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390B1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390B1
KR100912390B1 KR1020080046997A KR20080046997A KR100912390B1 KR 100912390 B1 KR100912390 B1 KR 100912390B1 KR 1020080046997 A KR1020080046997 A KR 1020080046997A KR 20080046997 A KR20080046997 A KR 20080046997A KR 100912390 B1 KR100912390 B1 KR 100912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jaw
ring
connecto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한
구성준
Original Assignee
구본한
구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본한, 구성준 filed Critical 구본한
Priority to KR1020080046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16L19/043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with additional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밴딩캡(50)이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외부 돌출턱(13)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밴딩됨과 동시에 걸림홈(13a)에 압착되는 걸림편(50a)을 구비하여 파이프(P)가 연결체(10)로부터 빠져나가려는 힘이 발생되더라도 걸림홈(13a)과 걸림편(50a)의 압착 결합과 더불어 수직방향 외부 돌출턱(13)에 대한 밴딩캡(50)의 수직방향 밴딩에 의해 밴딩캡(50)이 펼쳐지는 현상이 현저히 줄어 상호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후 불량을 없앨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100)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46997
파이프, 파이프 연결구, 연결체, 파지체, 패킹, 매개너트, 밴딩캡, 가이드 관, 완충링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COUPLING MEMBER FOR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성, 결합력 및 조립성을 극대화하면서 불량률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이나 유류 또는 보일러 온수와 같은 유체를 송수하기 위하여 파이프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파이프는 철관이나 동관, 스텐레스 강관과 같은 금속제 파이프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근래에는 플라스틱 파이프나 XL 파이프 등이 더욱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이프들은 주변 여건 내지는 주변 환경에 따라 길이 연장 내지는 절곡 연장을 위하여 파이프 연결구가 필요된다.
도 1은 제 1 선출원(20-2000-0024777)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 해 사시도이다.
제 1 선출원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된 암 파이프(1)의 내부에 고무로 형성된 O링(2)과, 탄성체로 만들어진 탄성와셔(3)와, 다수의 탄성편이 일정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된 그랩링(4)과, 이 그랩링(4)의 탄성편을 밀어내는 푸시링(5)과,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암 파이프(1)의 나사산에 결합되며 상기 부품들을 조립하기 위한 결합캡(6)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연결구에 수 파이프(7)를 삽입하면 수 파이프(7)의 외측을 그랩링(4)의 탄성편이 파지하여 수 파이프(7)가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1 선출원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암 파이프(1)에 나사산을 내기 위하여 상당한 길이 및 두께를 유지하여야만 하여 고가의 원자재(금속)가 요구되고, 나아가 결합캡(6) 역시 나사홈을 내기 위한 상당한 길이 및 두께를 유지하여야만 하여 고가의 원자재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제 2 선출원(20-2003-0039798)에 따른 그랩링을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제 2 선출원에 따른 그랩링을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그랩링을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조(10)는 연결캡(11)을 구비한다.
연결캡(11)은 도면의 좌측면에 숫나사(21)가 형성되고, 중간 부위에는 렌치에 물려 연결캡(11)을 회전시키기 위한 육각턱(22)이 형성되고, 연결캡(11)의 우측 내부에는 암나사(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캡(11)의 내부에는 단턱(24)이 형성되고, 이 단턱(24)의 내경에 고무로 제조된 제1 O링(12)이 삽입되고, 이어서 텐션 와셔(13)가 끼워진다.
텐션 와셔(13)는 그 일측면이 편평하게 형성되며 타측면은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이 테이퍼부에는 제1 그랩링(14)의 탄성편(25)이 안치된다.
제1 그랩링은(14)은 다수의 탄성편(25)이 일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이 탄성편(25)은 수 파이프(20)가 한방향으로 삽입되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탄성편(25)이 수 파이프(20)의 외측을 물게 하여 수 파이프(20)가 체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제1 고정링(15), 제2 그랩링(16), 제2 고정링(17) 및 제2 O링(18)이 놓이게 된다.
그리고, 연결캡(11)의 암나사(23)에 치합되는 숫나사(26)가 형성되고 내부에 단턱(27)이 형성되어 수 파이프(20)가 적합하게 삽입될 수 있는 구멍(28)이 형성된 결합캡(19)을 구비한다.
결합캡(19)의 일측에는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30) 또는 육각턱(29)이 형성되며, 이 결합캡(19)에는 수 파이프(2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 2 선출원에 따른 그립링을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조(10)는 연결캡(11)에 암나사(23)를 내기 위한 상당한 길이 및 두께를 유지하여야만 하여 고가의 원자재(금속)가 요구되고, 나아가 결합캡(6) 역시 숫나사(26)를 내기 위한 상당한 길이 및 두께를 유지하여야만 하여 고가의 원자재가 소 요되는 단점이 있다.
도 4는 제 3 선출원(20-2006-0005610)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제 3 선출원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3 선출원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연결구 어셈블리(20)가 삽입되는 연결구(10)와, 이 연결구(10)의 일단에 안착되어 체결되는 너트(31)와, 이 너트(31)에 결합되는 결합캡(32), 그리고 연결구(10)의 상부 둘레를 감싸는 바디캡(33)을 포함한다.
연결구(10)는 양방향형으로 구비되고, 이 양측 단부에는 단턱진 안착부(12)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중심부에 근접한 경사부(11)가 형성된다.
경사부(11)에는 후술할 연결구 어셈블리(20)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데, 제1고정링(21)이 경사부(11)에 안치되며, 제1고정링(21)의 탄성편(21a)은 경사부(11)의 면과 어느 정도 이격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제1고정링(21)의 상측에는 순차적으로 내측이 테이퍼진 텐션와셔(22), 제2고정링[23; 탄성편(23a)을 구비함], 와셔(24), 씰링(25)이 안치되며, 이 어셈블리(20)는 경사부(11)의 상측 즉, 연결구(10) 양단의 내측에 삽입된다.
또한, 연결구(10)의 내측 중심부 즉, 양측 경사부(11)들의 사이 중심부에는 파이프(P)의 삽입시 파이프(P)의 진입을 제한하는 환형돌부(13)가 형성된다.
너트(31)는 그 하부에 연결구(10)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돌출 부(31a)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31a)의 내측에는 암나사부(31b)가 형성되며, 연결구(10)의 양측 안착부(12)에 안착되면서 그 상부 둘레가 연결구(10)의 단부에 밀착된다.
그리고, 너트(31)가 체결된 연결구(10)의 상부 둘레에는 너트(31)를 연결구(10)의 상부에 고정시키는 바디캡(33)이 연결구(10)의 양측에 체결되고, 바디캡(33)은 일단이 절곡된 상태이고 타단을 연결구(10)의 외주면 둘레에 밴딩되어 고정된다.
특히, 바디캡(33)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되며, 연결구(10)의 상부 둘레에 결합 고정되어 연결구(10)에 파이프(P)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 파이프(P)로부터 전달되는 열, 압력 등에 의한 변형을 방지한다.
결합캡(32)은 외주면 둘레에 수나사부(32a)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부(32a)가 너트(31)의 암나사부(31b)에 결합되어 연결구(10)의 양측에 결합된다.
결합캡(32)은 너트(31)에 결합되어 연결구(10)의 내측에 삽입되는 일단이 연결구 어셈블리(20)의 씰링(25)에 밀착되어 결합캡(32)의 조임시 씰링(25)을 눌러주며, 연결구(10)의 외측에 위치하는 타단은 파이프(P)의 삽입측을 지지한다.
그리고, 결합캡(32)은 그 조임정도에 따라 씰링(25)을 눌러주므로써 씰링(25)의 수축력을 조절한다.
이와 같은 제 3 선출원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는 바디캡(33)을 통해 씌워진 상태로 결합되는 너트(31)에 의해 결합캡(32)이 연결구 어셈블리(20)를 내장시키면서 파이프(P)를 연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결구(10)의 길이를 최소[원자재(금 속)의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진일보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제 3 선출원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는 바디캡(33)의 일단이 절곡된 상태이지만 바디캡(33)의 타단이 연결구(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밴딩되므로 인하여 도 5에 도시된 부연설명과 같이 파이프(P)가 연결구(10)로부터 빠져나가려는 힘에 의해 연결구(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밴딩된 바디캡(33)의 타단이 순간적으로 펼쳐져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합캡(32)을 너트(31)에 끼워 넣어 나사 조립시키고자 할 때 너트(31)가 바디캡(33)의 내주연에서 결합캡(32)과 함께 공회전되어 결합캡(32)의 견고한 조립을 이룰 수 없게 되어 씰링(25)의 밀착결합을 실현할 수 없는 단점을 안고 있다.
나아가, 결합캡(32)이 직접적으로 씰링(25)에 맞닿으면서 공회전 결합되므로 인하여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씰링(25)이 쉽게 찢겨지거나 손상되어 파이프(P)의 기밀성을 정상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밴딩캡이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외부 돌출턱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밴딩됨과 동시에 걸림홈에 압착되는 걸림편을 구비하여 상호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후 불량을 없앨 수 있도록 한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개너트 자체의 공회전을 방지하여 상호간의 견고한 조립을 실현토록 한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킹 자체의 손상 내지는 찢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여 상호간의 조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소직경 경사턱 및 대직경 단턱을 차례로 지님과 동시에 상기 대직경 단턱의 외주연에 외부 돌출턱을 구비한 연결체와, 상기 연결체 내부의 소직경 경사턱에 차례로 끼워진 파지체 및 패킹과, 상기 대직경 단턱에 끼워지며 내주연에 나사홈을 지닌 매개너트와, 일단이 절곡되어 상기 매개너트를 감싸면서 타단으로 하여금 상기 외부 돌출턱을 감싸도록 밴딩되는 밴딩캡과, 상기 매개너트 및 패킹을 통해 파이프를 수용하여 상기 파지체로서 끼움 고정하도록 상기 나사홈에 결합되는 나사산을 지닌 가이드 관을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돌출턱은 상기 연결체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그 측면에 걸림홈을 구비하고,
상기 밴딩캡은 상기 외부 돌출턱에 맞추어 수직방향으로 밴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홈에 압착되는 걸림편을 구비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밴딩캡이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외부 돌출턱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밴딩됨과 동시에 걸림홈에 압착되는 걸림편을 구비함으로써 파이프가 연결체로부터 빠져나가려는 힘이 발생되더라도 걸림홈과 걸림편의 압착 결합과 더불어 수직방향 외부 돌출턱에 대한 밴딩캡의 수직방향 밴딩에 의해 밴딩캡이 펼쳐져 분리되는 현상을 현저히 줄여 상호간의 결합력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후 불량을 없앨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대직경 단턱의 고정홈에 매개너트의 고정돌기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가이드 관을 회전시켜 매개너트에 나사 결합시킬 때 발생할 수 있는 매개너트 자체의 공회전을 방지하여 상호간의 견고한 조립을 실현토록 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매개너트에 가이드 관이 나사 결합될 경우 완충링에 의하여 패킹과 가이드 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도록 하여 패킹 자체의 손상 내지는 찢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상호간의 조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보일러의 배관(B)과 파이프(P)를 연통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를 나타내는 밴딩캡(50)을 분해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를 나타내는 요부 절개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를 연통시키기 위한 연결체(10), 파지체(20), 패킹(30), 매개너트(40), 밴딩캡(50) 및 가이드 관(60)을 포함한다.
연결체(10)는 예를 들어 보일러의 배관(B)에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장기간 사용될 수 있도록 황동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내부에 소직경 경사턱(11) 및 대직경 단턱(12)을 차례로 지님과 동시에 대직경 단턱(12)의 외주연에 외부 돌출턱(13)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파지체(20) 및 패킹(30)은 연결체(10) 내부의 소직경 경사턱(11)에 차례로 끼워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파지체(20)는 파이프(P)의 외주연을 밀착 가압하는 후크편(20a)을 지닌 제 1 그랩링(21) 및 제 2 그랩링(22)과, 이들 제 1 그랩링(21) 및 제 2 그랩링(22)을 구획하면서 안착시키는 제 1 보조링(23) 및 제 2 보조링(24)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제 2 그랩링(22) 및 제 2 보조링(24)을 가 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제 1 그랩링(21) 및 제 2 그랩링(22)은 후크편(20a)이 파이프(P)의 외주연을 찍듯이 밀착 파지할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 1 보조링(23) 및 제 2 보조링(24)은 부식에 강하고 가벼우며 제작이 용이한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도 11은 일반적인 파이프 연결구(100)와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100)를 비교하기 위한 샘플 사진이다.
한편, 매개너트(40)는 대직경 단턱(12)에 끼워지며 내주연에 나사홈(41)을 지닌다.
더욱 구체적으로, 통상의 기술과 같이 황동 재질로 된 연결체(10) 자체에 나사산을 형성시킬 경우 도 11의 위 물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연결체(10)의 길이 및 두께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면서 두꺼워져 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데, 본 발명에서는 도 11의 아래 물품에서와 같이 플라스틱 내지는 합성수지 재질의 매개너트(40)를 대직경 단턱(12)에 끼워 연결체(10)의 길이를 연장시키는 기능을 발휘토록 하여 상대적으로 연결체(10) 자체의 길이를 축소시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밴딩캡(50)은 일단이 절곡되어 매개너트(40)를 감싸면서 타단으로 하여금 외부 돌출턱(13)을 감싸도록 밴딩되는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부 돌출턱(13)은 연결체(10)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그 측면에 걸림홈(13a)을 구비하고, 밴딩캡(50)은 매개너트(40)를 연결 체(10)에 일체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외부 돌출턱(13)에 맞추어 수직방향으로 밴딩됨과 동시에 걸림홈(13a)에 압착되는 걸림편(50a)을 구비한다.
밴딩캡(50)이 수직방향으로 돌출된 외부 돌출턱(13)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밴딩됨과 동시에 걸림홈(13a)에 압착되는 걸림편(50a)을 구비함으로써 연결체(10)로부터 빠져나가려는 파이프(P)의 이탈힘이 발생되더라도 걸림홈(13a)과 걸림편(50a)의 압착 결합과 더불어 수직방향 외부 돌출턱(13)에 대한 밴딩캡(50)의 수직방향 밴딩에 의해 밴딩캡(50)이 펼쳐져 분리되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상호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후 불량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가이드 관(60)은 매개너트(40) 및 패킹(30)을 통해 파이프(P)를 수용하여 파지체(20)로서 끼움 고정할 수 있도록 매개너트(40)의 나사홈(41)에 결합되는 나사산(61)을 지닌다.
밴딩캡(50)에 의해 매개너트(40)가 견고하게 연결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파이프(P)를 수용함과 동시에 매개너트(40)에 가이드 관(60)이 나사 결합될 경우 패킹(30) 및 파지체(20)를 밀착 가압할 수 있게 되어 실링(Sealing) 및 조립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대직경 단턱(12)에 고정홈(12a)을 구비시키고, 이 고정홈(12a)에 끼워지는 고정돌기(40a)를 매개너트(40)에 구비시킨다.
대직경 단턱(12)의 고정홈(12a)에 매개너트(40)의 고정돌기(40a)가 끼워질 경우 가이드 관(60)을 회전하여 매개너트(40)에 나사 결합시킬 때 발생할 수 있는 매개너트(40) 자체의 공회전 현상을 방지하여 상호간의 견고한 조립을 실현토록 할 수 있다.
또한, 패킹(30) 및 가이드 관(60) 사이에 완충링(70)을 개재시킨다.
매개너트(40)에 가이드 관(60)이 나사 결합될 경우 완충링(70)에 의하여 패킹(30)과 가이드 관(60)의 직접적인 접촉을 없애 패킹(30) 자체의 손상 내지는 찢겨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하여 상호간의 조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의 조립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체(10) 내부의 소직경 경사턱(11)에 파지체(20), 즉 제 1 그랩링(21), 제 1 보조링(23), 제 2 그랩링(22) 및 제 2 보조링(24)을 차례로 끼움과 동시에 패킹(30) 및 완충링(70)을 연이어서 끼워 넣는다.
그리고, 매개너트(40)의 고정돌기(40a)를 대직경 단턱(12)의 고정홈(12a)에 끼우면서 매개너트(40)를 대직경 단턱(12)에 맞닿도록 하고, 이후 밴딩캡(50)으로 하여금 매개너트(40) 및 외부 돌출턱(13)을 함께 감쌀 수 있도록 밴딩 처리한다.
이때, 외부 돌출턱(13)은 연결체(1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밴딩캡(50)의 밴딩 각도 역시 수직방향으로 밴딩시켜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외부 돌출턱(13)의 걸림홈(13a)에 밴딩캡(50)의 걸림편(50a)이 끼워지도록 압착하여 상호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가이드 관(60)을 매개너트(40)에 맞춘 후 파이프(P)를 가이드 관(60), 매개너트(40), 완충링(70), 패킹(30) 및 파지체(20)를 경유하여 연결체(10) 속으로 밀착시키면서 가이드 관(60)을 회전시켜 매개너트(4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 1 그랩링(21) 및 제 2 그랩링(22)의 후크편(20a)이 파이프(P)의 외주연을 찍듯이 파지토록 한다.
이때, 패킹(30)은 가이드 관(60)의 수평방향 압축에 따라 수직방향 팽창을 이루어 연결체(10) 및 파이프(P) 상호간의 밀폐를 긴밀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수돗물이나 유류 또는 보일러 온수 등과 같은 유체를 송수하는 데 활용되는 파이프의 연결용으로 이용되며,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연결체의 한쪽 방향으로 파지체 및 패킹이 세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양방향 및 삼방향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제 1 선출원(20-2000-0024777)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제 2 선출원(20-2003-0039798)에 따른 그랩링을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2 선출원에 따른 그랩링을 구비한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제 3 선출원(20-2006-0005610)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 3 선출원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밴딩캡을 분해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요부 절개를 포함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일반적인 파이프 연결구와 본 발명의 파이프 연결구를 비교하기 위한 샘플 사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배관 P : 파이프
100 : 파이프 연결구 10 : 연결체
11 : 소직경 경사턱 12 : 대직경 단턱
12a : 고정홈 13 : 외부 돌출턱
13a : 걸림홈 20 : 파지체
21 : 제 1 그랩링 22 : 제 2 그랩링
20a : 후크편 23 : 제 1 보조링
24 : 제 2 보조링 30 : 패킹
40 : 매개너트 41 : 나사홈
40a : 고정돌기 50 : 밴딩캡
50a : 걸림편 60 : 가이드 관
61 : 나사산 70 : 완충링

Claims (4)

  1. 내부에 소직경 경사턱(11) 및 대직경 단턱(12)을 차례로 지님과 동시에 상기 대직경 단턱(12)의 외주연에 외부 돌출턱(13)을 구비한 연결체(10)와, 상기 연결체(10) 내부의 소직경 경사턱(11)에 차례로 끼워진 파지체(20) 및 패킹(30)과, 상기 대직경 단턱(12)에 끼워지며 내주연에 나사홈(41)을 지닌 매개너트(40)와, 일단이 절곡되어 상기 매개너트(40)를 감싸면서 타단으로 하여금 상기 외부 돌출턱(13)을 감싸도록 밴딩되는 금속판으로 된 밴딩캡(50)과, 상기 매개너트(40) 및 패킹(30)을 통해 파이프(P)를 수용하여 상기 파지체(20)로서 끼움 고정하도록 상기 나사홈(41)에 결합되는 나사산(61)을 지닌 가이드 관(60)을 포함하고; 상기 대직경 단턱(12)은 고정홈(12a)을 구비하고; 상기 매개너트(40)는 상기 고정홈(12a)에 끼워지는 고정돌기(40a)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매개너트(40)는 플라스틱 내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돌출턱(13)은 상기 연결체(10)의 외주연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그 측면에 걸림홈(13a)을 구비하고,
    상기 밴딩캡(50)은 상기 외부 돌출턱(13)에 맞추어 수직방향으로 밴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홈(13a)에 압착되는 걸림편(50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30) 및 가이드 관(60) 사이에 개재된 완충링(7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체(20)는 상기 파이프(P)의 외주연을 밀착 가압하는 후크편(20a)을 지닌 제 1 그랩링(21) 및 제 2 그랩링(22)과, 상기 제 1 그랩링(21) 및 제 2 그랩링(22)을 구획하면서 안착시키는 제 1 보조링(23) 및 제 2 보조링(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KR1020080046997A 2008-05-21 2008-05-21 파이프 연결구 KR100912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997A KR100912390B1 (ko) 2008-05-21 2008-05-21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997A KR100912390B1 (ko) 2008-05-21 2008-05-21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390B1 true KR100912390B1 (ko) 2009-08-14

Family

ID=41209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997A KR100912390B1 (ko) 2008-05-21 2008-05-21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3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4378U (ko) * 1978-12-07 1980-06-10
JPS5639689U (ko) * 1979-09-03 1981-04-13
JP2749324B2 (ja) * 1987-07-06 1998-05-13 エムス‐インヴエンタ・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チユーブ管又はパイプ管を接続するための迅速継手
KR100748678B1 (ko) * 2006-10-02 2007-08-10 김성환 건축물의 배관 보호용 슬리브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4378U (ko) * 1978-12-07 1980-06-10
JPS5639689U (ko) * 1979-09-03 1981-04-13
JP2749324B2 (ja) * 1987-07-06 1998-05-13 エムス‐インヴエンタ・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チユーブ管又はパイプ管を接続するための迅速継手
KR100748678B1 (ko) * 2006-10-02 2007-08-10 김성환 건축물의 배관 보호용 슬리브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98587C (en) Sealable drain pipe coupling
US8226128B2 (en) Releasable nut-free C-clip secured pipe fitting
KR101273395B1 (ko) 관 연결장치
KR20200084840A (ko) 원터치식 파이프 연결구
KR20130074394A (ko) 파이프 연결구
KR100912390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416932Y1 (ko) 파이프 연결구조
KR20140044347A (ko)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KR20120008422U (ko)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JP2014077495A (ja) 管継手構造
KR101393395B1 (ko) 파이프 고정용 그립링과 너트의 조립체
KR200302821Y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57228Y1 (ko) 금속관 압착 체결구조
KR20100028519A (ko) 금속 주름관 연결부위의 실링장치
KR200181270Y1 (ko) 주름관이음쇠
KR200387796Y1 (ko) 합성수지관 이음쇠
KR200288643Y1 (ko) 나사 조임식 이음관
KR101013105B1 (ko) 관이음쇠
CN210686558U (zh) 管道快装接头及管道快装套装
JP2000193157A (ja) 管継手
KR100337042B1 (ko) 비금속관용 압착식 관연결구
KR200300312Y1 (ko) 관의 클램프 밴드식 연결구조
JP4279030B2 (ja) 管継手用パッキン
KR20040041866A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0346939Y1 (ko) 관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