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109B1 -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109B1
KR101540109B1 KR1020130169037A KR20130169037A KR101540109B1 KR 101540109 B1 KR101540109 B1 KR 101540109B1 KR 1020130169037 A KR1020130169037 A KR 1020130169037A KR 20130169037 A KR20130169037 A KR 20130169037A KR 101540109 B1 KR101540109 B1 KR 101540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ring
compression
groov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063A (ko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to KR1020130169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109B1/ko
Publication of KR20150079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latching members pushed radially by spring-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이러한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는, 관체의 단부 측이 연결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한 연결구 본체와, 상기 연결구 본체 측에서 상기 관체의 단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통로 내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압착홈을 구비한 압착부와, 상기 압착부 측에서 상기 압착홈의 원둘레 방향을 따라 링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압착용 링조각들 및 상기 압착용 링조각들과 인접된 상태로 상기 압착부의 압착홈 측에 배치되는 시일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Pipe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체들을 압착 방식으로 연결하는 작업은, 서로 연결되기 위한 관체의 단부 사이에 배관용 연결구를 끼운 상태에서 이 연결구의 단부 둘레를 조여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상기 배관용 연결구는 관체와 관체 사이를 안정적인 시일 상태로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고무링 및 금속링이 각각 구비되며, 특히 금속링은, 두 개의 관체 단부 측을 압착 상태로 눌러서 안정적인 연결 고정 상태로 잡아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압착 방식의 관체 연결 구조로는 "특허등록 제10-0776571호의 금속링과 고무링을 이용한 스테인레스 관의 접속 구조."가 있다.
하지만, 상기한 특허등록 제10-0776571호의 금속링은, 특히 둘레부가 일체(一體)로 연장된 상태로 링 모양을 이루는 링 구조이므로, 이러한 일체형 구조의 금속링은, 직경이 큰 대형 관체를 압착 방식으로 연결 고정할 때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대형의 관체 크기와 대응하는 일체형의 대형 금속링을 압착하려면 과다한 힘(동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링의 부피가 커서 관체 둘레를 균일하게 조이는 상태로 원활하게 압착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만족할 만한 작업성 및 작업 품질을 기대할 수 없다.
그리고, 금속링의 압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예를 들어, 압착 작업시 과다한 압착 조임력으로 압착해야 하므로 자칫 관체나 연결구 자체의 비(非) 정상적인 변형이나 파손을 유발하는 한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체들을 압착 방식으로 연결할 때 한층 향상된 작업편의성 및 작업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관체의 단부 측이 연결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한 연결구 본체;
상기 연결구 본체 측에서 상기 관체의 단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통로 내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압착홈을 구비한 압착부;
상기 압착부 측에서 상기 압착홈의 원둘레 방향을 따라 링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압착용 링조각들;
상기 압착용 링조각들과 인접된 상태로 상기 압착부의 압착홈 측에 배치되는 시일링;
을 포함하는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특히 연결구 본체에 형성된 압착부의 압착홈 측에 복수 개의 압착용 링조각들이 링(ring) 모양의 배열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압착부를 통상의 압착 방식으로 조일 때, 상기 압착용 링조각들이 상기 압착홈 측에서 각각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동작되면서 관체를 더욱 원활하게 압착 고정할 수 있는 링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압착용 링조각들은, 예를 들어, 대형 관체들의 압착 연결 작업시 관체 크기와 대응하도록 대형으로 제작된 일체형의 금속링과 비교하면 압착 조임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압착 고정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고, 압착 조임 동작 중에 일체형의 링이 비(非) 정상으로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부호 2는 연결구 본체를 지칭한다.
상기 연결구 본체(2)는, 관체(T) 단부가 연통 상태로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서와 같이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며 양측 단부를 관통하는 상태로 내부에 통로(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구 본체(2)의 재질은 금속(또는 비금속) 중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스틸이나 스테인레스 계열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는, 압착부(4)를 포함한다.
상기 압착부(4)는 압착 고정되기 위한 관체(T)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연결결구 본체(2) 측에 형성된다.
즉, 상기 압착부(4)는 압착홈(B)을 구비하고, 이 압착홈(B)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구 본체(2)의 양측 단부 측에서 상기 통로(A)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링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부(4)는 상기와 같은 압착홈(B)을 가지며 상기 연결구 본체(2)의 양측 단부 측에 돌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는, 압착용 링조각(6)을 포함한다.
상기 압착용 링조각(6)은, 상기 압착부(4)의 압착홈(B) 측에 배치된다.
상기 압착용 링조각(6)은, 관체(T) 단부를 압착 고정력으로 잡아주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압착용 링조각(6)은, 복수 개가 한 조로 구성되며, 상기 압착부(4)의 압착홈(B) 측에 링(ring) 모양의 배열을 이루는 상태로 셋팅된다.
상기 압착용 링조각(6)은,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압착면(C)이 각각 형성된 여섯 개의 조각이 한 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압착면(C)들이 상기 연결구 본체(2)의 통로(A) 중심부를 향하는 상태로 상기 압착부(4)의 압착홈(B) 측에 끼워져서 링 모양의 배열을 이루는 상태로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착용 링조각(6)들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압착홈(B) 측에 링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배열될 때 링 조각들 사이사이에 유동틈새(G)를 갖는 상태로 셋팅된다.
그러면, 상기 압착용 링조각(6)들은 상기 압착홈(B)의 원둘레 방향을 따라 약간씩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압착 작업시 관체(T)의 둘레를 따라 적절하게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압착 조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압착용 링조각(6)들은, 압착 작업시 유동틈새(G)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로 원형의 링 모양을 이룰 때 상기 압착면(C)들로 관체(T)의 단부 둘레면을 눌러서 압착 고정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압착용 링조각(6)의 재질은 예를 들어, 상기 연결구 본체(2)의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는, 압착걸림부(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착걸림부(8)는, 관체(T)를 더욱 안정적인 압착 고정 상태로 잡아줄 수 있도록 상기 압착용 링조각(6) 측에 형성된다.
상기 압착걸림부(8)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걸림돌기(C1)를 구비하고, 이 걸림돌기(C1)는 상기 압착용 링조각(6)들의 압착면(C) 측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C1)는 여러 가지의 돌기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은 톱니 모양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톱니 모양으로 걸림돌기(C1)를 형성하면, 압착 작업에 의해 상기 압착용 링조각(6)들이 관체(T)의 외부면을 압착하는 방향으로 작동될 때 도 4에서와 같이 돌기 끝단이 상기 관체(T) 외부면 측에 약간 파고드는 상태로 압착될 수 있으므로 관체(T)의 압착 고정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는, 시일링(10)을 포함한다.
상기 시일링(10)은, 상기 압착부(4) 측에 배치되어 관체(T)의 압착 고정시 압착 부위를 시일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즉, 상기 시일링(10)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압착부(4)의 압착홈(B) 내측에서 상기 압착용 링조각(6)과 인접하여 배치된다.
상기 시일링(10)은, 고무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압착 작업시 관체(T)의 단부 둘레를 시일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시일링(10)은, 누름면(D)을 구비하여 상기 압착부(4)의 압착홈(B) 측에서 상기 누름면(D)으로 상기 압착용 링조각(6)들을 눌러서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누름면(D)은, 예를 들어, 상기 시일링(10)이 상기 압착부(4)의 압착홈(B) 측에 도 2에서와 같이 끼워진 상태로 배치될 때 상기 압착홈(B)의 내부면을 향하여 상기 압착용 링조각(6)들의 일측을 탄력적으로 밀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시일링(10)의 둘레부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일링(10)의 누름 구조에 의하면, 링 모양을 이루도록 분할 형성된 압착용 링조각(6)들을 압착부(4)의 압착홈(B) 측에 설치할 때 별도의 걸림 구조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압착용 링조각(6)들을 탄력적으로 밀어서 상기 압착홈(B) 측에 안정적인 설치 상태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셋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일링(10)의 누름면(D)과 대응하도록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압착용 링조각(6) 측에 접촉면(D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 접촉면(D1)은 상기 누름면(D)과 대략 면 접촉을 이룰 수 있는 상태로 상기 압착용 링조각(6)들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면(D1)은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압착용 링조각(6)들의 압착면(C)과 각을 이루는 경사진 상태로 상기 압착용 링조각(6)들의 측면에 제공되어 시일링(10)의 누름면(D)을 위쪽에서 아래쪽 측방을 향하여 누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어 도 5에서와 같이 압착 작업을 진행할 때, 압착용 링조각(6)들의 압착 동작과 연계하여 접촉면(D1)이 도 4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누름면(D)을 눌러서 시일링(10)이 압착부(4) 내측에서 관체(T)의 외부면과, 연결구 본체(2)의 통로(A) 내부면 사이의 틈새(A1) 측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여 한층 향상된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시일링(10)은 연결구 본체(2)의 압착부(4) 둘레를 조이는 방향으로 압착 조작시, 도 4에서와 같이 접촉면(D1)과 누름면(D)이 서로 접촉되면서 작용 방향이 전환되는 압착 조임력에 의해 압착 조임 방향과 각을 이루는 측방을 향하여 눌려지면서 연결구 본체(2)와 관체(T)의 연결 틈새(A1)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도록 틈새(A1) 측에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된 시일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는, 도 5에서와 같은 통상의 압착체결구(M1)와 압착기구(M2)를 이용한 압착 방식으로 관체(T)의 연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압착체결구(M1)와 압착기구(M2)에 의해 상기 연결구 본체(2)의 압착부(4) 둘레를 조이면, 압착용 링조각(6)들과 시일링(10)에 의해 상기 압착부(4) 측에 관체(T)를 시일 상태로 연결 고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작업에 의해 상기 연결구 본체(2)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관체(T)를 서로 연통된 상태로 배관 시공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압착용 링조각(6)들은 복수 개로 나뉘어져서 상기 압착부(4)의 압착홈(B) 측에 링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배열되므로, 상기와 같은 압착 작업시 상기 압착홈(B) 측에 관체(T)의 둘레를 따라 적절하게 유동되는 상태로 원활하게 압착 조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착용 링조각(6)들의 구조는, 예를 들어, 일체형의 금속링 구조와 비교할 때 압착 조임 동작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히 직경이 큰 대형 관체(T)들을 압착 방식으로 연결 고정할 때 한층 향상된 작업 편의성 및 작업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2: 연결구 본체 4: 압착부 6: 압착용 링조각
8: 압착걸림부 10: 시일링

Claims (5)

  1. 관체의 단부 측이 연결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한 연결구 본체;
    상기 연결구 본체 측에서 상기 관체의 단부와 대응하도록 상기 통로 내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압착홈을 구비한 압착부;
    상기 관체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압착부 내측에서 상기 압착면이 상기 연결구 본체의 통로 중심부를 향하는 상태로 상기 압착홈의 원둘레 방향을 따라 링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배열되며, 상기 압착면과 서로 각을 이루는 경사진 상태로 측면에 접촉면이 형성된 복수 개의 압착용 링조각들;
    상기 압착용 링조각들의 접촉면과 대응하는 누름면을 구비하고 상기 압착부의 압착홈 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착부 둘레를 조이는 방향으로 상기 압착용 링조각들의 압착 조작시 상기 접촉면과 상기 누름면이 서로 접촉되면서 작용 방향이 전환되는 압착 조임력에 의해 압착 조임 방향과 각을 이루는 측방을 향하여 눌려지는 상태로 작동되면서 상기 연결구 본체와 상기 관체의 연결 결합 틈새 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시일링;
    을 포함하는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연결구 본체의 통로 단부 측에 형성되는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용 링조각들은,
    상기 압착부의 압착홈 측에서 유동틈새를 갖는 상태로 이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착용 링조각들은,
    압착걸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착걸림부는,
    상기 압착면 측에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1020130169037A 2013-12-31 2013-12-31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10154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37A KR101540109B1 (ko) 2013-12-31 2013-12-31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037A KR101540109B1 (ko) 2013-12-31 2013-12-31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063A KR20150079063A (ko) 2015-07-08
KR101540109B1 true KR101540109B1 (ko) 2015-07-29

Family

ID=5379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037A KR101540109B1 (ko) 2013-12-31 2013-12-31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596U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571B1 (ko) * 2006-04-27 2007-11-16 주식회사 서원기술 금속링과 고무링을 이용한 스테인레스 관의 접속구조
KR20100031121A (ko) * 2010-02-26 2010-03-19 (주)위더스 파이프용 연결물
KR101188872B1 (ko) * 2012-02-23 2012-10-09 주식회사 퍼팩트 패킹링의 파손이 방지되는 소켓관
KR20130085610A (ko) * 2012-01-20 2013-07-30 이종태 V형 파이프 이음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571B1 (ko) * 2006-04-27 2007-11-16 주식회사 서원기술 금속링과 고무링을 이용한 스테인레스 관의 접속구조
KR20100031121A (ko) * 2010-02-26 2010-03-19 (주)위더스 파이프용 연결물
KR20130085610A (ko) * 2012-01-20 2013-07-30 이종태 V형 파이프 이음관
KR101188872B1 (ko) * 2012-02-23 2012-10-09 주식회사 퍼팩트 패킹링의 파손이 방지되는 소켓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596U (ko) * 2015-10-28 2017-05-10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연결구
KR200483835Y1 (ko) * 2015-10-28 2017-06-29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063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730470A (zh) 轉接頭之連接器
JP2015172437A (ja) 押圧ジョー、分離不能管継手の製作方法、結合具、および押圧ジョーと結合具とから成るシステム
RU2483238C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элемента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с трубой из поли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элемент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для него
US8226128B2 (en) Releasable nut-free C-clip secured pipe fitting
US20070013189A1 (en) Sealing fitting for stainless steel tubing
KR200474790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40072571A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211494B1 (ko) 클램프를 이용하여 인장력 증대 및 체결이 용이한 파이프 연결장치
EP2547947B1 (en) Hose coupling
KR101540109B1 (ko)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102038188B1 (ko) 2개의 파이프라인을 동축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를 분리하기 위한 배열체
KR101628997B1 (ko)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200451357Y1 (ko) 관 연결구
KR20140044347A (ko)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KR101918082B1 (ko) 약압 압착식 관 이음쇠 및 그 압착 방법
KR20100124916A (ko) 소형 배관의 연결방법 및 그 실링 구조
KR20100028519A (ko) 금속 주름관 연결부위의 실링장치
JP2014077495A (ja) 管継手構造
KR101393395B1 (ko) 파이프 고정용 그립링과 너트의 조립체
US11041566B2 (en) Seal structure, sealing method, and coupling equipped with said seal structure
KR200357228Y1 (ko) 금속관 압착 체결구조
WO2019204951A1 (zh) 一种管件连接结构
TWM595182U (zh) 管接頭裝置
KR101856509B1 (ko) 배관 연결부 밀봉 장치
GB2482706A (en) Releasable nut-free C-clip secured pipe f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