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821Y1 - 파이프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821Y1
KR200302821Y1 KR20-2002-0033795U KR20020033795U KR200302821Y1 KR 200302821 Y1 KR200302821 Y1 KR 200302821Y1 KR 20020033795 U KR20020033795 U KR 20020033795U KR 200302821 Y1 KR200302821 Y1 KR 200302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er
ring
gripping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범
Original Assignee
박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범 filed Critical 박찬범
Priority to KR20-2002-0033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8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8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임부재를 조여줄수록 파지부재가 파이프의 외주연 전구간을 가압하면서 파지하여 커플러와 파이프의 결속력을 한층 강화시킴과 동시에 파이프의 외주에 끼워진 오링을 압착하여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몸체의 양측에 파이프가 끼워지는 커플러를 형성하고, 상기 커플러의 내측에 기밀유지를 위한 테프론링 및 오링을 순차적으로 삽재하며, 상기 커플러 선단에는 파이프의 외주연 전역에 걸쳐 압착되면서 파이프를 강력하게 파지함과 동시에 오링을 압착시키는 2중작용을 하는 한쌍의 반원형 파지부재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커플러에 나사결합되고 조임력이 가해질수록 파지부재를 내향으로 가압하여 파지부재에 강력한 파지력을 제공하는 조임부재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Coupler of pipe}
본 고안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임부재를 조여줄수록 파지부재가 파이프의 외주연 전구간을 가압하면서 파지하여 커플러와 파이프의 결속력을 한층 강화시킴과 동시에 파이프의 외주에 끼워진 오링을 압착하여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화된 금속재 파이프를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본 고안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인 『특허출원제2002-56308호 명칭 파이프 연결장치』가 제시되고 있는 것이었다.
이에 상기 선출원 고안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무엇보다 파이프가 끼워지는 커플러의 내주연과 파이프의 외경 사이의 공간을 없애 주어 파이프의 결속이 완료된 후 파이프가 유동하는 일이 없어 누수발생을 억제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조임부재를 조여줄수록 파지부재에 가압력이 가해져 파지부재가 파이프를 움켜쥐 듯 강력한 파지력으로 파지하므로써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선출원 고안은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파지부재가 파이프의 외주연 전구간에 걸쳐 밀착되지 않고 국지적으로 밀착되므로써 실질적으로 파지부재가 파이프를 파지하는 면적이 협소하여 결속력에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파지부재는 파이프를 유동없이 파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실질적으로 파이프의 결속시,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은 연결몸체의 내부에 삽재된 패킹이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상기 패킹은 강력한 압착력으로 파이프의 외측을 조여주지 못한 채 단순하게 파이프의 외측을 감싸는 정도에 지나지 않아 파이프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이 클 경우 누수가 발생될 우려가 잔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파지부재를 비롯하여 커플러에 파지홈을 가공하기 위한 가공작업 등이 매우 어렵고 구조가 복잡하여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 선출원 고안에 연속되는 개량 고안에 관한 것으로, 조임부재를 조여줄수록 한쌍의 파지부재가 파이프의 외주연 전구간을 가압하면서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결속력을 한층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파지부재가 파이프의 외측에 끼워지는 오링을 압착하여 커플러의 내주연과 파이프의 외경 사이 공간을 완벽하게 밀폐시켜 누수가 발생되는 일이 없게 함을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이프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몸체의 양측에 파이프가 끼워지는 커플러를 형성하고, 상기 커플러의 내측에 기밀유지를 위한 오링 및 테프론링을 순차적으로 삽재하며, 상기 커플러 선단에는 파이프의 외주연 전역에 걸쳐 압착되면서 파이프를 강력하게 파지함과 동시에 오링을 압착시키는 2중작용을 하는 한쌍의 반원형 파지부재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커플러에 나사결합되고 조임력이 가해질수록 파지부재를 내향으로 가압하여 파지부재에 강력한 파지력을 제공하는 조임부재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조임부재를 조여주면 조여줄수록 조임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제1 레듀셔가 파지부재의 제2 레듀셔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2 레듀셔를 눌러주어 파지부재에 강력한 파지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파이프 외측에 끼워진 오링을 압착시키므로써 파이프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크더라도 누수가 발생되는 일이 없게 된다.
도 1 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일부절결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일부절결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커플러에 파이프가 끼워지는 상태도
도 4 는 본 고안 커플러에 파이프가 끼워진 상태도
도 5 내지 도 6 은 본 고안 조임부재 작동에 의한 파지부재의 파이프 파지상태 확대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 링 설치부재에 이탈방지링이 안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 조임부재에 이탈방지링이 설치되는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파이프 10: 연결몸체 11,21,51: 파이프홀
20: 커플러 22,52: 나사부 30: 테프론링
35: 오링 40: 파지부재 41: 제1 레듀셔
42: 밀착면 45: 확장링 50: 조임부재
53: 제2 레듀셔 60: 이탈방지링 70: 링 설치부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파이프(1)와 파이프(1)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파이프의 결속력을 진일보적으로 향상시키며, 누수발생에 따른 문제점을 완벽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토대로 개략적인 구성에 관해 우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연결몸체(10)의 양단에 설치되고 양측에 끼워지는 파이프(1)와 파이프(1)를 연결시키는 커플러(20)와, 상기 커플러(20)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파이프(1)의 결속시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30) 및 테프론링(35)과, 상기 커플러(20) 선단에 끼워지고 반원형의 밀착면(42)이 파이프(1)의 외주연 전구간을 강력한 파지력으로 감싸쥐어 파이프(1)를 견고하게 결속시키는 한쌍의 파지부재(40)와, 상기 커플러(20)에 나사결합되고 조임력이 가해지면 파지부재(40)를 내향으로 가압하여 파지부재(40)에 강력한 파지력을 부여하는 조임부재(50)와, 상기 조임부재(50)에 형성된 요홈(54)에 끼워져 조임부재(50)가 커플러(20)로부터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60)과, 상기 이탈방지링(60)을 조임부재(50)의 요홈(54)에 요설시키기 위한 한쌍의 링 설치부재(70)를 구비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몸체(10)는 파이프(1)와 파이프(1)를 연결시키기 위한 중간 매개체로서, 중앙에 파이프(1)가 끼워지는 파이프홀(1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몸체(10)의 양단에 일체로 설치되는 커플러(20)는 중앙에 파이프(1)가 끼워짐은 물론 이와 동시에 파이프(1)의 외측을 감싸는 파지부재(40) 및 오링(30), 테프론링(35)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연결몸체(10)의 파이프홀(11) 보다 직경이 큰 또 다른 파이프홀(21)이 형성되며, 외주에는 조임부재(5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오링(30) 및 테프론링(35)은 커플러(20)의 내측 파이프홀(21)에 순차적으로 내재되어 파이프(1)의 결속시 커플러(20)의 내주연과 파이프(1)의 외경 사이 공간을 완전하게 밀폐시켜 기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커플러(20)의 선단에 끼워지는 한쌍의 파지부재(40)는 일측 외주에 연결몸체(10) 방향으로 가면서 상향 경사지게 제1 레듀셔(41)가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반원형의 밀착면(42)이 형성되므로써 파지부재(40)는 파이프(1)의 외주연 전구간을 감싸도록 파지할 수 있어 결속력을 한층 향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밀착면(42)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43)가 돌출 형성되어 파지시 미끄럼을 방지하여 더욱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레듀셔(41)의 타측 선단부는 파이프(1)의 결속시 테프론링(35)을 강력하게 눌러주어 결국에는 테프론링(35)이 오링(30)을 압착시키므로써 커플러(20)의 내주연과 파이프(1)의 외경 사이의 공간을 완벽하게 밀폐시켜 파이프(1)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이 강하더라도 미세한 누수조차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파지부재(40)의 밀착면(42) 소정의 위치에는 요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44)에는 확장링(45)이 설치된다. 상기 확장링(45)은 파지부재(40)의 내경을 결속시키고자 하는 파이프(1)의 직경보다 크게 확장시키므로써 파이프(1)의 삽입이 보다 수월하게 된다.
한편 상기 파지부재(40)에 파지력을 부여하는 조임부재(50)는 일측에 나사부(52)가 형성되어 상기 커플러(20)에 형성된 나사부(22)와 일체로 나사결합되며 중앙에 파이프(1)가 통과하는 파이프홀(5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파이프홀(51)의 소정위치에는 커플러(20)의 제1 레듀셔(41)와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제2 레듀셔(5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파지부재(40)를 조여주면 우선적으로 제2 레듀셔(53)가 커플러(20)의 제1 레듀셔(41)에 밀착되고, 조임력이 더해질수록 제2 레듀셔(53)는 파이프(1)의 외주연 전구간을 감싸쥐 듯 보다 강력한 힘으로 제1 레듀셔(41)를 내향으로 가압하여 파이프(1)를 유동없이 결속시키는 동시에 오링(30)을 압착시키게 된다.
한편 조임부재(50)가 과도하게 풀려 커플러(20)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60)은 조임부재(50)의 나사부(52) 일측에 형성된 요홈(54)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요홈(54)에 설치되기 위한 작업은 도 7 내지 도 8 과 같은 링 설치부재(70)에 의해 가능해지고 상기 링 설치부재(70)는 반원형의 한쌍으로 구성되며 상부에 이탈방지링(6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만곡진 형태의 안착부(71)가 형성된다.
이러한 링 설치부재(70)에 의한 이탈방지링(60)의 요설작업은 도 8과 같이 안착부(71)에 이탈방지링(6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조임부재(50)가 이탈방지링(60)에 맞닿을 때까지 조임부재(50)를 조여준 후 사용자가 링 설치부재(70)를 내향으로 밀면 이탈방지링(60)이 내향으로 조여지면서 조임부재(50)를 이탈하는 순간 자연적으로 탄성에 의해 상부로 이송하여 요홈(54)에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파이프(1)의 연결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적으로 도 3 과 같이 파이프(1)를 조임부재(50)의 파이프홀(51)을 관통하여 연결몸체(10)의 파이프홀(11)에 위치할 때 까지 삽입시킨다. 이때 파지부재(40)는 확장링(45)에 의해 내경이 확장된 상태이므로 파이프(1)의 삽입에 무리가 없게 된다.
파이프(1)의 삽입이 완료된 후 조임부재(50)를 조여주어 조임력을 가하면 조임부재(50)는 연결몸체(10)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제2 레듀셔(53)가 파지부재(40)의 제1 레듀셔(41)를 내향으로 가압하여 파지부재(40)의 밀착면(42)이 파이프(1)의 외주연 전구간을 강력한 파지력으로 감싸쥐므로써 미세한 유동조차 없이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파지부재(40)의 타측 선단부는 오링(30)을 압착함에 따라 보다 확실한 내부기밀을 유지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2중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본 고안은 조임부재의 조임력이 더해질수록 한쌍의 파지부재가 파이프의 외주연 전구간을 강력한 파지력으로 감싸쥐 듯 파지하므로써 결속력을 한층 향상시키고, 이와 동시에 파지부재가 파이프의 외측에 끼워지는 오링을 압착하여 커플러의 내주연과 파이프의 외경 사이 공간을 완벽하게 밀폐시켜 누수가 발생되는 일이 없으며,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작업이 수월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중앙에 파이프홀(11)이 형성된 연결몸체(10) 양단에 설치되고 중앙에 상기 파이프홀(11)보다 큰 직경의 파이프홀(21)이 형성된 커플러(20)와,
    상기 커플러(20)의 내측 파이프홀(21)에 순차적으로 내재되어 파이프(1) 결속시 기밀을 유지하는 오링(30) 및 테프론링(35)과,
    상기 커플러(20) 선단에 끼워지고 일측 외주에 연결몸체(10) 방향으로 가면서 상향 경사지게 제1 레듀셔(41)가 형성되며 미끄럼방지돌기(43)가 형성된 반원형 밀착면(42)이 파이프(1)의 외주연 전구간을 감싸도록 파지하는 한쌍의 파지부재(40)와,
    상기 커플러(20)의 나사부(22)에 나사결합되고 중앙의 파이프홀(51) 소정 위치에 제1 레듀셔(41)와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제2 레듀셔(53)가 형성된 조임부재(50)와,
    상기 조임부재(50)의 나사부(52) 일측에 형성된 요홈(54)에 끼워져 조임부재(50)가 커플러(20)로 부터 이탈됨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링(60)과,
    상기 이탈방지링(60)을 조임부재(50)의 요홈(54)에 요설시키기 위한 한쌍의 링 설치부재(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링 설치부재(70)는 상부에 이탈방지링(60)이 안착되는 만곡진 형태의 안착부(7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71)에 안착되는 이탈방지링(60)을 내향으로 조여주어 커플러(20)의 요홈(54)에 끼워질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조임부재(50)의 조임력이 가해지면 제2 레듀셔(53)는 연결몸체(10)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점진적으로 파지부재(40)의 제1 레듀셔(41)를 내향으로 가압하여 파지부재(40)의 밀착면(42)이 파이프(1)의 외주연 전구간을 강력한 파지력으로 감싸쥐어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파지부재(40) 타측 선단부는 오링(30)을 압착시켜 커플러(20)의 내주연과 파이프(1)의 외경 사이의 공간을 완전 밀폐시켜 누수가 발생됨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파지부재(40)의 밀착면(42) 소정위치에는 요홈(44)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44)에는 파이프(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파지부재(40)의 내경을 확장시키는 확장링(45)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KR20-2002-0033795U 2002-11-12 2002-11-12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02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795U KR200302821Y1 (ko) 2002-11-12 2002-11-12 파이프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795U KR200302821Y1 (ko) 2002-11-12 2002-11-12 파이프 연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959A Division KR20040041866A (ko) 2002-11-12 2002-11-12 파이프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821Y1 true KR200302821Y1 (ko) 2003-01-29

Family

ID=49399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795U KR200302821Y1 (ko) 2002-11-12 2002-11-12 파이프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282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658B1 (ko) 2009-05-30 2010-08-24 김서지 봉 연결장치
KR101027027B1 (ko) 2008-10-27 2011-04-11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KR101378166B1 (ko) * 2012-08-22 2014-03-27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중간 분기용 광접속함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027B1 (ko) 2008-10-27 2011-04-11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압륜 어셈블리용 스파이크
KR100977658B1 (ko) 2009-05-30 2010-08-24 김서지 봉 연결장치
WO2010140755A1 (ko) * 2009-05-30 2010-12-09 Kim Seo Ji 봉 연결장치
KR101378166B1 (ko) * 2012-08-22 2014-03-27 주식회사 씨티네트웍스 중간 분기용 광접속함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1419B1 (en) Pipe coupling with seal pressing device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200302821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40041866A (ko) 파이프 연결장치
GB2276688A (en) Pipe connector with split clamping collar rotatably mounted on gland nut
KR20120008422U (ko)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KR200187815Y1 (ko) 배관용 이음쇠
KR100308564B1 (ko) 관 연결구
KR200300126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87796Y1 (ko) 합성수지관 이음쇠
KR200288643Y1 (ko) 나사 조임식 이음관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100912390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238545Y1 (ko) 파이프 연결구
JP3329502B2 (ja) 締結用シール部材
KR200181270Y1 (ko) 주름관이음쇠
KR100405831B1 (ko) 이중관 누수방지패킹
KR0117149Y1 (ko) 원터치 삽입식 관연결구
KR200184224Y1 (ko)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
JP4279030B2 (ja) 管継手用パッキン
KR101013105B1 (ko) 관이음쇠
KR200142598Y1 (ko) 관연결구용 원통형 보조패킹
KR20040025714A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179507Y1 (ko) 합성수지배관용 이음구
KR200261446Y1 (ko) 나선형 호스의 연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0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