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105B1 - 관이음쇠 - Google Patents

관이음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105B1
KR101013105B1 KR1020080051566A KR20080051566A KR101013105B1 KR 101013105 B1 KR101013105 B1 KR 101013105B1 KR 1020080051566 A KR1020080051566 A KR 1020080051566A KR 20080051566 A KR20080051566 A KR 20080051566A KR 101013105 B1 KR101013105 B1 KR 101013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mping
pressing
fastening
retain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445A (ko
Inventor
김정순
Original Assignee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순 filed Critical 김정순
Priority to KR1020080051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105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6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 F16L15/0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with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4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additional sea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upplementary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체를 형성하고 이 본체의 관몸체에는 패킹과 압축리테이너와 압착링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공하며 이 수납부에 연하여 제1체결부를 가공하고, 상기 관이음쇠에 연결하고자 하는 연결관을 압착하고 이 연결관을 찝어 물도록 된 압착링을 형성하며, 상기 압착링의 압착자리를 지지하고 유지하기 위한 압착리테이너를 형성하고, 상기 압착링에 압착력을 가하도록 하는 압착부와 상기 제1체결부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된 제2체결부를 가공하여 압착록크를 형성하여, 관이음쇠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제1체결부, 압착리테이너, 압착링, 압착부, 제2체결부

Description

관이음쇠 {Piping joint}
본발명은 2개 이상의 연결관을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관이음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2개 또는 2개이상의 관과 관을 연결함에 있어서, 일자형관이음쇠, T형관이음쇠, L형관이음쇠, +자형관이읍쇠와 같은 관이음쇠를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같은 관이음쇠에는 관이음쇠몸체에 숫나사부 또는 암나사부를 가공하고, 이 관이음쇠를 사용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연결관에는 상기 관이음쇠에 가공하고 있는 나사부에 대응하는 나사부를 가공하며, 이렇게 나사가 가공되어 있는 관이음쇠의 나사부와 연결관의 나사부를 맞대어 나사체결을 하므로서 관이음쇠에 연결관을 연결고정하도로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관연결구조는 관이음쇠와 연결관에 각각 정밀한 나사부를 가공 하여야 하기 때문에 나사가공에 따른 많은 시간과 많은 가공비를 소요하게 되고, 또한 연결관에 나사가공을 할때에 나사가공을 한 홈부위가 원래의 관의 두께보다 얇아지기 때문에 관의 강도가 약화 되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강도가 약화된 관을 사용하여 배관공사를 한다음 사용시 관의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그리고 관이음쇠에 연결관을 나사체결 할때에 체결공구의 체결력을 약하게 하면, 관이음쇠와 연결관 사이의 체결상태가 느슨하게 되어 관이음쇠와 연결관사이의 밀봉성능을 떨어뜨리게되고, 또 밀봉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체결공구의 체결력을 너무 강하게 하면, 나사부가 마멸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관이음쇠와 연결관 사이의 연결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그리하여 불량하게 연결된 관이음쇠와 연결관을 분리 해체 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는 것이나, 분리해체작업에 따른 많은 시간과 경비를 소모할 뿐만 아니라, 한번 해체분리된 관은 다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 관은 폐기처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몸체에는 압착리테이너와 압착링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공하고 이 수납부에 연하여 제1체결부를 가공하며, 압착리테이너와 압착링을 형성하고, 상기 압착링에 압착력을 가하는 압착부와 제2체결부를 가공한 압착록크를 형성하여 관이음쇠를 형성하며, 이와같이 형성하고 있는 관이음쇠에 연결관을 연결고정할 때에는 상기 관이음쇠에 연결관을 끼워 조립함과 동시에 관이음쇠의 수납부에 압착리테이너와 압착링을 조립하고 압착록크의 제2체결부를 상기 제1체결부에 체결하면 압착링이 연결관을 압착고정하므로서, 관이음쇠에 연결관은 서로 밀착상태로 단단히 체결고정 되도록 하여, 관이음쇠와 연 결관 사이의 체결력과 밀봉상태를 확실하게 유지 할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체결성과 밀봉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관이음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관이음쇠는, 본체를 형성하고 이 본체의 관몸체에는 패킹과 압축리테이너와 압착링을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공하며 이 수납부에 연하여 제1체결부를 가공하고, 링몸체에 돌기부와 밀착면을 가공하여 상기 관이음쇠에 연결하고자 하는 관(이하 관이음쇠에 연결하는 관을 "연결관"이라 함)을 압착하고 이 연결관을 찝어 물도록 된 압착링을 형성하며, 리테이너몸체의 양쪽에 밀착면을 가공하여 상기 압착링의 압착자리를 지지하고 유지하기 위한 압착리테이너를 형성하고, 록크몸체에 상기 압착링에 압착력을 가하도록 하는 압착부와 상기 제1체결부에 체결이 가능하도록 된 제2체결부를 가공하여 압착록크를 형성하여, 관이음쇠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관이음쇠를 사용하여 연결관을 연결고정할때에는, 상기 본체의 관몸체에 연결관을 끼워조립함과 동시에 관몸체수납부에 패킹과 압착리테이너와 압착링을 조립하고, 압착록크의 제2체결부를 상기 본체의 제1체결부에 맞춰 체결하면 이 압착록크의 제2체결부는 상기 제1체결부에 체결되면서 상기 압착록크의 압착부는 압착링을 연결관쪽으로 압착하여 압착링이 연결관에 파고 들어가면서 연결관을 찝어 물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같이 압착링이 연결관에 파고들어간 상태로 관이음쇠에 연결관은 단단히 체결 고정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발명에 따른 관이음쇠는 압착록크의 제2체결부가 본체의 제1체결부에 체결되는 과정에 압착링이 연결관을 파고 들어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기 때문에 관이음쇠에 연결관의 체결과정이 아주 간단하면서도 단단하고도 확실한 체결고정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며, 종래와 같이 연결관에 직접 나사가공을 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나사가공에 따른 가공공정수와 가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며, 관의 강도를 정상적으로 유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에 본발명에 따른 관이음쇠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1내지 도6에는 본발명에 따른 관이음쇠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며 이 제1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는 본체를 직선형으로 형성하고 이 직선형본체의 양쪽에는,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한 2개의 관연결부를 각각 가공하고, 이렇게 양쪽에 가공하고 있는 2개의 관연결부에 2개의 연결관을 연결하도록 하는, 직선형관이음쇠에 관한 것으로, 도1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분해단면도를, 도 2에는 관이음쇠에 있어서 압착링의 측면도를, 도3에는 도 2의 A-A선 단면도를, 도 4에는 도 3의 F부분의 확대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직선형관이음쇠는 본체 1을 직선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본체 1과, 압착리테이너 2. 2와, 압착링 3, 3과 압착록크 4, 4와, 패킹 F, F를 구비하며, 본체 1에 패킹 F, F와 함께 압착리테이너 2, 2와 압착링 3, 3을 끼워 조립하 고, 압착록크 4, 4를 상기 본체 1에 체결하면 압착록크 4, 4는 압착링 3, 3을 연결관 P, P쪽으로 압착하여 압착링 3, 3은 연결관 P, P에 파고들어가도록 하여 본체 1에 2개의 연결관 P, P를 체결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체 1은, 관몸체 11을 직선형으로 형성하고 이 관몸체 11에는 유체가 흐르는 관구멍 12이 가공되어 있으며, 상기 관몸체 11의 양쪽에는 2개의 연결관을 연결 하기 위하여 패킹 F, F와 압착리테이너 2, 2와 압착링 3, 3을 각각 수납하는 패킹 수납부,압착리테이너 수납부, 압착링 수납부 및 압착로크 수납부 14, 14를 가공하고, 또한 상기 패킹 수납부의 내경이 압착리테이너 수납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양 수납부 사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수납부 14, 14에 연하여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체결부 16. 16을 각각 가공하여 형성한다.
압착리테이너 2는, 상기 압축링 3이 연결관 P쪽으로 압착되는 과정 중에 상기 압착링 3을 지지하여 압착링 3이 연결관 P쪽으로 압착할 수 있도록하는 압착자리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리테이너몸체 21의 양쪽면은 패킹 F 및 압축링 3을 압착하기 위하여 상하부 좌우측에 밀착면 26,27으로 형성됨으로써, 압축링 3에 의한 압착시 압착리테이너 2의 비틀림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압착리테이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패킹 F 에는 "<" 모양의 홈이 패킹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홈이 패킹수납부의 단차진 부위에 압착됨으로써, 배관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압착링 3은, 상기 압착록크 4의 압착부로부터 압착력을 받으면 상기 압착링 3은 연결관 P쪽으로 파고 들어가 연결관 P를 압착하는 것으로, 링몸체 31을 링형상으로 형성하며 이 링몸체 31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개부 33을 가공하고 또 상기 링몸체 31의 내원주면은 상기 연결관 P에 파고 들어가는 'V'형 돌기부 35를 각각 가공하고 있다. 상기 돌기부 35의 돌출정도(돌출형상이나 돌출길이, 돌출각도등)는 연결하고자하는 연결관 P의 재질과 강도등에 의해 설정되는 것으로 설계값이나 실험값에 따라서 적절하게 정하여 가공할 수 있을 것이다.
위에서 상기 압착링 3의 링몸체 31에는 밀착면 37을 가공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 밀착면 37은 반듯이 가공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압착링 3의 압착작용시에 압착리테이너 2가 압착링 3의 압착자리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는 구조이라면, 압착링에 밀착면의 가공을 생략할 수도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압착링의 링몸체를 단면원형상(원통형상)으로 가공하고 이렇게 가공된 압착링 3의 원통형몸체의 일부를 압착리테이너 2가 지지할수 있는 경우에는 압착링의 단면원형상(원통형상) 그대로를 밀착면으로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1에서는 리테이너몸체 21의 한쪽면에 가공하고 있는 밀착면 27을 직선형으로 가공하고 있으며 도4에 있어 압착링 3의 밀착면 37은 직선형상으로 가공 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밀착면 27과 37은 반드시 직선형상으로 가공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압착링 3이 연결관 P에 압착되는 과정중에 압착링 3이 압착리테이너 2로부터 빠저나오거나 벗겨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가공 하면 되는 것이다.
압착록크 4는 상기 본체 1에 체결되면서 동시에 상기 압착링 3에 압착력을 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록크몸체 41에는 연결관 P를 끼워조립하기 위한 관끼움부 42를 가공하고 있으며, 또한 록크몸체 41의 한쪽에는 상기 압착링 3을 압착하여 이 압착링 3을 연결관 P쪽으로 압착하기 위한 압착부 43을 가공하고, 내경에 상하부로 경사진 압착면이 형성되고 또 록크몸체 41의 외경에는 상기 제1체결부 16과의 체결을 위한 제2체결부 46을 각각 가공한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 1의 제1체결부 16과 압착록크 4의 제2체결부 46을 각각 나사가공을 하여 나사형체결부로 가공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는 반듯이 나사가공에 따른 나사형체결방법이 아닌 다른 체결방법이 사용될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본체에는 테이퍼형압착체결부로 제1체결부를 가공하고 압착록크에는 돌기형상의 제2체결부를 가공하여 압착형체결부(특허번호제588065호참조)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또는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는 플랜지형체결부(다음에 설명함)로 가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강한 탄성복원력과 밀봉성을 갖는 패킹 F를 별도로 준비한다.
도 5에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선형관이음쇠의 조립단면도를, 도 5에는 도 5의 G부분의 확대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관이음쇠를 사용하여 2개의 연결관 P, P를 체결고정할 때에는, 본체 1의 수납부 14, 14에 패킹 F, F와 압착리테이너 2, 2와 압착링 3, 3을 수납하며 이와 함께 본체 1에 연결관 P, P를 끼워조립하고, 압착록크 4, 4의 제2체결부 46, 46을 상기 제1체결부 16, 16에 각각 맞춰 체결한다.
이와같이 압착록크 4, 4의 제2체결부 46, 46을 본체 1의 제1체결부 16, 16에 체결하면 압착록크 4, 4의 압착부 43, 43은 압착링 3, 3을 패킹 F, F쪽으로 밀어 넣으며, 이렇게 밀려들어가는 압착링 3, 3의 밀착면 37, 37은 압착리테이너 2, 2의 밀착면 27, 27에 밀착되면서 압착리테이너 2, 2의 밀착면 26, 26은 다시 패킹 F, F를 밀어 패킹 F, F을 압축시키게 되며, 패킹 F, F의 압축상태가 끝나는 지점에 도달하면 압축리테이너 2, 2와 압축링 3, 3은 정지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정지상태에서 계속하여 압착록크 4, 4의 제2체결부 46, 46을 체결하면 이번에는 압착록크 4, 4의 압착부 43, 43은 압착링 3, 3을 연결관 P, P쪽으로 압착시키는 압착력으로 작용하고 이렇게 하여 압착되는 압착링 3, 3의 돌기부 35, 35는 연결관 P, P에 파고들어가며 이와같은 압착링 3, 3이 연결관 P, P에 파고 들어가는 압착작용이 끝나는 시점에서 압착록크 4, 4의 제2체결부 46, 46의 체결작업도 끝나게 되는 것이며 이상태에서 본체 1과 연결관 P, P는 단단히 체결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압착록크 4, 4의 제2체결부 46, 46은 본체 1의 제1체결부 16, 16에 체결되면서 압착링 3, 3은 연결관 P, P에 파고 들어간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본체 1과 연결관 P, P는 단단히 체결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에는 본발명에 따른 관이음쇠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7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분해단면도를, 도 8에는 도 7의 K부분의 확대단면도를, 도 9에는 도 7의 M부분의 확대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관에 가공하고 있는 수납부를 패킹 F와 압착리테이너 2를 함께 수납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가공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압착리테이너의 크기(직경)를 패킹보다 크게 가공하고 이에따라 제1관의 수납부의 크기도 패킹수납부와 리테이너수납부의 크기를 각각 다르게 가공하여, 압착록크의 체결압착 과정중에 압착리테이너가 패킹을 압착하는 거리를 제한하고자 하는 점에 있어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이며, 그 외의 다른부분에 있어서는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 및 작용효과가 동일한 것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에 있어서는 본체 10의 관몸체 101에 수납부 104 를 가공함에 있어, 패킹 F를 수납하는 패킹수납부 104A와 압착리테이너 20을 수납하는 리테이너수납부 104B를 분활하여 가공하되, 리테이너수납부 104B는 패킹수납부 104A보다 큰직경을 갖도록 하여 가공하며, 이 리테이너수납부 104B와 상기 패킹수납부 104A를 연결하여 걸림턱 104C를 가공함으로서, 압착리테이너 20이 상기 걸림턱 104C에 걸리면서 더 이상 패킹 F가 압착되는 것을 제한 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 104에 연하여 제1체결부 106을 가공하는 것으로 이 제1체결부 106은 상기 제1실시예에 따른 제1체결부 16과 동일유사한 형상구조로 가공하는 것이다.
압착리테이너 20은, 리테이너몸체 201을 형성함에 있어 그 크기(직경)를 패킹 F보다 크게하여 상기 리테이너수납부 104B에 수납이 가능한 크기로 가공하며, 리테이너몸체 201의 한쪽면은 상기 패킹 F에 밀착되는 밀착면 206을 가공하고 다른한쪽면은 상기 압착링 3에 밀착되는 밀착면 207을 가공하며, 상기 리테이너몸체 201과 밀착면 206과의 사이를 연결하여 테이퍼면 208을 가공한다.
도 10에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조립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관이음쇠를 사용하여 본체 10에 연격관 P, P를 체결고정할 때에는, 본체 10의 패킹수납부 104A에 패킹 F를 끼워조립하고 리테이너수납부 104B에는 압착리테이너 20과 압착링 3을 끼워조립하면서 함께 본체 10에 연결관 P, P를 끼워조립하고, 압착록크 4의 제2체결부 46을 상기 제1체결부 106에 맞춰 체결한다.
이와같이 압착록크 4의 제2체결부 46을 본체 10의 제1체결부 106에 체결하면 압착록크 4의 압착부 43은 압착링 3을 패킹 F쪽으로 밀어 넣으며, 이렇게 밀려들어가는 압착링 3의 밀착면 37은 압착리테이너 20의 한쪽 밀착면 207에 밀착되여 압착리테이너 20을 밀어넣으므로 압착리테이너 208은 상기 본체 10의 수납부 104의 리테이너수납부 104B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렇게 이동하는 압착리테이너 20의 다른 한쪽밀착면 206은 패킹 F를 밀어 넣으면서 패킹 F을 압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패킹 F의 압축작용은, 압착리테이너 20의 테이퍼면 208이 본체 101의 수납부 104의 걸림턱 104C에 밀착되고 압착리테이너 20이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는 지점에 정지할 때까지 진행되는 것이며, 이렇게 하여 압착리테이너 20이 걸림턱 104C에 정지 상태에서 패킹 F의 압축작용은 끝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압착리테이너의 20이 정지하고 패킹 F의 압축작용이 끝난 상태에서, 계속하여 압착록크 4의 제2체결부 46을 체결하면 이번에는 압착록크 4의 압착부 43의 압착력은 압착링 3을 연결관 P쪽으로 압착하는 압착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같은 압착력에 의해 압착링 3의 돌기부 35는 연결관 P에 파고들어가면서 연결관 P를 찝어 물게 되고, 이와같은 압착링 3의 찝어무는 압착작용이 끝나는 지점에서 압착록크 4의 체결작업은 끝나게 되는 것이며, 이상태에서 본체 10과 연결관 P는 단단히 체결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압착록크 4의 제2체결부 46은 본체 10의 제1체결부 106에 체결되면서 압착링 3은 연결관 P에 파고 들어간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본체 10과 연결관 P는 단단히 체결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도 11 및 도 12에는 본발명에 따른 관이음쇠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11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분해단면도를, 도 12에는 관이음쇠에 있어 사용되는 압착록크로서 (가)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일체형압착록크의 단면도를, (나)도는 제3실시예에 따른 분활형압착록크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압착록크를 형성함에 있어 압착부와 제2체결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일체형압착록크를 사용하고 있으나, 제2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에 있어서는 압착록크를 압착부와 제2체결부로 분활형성하여 분활형압착록크로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어 상이한 것이며, 그 외의 다른 부분은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모든 구성 및 작용효과가 동일한 것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에 있어서는 압착록크 5는 압착링 3을 압착하는 압착부 5A와, 상기 본체 1의 제1체결부 16과 체결하는 제2체결부 5B로 분활하여 분활형압착록크 5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와같이 분활형성하고 있는 압착부 5A와 제2체결부 5B는 서로 밀착되도록 하는 밀착면 57A와 57B를 각각 가공하여, 제2체결부 5B를 상기 제1체결부 16에 체결하면서 발생하는 체결압착력은, 제2체결부 5B의 밀착면 57B로부터 압착부 5A의 밀착면 57A를 통하여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받은 압착부 5A의 압착력은 상기 압착링 3에 전달 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도 13에는 제3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조립단면도를, 도 14에는 도 13의 H부분의 확대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를 사용하여 본체 1에 연결관 P, P를 연결고정할 때에는, 본체 1의 수납부 16, 16에 패킹 F, F와 압착리테이너 2, 2와 압착링 3. 3과 압착록크 5, 5의 압착부 5A, 5A를 수납함과 동시에 연결관 P, P를 본체 1에 끼워조립하고 압착록크 5, 5의 제2체결부 5B, 5B를 본체 1의 제1체결부 16, 16에 맞춰 체결한다.
이와같이 압착록크 5, 5의 제2체결부 5B, 5B를 체결하면 이 제2체결부 5B, 5B의 밀착면 57B, 57B는 상기 압착부 5A, 5A의 밀착면 57A, 57A에 밀착되면서 압착부 5A, 5A를 압착링 3, 3쪽으로 밀어 넣으며 이렇게 밀려들어가는 압착링 3, 3의 밀착면 37, 37은 압착리테이너 2, 2의 밀착면 27, 27에 밀착되면서 압착리테이너 2, 2는 패킹 F, F를 압축시키게 되는 것이며 패킹 F, F의 압축상태가 거의 끝나는 지점에 도달하면 압축리테이너 2, 2와 압축링 3, 3은 거의 정지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정지상태에서 압착록크 5, 5의 제2체결부 5B, 5B를 계속체결하면 이번에는 압착록크 5, 5의 압착부 5A, 5A 는 압착링 3, 3을 연결관 P, P쪽으로 압축시키는 압착력으로 작용하며 이렇게 하여 압착되는 압착링 3, 3의 돌기부 35, 35는 연결관 P, P에 파고들어가게 되며 이와같이 압착링 3, 3이 연결관 P, P에 파고 들어가는 압착작용이 끝나는 시점에서 압착록크 5, 5의 체결작업도 끝나게 되는 것이며 이상태에서 본체 1과 연결관 P, P는 단단히 체결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5 및 도 16에는 본발명에 따른 관이음쇠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며, 이 제4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는 본체를 T형으로 형성하고 이 T형본체에 3방향의 관연결부를 가공하며, 이렇게 가공하고 있는 관연결부에 3개의 연결관을 각 각 연결하도록 하고있는 T형관이음쇠에 관한 것으로, 도 15에는 제3실시예에 따른 T형관이음쇠의 분해단면도를, 도 16에는 제3실시예에 따른 T형관이음쇠의 조립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를 형성함에 있어 본체를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이 본체의 양쪽에 2개의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연결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나, 제4실시예에 따른 T형관이음쇠에 있어서는 본체를 T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본체의 3개의 방향에 관연결부를 형성하고 이 3개의 관연결부에 3개의 연결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점만 차이점이 있는 것이며, 그 외에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효과와 동일유사한 것이다.
제4실시예에 따른 T형관이음쇠에 있어서는 본체 6을 T형으로 형성하고, 이 T형본체의 몸체 61에는 패킹 F와 압착리테이너 2와 압착링 3을 수납하는 수납부 64를 각각 가공하며, 이 수납부 64에 연하여 제1체결부 66을 각각 가공한다.
이와같이 형성하고 있는 T형관이음쇠를 사용하여 3개의 관을 연결하고자 할때에는 T형본체 61에 형성하고 있는 3개의 관연결부에 각각 3개의 연결관 P, P, P를 조립하고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도 17 내지 도 18에는 본발명에 따른 관이음쇠의 제5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이며, 이 제5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는 본체를 L형으로 형성하고 이 L형본체의 양쪽방향으로 2개의 관연결부를 가공하며 이 2개의 관연결부에 2개의 연결관을 각각 연결하도록 하고있는 L형관이음쇠에 관한 것으로, 도 17에는 제4실시예에 따른 L형관이음쇠의 분해단면도를, 도 18에는 제3실시예에 따른 L형관이음쇠의 조립단면 도를, 도 19에는 도 18의 N부분의 확대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본체를 형성함에 있어 본체를 직선형으로 형성하여 이 본체의 양쪽에 2개의 연결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연결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나, 제5실시예에 따른 L형관이음쇠에 있어서는 본체를 L형으로 형성하여 2개의 관연결부를 형성하고 이 2개의 관연결부에 2개의 연결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만 차이점이 있는 것이며, 그 외에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구성 및 작용효과와 동일유사한 것이다.
제5실시예에 따른 L형관이음쇠에 있어서는 본체 7을 L형으로 형성하고, 이 L형본체의 몸체 71에는 패킹 F와 압착리테이너 2와 압착링 3을 수납하는 수납부 74를 각각 가공하며, 이 수납부 74에 연하여 제1체결부 76을 각각 가공한다.
이와같이 형성하고 있는 L형관이음쇠를 사용하여 2개의 관을 연결하고자 할때에는 L형본체 71에 형성하고 있는 2개의 관연결부에 각각 2개의 연결관 P, P를 조립하고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4에는 본발명에 따른 관이음쇠의 제6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도 20에는 제6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분해단면도를, 도 21에는 제6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조립단면도를, 도 22에는 도 21의 우측면도를, 도 23에는 제6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에 2개의 연결관 P, P를 각각 연결하고 있는 조립단면도를, 도 24에는 도 23의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6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에 있어서는, 본체에 가공하고 있는 제1체결부와 압착록크에 가공하고 있는 제2체결부를 각각 플랜지형으로 형성하고 있는 점에 있 어 제2실시예와 상이한 것이며 그 외의 다른 부분은 제1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갖고 있는 것이다.
제6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에서는 본체 8을 형성함에 있어서, 본체의 몸체 81에 수납부 84를 가공함에 있어 패킹 F를 수납하는 패킹수납부 84A와 압착리테이너 2을 수납하는 리테이너수납부 84B를 가공하고 상기 패킹수납부 84A 리테이너수납부 84B를 연결하여 걸림턱 84C를 가공하며, 이 수납부 84의 리테이너수납부 84B에 연하여, 플랜지부 86A와 체결구멍 86B를 각각 가공하여 플랜지형제1체결부 86을 형성하고 있으며, 압착록크 9를 형성함에 있어서, 록크몸체 91에 압착부 93을 가공하고 또한 록크몸체 91에 플랜지부 96A 와 체결구끼움구멍 96B를 가공하여 플랜지형제2체결부를 형성하며, 체결구 B를 별도로 준비하여 되는 것이다.
상기와같이 형성하고 있는 제6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를 사용하여 본체 8에 연결관 P, P를 체결고정하고자 할때에는, 본체 1의 수납부 84, 84에 패킹 F. F와 압착리테이너 2, 2와 압착링 3, 3을 수납함과 동시에 연결관 P, P를 본체 8에 끼워조립하고 난다음 압착록크 9, 9의 제2체결부 96, 96의 플랜지부 96A, 96A와 본체 1의 제1체결부 86, 86의 플랜지부 86A, 86A에 맞대고 체결구 B를 체결구끼움구멍 96B를 관통하여 체결구멍 86B에 체결한다.
이렇게 체결구 B를 체결하면 압착록크 9, 9에 가공하고 압착부 93, 93은 압착링 3, 3을 압착리테이너 2, 2쪽으로 밀어넣으며 계속되는 체결력에 의해 압착로크 9, 9의 압착부 93, 93은 압착링 3, 3을 연결관 P, P쪽으로 압착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며, 이하 계속되는 체결작용 및 압착작용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 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발명에 따른 관이음쇠는 여러 가지의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관이음쇠의 본체를 형성함에 있어 2개 또는 2개 이상의 관연결부의 크기(호칭직경)를 동일한 크기로 가공하고 이렇게 동일한 크기로 가공된 관이음쇠에 동일한 크기의 연결관을 연결할 수도 있는 것이며, 또는 본체를 형성함에 있어 각각의 관연결부의 크기를 각각 다른 크기로 가공하고 이렇게 크기가 다르게 가공된 관이음쇠에는 각각 크기가 다른 연결관을 연결할 수 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관이음쇠를 헝성함에 있어, 본체에 제1체결부와 압착록크에 제2체결부를 가공할 때에는,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체결부의 종류를 동일하게 할수 있는 것이며 또는 본체의 한쪽과 이에 대응되는 압착록크의 한쪽은 나사부에 의한 나사형체결부로 가공하고 본체의 다른한쪽과 이에 대응되는 압착록크의 다른 한쪽은 플랜지부에 의한 플랜지형체결부로 가공하는 것처럼 각각 다른 종류의 체결부를 가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발명에 따른 관이음쇠는 2개의 관과관을 연결하는데 사용하고 있는 관연결구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에 있어 제1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분해단면도.
도 2는 본발명에 따른 관이음쇠에 있어 압착링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F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본발명에 있어 제1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조립단면도.
도 6은 도 5의 G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7은 본발명에 있어 제2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분해단면도.
도 8은 도 7의 K부부의 확대단면도.
도 9는 도 7의 M부부의 확대단면도.
도 10은 본발명에 있어 제2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조립단면도.
도 11은 본발명에 있어 제3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분해단면도.
도 12는 본발명에 있어 압착록크의 단면도로서 (가)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일체형압착록크의 단면도, (나)도는 제3실시예에 따른 분활형압착록크의 단면도임.
도 13은 본발명에 있어 제3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조립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H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15는 본발명에 있어 제4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분해단면도.
도 16은 본발명에 있어 제4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조립단면도.
도 17은 본발명에 있어 제5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분해단면도.
도 18은 본발명에 있어 제5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조립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N부분의 확대단면도.
도 20은 본발명에 있어 제6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분해단면도.
도 21은 본발명에 있어 제6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의 조립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우측면도.
도 23은 본발명에 있어 제6실시예에 따른 관이음쇠에 2개의 연결관을 연결하고 있는 조립단면도.
도 24는 도 23의 우측면도.

Claims (4)

  1. 패킹수납부, 압착리테이너수납부, 압착링수납부 및 압착로크수납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되, 패킹수납부의 내경이 압착리테이너수납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양 수납부 사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체결부로 구성된 관몸체;
    좌측 또는 우측에‘<’모양으로 홈이 형성된 패킹;
    내경에 ‘V'형 돌기부가 형성된 압착링;
    외경의 상부 및 하부 좌우측에 밀착면이 형성된 압착리테이너;
    내경에 상하부로 경사진 압착부가 형성되고 외경에 제2체결부가 형성된 압착로크;를 포함하는 관이음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록크는 압착부와 제2체결부로 분할하여 분할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쇠.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플랜지부와 체결구멍을 가공한 플랜지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2체결부는 플랜지부와 체결구끼움구멍을 가공한 플랜지형으로 형성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쇠.
KR1020080051566A 2008-06-02 2008-06-02 관이음쇠 KR101013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566A KR101013105B1 (ko) 2008-06-02 2008-06-02 관이음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566A KR101013105B1 (ko) 2008-06-02 2008-06-02 관이음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445A KR20090125445A (ko) 2009-12-07
KR101013105B1 true KR101013105B1 (ko) 2011-02-14

Family

ID=4168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566A KR101013105B1 (ko) 2008-06-02 2008-06-02 관이음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7159A (zh) * 2018-11-20 2019-01-18 刘金宝 一种不锈钢管接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2814U (ko) * 1974-12-05 1976-06-08
JPH11210955A (ja) * 1998-01-21 1999-08-06 Cosmo Koki Co Ltd 管接続装置
JP2003083484A (ja) * 2001-09-11 2003-03-19 Hokkaido Suido Kizai Kk 配管接続用継手
KR20080077420A (ko) * 2007-02-20 2008-08-25 이봉주 관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2814U (ko) * 1974-12-05 1976-06-08
JPH11210955A (ja) * 1998-01-21 1999-08-06 Cosmo Koki Co Ltd 管接続装置
JP2003083484A (ja) * 2001-09-11 2003-03-19 Hokkaido Suido Kizai Kk 配管接続用継手
KR20080077420A (ko) * 2007-02-20 2008-08-25 이봉주 관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7159A (zh) * 2018-11-20 2019-01-18 刘金宝 一种不锈钢管接头
CN109237159B (zh) * 2018-11-20 2020-06-19 刘金宝 一种不锈钢管接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445A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6393B1 (ko) 아치형 강도 리브들을 갖는 결합부
US4050722A (en) Joint for conduit
EP1046853A1 (en) Resin pipe joint
US3653688A (en) Pipe coupling device
US20080224464A1 (en) Pipe coupling
US20040094950A1 (en) Pipe coupling
US12018778B2 (en) Integrated joining system in tubular fluid distribution elements
JP2007198523A (ja) 管継手
KR101013105B1 (ko) 관이음쇠
KR20090125446A (ko) 관연결구조
KR200177937Y1 (ko)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CN111868431A (zh) 管接头、管接头用的压环以及管的接合方法
US5562313A (en) Threadless connector for electrical conduits
JP2002039467A (ja) スリーブ型管継手
US5368336A (en) Split fitting/seal
JP2014121107A (ja) ネジ無し電線管用継手
KR20010088989A (ko) 파이프연결구
KR20080077420A (ko) 관연결구조
KR200387796Y1 (ko) 합성수지관 이음쇠
JP2006090362A (ja) 差込み型継手
KR19990018251A (ko) 금속관체용 관연결구조
KR200444985Y1 (ko) 삽입식 이중수밀 이음관
KR100912390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288643Y1 (ko) 나사 조임식 이음관
KR20070104483A (ko) 관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