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395B1 - 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395B1
KR101273395B1 KR1020120072212A KR20120072212A KR101273395B1 KR 101273395 B1 KR101273395 B1 KR 101273395B1 KR 1020120072212 A KR1020120072212 A KR 1020120072212A KR 20120072212 A KR20120072212 A KR 20120072212A KR 101273395 B1 KR101273395 B1 KR 101273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pe
packing
ring
conn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여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여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여울
Priority to KR1020120072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관 연결장치는 접속패킹을 링형 가압접촉편과; 상기 가압접촉편의 하부에 설치되는 링형 탄성밀착부재와; 상기 탄성밀착부재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링형 받침접촉편;으로 구성하되, 상기 접속패킹의 가압접촉편을 하단 중앙에 링형 접속돌기가 마련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접속패킹의 탄성밀착부재를 상단 중앙에 링형 접속홈이 마련되고, 하단 중앙에 상단 폭보다 하단 폭이 큰 사다리꼴 단면의 링형 접속홈이 마련되며, 내측면이 상단 직경이 하단 직경보다 작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이 상단 직경이 하단 직경보다 큰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접속패킹의 받침접촉편을 상단 폭보다 하단 폭이 큰 사다리꼴 단면의 링형으로 구성한 것으로, 조임캡을 조여 연결관에 접속관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조임캡에 의해 접속패킹이 가압될 때에 접속패킹의 탄성밀착부재가 안정적으로 변형될 뿐 아니라 넓은 접촉면적으로 연결관과 접속관에 밀착되므로 뛰어난 기밀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관 연결장치 { a pipe connecting apparatus }
본 발명은 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조임캡에 의해 압축되는 접속패킹이 연결관과 접속관에 더욱 안정적으로 변형 밀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접속관 삽입부의 상부에 접속패킹 삽입부가 마련되는 연결관에 조임캡을 통해 접속관을 연결하고, 접속패킹을 통해 기밀을 유지하는 관 연결장치에 관계하는 것으로, 이러한 형태의 관 연결장치는 조임캡을 조이게 되면 연결관에 접속관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동시에 접속패킹이 연결관과 접속관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종래에 있어서 상기 관 연결장치는 끝단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로는 제1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산에 패킹부재가 거재된 캡이 나사결합되어 내부로 삽입되는 관을 연결해주는 이음관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양단의 중심부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되, 일측단 절개부의 내부에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는 패킹과; 상기 캡의 회전시 캡의 내면과 맞닿아 상기 캡이 손쉽게 회전되도록 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패킹의 일측단 절개부에 끼워져 상기 패킹을 확장시켜주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와셔;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제안된 바 있다.(실용신안등록 제20-0402283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관 연결장치는 캡으로 패킹부재를 가압할 때에 패킹이 제대로 변형되지 않아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의 기밀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종래의 관 연결장치에 있어서는 패킹의 내측면 및 외측면이 수직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캡으로 가압될 때에 한쪽 방향으로 구부러지게 되어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에 제대로 밀착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아울러 패킹의 접촉면적이 작게 되어 이음관과 합성수지관의 기밀성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이 조임캡으로 가압되는 접속패킹이 연결관과 접속관에 보다 안정적으로 변형 밀착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연결관과 접속관의 기밀을 더욱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관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 연결장치는 접속관 삽입부의 상부에 접속패킹 삽입부가 마련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접속관 삽입부에 삽입되는 접속관과; 상기 연결관의 접속패킹 삽입부와 나사결합되어 접속관을 연결관에 밀착 고정하는 조임캡과; 상기 연결관의 접속패킹 삽입부에 설치되어 연결관과 접속관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링형 접속패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관 연결장치는 상기 연결관을 접속패킹 삽입부의 외부 둘레에 수나사가 마련되고, 접속패킹 삽입부의 하단에 마련되는 받침턱의 내측 하부에 상단 직경이 하단 직경보다 큰 링형 경사밀착부가 마련되며, 받침턱의 외측 하부에 링형 밀착요입부가 마련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조임캡은 내주면에 암나사가 마련되고, 내부 상단부에 가압턱이 마련되는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관 연결장치는 상기 접속패킹을 링형 가압접촉편과; 상기 가압접촉편의 하부에 설치되는 링형 탄성밀착부재와; 상기 탄성밀착부재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링형 받침접촉편;으로 구성하되, 상기 접속패킹의 가압접촉편을 하단 중앙에 링형 접속돌기가 마련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접속패킹의 탄성밀착부재를 상단 중앙에 링형 접속홈이 마련되고, 하단 중앙에 상단 폭보다 하단 폭이 큰 사다리꼴 단면의 링형 접속홈이 마련되며, 내측면이 상단 직경이 하단 직경보다 작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이 상단 직경이 하단 직경보다 큰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접속패킹의 받침접촉편을 상단 폭보다 하단 폭이 큰 사다리꼴 단면의 링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 연결장치는 조임캡을 조여 연결관에 접속관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조임캡에 의해 접속패킹이 가압될 때에 접속패킹의 탄성밀착부재가 안정적으로 변형될 뿐 아니라 넓은 접촉면적으로 연결관과 접속관에 밀착되므로 뛰어난 기밀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종단면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접촉패킹의 요부 종단면도
도 3a는 동 실시예의 접속관을 고정하기 전의 종단면도
도 3b는 동 실시예의 접속관을 고정한 후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접속패킹의 요부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에는 동 실시예의 접속관을 고정하기 전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b에는 동 실시예의 접속관을 고정한 후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b와 같이 본 발명의 관 연결장치(100)는
접속관 삽입부(118)의 상부에 접속패킹 삽입부(111)가 마련되는 연결관(110)과;
상기 연결관(110)의 접속관 삽입부(118)에 삽입되는 접속관(120)과;
상기 연결관(110)의 접속패킹 삽입부(111)와 나사결합되어 접속관(120)을 연결관(110)에 밀착 고정하는 조임캡(130)과;
상기 연결관(110)의 접속패킹 삽입부(111)에 설치되어 연결관(110)과 접속관(12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링형 접속패킹(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관 연결장치(100)에 있어서 연결관(110)은 접속패킹 삽입부(111)의 외부 둘레에 수나사(112)가 마련되고, 접속패킹 삽입부(111)의 하단에 마련되는 받침턱(113)의 내측 하부에 상단 직경이 하단 직경보다 큰 링형 경사밀착부(114)가 마련되며, 받침턱(113)의 외측 하부에 링형 밀착요입부(115)가 마련된다.
본 발명의 관 연결장치(100)에 있어서 조임캡(130)은 내주면에 암나사(131)가 마련되고, 내부 상단부에 가압턱(132)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관 연결장치(100)에 있어서 접속패킹(140)은 링형 가압접촉편(141)과; 상기 가압접촉편(141)의 하부에 설치되는 링형 탄성밀착부재(142)와; 상기 탄성밀착부재(142)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링형 받침접촉편(1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속패킹(140)의 가압접촉편(141)은 하단 중앙에 링형 접속돌기(141a)가 마련된다.
상기 접속패킹(140)의 탄성밀착부재(142)는 상단 중앙에 링형 접속홈(142a)이 마련되고, 하단 중앙에 상단 폭보다 하단 폭이 큰 사다리꼴 단면의 링형 접속홈(142b)이 마련되며, 내측면이 상단 직경이 하단 직경보다 작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이 상단 직경이 하단 직경보다 큰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속패킹(140)의 받침접촉편(143)은 상단 폭보다 하단 폭이 큰 사다리꼴 단면의 링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링형 가압접촉편(141)과 링형 탄성밀착부재(142), 링형 받침접촉편(143)으로 이루어지는 접속패킹(140)은 이중압출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관 연결장치(100)에 있어서는 연결관(110)의 접속패킹 삽입부(111)에 링형 접속패킹(140)을 삽입하고, 연결관(110)의 접속관 삽입부(118)에 접속관(120)을 삽입한 후 연결관(110)의 접속패킹 삽입부(111)에 결합한 조임캡(130)을 조이게 되면 연결관(110)에 접속관(120)을 견고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연결관(110)과 접속관(120)을 접속하는 과정에서 조임캡(130)에 의해 가압되는 접속패킹(140)의 탄성밀착부재(142)가 변형되면서 연결관(110)과 접속관(120)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연결관(110)의 접속패킹 삽입부(111)에 삽입되는 접속패킹(140)은 받침접촉편(143)의 하단이 접속패킹 삽입부(111)의 하단에 마련되는 받침턱(113)에 접촉하게 되며, 조임캡(130)을 조이는 과정에서 조임캡(130)의 가압턱(132)이 접속패킹(140)의 가압접촉편(141)을 누르게 되면 탄성밀착부재(142)가 압축되면서 내측 경사면과 외측 경사면이 수직으로 변형되어 접속관(120)의 외주면과 연결관(11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내주면 하단부가 받침접촉편(143)의 하부로 돌출되면서 연결관(110)의 링형 경사밀착부(114)에 삽입 밀착되는 동시에 외주면 하단부가 받침접촉편(143)의 하부로 돌출되면서 연결관(110)의 링형 밀착요입부(115)에 삽입 밀착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관 연결장치(100)에 있어서는 조임캡(130)에 의해 접속패킹(140)이 가압될 때에 접속패킹(140)의 탄성밀착부재(142)가 항상 안정적으로 변형되고, 보다 넓은 접촉면적으로 연결관(110)과 접속관(120)에 밀착되므로 뛰어난 기밀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관 연결장치
110 : 연결관
111 : 접속패킹 삽입부
112 : 수나사
113 : 받침턱
114 : 경사밀착부
115 : 밀착요입부
120 : 접속관
130 : 가압캡
131 : 암나사
132 : 가압턱
140 : 접속패킹
141 : 가압접촉편
141a : 접속돌기
142 : 탄성밀착부재
142a, 142b : 접속홈
143 : 받침접촉편

Claims (1)

  1. 접속관 삽입부(118)의 상부에 접속패킹 삽입부(111)가 마련되는 연결관(110)과; 상기 연결관(110)의 접속관 삽입부(118)에 삽입되는 접속관(120)과; 상기 연결관(110)의 접속패킹 삽입부(111)와 나사결합되어 접속관(120)을 연결관(110)에 밀착 고정하는 조임캡(130)과; 상기 연결관(110)의 접속패킹 삽입부(111)에 설치되어 연결관(110)과 접속관(120)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는 링형 접속패킹(140);을 포함하는 관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10)을 접속패킹 삽입부(111)의 외부 둘레에 수나사(112)가 마련되고, 접속패킹 삽입부(111)의 하단에 마련되는 받침턱(113)의 내측 하부에 상단 직경이 하단 직경보다 큰 링형 경사밀착부(114)가 마련되며, 받침턱(113)의 외측 하부에 링형 밀착요입부(115)가 마련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조임캡(130)은 내주면에 암나사(131)가 마련되고, 내부 상단부에 가압턱(132)이 마련되는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접속패킹(140)을 링형 가압접촉편(141)과; 상기 가압접촉편(141)의 하부에 설치되는 링형 탄성밀착부재(142)와; 상기 탄성밀착부재(142)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링형 받침접촉편(143);으로 구성하되,
    상기 접속패킹(140)의 가압접촉편(141)을 하단 중앙에 링형 접속돌기(141a)가 마련되는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접속패킹(140)의 탄성밀착부재(142)를 상단 중앙에 링형 접속홈(142a)이 마련되고, 하단 중앙에 상단 폭보다 하단 폭이 큰 사다리꼴 단면의 링형 접속홈(142b)이 마련되며, 내측면이 상단 직경이 하단 직경보다 작은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외측면이 상단 직경이 하단 직경보다 큰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하며;
    상기 접속패킹(140)의 받침접촉편(143)을 상단 폭보다 하단 폭이 큰 사다리꼴 단면의 링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장치.
KR1020120072212A 2012-07-03 2012-07-03 관 연결장치 KR101273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212A KR101273395B1 (ko) 2012-07-03 2012-07-03 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212A KR101273395B1 (ko) 2012-07-03 2012-07-03 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3395B1 true KR101273395B1 (ko) 2013-06-17

Family

ID=4886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212A KR101273395B1 (ko) 2012-07-03 2012-07-03 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3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51B1 (ko) 2012-12-21 2014-09-02 이종태 결착력과 수밀성이 우수한 이음관
NO337808B1 (no) * 2014-06-19 2016-06-27 Braathen Thor F Anslutning for å koble sammen vannrør
WO2017026898A1 (en) 2015-08-10 2017-02-16 Thor Frölich Braathen A fitting to connect water pipes
KR101887135B1 (ko) * 2017-10-30 2018-08-10 이진숙 강관 연결용 소켓
KR102044837B1 (ko) * 2019-06-26 2019-11-15 박영수 패널 마운트 소켓
KR102159742B1 (ko) * 2019-06-26 2020-09-24 박영수 파이프 접속이음 유니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224Y1 (ko) 2002-12-16 2003-03-12 김득진 관의 연결장치
JP2004100852A (ja) 2002-09-11 2004-04-02 Bridgestone Flowtech Corp 外的シール機能を有する管継手
KR200402283Y1 (ko) 2005-09-13 2005-11-28 신우산업주식회사 확관용 와셔가 구비된 패킹을 포함하는 이음관
KR200419728Y1 (ko) 2006-02-09 2006-06-23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파이프 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0852A (ja) 2002-09-11 2004-04-02 Bridgestone Flowtech Corp 外的シール機能を有する管継手
KR200307224Y1 (ko) 2002-12-16 2003-03-12 김득진 관의 연결장치
KR200402283Y1 (ko) 2005-09-13 2005-11-28 신우산업주식회사 확관용 와셔가 구비된 패킹을 포함하는 이음관
KR200419728Y1 (ko) 2006-02-09 2006-06-23 주식회사 강원프라코 파이프 연결구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51B1 (ko) 2012-12-21 2014-09-02 이종태 결착력과 수밀성이 우수한 이음관
NO337808B1 (no) * 2014-06-19 2016-06-27 Braathen Thor F Anslutning for å koble sammen vannrør
WO2017026898A1 (en) 2015-08-10 2017-02-16 Thor Frölich Braathen A fitting to connect water pipes
US10663094B2 (en) 2015-08-10 2020-05-26 Thor Frölich Braathen Fitting to connect water pipes
KR101887135B1 (ko) * 2017-10-30 2018-08-10 이진숙 강관 연결용 소켓
KR102044837B1 (ko) * 2019-06-26 2019-11-15 박영수 패널 마운트 소켓
KR102159742B1 (ko) * 2019-06-26 2020-09-24 박영수 파이프 접속이음 유니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395B1 (ko) 관 연결장치
US20130168959A1 (en) Pipe fitting
JP2013534603A5 (ko)
CN109764197A (zh) 一种管路连接结构及管路系统
US8226128B2 (en) Releasable nut-free C-clip secured pipe fitting
KR20100027369A (ko) 유체파이프의 분기지관 접속구조
KR200474790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100989990B1 (ko) 상수도용 이탈 압륜 고무링
KR200482060Y1 (ko) Pb 파이프 연결 소켓 장치
KR20120006296A (ko) 소켓 일체형 합성수지 관의 연결구조
KR20160086657A (ko) 관연결장치
KR200424245Y1 (ko) 주름관 연결구의 기밀고정장치
KR20130088616A (ko)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20100028519A (ko) 금속 주름관 연결부위의 실링장치
KR20110002990A (ko) 중공관 형상의 패킹을 이용한 이음관
CN205261073U (zh) 一种管接头
KR20140100697A (ko) 가스 주름관 연결장치
US20150137510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tap and/or external water source and water supply hose
KR101783524B1 (ko)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KR20100077883A (ko) 오링 압착식 원터치 파이프 연결구의 조립구조
KR101540109B1 (ko)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20080006508U (ko) 배관 연결구
CN205261075U (zh) 一种管接头的加强密封元件
KR200365614Y1 (ko) 주름관 연결장치 및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