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4781B1 - 진공개폐기 - Google Patents

진공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4781B1
KR101024781B1 KR1020090073307A KR20090073307A KR101024781B1 KR 101024781 B1 KR101024781 B1 KR 101024781B1 KR 1020090073307 A KR1020090073307 A KR 1020090073307A KR 20090073307 A KR20090073307 A KR 20090073307A KR 101024781 B1 KR101024781 B1 KR 101024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face plate
power
vacuum
vacuum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040A (ko
Inventor
게이지 고토
요시히로 오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2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4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53Cases; Reservoirs, tanks, piping or valves, for arc-extinguishing fluid; Accessories therefor, e.g. safety arrangements, pressure relie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2009/0292Transparent window or opening, e.g. for allowing visual inspection of contact position or contact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 Fuses (AREA)

Abstract

<과제> 전력퓨즈의 전방부(前方部)와 페이스 플레이트(face plate) 사이의 거리를 축소할 수 있는 진공개폐기를 얻는다.
<해결수단>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3)를 가지고, 전력퓨즈(18)를 구비해 전면부에 보호용 페이스 플레이트(25)가 설치된 진공개폐기에 있어서, 각 상(相)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 개의 전력퓨즈(18)를 길이방향을 진공개폐기의 전후방향을 향하고, 또한, 전면 측에서 보아 가로방향으로 일렬로 늘어 놓아 진공 인터럽터(3)의 위쪽에 배치하며, 각 전력퓨즈(18)의 전방부와 대향하는 페이스 플레이트(25)의 위치에 늘어 놓인 전력퓨즈(18)의 최대 폭보다도 큰 가로 폭과 전력퓨즈(18)의 최대 직경보다도 큰 세로 폭의 직사각형 모양의 창(25a)을 형성하고, 창을 폐색하는 절연판(27)을 페이스 플레이트의 이면(裏面)에 체결부재(28)로 장착했다.

Description

진공개폐기{VACUUM SWITCH}
본 발명은 전력퓨즈가 부착된 진공개폐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진공개폐기의 전면(前面)을 보호하는 페이스 플레이트(face plate)에 관한 것이다.
전면에 보호커버가 설치된 종래의 전력퓨즈가 부착된 진공개폐기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고압진공전자(高壓眞空電磁) 접촉기가 알려져 있다. 도면과 같이, 차륜(車輪)을 가지는 프레임체(31)에 절연프레임(32)이 장착되어 있고, 그 내측에 3상(相)의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33)가 배치되며, 진공 인터럽터(33)의 아래쪽에는 구동용 전자석과 가동철심을 구비한 전자조작기구(도시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또 진공 인터럽터(33)의 위쪽에는 고장전류차단용 전력퓨즈(34)가 각 상에 대응시켜서 배치되어 있다.
고전압의 충전부가 노출되는 전력퓨즈(34)와 진공 인터럽터(33)의 전면에는 보호커버(35)(본원발명의 페이스 플레이트에 상당)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호커버(35)는 한쪽의 측부를 절연프레임(32)에 돌출 형성한 걸어맞춤핀(36)에 걸어맞춤시키고, 다른 쪽의 단부를 프레임체(31)에 지지된 커넥터 패널(37)에 2개의 나사(38)로 체결하여 고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국 실개소63-69331호 공보(제4 페이지, 제1 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진공개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보호커버(이하, 페이스 플레이트(face plate)로 칭함)는 그 목적상, 어느 정도의 강도가 필요하고, 이 때문에, 통상은 금속판이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의 고압전자접촉기에서는 전면(全面)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페이스 플레이트로 덮여 있으므로, 전력퓨즈 전방부와 페이스 플레이트와의 절연거리를 확보하고자 하면, 최소 절연거리 이상의 이격(離隔)치수가 필요하며, 결과적으로, 진공개폐기가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전력퓨즈의 전방부와 페이스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를 축소할 수 있는 진공개폐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진공개폐기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내장한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를 가지고, 진공 인터럽터의 각 상의 고정접점 측에 도전(導電)접속된 복수 개의 전력퓨즈를 구비하며, 전면부에 보호용 페이스 플레이트가 설치된 진공개폐기에 있어서, 각 전력퓨즈는 길이방향을 진공개폐기의 전후방향을 향하고, 또한, 전면 측에서 보아 가로방향으로 일렬로 늘어 놓고 진공 인터럽터의 위쪽에 배치되며, 페이스 플레이트는 전력퓨즈의 전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로방 향으로 늘어 놓인 전력퓨즈의 최대 폭보다도 큰 가로 폭과 전력퓨즈의 직경보다도 큰 세로 폭의 직사각형 모양의 창을 가지고 있고, 페이스 플레이트의 이면에 창을 폐색하는 절연판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진공개폐기에 의하면, 각 상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 개의 전력퓨즈를 길이방향을 진공개폐기의 전후방향을 향하고, 또한, 전면 측에서 보아 가로방향으로 일렬로 늘어 놓고 진공 인터럽터의 위쪽에 배치하며, 각 전력퓨즈의 전방부와 대향하는 페이스 플레이트의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늘어 놓인 전력퓨즈의 최대 폭보다도 큰 가로 폭과 전력퓨즈의 직경보다도 큰 세로 폭의 직사각형 모양의 창을 가지고, 페이스 플레이트의 이면에 창을 폐색하는 절연판을 장착함으로써, 전력퓨즈의 전방부와 페이스 플레이트와의 내(耐)전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실질적으로 전력과 퓨즈와 페이스 플레이트와의 이격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진공개폐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실시형태 1.
이하, 실시형태 1에 따른 진공개폐기를 도 1 및 도 2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대차(臺車)(1)에 탑재된 절연프레임(2) 내에 진공개폐기의 주회로 접점을 구성하는 진공 인터럽터(3)가 3상분(分) 늘어 놓아 배치되어 있다. 진공 인터럽터(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진공용기 내에 고정접점(4)과 가동접점(5)이 내장 되고, 고정접점(4)으로부터 고정로드(rod)(6)가 외부에 도출(導出)되며, 가동접점(5)으로부터 가동로드(7)가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고정로드(6)의 선단 측은 절연프레임(2)에 고정된 고정 측 단자(8)에 접속되고, 가동로드(7)의 선단 측은 절연로드(9)를 통하여 자동축(10)에 일단이 고착(固着)된 레버(11)에 연결되어 있다. 또, 진공용기로부터 도출된 가동로드(7)의 중간부는 가요(可撓)도체를 통하여 절연프레임(2)에 고정된 가동 측 단자(12)에 접속되어 있다. 이 가동 측 단자(12)는 다시 가동 측 주회로 도체(13)와 접속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부하 측 도체와 접속되는 접촉자(14)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측 주회로 도체(13)는 대차(1)에 고정된 지지부재(15)에 지지되어 있다.
진공 인터럽터(3)의 아래쪽에는 가동철심(16)과 전자석(17)을 가지는 전자조작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전자석(17)에 의해서 가동철심(16)이 흡인(吸引)되면 회동축(10)이 회동하고, 연동하여 레버(11)가 구동되며, 이 구동력이 절연로드(9), 가동로드(7), 가동접점(5)에 전달되어 양(兩)접점(4, 5)이 접리하도록 되어 있다.
진공 인터럽터(3)의 위쪽에는 소정 이상의 전류가 흘렀을 때에 전기회로를 차단하기 위한 전력퓨즈(18)가 3상의 진공 인터럽터(3)의 각 상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전력퓨즈(18)의 배치방향은 3개를 서로 병행시켜, 그 길이방향을 진공개폐기의 전후방향으로 수평을 향하고, 또한, 전면 측에서 보아 3개의 전력퓨즈(18)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일렬로 늘어 놓아서 배치되어 있다.
전력퓨즈(18)에는 전면 측의 퓨즈의 축심부에 퓨즈 스트라이커(fuse striker)(18a)를 구비하고 있다. 퓨즈 스트라이커(18a)는, 도 2 중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퓨즈가 동작하여 용단(溶斷)했을 때에 스프링에 의해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용단을 표시하는 용단표시장치이다. 퓨즈 스트라이커(18a)의 전방에 용단검출장치(도시생략)를 설치해 두고, 돌출을 검출하면, 예를 들면, 보조 릴레이(relay)를 통하여 진공개폐기로 당겨 빼냄 지령을 주도록 이용되지만, 본 발명의 주요부는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력퓨즈(18)는 그 양단부에 설치된 퓨즈 캡(fuse cap)(18b)(단자부)을 퓨즈 홀더(fuse holder)(19)에 장착하고, 퓨즈 홀더(19)를 통전부에 고정하는 것으로 도전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측의 퓨즈 홀더(19)는 절연프레임(2) 측에 고정된 접속도체(20)를 통하여 고정 측 단자(8)에 접속되어 있다. 배면 측의 퓨즈 홀더(19)는 접속도체(21)를 통하여 고정 측 주회로 도체(22)에 접속되어 있다. 고정 측 주회로 도체(22)는 지지부재(15)에 지지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는 전원 측 도체와 접속되는 접촉자(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각 상의 전력퓨즈(18)의 상간(相間)에는 절연 베어리어(barrier)(24)가 설치되어 있다.
진공개폐기의 전면부, 즉 절연프레임(2)의 전면부에 진공개폐기의 전면을 보호하는 페이스 플레이트(25)가 대차(1)와 절연프레임(2)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26)로 나사고정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페이스 플레이트(25)는 얇은 강판(鋼板)으로 이루어지고, 고전압의 충전부가 노출되는 전력퓨즈(18)나 진공 인터럽터(3) 및 전자조작기구 등의 조작부나 제어기기가 노출되는 부분을 덮어, 그들을 보호함과 동시에 조작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페이스 플레이트(25)는 각 전력퓨즈(18)의 전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늘어 놓인 3상의 전력퓨즈(18)의 최대 폭보다도 큰 가로 폭을 가지고, 전력퓨즈(18)의 직경(퓨즈 캡(18b)부가 최대 직경이 됨)보다도 큰 세로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창(25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페이스 플레이트(25)의 이면에 페이스 플레이트(25)의 창부(25a)를 폐색하고, 전력퓨즈(18)의 상면의 일부를 덮도록 절연판(27)이 볼트 또는 피스 등의 체결부재(28)에 의해서 나사잠금되어 있다. 절연판(27)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절연판재(예를 들면, 아크릴판)를 이용하여 단면이 'L'자 모양으로 굽혀져 형성되어 있다. 'L'자 모양으로 형성된 상부 측은 전력퓨즈(18) 상면의 일부를 덮는 부분이지만, 더욱이, 양측면도 이와 같이 'L'자 모양으로 접곡되어 전력퓨즈(18)의 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해도 된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진공개폐기의 구성(특히, 전자조작기구부의 구성)은 일례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앙부에 진공 인터럽터(3)를 가지고, 진공 인터럽터(3)의 아래쪽에 조작기구가 배치되고, 위쪽에 전력퓨즈(18)를 구비하며, 전면 측에 페이스 플레이트(25)가 설치된 진공개폐기이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페이스 플레이트(25)와 절연판(27)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력퓨즈(18)의 퓨즈 캡(18b)은 노출된 고압충전부이다. 한편, 금속제의 페 이스 플레이트(25)는 접지부이다. 따라서, 전력퓨즈(18)의 전면 측의 퓨즈 캡(18b)과 페이스 플레이트(25) 사이는 내전압의 관점에서는 최약점부가 되기 때문에, 필요한 내전압 성능을 얻기 위해서 소정의 절연거리를 확보해 둘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출원의 실시형태 1의 진공개폐기에서는 전력퓨즈(18)의 전방부에 대향하는 페이스 플레이트(25)의 위치에 창(25a)을 개구시켜, 양자 사이의 절연거리를 실질적으로 길게 하고, 또한 절연판(27)으로 개구부를 폐색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내전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창(25a)이 없는 경우와 동일한 내전압 성능으로 좋다면, 전력퓨즈(18)와 페이스 플레이트(25)의 이격(離隔)거리를 짧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의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퓨즈 캡(18b)의 단부로부터 창(25a)의 개구연까지의 거리를 D로 하고, 퓨즈 캡(18b)의 전면으로부터 페이스 플레이트(25)까지의 최소 거리(축 방향 거리)를 d로 한다. 창(25a)이 없는 경우는, d치수를 필요한 절연거리로서 확보할 필요가 있었지만, 창(25a)이 있는 경우는, D치수를 필요한 절연거리로 하면 된다. 즉, 창(25a)을 형성한 것에 의해, 퓨즈 캡(18b)과 페이스 플레이트(25)와의 이격거리를 (D - d)만큼 축소할 수 있다. 이 결과, 진공개폐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절연판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함으로써, 퓨즈 스트라이커(18a)가 부착된 전력퓨즈(18)의 경우, 퓨즈가 용단하여 퓨즈 스트라이커(18a)가 돌출된 동작을 창(25a)을 통해서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퓨즈의 동작검출수단을 마련하지 않아도 퓨즈의 용단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퓨즈 스트라이커가 부착된 전력퓨즈가 아닌 경우는 절연판(27)을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할 필요는 없고, 불투명의 절연판(27)으로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의 진공개폐기에 의하면, 각 상에 대응해서 설치된 복수 개의 전력퓨즈를 길이방향을 진공개폐기의 전후방향을 향하고, 또한, 전면 측에서 보아 가로방향으로 일렬로 늘어 놓아 진공 인터럽터의 위쪽에 배치하며, 각 전력퓨즈의 전방부와 대향하는 페이스 플레이트의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늘어 놓인 전력퓨즈의 최대 폭보다도 큰 가로 폭과 전력퓨즈의 직경보다도 큰 세로 폭의 직사각형 모양의 창을 형성하고, 페이스 플레이트의 이면에 창을 폐색하는 절연판을 장착함으로써, 전력퓨즈의 전방부와 페이스 플레이트와의 내전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실질적으로 전력퓨즈와 페이스 플레이트와의 이격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진공개폐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진력퓨즈는 용단을 표시하는 퓨즈 스트라이커를 가지고, 절연판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함으로써, 퓨즈 스트라이커가 부착된 전력퓨즈를 구비한 진공개폐기의 경우, 상기의 효과에 더하여, 퓨즈가 용단하여 퓨즈 스트라이커가 돌출한 동작을 창을 통해 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전력퓨즈의 동작확인이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한 진공개폐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진공개폐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진공개폐기의 페이스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절연판이다.
도 4는 종래의 페이스 플레이트를 구비한 진공전자 접촉기이다.
<부호의 설명>
1 대차 2 절연프레임
3 진공 인터럽터 4 고정접점
5 가동접점 6 고정로드
7 가동로드 8 고정 측 단자
9 절연로드 10 회동축
11 레버 12 가동 측 단자
13 가동 측 주회로 도체 14, 23 접촉자
15 지지부재 16 가동철심
17 전자석 18 전력퓨즈
18a 퓨즈 스트라이커 18b 퓨즈 캡
19 퓨즈 홀더 20, 21 접속도체
22 고정 측 주회로 도체 24 절연 베어리어
25 페이스 플레이트 25a 창
26, 28 체결부재 27 절연판.

Claims (2)

  1.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을 내장한 진공 인터럽터(vacuum interrupter)를 가지고,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각 상(相)의 상기 고정접점 측에 도전(導電)접속된 복수 개의 전력퓨즈를 구비하며, 전면부(前面部)에 보호용 페이스 플레이트(face plate)가 설치된 진공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각 전력퓨즈는 길이방향을 진공개폐기의 전후방향을 향하고, 또한, 전면 측에서 보아 가로방향으로 일렬로 늘어 놓아 상기 진공 인터럽터의 위쪽에 배치되며,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전력퓨즈의 전방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늘어 놓인 상기 전력퓨즈의 최대 폭보다도 큰 가로 폭과 상기 전력퓨즈의 직경보다도 큰 세로 폭의 직사각형 모양의 창을 가지고 있고,
    상기 페이스 플레이트의 이면(裏面)에 상기 창을 폐색하는 절연판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개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퓨즈는 용단(溶斷)을 표시하는 퓨즈 스트라이커(fuse striker)를 가지고, 상기 절연판은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개폐기.
KR1020090073307A 2009-05-11 2009-08-10 진공개폐기 KR1010247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14613 2009-05-11
JP2009114613A JP2010263747A (ja) 2009-05-11 2009-05-11 真空開閉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040A KR20100122040A (ko) 2010-11-19
KR101024781B1 true KR101024781B1 (ko) 2011-03-24

Family

ID=4307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307A KR101024781B1 (ko) 2009-05-11 2009-08-10 진공개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263747A (ko)
KR (1) KR101024781B1 (ko)
CN (1) CN101887819B (ko)
TW (1) TWI4041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493A (ko) * 2020-10-05 2022-04-12 신성산전주식회사 퓨즈부착 부하개폐기용 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1362B2 (en) * 2012-05-24 2014-07-29 General Electric Company Shutter door assembly for an electrical panel
KR200484887Y1 (ko) * 2013-09-16 2017-11-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퓨즈 조합형 진공 접촉기
CN103730287A (zh) * 2013-12-20 2014-04-16 吴江市东泰电力特种开关有限公司 真空电力开关器
CN105845492A (zh) * 2016-06-06 2016-08-10 广西南宁德通网络有限公司 一种真空断路设备
KR200487085Y1 (ko) * 2016-12-29 2018-08-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전자접촉기의 퓨즈 케이스
WO2021090420A1 (ja) * 2019-11-07 2021-05-14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開閉器およびスイッチギ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8821A (ja) * 1993-01-11 1994-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遮断器
KR100324801B1 (ko) 1997-07-24 2002-08-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개폐기
KR100857439B1 (ko) 2008-02-29 2008-09-08 한빛전기감리(주) 수변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810U (ko) * 1980-07-04 1982-01-30
JPS58190206A (ja) * 1982-04-27 1983-11-07 神鋼電機株式会社 引出形高圧電磁接触器
JPS59129324U (ja) * 1983-02-10 1984-08-30 株式会社東芝 閉鎖配電盤
JPS6012205U (ja) * 1983-07-04 1985-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断路形ユニツト
JPS61237321A (ja) * 1985-04-12 1986-10-22 株式会社東芝 絶縁ケ−ス
JPS6369331U (ko) * 1986-10-23 1988-05-10
JP3039032B2 (ja) * 1991-09-10 2000-05-08 富士電機株式会社 真空電磁接触器
JPH0946830A (ja) * 1995-07-24 1997-02-14 Nissin Electric Co Ltd スイッチギヤ
JP3744688B2 (ja) * 1998-05-22 2006-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ユニット台車
JP3600781B2 (ja) * 2000-06-06 2004-12-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密閉形電動圧縮機用保護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密閉形電動圧縮機及び冷却システム
US20070012894A1 (en) * 2005-07-18 2007-01-18 G-Light Display Corp. Vacuum gate valve
JP4955354B2 (ja) * 2006-04-28 2012-06-20 富士電機株式会社 引出形機器及び配電盤
US7576957B2 (en) * 2006-05-01 2009-08-18 Eaton Corporation Circuit interrupter including point-on-wave controller and voltage senso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8821A (ja) * 1993-01-11 1994-07-26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遮断器
KR100324801B1 (ko) 1997-07-24 2002-08-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개폐기
KR100857439B1 (ko) 2008-02-29 2008-09-08 한빛전기감리(주) 수변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493A (ko) * 2020-10-05 2022-04-12 신성산전주식회사 퓨즈부착 부하개폐기용 구동장치
KR102457966B1 (ko) * 2020-10-05 2022-10-26 신성산전주식회사 퓨즈부착 부하개폐기용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04100B (zh) 2013-08-01
KR20100122040A (ko) 2010-11-19
JP2010263747A (ja) 2010-11-18
CN101887819B (zh) 2013-01-16
TW201041003A (en) 2010-11-16
CN101887819A (zh)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4781B1 (ko) 진공개폐기
US9208978B2 (en) Electromagnetic operating device
EP2178097A2 (en) Switchgear
US8173916B2 (en) Move-out type interlock apparatus for circuit breaker
KR101704807B1 (ko) 차단기용 전자반발 조작기
RU2396627C2 (ru)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размыкатель цепи и способ размыкания тока
US7075027B1 (en) Spring-charged mechanism assembly employing two trunnion members moveable in different planes and circuit interrupter employing the same
US20110058311A1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KR20140036111A (ko) 직류 개폐기의 소호 기구, 및 상기 소호 기구를 가지는 직류 개폐기 및 직류 차단기
CN112543985A (zh) 开关装置和用于操作开关装置的方法
US4973805A (en) Arc runner, containment support assembly
US20140361858A1 (en) Actuator for contactor
KR100844274B1 (ko) 고압 진공 전자접촉기의 3-포지션 스위치 구조
JP5123894B2 (ja) 真空絶縁スイッチギヤ
KR100987585B1 (ko) 배전반의 셀스위치 구동용 주축로드
KR101883574B1 (ko) 진공 차단기의 위치 검출장치
JP2005038630A (ja) 真空遮断装置
JP5152899B2 (ja) 電力ヒューズの溶断表示装置
CN108987194A (zh) 电路断路器以及电路断路器的安全装置单元
US11955301B2 (en) Switching device
KR101198508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접지개폐기
CN220290742U (zh) 一种断路器隔离联锁装置
CN216980480U (zh) 一种具有间接脱扣功能的车载直流断路器
KR101252409B1 (ko) 히터 결합부를 갖는 베이스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배선용 차단기
CN115148556A (zh) 集成式保护模块和断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