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224Y1 -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 - Google Patents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224Y1
KR200184224Y1 KR2019990029262U KR19990029262U KR200184224Y1 KR 200184224 Y1 KR200184224 Y1 KR 200184224Y1 KR 2019990029262 U KR2019990029262 U KR 2019990029262U KR 19990029262 U KR19990029262 U KR 19990029262U KR 200184224 Y1 KR200184224 Y1 KR 200184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sealing
pipe
coupling portion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열
Original Assignee
박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열 filed Critical 박태열
Priority to KR2019990029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 pressure ring being arranged between the clamping ring and the threaded member or th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에 관한 것으로, 금속분기관(50)을 밀폐수단과 함께 관소켓(10) 안으로 압착밀폐시키기 위한 캡너트(40)의 조임동작을 먼저 손으로 간단하게 가체결시키고 조임공구로써 마무리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캡너트(40)의 전체적인 조임동작이 편리하게 되고 실질적인 밀폐수단으로 작용되는 밀폐패킹(20)의 압착형상이 구조적으로 균등하게 압착고정될 수 있어 결합틈새의 기밀유지가 높아질 수 있도록, 관소켓(10)은 내측에 나사형성된 캡결합부(13)의 안쪽부위에 밀폐패킹(20)의 삽입밀폐면(21)이 압착밀폐될 수 있도록 패킹압착면(14)이 곡면절곡되고, 밀폐패킹(20)은 서로 곡면절곡되면서 뒤쪽의 안내유도단(23)에 대해 앞쪽의 삽입밀폐면(21)이 확장형성되고 내측 중간에 금속재질의 보강고정링(25)이 압설되며, 밀폐패킹(20)을 감싸안으면서 전진이동시키는 상대적으로 경질인 패킹압착링(30)은 뒤쪽의 너트압착단(32)에 대해 앞쪽의 패킹압착단(31)이 확장형성되는 한편, 밀폐패킹(20)과 패킹압착링(30) 안으로 금속분기관(50)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들 밀폐패킹(20)과 패킹압착링(30)을 전진압착시키는 동시에 관소켓(10)의 캡결합부(13)에 대해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캡너트(40)는 전방돌출된 소켓결합부(31) 내측이 안쪽으로 축소되면서 외측 중간부위에 밀착유도홈(42)이 요홈형성되고 소켓결합부(41) 양쪽으로는 조임날개(44)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A piping reducer}
본 고안은 난방 및 급수배관이나 가스배관 등에 사용되는 동합금 및 스테인리스재질의 금속분기관을 외부로부터의 공급관에 밀폐연결시키기 위한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분기관을 밀폐수단과 함께 관소켓 안으로 압착밀폐시키기 위한 캡너트의 조임동작을 먼저 손으로 간단하게 가체결시키고 조임공구로써 마무리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캡너트의 전체적인 조임동작이 편리해지고, 특히 실질적인 밀폐수단으로 작용되는 밀폐패킹의 압착형상이 구조적으로 균등하게 압착고정될 수 있어 결합틈새의 기밀유지를 높힐 수 있는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임이음쇠를 매개로 외부로부터의 공급관과 해당 장소쪽으로의 금속분기관 사이를 연결 및 방향전환시킴에 있어, 내부압력이나 외부충격으로부터 이들 파이프간의 이음부위를 확실하게 기밀유지시켜 파이프를 통과하는 내용물의 누수 및 누유를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유체 및 가스공급용 관로로 사용되는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가 요구되고 있다.
즉, 이러한 조임이음쇠는 금속분기관이 삽입압착되는 관소켓 및 밀폐수단과 함께 금속분기관을 압착고정시키는 캡너트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삽입연결되는 금속분기관의 연결단부를 중심으로 관소켓과 캡너트간의 결합부위가 가혹환경에서도 확실하게 견딜 수 있는 기밀유지가 반드시 요구되었다.
한편, 원터치 회전식으로 조임이음쇠의 결합부위를 보다 확실하게 기밀유지시킬 수 있으면서 결합작업도 비교적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조개선된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는 다양한 결합구조로써 해당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5 및 도 6은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있는 종래기술에 따른 조임이음쇠의 분리상태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외측에 나사가 형성된 관소켓(110)의 캡결합부(113) 안으로 실리콘 또는 부틸고무와 같은 연질의 밀폐패킹(120)과 플라스틱이나 테프론과 같은 상대적으로 경질인 패킹압착링(130)을 끼워넣고, 이들 사이로 내식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동합금강 및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금속분기관 (150)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내측에 나사가 형성된 캡너트(140)의 소켓결합부(141)를 체결하여 원터치 회전식으로 너트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관소켓(110)의 캡결합부 (113) 안의 패킹압착면(115)으로 밀폐패킹(120)이 패킹압착링(130)과 함께 캡너트 (140)에 의해 가압전진되어 전진압착되면서 금속분기관(150)의 연결단부를 캡너트 (140)의 소켓결합부(141)에 의한 회전조임력으로 관소켓(110)의 캡결합부(113) 안에 가혹환경에 견딜 수 있는 기밀구조로써 밀폐고정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는 금속분기관(150)의 연결단부를 가혹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최소한의 기밀유지가 제공될 수 있도록 압착결합시킬 수 있으나, 금속분기관(150)을 밀폐수단인 밀폐패킹(120) 및 패킹압착링(130)과 함께 관소켓(110) 안으로 압착밀폐시키기 위한 캡너트(140)의 조임동작을 반드시 스패너와 같은 조임공구를 사용하여야만 한다는 작업불편이 있었으며, 특히 캡너트(140)의 조임가압력에 의해 전진압착되는 밀폐패킹(120)이 금속분기관(150)과 관소켓 (110) 사이의 결합틈새에 기밀유지될 수 있는 정확한 압착형상이 구조적으로 불량해질 수 있다는 단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지금까지의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가 갖는 구조적인 제반 단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금속분기관을 밀폐수단과 함께 관소켓 안으로 압착밀폐시키기 위한 캡너트의 조임동작을 먼저 손으로 간단하게 가체결시키고 조임공구로써 마무리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캡너트의 전체적인 조임동작이 편리해지고, 특히 실질적인 밀폐수단으로 작용되는 밀폐패킹의 압착형상이 구조적으로 균등하게 압착고정될 수 있어 결합틈새의 기밀유지가 높아질 수 있도록 하는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조임이음쇠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조임이음쇠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조임이음쇠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응용 실시예에 의한 조임이음쇠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6는 종래기술에 따른 조임이음쇠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7는 종래기술에 따른 배관이음쇠의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관소켓 11 : 공급관결합부
12 : 공구체결부 13 : 캡결합부
14 : 패킹압착면 20 : 밀폐패킹
21 : 삽입밀폐면 22 : 고정링결합홈
23 : 안내유도단 25 : 보강고정링
30 : 패킹압착링 31 : 패킹압착단
32 : 너트압착단 40 : 캡너트
41 : 소켓결합부 42 : 밀착유도홈
43 : 공구체결부 44 : 조임날개
50 : 금속분기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 본 고안은 절곡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여 난방 및 급수배관이나 가스배관용으로 사용되는 동합금 및 스테인리스재질의 금속분기관을 외부로부터의 공급관과 밀폐연결시키기 위한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에 있어서, 안으로 체결되는 캡너트의 소켓결합부에 대해 너트결합되는 관소켓은 내측에 나사형성된 캡결합부의 안쪽부위에 밀폐패킹의 삽입밀폐면이 면접촉 도달되어 압착밀폐될 수 있도록 패킹압착면이 곡면절곡되고, 아울러 연질인 상기 밀폐패킹은 서로 곡면절곡되면서 뒤쪽의 안내유도단에 대해 앞쪽의 상기 삽입밀폐면이 확장형성되고 내측 중간에 요홈된 고정링결합홈에는 금속재질의 보강고정링이 압설되며, 상기 밀폐패킹을 감싸안으면서 전진이동시키는 상대적으로 경질인 패킹압착링은 뒤쪽의 너트압착단에 대해 앞쪽의 패킹압착단이 확장형성되는 한편, 상기 밀폐패킹과 패킹압착링 안으로 금속분기관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들 밀폐패킹과 패킹압착링을 전진압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관소켓의 캡결합부에 대해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캡너트는 전방돌출된 소켓결합부 내측이 안쪽으로 축소되면서 그 안쪽 마감부위가 곡면절곡되고 외측 중간부위에 밀착유도홈이 요홈형성되면서 상기 소켓결합부 양쪽으로는 조임날개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에 의한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의 분리상태 외부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인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의 분리상태 내부구조를 단면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인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의 결합상태 내부구조를 단면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주름관이음쇠는 금속분기관(50)의 연결단부가 삽입밀착되는 관소켓(10)과 함께 이들 결합틈새에 압착밀폐되어 기밀유지시키는 밀폐패킹(20) 및 패킹압착링(30)를 포함하여 상기 관소켓(10)의 캡결합부(13)와 체결되면서 금속분기관(50)의 연결단부를 상기 밀폐패킹(20) 및 패킹압착링(30)과 함께 압착고정시키는 캡너트(40)로 구성된다.
상기 관소켓(10)은 파이프렌치와 같은 조임기구가 체결되는 공구체결부(12)를 중심으로 외부공급관(도면도시 생략)에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에 나사형성된 공급관결합부(11)와 동합금 및 스테인리스재질의 금속분기관(50)의 연결단부가 삽입고정되면서 캡너트(40)의 소켓결합부(41)가 안으로 볼트체결될 수 있도록 내측에 나사형성된 캡결합부(13)로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캡결합부(13)는 연질의 밀폐패킹(20)이 상대적으로 경질인 절연고정튜브(30)와 함께 캡너트(40)의 체결가압에 따라 안내삽입되면서 정확하게 밀폐압착될 수 있도록 안쪽부위에 상기 밀폐패킹 (20)의 삽입밀폐면(21)에 대응되는 패킹압착면(14)이 곡면절곡된다.
그리고, 금속분기관(50)의 연결단부에 밀폐수단으로 압착고정될 수 있도록 연질의 실리콘 또는 부틸고무재질로 형성되는 밀폐패킹(20)은, 관소켓(10)의 캡결합부(13) 안쪽부위에 곡면경사진 패킹압착면(14)으로 정확하게 전진도달되면서 면접촉 압착밀폐될 수 있도록 삽입밀폐면(21)이 곡면경사지게 형성되면서, 반대쪽에는 캡너트(40)의 체결가압에 따라 패킹압착링(3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크기 축소된 안내유도단(23)이 곡면절곡되며, 아울러 그 내측 중간에는 고정링결합홈(22)이 요홈형성되어 금속재질의 보강고정링(25)이 압설된다.
그리고, 연질의 밀폐패킹(20)을 관소켓(10)의 패킹압착홈(14) 안으로 이동압착시키면서 체결압착수단인 캡너트(40)와 금속분기관(50)과의 결합틈새를 절연 및 기밀유지시키게 되는 상대적으로 경질인 플라스틱 또는 테프론재질의 패킹압착링 (30)은, 밀폐패킹(20)의 안내유도단(23)을 감싸안으면서 전진이동시키면서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금속분기관(50)의 연결단부가 밀착삽입은 용이하나 뒤로 이탈빠짐이 구조적으로 억제될 수 있도록 뒤쪽의 너트압착단(32)에 대해 앞쪽의 패킹압착단 (31)이 확장형성된 형상을 이룬다.
또한, 밀폐패킹(20)과 패킹압착링(30) 안으로 금속분기관(50)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들 밀폐패킹(20)과 패킹압착링(30)을 전진압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관소켓 (10)의 캡결합부(13)에 대해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관소켓(10)과 같이 동합금 및 스테인리스재질의 캡너트(40)는, 전방돌출되면서 내측에 나사형성된 소켓결합부 (31)가 안쪽으로 축소되면서 그 안쪽 마감부위가 곡면절곡되어 패킹압착링(30)의 너트압착단(32)이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압착밀폐될 수 있도록 하며, 아울러 소켓결합부(41)와 공구체결부(43) 사이의 외측 중간부위에 밀착유도홈(42)이 요홈형성되면서 상기 소켓결합부(41) 양쪽으로는 조임공구 없이 작업자가 손으로 회전조임시킬 수 있는 조임날개(44)가 돌출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면서 안쪽부위에 밀폐패킹(20)의 삽입밀폐면(21)이 정확하게 면접촉될 수 있도록 곡면경사진 캡결합부(13) 안으로 연질의 밀폐패킹(20)과 함께 상대적으로 경질인 패킹압착링(30)을 삽입체결시킨 상태에서, 이들 사이로 금속분기관(50) 연결단부를 삽입시킨 다음에 캡너트(40)의 소켓결합부(41)를 상기 관소켓(10)의 캡결합부(13)에 대해 너트체결시켜 조여주게 되면, 상기 캡너트(40)의 체결가압에 의해 경질의 패킹압착링(30)이 상대적으로 연질의 밀폐수단인 밀폐패킹(20)을 가압시켜 상기 밀폐패킹(20)의 삽입밀폐면(21)이 상기 관소켓(10)의 패킹압착면(14)으로 정확하게 면접촉 압착밀폐되어 캡너트(40)와 금속분기관(50) 사이의 결합틈새를 구조적으로 확실하게 기밀유지시킬 수 있다.
즉, 금속재질의 보강고정링(25)이 압설된 밀폐패킹(20)과 상기 밀폐패킹(20)을 안내유도하는 패킹압착링(30)을 관소켓(10)의 캡결합부(13) 안으로 삽입시키고 이들 사이로 금속분기관(50)의 연결단부를 삽입시킨 다음, 캡너트(40)의 조임날개 (44)를 이용하여 우선적으로 캡너트(40)의 소켓결합부(41)를 관소켓(10)의 캡결합부(13)에 가체결하여 조여주고 최종적으로 조임공구로써 완전하게 조여주게 되면, 도 3에서 보는 바와같이 밀폐패킹(20)의 보강고정링(25)이 금속분기관(50)의 연결단부에 압착고정되면서 관소켓(10)의 캡결합부(13)와 금속분기관(50)의 연결단부 사이의 결합틈새에 깨끗하게 압착밀폐될 수 있으며, 동시에 패킹압착링(30)에 의해서 밀폐패킹(20)이 불필요한 틈새 밖으로 이탈되지 않고 캡너트(40)의 소켓결합부 (41)와 금속분기관(50)의 연결단부 사이를 기밀 및 절연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응용 실시예로써 관소켓(10)의 캡결합부(13)를 양쪽으로 형성시킨 응응 실시예로써 양쪽의 캡결합부(13)에 각각 캡너트(40)의 소켓결합부(41)가 너트체결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응용 실시예와 같이 이러한 본 고안의 원리에서 벗어남이 없이 실시가능한 모든 실시예와 실시예의 수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배관용 이음쇠에 의하면, 금속분기관을 밀폐수단과 함께 관소켓 안으로 압착밀폐시키기 위한 캡너트의 조임동작을 먼저 손으로 간단하게 가체결시키고 조임공구로써 마무리체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캡너트의 전체적인 조임작업성이 수월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실질적인 밀폐수단으로 작용되는 밀폐패킹의 압착형상이 기존과 다른 밀폐패킹의 진보된 형상에 의해 구조적으로 균등하게 압착고정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금속분기관의 기밀유지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

  1. 절곡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여 난방 및 급수배관이나 가스배관용으로 사용되는 동합금 및 스테인리스재질의 금속분기관을 외부로부터의 공급관과 밀폐연결시키기 위한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에 있어서,
    안으로 체결되는 캡너트(40)의 소켓결합부(41)에 대해 너트결합되는 관소켓 (10)은 내측에 나사형성된 캡결합부(13)의 안쪽부위에 밀폐패킹(20)의 삽입밀폐면 (21)이 면접촉 도달되어 압착밀폐될 수 있도록 패킹압착면(14)이 곡면절곡되고, 아울러 연질인 상기 밀폐패킹(20)은 서로 곡면절곡되면서 뒤쪽의 안내유도단(23)에 대해 앞쪽의 상기 삽입밀폐면(21)이 확장형성되고 내측 중간에 요홈된 고정링결합홈(22)에는 금속재질의 보강고정링(25)이 압설되며, 상기 밀폐패킹(20)을 감싸안으면서 전진이동시키는 상대적으로 경질인 패킹압착링(30)은 뒤쪽의 너트압착단(32)에 대해 앞쪽의 패킹압착단(31)이 확장형성되는 한편, 상기 밀폐패킹(20)과 패킹압착링(30) 안으로 금속분기관(50)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들 밀폐패킹(20)과 패킹압착링(30)을 전진압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관소켓(10)의 캡결합부(13)에 대해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캡너트(40)는 전방돌출된 소켓결합부(31) 내측이 안쪽으로 축소되면서 그 안쪽 마감부위가 곡면절곡되고 외측 중간부위에 밀착유도홈(42)이 요홈형성되면서 상기 소켓결합부(41) 양쪽으로는 조임날개(44)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
KR2019990029262U 1999-12-22 1999-12-22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 KR200184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262U KR200184224Y1 (ko) 1999-12-22 1999-12-22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9262U KR200184224Y1 (ko) 1999-12-22 1999-12-22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224Y1 true KR200184224Y1 (ko) 2000-06-01

Family

ID=1960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262U KR200184224Y1 (ko) 1999-12-22 1999-12-22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2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981B1 (ko) 2013-09-12 2015-01-16 (주)태흥앤피아이피 이중관 실링캡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981B1 (ko) 2013-09-12 2015-01-16 (주)태흥앤피아이피 이중관 실링캡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1762A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KR20080041664A (ko) 케이블 및 케이블 연결 어셈블리
US20230313919A1 (en)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KR100334542B1 (ko) 파이프커넥터
KR200187815Y1 (ko) 배관용 이음쇠
KR200184224Y1 (ko) 금속배관용 조임이음쇠
JPS61256091A (ja) 高圧用ホ−ス取付け具
KR200184206Y1 (ko) 가스배관용 주름관이음쇠
KR200185822Y1 (ko) 주름배관용 이음쇠
KR200181270Y1 (ko) 주름관이음쇠
US7090258B2 (en) Sealing socket and method for arranging a sealing socket to a tube
KR200187873Y1 (ko) 가스배관용 주름관이음쇠
KR200236479Y1 (ko) 원터치식배관연결장치
KR200181307Y1 (ko) 주름관이음쇠
KR200302821Y1 (ko) 파이프 연결장치
CN210240834U (zh) 一种管道连接组件
CN211715970U (zh) 一种低压管接头
KR101631598B1 (ko) 복합관용 피팅구조
CN216923528U (zh) 一种快速连接头的连接结构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CN210687363U (zh) 一种管道工程管道连接装置
CN113404925B (zh) 多重复合密封防泄漏式阀杆装置及其加工工艺
KR200387796Y1 (ko) 합성수지관 이음쇠
KR20240023843A (ko) 수밀성이 향상된 링타입 배관 연결구
KR200179507Y1 (ko) 합성수지배관용 이음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