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600A - 커넥터용 플러그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600A
KR20140057600A KR1020147006445A KR20147006445A KR20140057600A KR 20140057600 A KR20140057600 A KR 20140057600A KR 1020147006445 A KR1020147006445 A KR 1020147006445A KR 20147006445 A KR20147006445 A KR 20147006445A KR 20140057600 A KR20140057600 A KR 20140057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ug
creep
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나카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40057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80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커넥터용 플러그(10)는 삽입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삽입부(12)는 O링 접촉부(16)와 크리프 방지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용 플러그(10)의 삽입부(12)를 커넥터(30)의 입구부(30A)에 삽입했을 때에, O링 접촉부(16)가, 커넥터(30)의 내부에 장착된 O링과 접촉하여, 커넥터(30)의 입구부(30A)를 폐색함과 아울러, 크리프 방지부(18)에 의해, 대기 위치에 있는 로크 부재(32)의 크리프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커넥터용 플러그{PLUG FOR CONNECTOR}
본 발명은, 배관끼리의 접속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입구부에 끼워 넣어, 접속 전의 커넥터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커넥터용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넥터용 플러그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이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커넥터의 내부에 장착되는 O링을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O링 보호부와, 로크 기구와 간섭해서, 잘못 로크되지 않도록 하는 간섭부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198487호
본 발명은, 커넥터 내부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O링에의 이물질 부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커넥터에 구비된 로크 기구의 크리프를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용 플러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통과 가능한 대기 위치와,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통과할 수 없는 연결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 통 형상의 커넥터의 입구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장착되는 O링의 내주부와 접촉하는 O링 접촉부와, 상기 삽입부의 다른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대기 위치에 있는 상기 로크 기구의 크리프를 방지하기 위한 크리프 방지부를 갖는 커넥터용 플러그를 제공한다.
상기 형태에서는,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통과 가능한 대기 위치와,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통과할 수 없는 연결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 통 형상의 커넥터의 입구부에, 삽입부를 삽입한다. 이때, 커넥터용 플러그의 삽입부의 일부에 형성된 O링 접촉부가, 커넥터의 내부에 장착된 O링의 내주부와 접촉하며, 입구부를 폐색한다. 이 때문에, 파이프를 접속 전의 커넥터 내부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O링에의 이물질 부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용 플러그의 삽입부에 있어서의 다른 부위에 형성된 크리프 방지부에 의해, 대기 위치에 있는 로크 기구의 크리프가 방지된다. 이 때문에, 커넥터용 플러그를 커넥터에 장시간 장착한 상태로 해 두어도, 커넥터로부터 커넥터용 플러그를 뺐을 때에, 로크 기구가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크리프 방지부는, 상기 로크 기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切缺)을 형성한 절결부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크리프 방지부가 로크 기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을 형성한 절결부이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대기 위치에 있는 로크 기구와의 간섭을 방지하며, 로크 기구의 크리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크리프 방지부는, 상기 O링 접촉부에 비해 외경이 작은 가느다란 축부(細軸部)여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크리프 방지부가 O링 접촉부에 비해 외경이 작은 가느다란 축부이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대기 위치에 있는 로크 기구와의 간섭을 방지하며, 로크 기구의 크리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본 발명의 제1∼제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형태에 있어서, 상기 O링 접촉부는 중공 형상이어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O링 접촉부가 중공 형상이기 때문에, 커넥터용 플러그를 수지 성형품으로 한 경우에, 정원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O링 접촉부가 정원이 됨으로써, O링 접촉부가 O링에 균등하게 접촉하므로, O링 접촉부의 씰링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본 발명의 제1∼제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단부(端部)에 파지부(把持部)를 가져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삽입부의 단부에 파지부를 갖기 때문에, 커넥터에 대해 커넥터용 플러그를 장착, 또는 제거할 때에, 파지부를 파지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커넥터 내부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O링에의 이물질 부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커넥터에 구비된 로크 기구의 크리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커넥터에 구비된 로크 기구의 크리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커넥터에 구비된 로크 기구의 크리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형태는,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O링 접촉부의 씰링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장착 또는 제거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의 커넥터에의 삽입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 도 3의 4-4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가 사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의 커넥터에의 삽입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 도 6의 7-7 단면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9]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를 나타내는 도 7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용 플러그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커넥터용 플러그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또, 도면 중, 동일 또는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부재(구성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붙여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용 플러그(커넥터용 삽입 기구)(10)는, 장척(長尺)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용 플러그(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커넥터(30)의 입구부(30A)에 삽입되는 삽입부(12)와, 작업시에 작업자가 파지하는 파지부(14)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용 플러그(10)의 삽입부(12)는 길이 방향을 따라, O링 접촉부(16)와 크리프 방지부(18)를 구비하고 있으며, 크리프 방지부(18)는, 파지부(14)와 O링 접촉부(16)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 커넥터용 플러그(10)의 O링 접촉부(16)는, 도 5에 도시되는 파이프(50)의 외경과 거의 같은 지름의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용 플러그(10)의 O링 접촉부(16)는 외경 R1의 중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O링 접촉부(16)에는 선단(16A)으로부터 커넥터용 플러그(10)의 축선(10A)을 따라 직경 R2의 단면 원형의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용 플러그(10)의 크리프 방지부(18)는 단면(斷面) 십자형의 절결부로 되어 있다. 즉, 크리프 방지부(18)는, O링 접촉부(16)의 축경(軸徑) R1보다 작은 축경 R3(R3<R1)의 원기둥부에, 4개의 단면 부채꼴의 절결(22)을 형성한 단면 십자형 모양의 절결부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30)의 입구부(30A)에 커넥터용 플러그(10)를 삽입했을 때에, 크리프 방지부(18)에 의해, 삽입부(12)가 커넥터(30)의 대기 위치에 있는 로크 기구로서의 로크 부재(32)(로크 기구)에 있어서의 탄성편(35)과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용 플러그(10)의 파지부(14)는, 양단부(14A, 14B)가 원형의 판상(板狀)으로 되어 있으며, 양단부(14A, 14B)를 연결하는 중간부(14C)는, 단면 십자형으로 되어 있다.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부(14)의 중간부(14C)의 축경 R4은, O링 접촉부(16)의 축경 R1보다 크게 되어 있으며, 크리프 방지부(18) 측의 단부(14A)의 축경 R5는, 중간부(14C)의 축경 R4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크리프 방지부(18) 측의 단부(14A)의 축경 R5보다 다른쪽 단부(14B)의 축경 R6이 크게 되어 있다(R1<R4<R5<R6).
(커넥터의 구성)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용 플러그(10)가 삽입되는 커넥터의 일 예를 도 5 및 도 7에 따라 간단히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30)는 커넥터 본체(31)와, 로크 부재(3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로크 부재(32)는, 연결하는 파이프(50)의 플랜지부(50A)가 통과 가능한 대기 위치(도 5에 나타내는 위치)와, 대기 위치로부터 도 5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이프(50)의 플랜지부(50A)가 통과할 수 없는 연결 위치(로크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30)의 로크 부재(32)에는, 한 쌍의 걸림편(係止片)(34)과 한 쌍의 탄성편(35)이 구비되어 있다. 각 걸림편(34)의 선단부의 대향하는 부위에는 걸림부(36)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탄성편(35)의 선단부(35A)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또, 선단(35B)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또한, 로크 부재(32)에 있어서의 각 탄성편(35)의 선단(35B)과 대향하는 부위에는 스토퍼(64, 66)가 구비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31)의 연결부(38)의 로크부(40)에는 돌출형성부(4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로크 부재(32)의 대기 위치에서는, 로크 부재(32)의 걸림부(36)(도 7 참조)가, 커넥터 본체(31)의 돌출형성부(44)와 접촉하여 연결 위치 방향(도 5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대기 위치에서는, 로크 부재(32)에 형성한 한 쌍의 턱부(爪部)(42)(도 7 참조)가, 커넥터 본체(31) 측의 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커넥터 본체(31)로부터 빠지는 방향(도 5의 화살표 A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파이프(50)가 커넥터(30)의 입구부(30A)에 삽입되면, 파이프(50)의 외주부에 의해, 각 탄성편(35)이 지름 방향으로 벌어진다. 그리고 파이프(50)가 커넥터(30)의 입구부(30A)에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각 탄성편(35)이 각 걸림편(34)의 볼록부(34A)에 닿아 각 걸림편(34)을 지름 방향으로 벌림으로써, 걸림부(36)가 돌출형성부(44)를 타고 넘어, 로크 부재(32)가 연결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 탄성편(35)의 변형이 파이프(50)의 외주부를 따르도록 되돌아가므로, 로크 부재(32)가 자동으로 연결 위치로 이동하여, 스토퍼(64, 66)가 파이프(50)의 외주부에 접근함과 아울러, 로크 부재(32)의 각 걸림부(36)가, 커넥터 본체(31)의 돌출형성부(44)의 하방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파이프(50)가 인발(引拔) 방향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는, 스토퍼(64, 66)가 파이프(50)의 플랜지부(50A)와 접촉하여, 파이프(50)가 커넥터(30)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용 플러그의 커넥터에의 장착)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용 플러그(10)의 삽입부(12)를 삽입 방향(도 1의 화살표 B 방향) 전단(前端) 측으로 하여, 커넥터용 플러그(10)를 커넥터(30)의 입구부(30A)에 삽입한다. 이때, 작업자는 커넥터용 플러그(10)의 파지부(14)를 파지하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용 플러그(10)의 삽입부(12)를 커넥터(30)의 입구부(30A)에 삽입하면, 커넥터용 플러그(10)의 파지부(14)에 있어서의 크리프 방지부(18) 측의 단부(14A)가, 커넥터(30)의 로크 부재(32)에 있어서의 탄성편(35)의 측면(35C)에 접촉한다. 이 때문에, 커넥터용 플러그(10)의 커넥터(30)에의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하여, 커넥터용 플러그(10)가 삽입 위치(도 6의 위치)에 정지한다. 또는, 커넥터용 플러그(10)의 O링 접촉부(16)의 선단(16A)을 커넥터 본체(31)의 내벽(31A)의 단부(段部)(33)에 접촉시켜, 커넥터용 플러그(10)를 삽입 위치에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용 플러그(10)의 O링 접촉부(16)의 근원부(根元部)는, 경사면(16B)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삽입 위치(도 6의 위치)에 있는 커넥터용 플러그(10)를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커넥터용 플러그(10)를 커넥터(30)의 입구부(30A)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작용·효과)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용 플러그(10)의 삽입부(12)를 커넥터(30)의 입구부(30A)에 삽입하여, 커넥터용 플러그(10)가 삽입 위치(도 6의 위치)가 되면, 커넥터용 플러그(10)의 O링 접촉부(16)가, 커넥터(30)의 내부에 장착된 O링(54)의 내주부와 접촉하여, 커넥터(30)의 입구부(30A)를 폐색한다. 이 때문에, 파이프(50)를 접속하기 전의 커넥터(30)의 내부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O링(54)에의 이물질 부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용 플러그(10)의 크리프 방지부(18)는, O링 접촉부(16)의 축경 R1보다 작은 축경 R3(R3<R1)의 원기둥부에, 4개의 단면(斷面) 부채꼴의 절결(22)을 형성한 단면 십자형 모양의 절결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30)의 입구부(30A)에 커넥터용 플러그(10)의 삽입부(12)를 삽입했을 때에, 크리프 방지부(18)에 의해, 삽입부(12)가 커넥터(30)의 대기 위치에 있는 로크 부재(32)에 있어서의 탄성편(35)과 간섭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커넥터용 플러그(10)를 커넥터(30)에 장시간 장착한 상태로 해 두어도, 탄성편(35)의 크리프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커넥터(30)로부터 커넥터용 플러그(10)를 뺐을 때에, 탄성편(35)이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프(50)가 커넥터(30)의 입구부(30A)에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각 탄성편(35)의 변형이 파이프(50)의 외주부를 따르도록 되돌아가므로, 로크 부재(32)가 자동으로 연결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파이프(50)가 인발 방향으로 이동했을 경우에는, 스토퍼(64, 66)가 파이프(50)의 플랜지부(50A)와 접촉하여, 파이프(50)가 커넥터(30)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이 결과, 커넥터(30)와 파이프(50)의 연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용 플러그(10)에서는, O링 접촉부(16)가 단면 원형의 오목부(20)가 형성된 중공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용 플러그(10)를 수지 성형품으로 한 경우에, 정원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O링 접촉부(16)가 정원이 됨으로써, O링 접촉부(16)가 O링(54)에 균등하게 접촉하므로, O링 접촉부(16)의 씰링성이 향상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용 플러그(10)는 파지부(14)를 갖는다. 이 때문에, 커넥터(30)에 대해 커넥터용 플러그(10)를 장착, 또는 제거할 때에, 작업자가, 파지부(14)를 파지함으로써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커넥터용 플러그(10)가 파지부(14)를 가짐으로써, 파지부(14) 측을 커넥터(30)에 삽입한다고 하는 반대 방향으로의 장착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용 플러그(10)에서는, 크리프 방지부(18)가 O링 접촉부(16)의 축경 R1보다 작은 축경 R3(R3<R1)의 원기둥부에, 4개의 단면 부채꼴의 절결(22)을 형성한 단면 십자형의 절결부로 되어 있다. 이 결과, 커넥터용 플러그(10)의 구성이 간단해지기 때문에, 커넥터용 플러그(10)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커넥터용 플러그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8 및 도 9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용 플러그(10)에서는, 크리프 방지부(18)가 단면 원형의 가느다란 축부로 되어 있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용 플러그(10)에서는, 크리프 방지부(18)의 축경 R7이, O링 접촉부(16)의 축경 R1보다 작게 되어 있어(R7<R1), 크리프 방지부(18)가 대기 위치에 있는 로크 부재(32)에 있어서의 탄성편(35)의 선단(35B)과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커넥터용 플러그의 제3 실시 형태를 도 10에 따라 설명한다.
또,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커넥터용 플러그(10)에 있어서의 파지부(14)의 형상을, 크리프 방지부(18)와 같은 형상으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비해, 커넥터용 플러그(10)의 형상이 간단해지기 때문에, 생산성을 더 향상할 수 있다.
또,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제2 실시 형태의 커넥터용 플러그(10)에 있어서의 파지부(14)를, 크리프 방지부(18)와 같은 형상으로 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커넥터용 플러그(10)에 파지부(14)도 구비하지 않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가지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크리프 방지부(18)의 단면을 십자형 또는 원형으로 했지만, 크리프 방지부(18)의 단면은 십자형 또는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삼각이나 사각 등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크리프 방지부(18)의 재질을 삽입부(12)의 다른 부위 및 로크 부재(32)보다 변형하기 쉬운 재질로 구성하여, 크리프 방지부(18)가 대기 위치에 있는 로크 부재(32)와 접촉했을 때에, 스스로 변형함으로써, 로크 부재(32)의 크리프를 방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커넥터용 플러그(10)의 파지부(14)의 형상도 상기 각 실시 형태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용 플러그(10)의 O링 접촉부(16)를 중공 형상으로 했지만, 이것 대신에, 커넥터용 플러그(10)의 O링 접촉부(16)를 중실(中實) 형상으로 해도 좋다.

Claims (5)

  1.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통과 가능한 대기 위치와,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통과할 수 없는 연결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한 통 형상의 커넥터의 입구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장착되는 O링의 내주부와 접촉하는 O링 접촉부와,
    상기 삽입부의 다른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대기 위치에 있는 상기 로크 기구의 크리프를 방지하기 위한 크리프 방지부
    를 갖는 커넥터용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프 방지부는, 상기 로크 기구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결을 형성한 절결부인 커넥터용 플러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프 방지부는, 상기 O링 접촉부에 비해 외경이 작은 가느다란 축부(細軸部)인 커넥터용 플러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O링 접촉부는 중공 형상인 커넥터용 플러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 파지부(把持部)를 갖는 커넥터용 플러그.
KR1020147006445A 2011-09-02 2012-08-31 커넥터용 플러그 KR201400576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91755 2011-09-02
JP2011191755A JP5901184B2 (ja) 2011-09-02 2011-09-02 コネクタ用プラグ
PCT/JP2012/072163 WO2013031948A1 (ja) 2011-09-02 2012-08-31 コネクタ用プラ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600A true KR20140057600A (ko) 2014-05-13

Family

ID=47756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445A KR20140057600A (ko) 2011-09-02 2012-08-31 커넥터용 플러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04111B2 (ko)
EP (1) EP2752609A4 (ko)
JP (1) JP5901184B2 (ko)
KR (1) KR20140057600A (ko)
CN (1) CN103765075B (ko)
WO (1) WO20130319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9319A1 (de) * 2014-07-03 2016-01-07 Illinois Tool Works Inc. Kappe für eine Schnellverbinderkupplung
CA3024203A1 (en) * 2016-06-12 2017-12-21 Deen LI Water-soluble pipe-plugging device and pipe-plugging method thereof
CN106090492B (zh) * 2016-07-26 2017-12-05 浙江工业大学 一种汽车用l型尿素管快速接头
CA3118586C (en) * 2018-11-23 2023-10-03 Oetiker Schweiz Ag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2016A (en) * 1993-10-04 1995-12-05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stuffer pin
US5951063A (en) * 1995-06-07 1999-09-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Quick connector with snap-on retainer having enhanced engagement
US6257626B1 (en) * 1999-04-27 2001-07-10 Flow-Rite Controls, Ltd. Connector for fluid handling system
DE19963368A1 (de) * 1999-12-28 2001-07-12 Itt Mfg Enterprises Inc Schnellkupplung für Schläuche oder Rohrleitungen mit erhöhtem Diffusionswiderstand
DE10001100A1 (de) * 2000-01-13 2001-07-26 Itt Mfg Enterprises Inc Kupplungsgehäuse und Schnellkupplung für Schläuche oder Rohrleitungen in Kraftfahrzeugen in Verbundbauweise
US8113547B2 (en) * 2002-03-22 2012-02-14 Cooper Standard Automotive Inc. Snap mount fluid quick connector
US6757950B2 (en) * 2002-11-15 2004-07-06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Rotatable quick connector stuffer pin
JP4198487B2 (ja) * 2003-02-20 2008-12-17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の防塵キャップ
JP4041457B2 (ja) * 2003-12-12 2008-01-30 三桜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US7249788B2 (en) * 2004-02-19 2007-07-31 Dana Canada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male and female members
JP4196879B2 (ja) * 2004-05-18 2008-12-17 株式会社デンソー 配管継手装置
JP2006194432A (ja) * 2004-12-17 2006-07-27 Tokai Rubber Ind Ltd 燃料輸送用の配管部材
CN100402911C (zh) * 2004-12-17 2008-07-16 东海橡胶工业株式会社 用于输送燃料的管道组件
US7481465B2 (en) * 2005-09-02 2009-01-27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or for high pressure applications, assembly tool and method
JP4749107B2 (ja) * 2005-09-29 2011-08-17 大阪瓦斯株式会社 管接続部材
DE102006038841A1 (de) * 2006-08-18 2008-02-21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axialen Verbindung eines äusseren Rohrteils mit einem in das Rohrteil eingreifenden koaxialen Zapfenteil oder inneren Rohrteil
JP2008157408A (ja) * 2006-12-26 2008-07-10 Toyoda Gosei Co Ltd 防塵キャップ
CN100564979C (zh) * 2007-04-17 2009-12-02 源美股份有限公司 园艺用的水流连接器结构
US7950700B2 (en) * 2008-03-13 2011-05-31 Paw Bioscience Products, Inc. Connector assembly for sterile connectors
DE102008015811A1 (de) * 2008-03-27 2009-10-01 Fte Automotive Gmbh Lösbare Steckverbindung für Rohrleitungen od. dgl.
JP2010048400A (ja) * 2008-08-25 2010-03-04 Nitta Moore Co クイックコネクタ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01184B2 (ja) 2016-04-06
EP2752609A4 (en) 2015-05-27
EP2752609A1 (en) 2014-07-09
JP2013053657A (ja) 2013-03-21
US9004111B2 (en) 2015-04-14
CN103765075A (zh) 2014-04-30
US20140209200A1 (en) 2014-07-31
WO2013031948A1 (ja) 2013-03-07
CN103765075B (zh)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8522B2 (ja) コネクタ
JP6073510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8196970B2 (en) Connector device for media conduits
JP5399409B2 (ja) 2つの硬質物体を接続するための装置
KR20140057600A (ko) 커넥터용 플러그
JPH0835589A (ja) 管継手
WO2012120983A1 (ja) 給油ノズル用ガイド装置
JP2001235078A (ja) ホース継手
JP2004263729A (ja) クイックコネクタの防塵キャップ
JP5319507B2 (ja) 継手部材
JP5911729B2 (ja) コネクタ
KR101027027B1 (ko)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JP6783748B2 (ja) ホールプラグ
JP2006300127A (ja) 止め具
KR20160003131A (ko) 체결 표시부를 갖는 신속 커플링
JP6030969B2 (ja) パッキンの装着構造
JP7112938B2 (ja) 管継手
JP5745884B2 (ja) パイプ継手
JP6284075B2 (ja) コネクタ
JP5868204B2 (ja) コネクタ
JP6185851B2 (ja) 管継手、管材接続装置及び接続体
JP6210411B2 (ja) コネクタ
CN219602057U (zh) 一种桶盖接头装置和清洗剂承装桶
JP5452790B2 (ja) 急速継手
JP5793838B2 (ja) 軸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