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027B1 -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 Google Patents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027B1
KR101027027B1 KR1020080105160A KR20080105160A KR101027027B1 KR 101027027 B1 KR101027027 B1 KR 101027027B1 KR 1020080105160 A KR1020080105160 A KR 1020080105160A KR 20080105160 A KR20080105160 A KR 20080105160A KR 101027027 B1 KR101027027 B1 KR 10102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wheel assembly
circumferential surface
pieces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6355A (ko
Inventor
허병욱
Original Assignee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5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0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 또는 오폐수관 등으로 사용되는 주철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륜 어셈블리의 구성요소인 스파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는 절개부를 가진 환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복수개의 에지 클로우(edge claw)가 형성되고,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다수개의 조각편들이 연결부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조각편들 사이에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SPIKE EMPLOYED PRESSING WHEEL ASSEMBLY FOR CONNECTING PIPES}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 또는 오폐수관 등으로 사용되는 주철관을 연결하기 위한 압륜 어셈블리의 구성요소인 스파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조각편들이 각각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조각편들 사이에 슬릿(slit)이 형성되어, 각각의 조각편에 형성된 에지 클로우가 변형된 관체의 외주면을 모두 그립핑(gripping)할 수 있는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0812629호(2008년 3월 5일, 등록)에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는 압륜의 관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내부는 파지링(이하, "스파이크"라고 함)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관체 내주면 하단에 걸림부가 있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관체 외주에 조인 트볼트가 관통하는 볼트구멍이 형성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파이크가 압륜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게 절개부가 형성되고, 스파이크의 외주면에 압륜의 경사면과 결합될 수 있게 경사면과 걸림부가 형성되며, 소켓관의 플랜지부 내공간에 밀폐링이 안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에 소개된 스파이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1)를 가진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조 과정에서 또는 외력에 의해 관체(20)가 타원형으로 변형되었을 때, 관체의 장축에 해당되는 외주면에만 스파이크(10)의 에지 클로우(12 ; edge claw)가 압착되고, 관체(20)의 단축에 해당되는 외주면에는 상기 에지 클로우(12)가 압착되지 못하여, 상기 스파이크의 에지 클로우가 변형된 관체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그립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조각편들이 각각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환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조각편들 사이에 슬릿(slit)이 형성되어, 조인트 볼트를 조이면, 압륜의 내부 경사면에 의해 수축되는 과정에서 연결부가 파단되어 각각의 조각편이 독립적으로 변형된 관체의 외주면을 그립핑(gripping)하거나, 슬릿이 벌어져 각각의 조각편이 변형된 관체의 외주면을 모두 그립핑(gripping)할 수 있는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는 절개부를 가진 환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복수개의 에지 클로우(edge claw)가 형성되고,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에 있어서,
다수개의 조각편들이 연결부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조각편들 사이에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는 상기 연결부가 파단되어 각각의 조각편이 변형된 조인트관의 외주면을 그립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변형 형태로, 본 발명에 따른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는 각각의 조각편 사이에 형성된 슬릿이 벌어지면서, 각각의 조각편이 변형된 조인트관의 외주면을 그립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는 압륜의 내부 경사면에 의해 수축되는 과정에서 연결부가 파단되어 각각의 조각편이 독립적으로 변형된 관체의 외주면을 그립핑(gripping)하거나, 슬릿이 벌어져 각각의 조각편이 변형된 관체의 외주면을 모두 그립핑(gripping)할 수 있어, 변형된 관체를 견고하게 그립핑함으로써, 변형된 관체가 압륜 어셈블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는 절개부(51)를 가진 환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복수개의 에지 클로우(52 ; edge claw)가 형성되고, 외주면(53)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50)는 다수개의 조각편(55a, 55b, 55c, 55d, 55e, 55f)들이 연결부(56a, 56b, 56c, 56d, 56e)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연결부(56a, 56b, 56c, 56d, 56e)에 의해 연결된 조각편(55a, 55b, 55c, 55d, 55e, 55f)들 사이에 슬릿(57a, 57b, 57c, 57d, 57e ; slit)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51)는 스파이크가 수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는 6개의 조각편(55a, 55b, 55c, 55d, 55e, 55f)으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스파이크의 직경에 따라 3개 내지 10개의 조각편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크가 압륜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주철관을 연결할 때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켓관(110)의 걸림턱(111)에 패킹(120)을 안착시킨 후, 조인트관(130)의 일단이 패킹(120)에 밀착되도록, 압륜 에심블리(140)가 끼워진 조인트관(130)을 소켓관(110)에 밀어 넣고, 소켓관(110)의 걸림부(113)에 걸린 압륜 어셈블리(140)의 조인트 볼트(145)를 조이면, 조인트관(130)에 끼워진 압륜 어셈블리(140)의 압륜(141)이 화살표(170) 방향과 같이 소켓관(110) 쪽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압륜(141)의 내부 경사면(142)이 스파이크(50)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스파이크(50)가 조인트관(130)을 그립핑(gripping)하게 되고, 압륜 어셈블리(140)에 장착된 받침링 부재(150)에 의해 고무링(160)이 가압되므로서, 패킹(120)과 고무링(160)에 의해 소켓관(110)과 조인트관(130)의 연결부가 수밀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는, 제조과정에서 또는 외력에 의해 타원형으로 변형된 조인트관(130)에 장착되었을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조인트 볼트(145)를 조이면, 압륜(140)의 내부 경사면(141)에 의해 스파이크(50)가 수축되면서, 연결부(56a, 56b, 56c, 56d, 56e)가 파단되어 각각의 조각편(55a, 55b, 55c, 55d, 55e, 55f)이 변형된 조인트관(130)의 외주면을 그립핑하게 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조각편(55a, 55b, 55c, 55d, 55e, 55f) 사이에 형성된 슬릿(57a, 57b, 57c, 57d, 57e)이 벌어지면서, 각각의 조각편이 변형된 조인트관(130)의 외주면을 그립핑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가 변형된 주철관을 그립핑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압륜 어셈블리에 의해 소켓관과 조인트관이 연결되는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가 변형된 주철관을 그립핑한 상태를 도시한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Claims (3)

  1. 절개부를 가진 환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복수개의 에지 클로우(edge claw)가 형성되고,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에 있어서,
    다수개의 조각편들이 연결부에 의해 각각 연결되고,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조각편들 사이에 슬릿이 형성됨으로써,
    스파이크를 가압하면 연결부가 파단되어 각각의 조각편이 변형된 조인트관의 외주면을 그립핑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2. 삭제
  3. 삭제
KR1020080105160A 2008-10-27 2008-10-27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KR10102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160A KR101027027B1 (ko) 2008-10-27 2008-10-27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160A KR101027027B1 (ko) 2008-10-27 2008-10-27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355A KR20100046355A (ko) 2010-05-07
KR101027027B1 true KR101027027B1 (ko) 2011-04-11

Family

ID=42273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160A KR101027027B1 (ko) 2008-10-27 2008-10-27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0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4195A (zh) * 2017-11-10 2019-05-17 株式会社涂料韩国 具有插口的金属管、金属管的连接装置及制造方法
WO2019221495A1 (ko) * 2018-05-14 2019-11-21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984B1 (ko) * 2012-03-27 2014-07-04 이문승 관 연결장치
KR102215624B1 (ko) * 2019-02-27 2021-02-15 (주)와이디아이 이음관용 스토퍼 일체형 패킹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21Y1 (ko) 2002-11-12 2003-01-29 박찬범 파이프 연결장치
KR20100046356A (ko) * 2008-10-27 2010-05-07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821Y1 (ko) 2002-11-12 2003-01-29 박찬범 파이프 연결장치
KR20100046356A (ko) * 2008-10-27 2010-05-07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4195A (zh) * 2017-11-10 2019-05-17 株式会社涂料韩国 具有插口的金属管、金属管的连接装置及制造方法
WO2019221495A1 (ko) * 2018-05-14 2019-11-21 두리화학 주식회사 관 연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355A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526911A5 (ko)
KR101027027B1 (ko)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DE60302723T2 (de) Rohrverbindungsvorrichtung
KR100812629B1 (ko) 관 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101755002B1 (ko) 원터치 배관 연결 장치
KR100908009B1 (ko) 관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NZ509512A (en) Moulded plastics tubular couplings with cylindrical inner or outer surface having flexible fin extending out of recess which engages and grips the surface of another component
KR100883800B1 (ko)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TWI618882B (zh) 防脫管接頭及管路組成構件
KR20100046356A (ko)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KR100992830B1 (ko) 관 연결용 소켓
RU2007134024A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е трубное соединение
KR20140057600A (ko) 커넥터용 플러그
KR100912396B1 (ko) 관연결용 압륜 어셈블리
KR20100062328A (ko) 압륜 어셈블리
KR200435090Y1 (ko) 주철관 메카니칼 조인트에 사용되는 관 이탈방지구
JP2010174907A (ja) 管継手
JP5358099B2 (ja) 管継手移動防止具
KR200439127Y1 (ko) 배관 조인트용 체결 압착 홀더
JP5542001B2 (ja) 移動防止手段
KR101185104B1 (ko) 수도관 연결장치
KR20130001979U (ko) 호스연결용 소켓
JPH088385Y2 (ja) 離脱防止管継手
KR101096118B1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파이프 연결장치
JP5307599B2 (ja) 離脱防止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