동할 경우의, 제2 제어 회로의 전력 절약화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 구동 장치의 제1 형태는, 전원(41)에 접속되는 입력측과, 출력측을 갖는 전원 스위치(301)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기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의 도통에 의해 동작 전력이 공급되는 제1 제어 회로(307)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기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 제1 제어 회로로부터의 제1 스위칭 지령(WP) 하에서 도통/비도통하는 제1 제어 스위치(304, 305)와, 상기 전원 스위치와 상기 제1 제어 스위치의 양 쪽의 도통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제1 제어 회로로부터의 제1 제어 지령(CNTL1) 하에서, 부하(322, 309)를 구동하는 제2 제어 회로(31a)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 구동 장치의 제2 형태는, 그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회로(31a)는 상기 전원(4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부터 상기 부하(322, 309)로 공급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312, 313, 314)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전원 스위치(301)와 상기 인버터 회로(312, 313, 314) 사이에 개재 삽입되어, 상기 부하(322, 309)의 정상/이상에 따라 도통/비도통하는 제2 제어 스위치(303)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 구동 장치의 제3 형태는, 그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회로(31a)는 상기 전원(4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부터 상기 부하(322, 309)로 공급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312, 313, 314)와, 상기 인버터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 회로(316)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 스위치는, 상기 인버터 제어 회로로의 전력의 공급/차단을 행하는 스위치(30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제어 스위치는 상기 인버터 회로(312, 313, 314)로의 전력의 공급/차단을 행하는 스위치(30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 구동 장치의 제4 형태는, 그 제2 형태 또는 제3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상기 인버터 회로(312, 313, 314)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제1 모터(322)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제1 압축기(309)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 회로(307)는, 상기 제1 압축기의 압력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2 제어 스위치를 비도통으로 하는 제2 스위칭 지령(HPS)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 구동 장치의 제5 형태는, 그 제4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312, 313, 314)는 다이오드 브릿지(312) 및 상기 다이오드 브릿지가 출력하는 직류 전압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1 모터(322)로 출력하는 제1 스위칭 회로(31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직류 전압을 스위칭하여 제2 모터(323)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칭 회로(306)를 갖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로부터 동작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제1 제어 회로 또는 상기 제2 제어 회로로부터의 제2 제어 지령(CNTL2)에 기초하여 제2 모터(323)를 구동하는 제3 제어 회로(31b)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본 발명에 관한 부하 구동 장치의 제4 형태 또는 제5 형태와, 상기 제1 모터(322) 및 상기 제1 압축기(309)와, 상기 전원 스위치(301)의 상기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의 도통에 의해 동작 전력이 공급되는 제3 모터(321)와, 상기 제3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제2 압축기(308)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1 형태는, (a) 제1 제어 회로(307)로 동작 전력을 공급하는 스텝(S11a)과, (b) 상기 스텝(a)의 실행 후에, 부하(322, 309)를 구동하는 제2 제어 회로(31a)로의 전력의 공급을 개시하는 스텝(S11b)과, (c) 상기 스텝(b)의 실행 후에 소정의 조건(S220, S221, S223)이 만족되어 있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제어 회로로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스텝(S222)과, (d) 상기 스텝(b)의 실행 후에,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은 상황 하에서, 상기 제1 제어 회로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제어 지령(CNTL1)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제어 회로가 상기 부하를 구동하는 스텝(S13)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2 형태는, 그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회로(31a)는, 상기 제1 제어 지령(CNTL1) 하에서 상기 부하(322, 309)로 공급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312, 313, 314)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부하는 상기 인버터 회로(312, 313, 314)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모터(322)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09)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를 행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5)가 동작되지 않고(S220), 또한 상기 스텝(b)의 실행으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의 기간을 통하여 상기 공기 조화가 소정의 설정으로 선정되어 있는(S221)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3 형태는, 그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은 상기 공기 조화가 송풍 운전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4 형태는, 그 제2 형태 또는 제3 형태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은, 상기 공기 조화의 대상으로 되는 환경 온도가 제1 온도보다 낮은 상황 하에서의 냉방 운전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5 형태는, 그 제2 형태 내지 제4 형태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소정의 설정은, 상기 공기 조화의 대상으로 되는 환경 온도가 제2 온도보다 높은 상황 하에서의 난방 운전인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6 형태는, 그 제2 형태 내지 제5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5)가 동작되지 않고(S220), 또한 상기 스텝(b)의 실행으로부터 상기 제1 시간보다도 긴 제2 시간이 경과되고 있는 S223경우에도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7 형태는, 그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회로(31a)는 상기 제1 제어 지령(CNTL1) 하에서 상기 부하(322, 309)로 공급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312, 313, 314)와, 상기 인버터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 회로(316)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부하는 상기 인버터 회로(312, 313, 314)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모터(322)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09)를 갖는다. 상기 인버터 회로의 제어를 행하지 않는 기간이 소정 기간 이상으로 연속될 경우에,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다고 판단되어(S226, S221), 상기 스텝(c)에서는 상기 인버터 회로로의 전력의 공급을 유지하면서, 상기 인버터 제어 회로로의 전력의 공급이 차단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8 형태는, 그 제2 형태 내지 제7 형태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e) 상기 스텝(d)의 실행 후, 상기 실내기(5)의 동작이 정지된14) 경우, 상기 제2 제어 회로에 의한 상기 부하의 구동을 정지하는 스텝(S15)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스텝(e)의 실행 후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회로(307)로의 동작 전력의 공급 및 상기 제2 제어 회로(31a)로의 동작 전력의 공급의 양 쪽을 정지하는(S16, S17)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스텝(c) 또는 스텝(d)이 다시 실행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 구동 장치의 제1 형태에 의하면, 제1 제어 스위치의 도통/비도통에 의해, 제2 제어 회로로의 동작 전력의 공급/차단이 행해지므로, 제1 제어 회로에 대하여 동작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전력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 구동 장치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전력 절약화의 유무에 상관없이, 부하의 이상 시에는 인버터 회로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이상 사태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 구동 장치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제1 제어 스위치의 도통/비도통에 의해, 인버터 제어 회로로의 동작 전력의 공급/차단이 행해지므로, 제1 제어 회로에 대하여 동작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전력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 구동 장치의 제4 형태에 의하면, 제1 압축기에 압력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인버터 회로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냉매의 이상 압력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 구동 장치의 제5 형태에 의하면, 제3 제어 회로에 대해서도 제2 제어 회로와 마찬가지로 동작 전력을 차단하여 전력 절약화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실외기에 의하면, 전력 절약화를 실행하기 위해 제1 제어 스위치가 비도통이 되어 제1 압축기가 정지되어도, 제2 압축기에 의해 어느 정도의 냉매 압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1 형태에 의하면, 제2 제어 회로로의 동작 전력의 공급/차단을 제1 제어 회로로의 동작 전력의 공급과는 별개로 행하므로, 전력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2 형태에 의하면, 공기 조화의 설정에 따라서는 냉매를 압축할 필요성이 낮을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스텝(c)을 실행하여 제2 제어 회로로의 동작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3 형태에 의하면, 실내기가 동작되어도 공기 조화가 송풍일 경우에는 냉매의 압축은 불필요하므로, 스텝(c)을 실행하여 제2 제어 회로로의 동작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4 형태에 의하면, 환경 온도가 낮은 상황에서 냉방이 선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실내기의 동작 전에 미리 냉매를 압축할 필요성은 낮으므로, 스텝(c)을 실행하여 제2 제어 회로로의 동작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5 형태에 의하면, 환경 온도가 높은 상황에서 난방이 선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실내기의 동작 전에 미리 냉매를 압축할 필요성은 낮으므로, 스텝(c)을 실행하여 제2 제어 회로로의 동작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6 형태에 의하면, 실내기가 동작되지 않는 상황이 오래 계속될 경우, 스텝(c)을 실행하여 제2 제어 회로로의 동작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7 형태에 의하면 공기 조화의 설정에 따라서는 냉매를 압축할 필요성이 낮을 경우가 있어, 이러한 경우에 스텝(c)을 실행하여 인버터 제어 회로로의 동작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본 발명에 관한 부하의 구동 방법의 제8 형태에 의하면, 실내기가 정지됨으로써, 새로이 소정의 조건이 판단되어 전력 절약화의 플로우가 실행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을 예시하는 회로도이다.
도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3은 본 실시 형태의 변형에 관한 구성을 예시하는 회로도이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의 변형에 관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5는 본 실시 형태의 변형에 관한 구성을 예시하는 회로도이다.
도6은 압축기를 구동하는 기술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7은 대기 전력을 저감시키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을 예시하는 회로도이다. 도6에 도시된 구성과 도1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6에 도시된 구성과 상이한 주된 점으로서, 전원 스위치(301)의 출력측에 접속되어 스위칭 지령(WP) 하에서 도통/비도통하는 제어 스위치(305)가 설치된 점 및 스위칭 지령(WP)이 제어 기판(307)으로부터 출력되어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제어 스위치(305)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이즈 필터(33)와 압축기 드라이버(31a) 중의 전원 입력(311) 사이에 개재되어 압축기 드라이버(31a)로의 전력의 공급/차단을 행한다.
단,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압축기 드라이버(31a) 중의 전원 입력(311)에 접속되는 전원선군(L2)으로서는 중성점(N)과 S상의 전원선이 채용되어, 전원선군(L2)의 한 쪽인 S상의 전원선의 도통/비도통이 제어 스위치(305)에 의해 행해진다.
단,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전원선군(L2)으로서 R상과 중성점(N)의 전원선이 채용되어도 된다.
스위칭 지령(WP) 하에서 도통/비도통하는 제어 스위치(304)가 S상의 전원선에 개재 삽입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어 스위치(304, 305)는 모두 삼상 전원(41)과 압축기 드라이버(31a) 사이에서 S상의 전원선에 개재되어 있으며, 또한 모두 스위칭 지령(WP)에 의해 동일하게 도통/비도통한다. 따라서, 전원선군(L1, L2)으로 분기되는 것보다도 삼상 전원(41)에 가까운 측에서 하나의 제어 스위치로서 통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입력(311)으로부터 얻어지는 압축기 드라이버(31a)의 동작 전력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전원 입력(311)은 마이크로프로세서(316)에 통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316)는 스위칭 제어 지령(CNTL1)에 기초하여 스위칭 지령(T)을 생성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6)는 스위칭 지령(T)을 스위칭 회로(314)에 부여하여 그 스위칭을 제어하여, 스위칭 회로(314)를 포함하는 인버터 회로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 회로로서 기능한다. 스위칭 제어 지령(CNTL2)은 압축기 드라이버(31a)를 경유하나 실질적으로는 그냥 지나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6)는 그 동작에 필요한 정류 회로나 정전압 회로도 포함시켜 나타내고 있다.
도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대기 전력을 저감시키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로서, 도7의 흐름도에 대하여 스텝 S11을 스텝 S11a, S11b로 분리하고, 스텝 S12를 스텝 S22A로 치환한 구성을 갖고 있다.
스텝 S11a에서 우선 전원 스위치(301)를 도통한다. 이 시점에서는 아직 제어 스위치(304, 305)는 비도통의 상태에 있어, 압축기 드라이버(31a)나 팬 드라이 버(31b)로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다.
스텝 S11a가 실행됨으로써, 제어 기판(307)으로 동작 전력이 공급되어, 제어 기판(307)은 실내기(5) 사이에서 통신을 행한다(도1에서의 윤곽선 화살표). 그 후, 스텝 S11b로 처리가 진행되어, 압축기 드라이버(31a)나 팬 드라이버(31b)로 전원이 투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신호(WP)의 활성화에 의해, 제어 스위치(304, 305)가 비도통 상태로부터 도통 상태로 천이한다. 제어 스위치(305)가 도통함으로써, 전원선군(L2)으로부터 전원 입력(311)으로, 압축기 드라이버(31a)의 동작 전력이 공급된다. 이에 수반하여, 전원선군(L3)으로부터 팬 드라이버(31b)의 동작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통상은 제어 스위치(303)가 도통하여, 제어 스위치(304)와 함께 전원선군(L1)에 의해 R상, S상, T상의 전원이 압축기 드라이버(31a)로 공급된다. 그 후, 스텝 S22A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22A는 스텝 S220 내지 S225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스텝 S220에서, 스텝 S12와 마찬가지로 실내기(5)가 운전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실내기(5)가 운전되고 있으면, 스텝 S224에 의해 압축기 드라이버(31a), 나아가서는 팬 드라이버(31b)로의 동작 전력이 차단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차단되어 있으면 스텝 S225에 의해 당해 동작 전력이 공급된다(제어 신호(WP)의 활성화에 의한 제어 스위치(304, 305)의 도통).
당해 동작 전력이 차단되어 있지 않으면, 예를 들어 스텝 S11b의 실행 직후에 스텝 S220의 판단이 행해진 경우에는, 스텝 S225는 실행되지 않고, 처리가 스텝 S224로부터 스텝 S1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3 내지 S16의 처리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했다.
스텝 S11b가 실행된 후,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 상황 하에서는 제어 신호(WP)의 비활성화에 의해 제어 스위치(304, 305)가 비도통 상태로 되어, 모터(322)를 구동하는 전력이나, 압축기 드라이버(31a) 자체의 동작 전력, 나아가서는 팬 드라이버(31b)의 동작 전력이 차단된다(스텝 S222). 바꾸어 말하면, 이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은 상황 하에서는 스텝 S13으로 처리가 진행되어, 제어 지령(CNTL1, CNTL2)에 기초하여 압축기 드라이버(31a)나 팬 드라이버(31b)가 모터(322, 323)를, 나아가서는 압축기(309)나 팬(310)을 구동하게 된다.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다고 판단될 경우로서, 실내기(5)가 동작되지 않고(S220), 또한 스텝 S11b의 실행으로부터 제1 시간(예를 들어 10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을 통하여, 공기 조화가 소정의 설정으로 선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이 소정의 설정으로서 하기 (i) 내지 (ⅲ)을 예로 들 수 있다.
(i) 공기 조화가 송풍 운전인 것:
(ⅱ) 공기 조화의 대상으로 되는 환경 온도가 제1 온도(예를 들어 30℃)보다 낮은 상황 하에서의 냉방 운전인 것:
(ⅲ) 공기 조화의 대상으로 되는 환경 온도가 제2 온도(예를 들어 10℃)보다 높은 상황 하에서의 난방 운전인 것.
실내기(5)가 운전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 있고, 그 후에 실내기(5)가 동작되어도 설정(i)과 같이 공기 조화가 송풍일 경우에는 냉매의 압축은 불필요하다. 또 한 설정(ⅱ)(ⅲ)에서는, 스텝 S220의 판단 후에 실내기(5)가 운전되어도, 그 때에 요구되는 냉방 능력이나 난방 능력은 낮다. 따라서 실내기(5)가 운전되고 있지 않은 대기 상태에서 냉매를 압축해 둘 필요성이 낮다. 따라서 공기 조화의 설정이, 스텝 S11b의 실행으로부터 제1 시간(예를 들어 10분)이 경과될 때까지의 기간을 통하여, 상기 (i), (ⅱ), (ⅲ) 중 어느 하나로 선정되어 있으면, 모터(322)를 구동하는 전력이나 압축기 드라이버(31a) 자체의 동작 전력, 팬 드라이버(31b)의 동작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그런데, 공기 조화의 설정이 상기 (i), (ⅱ), (ⅲ) 중 어느 하나로 선정되어 있지 않아도, 또한 이들로 선정되어 있어도, 그 기간이 제1 시간보다도 짧을 경우에는 스텝 S221로부터 스텝 S223으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223에서는 스텝 S11b의 실행으로부터 제2 시간(예를 들어 20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2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스텝 S220으로 처리가 복귀된다. 그러나 제2 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스텝 S222로 처리가 진행되어, 모터(322)를 구동하는 전력이나 압축기 드라이버(31a) 자체의 동작 전력, 팬 드라이버(31b)의 동작 전력을 차단한다.
비록 공기 조화의 설정이 상기 (i), (ⅱ), (ⅲ) 중 어느 하나로 선정되어 있지 않아도[즉 그 후의 실내기(5)의 운전에 대하여 미리 냉매의 압축을 행해 두는 것이 바람직해도], 실내기(5)가 운전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 오래 계속될 경우에는, 모터(322)를 구동하는 전력이나 압축기 드라이버(31a) 자체의 동작 전력, 팬 드라이버(31b)의 동작 전력을 차단한다.
제2 시간은 제1 시간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2 시간이 제1 시간 이하의 길이이면, 스텝 S221에서 공기 조화의 설정이 상기 (i), (ⅱ), (ⅲ) 중 어느 하나로 선정되어 있어도, 그것이 제1 시간 동안에 지속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스텝 S222에서 모터(322)를 구동하는 전력이나 압축기 드라이버(31a) 자체의 동작 전력, 팬 드라이버(31b)의 동작 전력이 차단되면, 처리는 스텝 S220으로 복귀된다. 그리고 재차 실내기(5)가 운전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일단 정지되고 있었던 실내기(5)가 운전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스텝 S224를 경유하여 스텝 S225로 처리가 진행되어, 모터(322)를 구동하는 전력이나 압축기 드라이버(31a) 자체의 동작 전력, 팬 드라이버(31b)의 동작 전력이 공급된다. 실내기(5)가 운전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재차 전력 절약화의 스텝인 S221 내지 S223이 실행된다.
이렇게 제어 스위치(304)의 도통/비도통에 의해, 모터(322)를 구동하는 전력의 공급/차단이, 또한 제어 스위치(305)의 도통/비도통에 의해 압축기 드라이버(31a) 자체의 동작 전력, 팬 드라이버(31b)의 동작 전력의 공급/차단이 각각 행해진다. 따라서 제어 기판(307)에 대하여 동작 전력을 공급하면서도, 전력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 기판(307)으로는 동작 전력이 공급되고 있으므로, 스위칭 지령(WP)을 활성화하여, 다시 압축기 드라이버(31a), 팬 드라이버(31b)로 동작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칭 지령(WP)에 의한 제어 스위치(305)의 동 작 제어는 도1에서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어 스위치(304)는 모터(322)를 구동하는 전력의 전력 절약화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구성 요소로서, 제어 스위치(305)는 모터(322)를 구동할 경우에 필요해지는 압축기 드라이버(31a) 자체의 동작 전력(나아가서는 팬 드라이버(31)의 동작 전력)의 전력 절약화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구성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모터(322)를 구동하는 전력은 압축기 드라이버(31a)에 있어서 인버터 회로에서 변환된다. 따라서 압축기 드라이버(31a)로 공급되는 전력의 전력 절약화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구성 요건으로서, 제어 스위치(304, 305)의 어느 한 쪽을, 혹은 양 쪽을 모두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스위치(302, 303)를 설치하고 있어, 이들은 압력 이상 신호(HPS)가 활성화됨으로써 비도통이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전력 절약화의 유무에 상관없이, 압축기(308, 309)에 압력 이상이 발생했을 때에 인버터 회로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이상 사태에 대응한다. 압력 이상 신호(HPS)에 의한 제어 스위치(302, 303)의 동작 제어는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압력 이상 신호(HPS)가 활성화된 경우에는 제어 스위치(302)도 비도통이 되어, 모터(321)로의 전력도 차단되어, 압축기(308)가 정지된다. 압축기(308)로부터의 압력 이상 신호(SHP1)와, 압축기(309)로부터의 압력 이상 신호(SHP2) 중 어느 한 쪽이 활성화되면, 압력 이상 신호(HPS)가 활성화된다. 따라서 압축기(308)에 이상이 발생해도 제어 스위치(302)뿐만 아니라, 제어 스위치(303)가 비도통이 되어 압축기(309)가 정지된다. 물론, 본 발명에서 압축기(308)의 존재는 필수는 아니다.
또한 제어 스위치(303)와, 제어 스위치(305, 304)를 개별로 설치함으로써, 압축기 드라이버(31a)의 구성을 유지하면서, 중성점(N)이 있는 삼상 전원(41)을 채용할 경우뿐만 아니라, 중성점을 갖지 않는 삼상 전원을 채용할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모터(321)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308)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전력 절약화를 실행하기 위해 제어 스위치(305)가 비도통이 되어 압축기(309)가 정지해도 압축기(308)에 의해 어느 정도의 냉매 압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기(308, 309) 및 이들을 구동하는 모터(321, 322) 및 제어 기판(307) 및 압축기 드라이버(31a)를 갖는 실외기는 전력 절약화를 행하면서 운전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구성이 된다. 물론, 팬 드라이버(31b), 모터(323), 팬(310)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형태에서 제어 스위치(304)를 설치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스텝 S222에서의 드라이버 전원 차단에 있어서 압축기 드라이버(31a)로의 급전 모두를 차단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그 일부를 차단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모터(322)를 구동하는 전력은 차단하지 않고, 압축기 드라이버(31a) 자체의 동작 전력을 스위치(305)만으로 차단해도 된다.
도3은 그러한 변형에 관한 구성을 예시하는 회로도이다. 도1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제어 스위치(304)를 단락 제거하여 스위칭 지령(WP)에 의해서는 배선 군(L1)의 절단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스위칭 지령(WP)은 제어 스위치(305)의 개폐 만 제어한다.
또한, 여기서는 제어 스위치(305)를 전원 입력(311)보다도 마이크로프로세서(316)측에 설치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제어 스위치(305)의 절단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316)에의 급전이 차단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전원 입력(311)에 대하여 제어 스위치(305)보다도 먼 측으로부터 배선군(L3)이 인출되어, 배선군(L3)으로의 전력의 공급/차단도 제어 스위치(305)의 개폐에 의존할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원 입력(311)에 대하여 제어 스위치(305)보다도 가까운 측으로부터 배선군(L3)을 인출하여, 배선군(L3)으로의 전력의 공급/차단이 제어 스위치(305)의 개폐에 의존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압축기 드라이버(31a)나 팬 드라이버(31b)는 제어 기판(307)과 동일 기판에 탑재할 수도 있다.
도3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도2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른 동작을 행해도 된다. 혹은 이하로 설명하는 흐름도에 따른 동작을 행해도 된다.
도4는 도3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전력을 저감시키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며, 도2에 도시된 흐름도에 대하여 스텝 S22A를 스텝 S22B로 치환한 구성을 갖고 있다.
스텝 S22B는 스텝 S22A의 스텝 S220을 스텝 S226으로 치환하고, 스텝 S223을 제거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221에서 소정의 설정 하에서 10분 경과되었다고 판단되지 않으면 처리가 스텝 S226으로 복귀된다.
스텝 S226에서는, 스텝 S221과 동일한, 소정의 설정 하에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이들 스텝에서 말하는 소정의 설정은, 인버터 회로의 제어를 행하지 않 는다는 설정이 채용된다. 따라서 스텝 S221, S226에 의해, 인버터 회로의 제어를 행하지 않는 기간이 10분간 이상 연속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당해 판단이 긍정적이면 스텝 S222로, 부정적이면 스텝 S224로 처리가 각각 진행된다.
도3에서는 제어 스위치(304)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도4에 도시된 스텝 S222에서는 팬 드라이버(31b)의 스위칭 회로(306)로의 통전은 차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4의 스텝 S222는 도3의 스텝 S222와는 달리 팬 드라이버(31b)의 전원 차단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배선군(L3)으로의 통전은 차단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배선군(L3)에 관한 통전은 차단하지 않아도 된다.
인버터 회로의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는 설정에는, 예를 들어 이하의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ⅳ) 대기 전력을 저감시키는 모드가 선정되어 있다 :
(v) 냉매를 압축할 필요가 없는, 예를 들어 환기나 송풍 운전이다 :
(ⅵ) 실내기(5) 이외로부터, 예를 들어 검사용 설비로부터 인버터 회로를 제어하는 요청이 없다 :
반대로 (ⅳ) 내지 (ⅵ) 중 어느 하나에라도 반하는 일이 발생하면 스텝 S226로부터 스텝 S224로 처리가 진행되게 된다.
도5는 도3에 도시된 구성을 단상 전원을 이용하여 구성한 경우를 예시하는 회로도이다. 삼상 전원(41)이 단상 전원(41)으로 치환되어, 전원 스위치(301), 제어 스위치(302), 모터(321)는 모두 단상용으로 치환되어 있다. 또한 배선군(L2)도 3선이 아니라, 2선을 채용하고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단상 전원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일반적으로, 실내기(5)는 제어 기판(307)을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316)와 통신해도 된다. 예를 들어 그 경우에는 당해 통신의 정부를 적절하게 판정한다. 단, 당해 판정은, 도2나 도4에 도시된 스텝 S222에서 제어 스위치(305)가 비도통이 될 경우에는 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6)가 동작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해 판정을 행하는 것은, 스텝 S225가 실행되고나서부터로 하고, 또한 상기 통신은 초기 동작, 예를 들어 전원 투입 시의 동작부터 다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일 뿐으로, 본 발명이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Claims (15)

  1. 전원(41)에 접속되는 입력측과, 출력측을 갖는 전원 스위치(301)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기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의 도통에 의해 동작 전력이 공급되는 제1 제어 회로(307)와,
    상기 전원 스위치의 상기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 제1 제어 회로로부터의 제1 스위칭 지령(WP) 하에서 도통/비도통하는 제1 제어 스위치(304, 305)와,
    상기 전원 스위치와 상기 제1 제어 스위치 양 쪽의 도통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제1 제어 회로로부터의 제1 제어 지령(CNTL1) 하에서 부하(322, 309)를 구동하는 제2 제어 회로(31a)를 구비하는 부하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회로(31a)는 상기 전원(4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부터 상기 부하(322, 309)로 공급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312, 313, 314)를 갖고,
    상기 전원 스위치(301)와 상기 인버터 회로(312, 313, 314) 사이에 개재 삽입되어, 상기 부하(322, 309)의 정상/이상에 따라 도통/비도통하는 제2 제어 스위치(303)를 더 구비하는 부하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회로(31a)는 상기 전원(4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부터 상기 부하(322, 309)로 공급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회 로(312, 313, 314)와,
    상기 인버터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 회로(316)를 갖고,
    상기 제1 제어 스위치는 상기 인버터 제어 회로로의 전력의 공급/차단을 행하는 스위치(305)를 포함하는 부하 구동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스위치는 상기 인버터 회로(312, 313, 314)로의 전력의 공급/차단을 행하는 스위치(304)를 포함하는 부하 구동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는,
    상기 인버터 회로(312, 313, 314)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제1 모터(322)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제1 압축기(309)를 갖고,
    상기 제1 제어 회로(307)는 상기 제1 압축기의 압력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2 제어 스위치를 비도통으로 하는 제2 스위칭 지령(HPS)을 발생하는 부하 구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 회로(312, 313, 314)는 다이오드 브릿지(312) 및 상기 다이오드 브릿지가 출력하는 직류 전압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1 모터(322)로 출력하는 제1 스위칭 회로(314)를 포함하고,
    상기 직류 전압을 스위칭하여 제2 모터(323)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칭 회로(306)를 갖고, 상기 제2 제어 회로로부터 동작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제1 제어 회로 또는 상기 제2 제어 회로로부터의 제2 제어 지령(CNTL2)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모터를 구동하는 제3 제어 회로(31b)를 더 구비하는 부하 구동 장치.
  7. 제5항에 기재된 부하 구동 장치와,
    상기 제1 모터(322) 및 상기 제1 압축기(309)와,
    상기 전원 스위치(301)의 상기 출력측에 접속되어, 상기 전원 스위치의 도통에 의해 동작 전력이 공급되는 제3 모터(321)와,
    상기 제3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제2 압축기(308)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8. (a) 제1 제어 회로(307)로 동작 전력을 공급하는 스텝(S11a)과,
    (b) 상기 스텝(a)의 실행 후에, 부하(322, 309)를 구동하는 제2 제어 회로(31a)로의 전력의 공급을 개시하는 스텝(S11b)과,
    (c) 상기 스텝(b)의 실행 후에, 소정의 조건(S220, S221, S223)이 만족되어 있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제어 회로로의 전력 공급의 적어도 일부를 차단하는 스텝(S222)과,
    (d) 상기 스텝(b)의 실행 후에,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은 상황 하에서, 상기 제1 제어 회로로부터 얻어지는 제1 제어 지령(CNTL1)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제어 회로가 상기 부하를 구동하는 스텝(S13)을 구비하는 부하의 구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회로(31a)는 상기 제1 제어 지령(CNTL1) 하에서, 상기 부하(322, 309)로 공급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312, 313, 314)를 갖고,
    상기 부하는
    상기 인버터 회로(312, 313, 314)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제1 모터(322)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09)를 갖고,
    상기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를 행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5)가 동작되지 않고(S220), 또한 상기 스텝(b)의 실행으로부터 제1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의 기간을 통하여 상기 공기 조화가 소정의 설정으로 선정되어 있는(S221)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부하의 구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은, 상기 공기 조화가 송풍 운전인 것을 포함하는 부하의 구동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은, 상기 공기 조화의 대상으로 되는 환경 온도가 제1 온도보다 낮은 상황 하에서의 냉방 운전인 것을 포함하는 부하의 구동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은, 상기 공기 조화의 대상으로 되는 환경 온도가 제2 온도보다 높은 상황 하에서의 난방 운전인 것을 포함하는 부하의 구동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5)가 동작되지 않고(S220), 또한 상기 스텝(b)의 실행으로부터 상기 제1 시간보다도 긴 제2 시간이 경과되고 있는(S223) 경우에도,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부하의 구동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회로(31a)는,
    상기 제1 제어 지령(CNTL1) 하에서, 상기 부하(322, 309)로 공급하는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회로(312, 313, 314)와,
    상기 인버터 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 회로(316)를 갖고,
    상기 부하는
    상기 인버터 회로(312, 313, 314)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는 제1 모터(322)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09)를 갖고,
    상기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5)가 공기 조화를 행하고,
    상기 인버터 회로의 제어를 행하지 않는 기간이 소정 기간 이상으로 연속될 경우에,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어 있다고 판단되어(S226, S221),
    상기 스텝(c)에서는 상기 인버터 회로로의 전력 공급을 유지하면서, 상기 인버터 제어 회로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부하의 구동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e) 상기 스텝 (d)의 실행 후, 상기 실내기(5)의 동작이 정지된(S14) 경우, 상기 제2 제어 회로에 의한 상기 부하의 구동을 정지하는 스텝(S15)을 더 구비하고,
    상기 스텝(e)의 실행 후에 상기 제1 제어 회로(307)로의 동작 전력의 공급 및 상기 제2 제어 회로(31a)로의 동작 전력의 공급의 양 쪽을 정지하는(S16, S17)경우를 제외하고,
    상기 스텝(c) 또는 스텝(d)가 다시 실행되는 부하의 구동 방법.
KR1020087021717A 2006-03-08 2007-03-02 부하 구동 장치 및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부하의 구동 방법 KR1010276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62134 2006-03-08
JPJP-P-2006-00062134 2006-03-08
JP2006233758A JP4075951B2 (ja) 2006-03-08 2006-08-30 負荷駆動装置及び空気調和機の室外機並びに負荷の駆動方法
JPJP-P-2006-00233758 2006-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234A KR20080100234A (ko) 2008-11-14
KR101027613B1 true KR101027613B1 (ko) 2011-04-06

Family

ID=3847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1717A KR101027613B1 (ko) 2006-03-08 2007-03-02 부하 구동 장치 및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부하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09103B2 (ko)
EP (1) EP1995529B1 (ko)
JP (1) JP4075951B2 (ko)
KR (1) KR101027613B1 (ko)
CN (1) CN101395430B (ko)
AU (1) AU2007223535B2 (ko)
ES (1) ES2715601T3 (ko)
WO (1) WO2007102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46040B4 (de) * 2008-09-05 2012-03-15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Hörvorrichtung mit Richtwirkung und zugehörige Hörvorrichtung
JP5007764B2 (ja) * 2010-09-22 2012-08-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モータ駆動システム及びモータシステム
BRPI1100270B1 (pt) * 2011-02-25 2019-03-19 Embraco Indústria De Compressores E Soluções Em Refrigeração Ltda Sistema e método de controle eletrônico de um compressor de capacidade variável
FR2976654B1 (fr) * 2011-06-15 2013-07-12 Voltalis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a gestion d'alimentation ciblee.
JP5454596B2 (ja) * 2012-02-08 2014-03-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
JP5421433B2 (ja) * 2012-06-25 2014-02-1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制御電源の消費電力を停電時に低減するモータ制御装置
JP5984732B2 (ja) * 2013-04-09 2016-09-0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210167B2 (ja) * 2014-10-24 2017-10-11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の制御装置
JP6464903B2 (ja) * 2015-04-16 2019-02-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インバータ駆動装置
JP6393287B2 (ja) 2016-01-27 2018-09-19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US11781776B2 (en) * 2018-04-18 2023-10-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trol substrate and indoor equipment of air conditioner
JP7390122B2 (ja) * 2019-07-18 2023-12-01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異常検出システム
JP7356832B2 (ja) * 2019-07-18 2023-10-05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異常検出システム
JP7148807B2 (ja) 2019-07-31 2022-10-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算機室用空気調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436A (ja) 1998-04-28 1999-11-09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2000333365A (ja) 1999-05-19 2000-11-30 Hitachi Ltd 待機時電力供給システムと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冷蔵庫
KR20050055452A (ko) * 2003-12-08 2005-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전력 절감 에어컨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836821B1 (ko) 2007-02-16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전력 절감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253A (ja) 1998-01-28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分離型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11325545A (ja) 1998-05-15 1999-11-26 Daikin Ind Ltd 蓄電式空調システム
JP3705934B2 (ja) * 1998-08-26 2005-10-12 株式会社リコー モータの駆動装置
JP2000205627A (ja) 1999-01-07 2000-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待機運転制御装置
JP3730808B2 (ja) 1999-06-03 2006-01-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調和機
JP4441247B2 (ja) * 2003-12-04 2010-03-31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1436A (ja) 1998-04-28 1999-11-09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2000333365A (ja) 1999-05-19 2000-11-30 Hitachi Ltd 待機時電力供給システムと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冷蔵庫
KR20050055452A (ko) * 2003-12-08 2005-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기전력 절감 에어컨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0836821B1 (ko) 2007-02-16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대기전력 절감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715601T3 (es) 2019-06-05
CN101395430B (zh) 2010-08-11
EP1995529A1 (en) 2008-11-26
WO2007102423A1 (ja) 2007-09-13
AU2007223535A1 (en) 2007-09-13
US20090007579A1 (en) 2009-01-08
CN101395430A (zh) 2009-03-25
KR20080100234A (ko) 2008-11-14
US8109103B2 (en) 2012-02-07
JP2007271248A (ja) 2007-10-18
EP1995529A4 (en) 2015-01-21
AU2007223535B2 (en) 2010-08-19
JP4075951B2 (ja) 2008-04-16
EP1995529B1 (en)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613B1 (ko) 부하 구동 장치 및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부하의 구동 방법
KR101270336B1 (ko) 전원 회로, 및 전원 회로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EP1426620B1 (en) Variable speed control of multiple motors
EP2481998A1 (en) Air conditioner
JP5289086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CN107925375B (zh) 空气调节机
EP3517851B1 (en) Air conditioning device
JP4193078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US11418136B2 (en) Electric compressor, motor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324744B1 (ko)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JPH07190458A (ja) 内外分離型空気調和装置
KR101596680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59273A (ko) 전원공급장치
CN110901337A (zh) 二合一驱动器保护方法、系统、设备以及存储介质
JPH0360396A (ja) 冷凍装置
KR200211226Y1 (ko) 자동차의라디에이터팬과응축기팬제어시스템
WO2022168204A1 (ja) 空気調和機
JPS60223966A (ja) 冷凍装置
JP2009038847A (ja) 空気調和装置
JP2005133968A (ja) 空気調和機
JP2004147450A (ja) 冷凍空調装置の制御装置及び冷凍空調装置
KR20200092287A (ko) 냉장고
WO2021010957A1 (en) Air control method for air handler unit
JP2008069992A (ja) ヒートポンプ制御装置
KR20040051899A (ko) 차량용 냉각 팬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