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920B1 -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 Google Patents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920B1
KR101023920B1 KR1020100041844A KR20100041844A KR101023920B1 KR 101023920 B1 KR101023920 B1 KR 101023920B1 KR 1020100041844 A KR1020100041844 A KR 1020100041844A KR 20100041844 A KR20100041844 A KR 20100041844A KR 101023920 B1 KR101023920 B1 KR 101023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balancing device
battery
terminal
cel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621A (ko
Inventor
신인철
윤종문
장민철
여재성
유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00120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2Connection only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전지셀들을 병렬 연결하여 전지셀들 상호간의 전압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로서, 둘 이상의 전지셀들이 각각 장착되는 구획부들이 상향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 본체; 상기 절연성 본체에 장착된 전지셀의 양극 및 음극을 인접한 전지셀의 양극 및 음극에 연결하도록 절연성 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단자 연결부들; 및 상기 구획부에 대한 전지셀의 장착과 상기 단자 연결부들에 대한 전지셀 전극단자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전지셀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구획부들의 장착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Battery Cell Voltage Balancing Device}
본 발명은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둘 이상의 전지셀들을 병렬 연결하여 전지셀들 상호간의 전압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로서, 둘 이상의 전지셀들이 각각 장착되는 구획부들이 상향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 본체; 상기 절연성 본체에 장착된 전지셀의 양극 및 음극을 인접한 전지셀의 양극 및 음극에 연결하도록 절연성 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단자 연결부들; 및 상기 구획부에 대한 전지셀의 장착과 상기 단자 연결부들에 대한 전지셀 전극단자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전지셀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구획부들의 장착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의 증가로, 이차전지의 수요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에너지 밀도와 작동전압이 높고 보존과 수명 특성이 우수한 리튬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는 물론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에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화되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도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이차전지의 적용 분야와 제품들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지의 종류 또한 그에 알맞은 출력과 용량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화되고 있고, 당해 분야 및 제품들에 적용되는 전지들은 소형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PDA,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들은 해당 제품들의 소형 경박화 경향에 따라 그에 상응하도록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소형 경량의 전지 셀들이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전기자전거, 전기오토바이,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의 전지모듈(또는 전지팩)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전지셀(단위전지)들을 포함하고 있는 중대형 이차전지모듈은 특히 고출력의 제공을 위해 구성 전지셀들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전지셀들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용량 및 전압 규격의 전지들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동일 규격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요소들에 기인한 제조공정 상의 한계로 인해 실제로 전지셀들은 전압차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이 이와 같이 전압차를 가지는 경우 전지모듈의 성능은 저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전지모듈 제조시의 경우뿐만 아니라 전지모듈의 사용 중에도 여러 요인들로 인해 전지셀들의 전압차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들의 전압차를 최소화함으로써 전지모듈의 작동상태를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모듈을 이루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병렬 연결하여 전지셀들 상호간의 전압차를 최소화하여 전지모듈 성능의 최적화를 위한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한 구조의 절연성 본체, 단자 연결부들, 폭 조절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구조의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는, 둘 이상의 전지셀들을 병렬 연결하여 전지셀들 상호간의 전압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로서, 둘 이상의 전지셀들이 각각 장착되는 구획부들이 상향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 본체; 상기 절연성 본체에 장착된 전지셀의 양극 및 음극을 인접한 전지셀의 양극 및 음극에 연결하도록 절연성 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단자 연결부들; 및 상기 구획부에 대한 전지셀의 장착과 상기 단자 연결부들에 대한 전지셀 전극단자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전지셀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구획부들의 장착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셀 밸런싱 장치를 이용할 경우, 전지모듈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해당 장치에 장착하여 셀 전압 밸런싱을 구현함으로써 전지셀들 상호간의 전압차를 최소화하여 모듈 성능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으며, 보다 편리하게 셀 전압 밸런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병렬 연결하여 전지셀들 상호간의 전압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전지모듈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전지모듈의 제조시 또는 사용 중에 전지셀들을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 동안 병렬로 접속시키는 경우, 전지셀들의 전압차가 최소화되어 전지모듈의 성능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전지셀의 개수는 병렬 연결이 가능한 둘 이상의 개수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2 내지 50개일 수 있다. 이러한 전지셀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획부의 수도 결정된다.
상기 전지셀들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및/또는 복합 산화물을 양극 활물질로서 사용하는 리튬 이차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전지셀의 형태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양극과 음극이 양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구조의 판상형 또는 각형 전지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지셀은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의 본체는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둘 이상의 전지셀들이 각각 장착되는 구획부들이 상향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전압 밸런싱을 위해, 전지셀들이 상기 구획부들에 각각 장착될 때, 상기 전지셀의 양극 및 음극은 절연성 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단자 연결부들 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단자 연결부는 인접한 전지셀의 양극 및 음극에 각각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절연성 본체는, 전지셀 전극단자가 단자 연결부들에 대응하는 위치로 구획부에 전지셀을 장착할 때, 전지셀의 하부 양면을 감싸는 장착부들과, 상기 단자 연결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장착부들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는 측면부들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단자 연결부는,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절연성 본체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를 인접한 단자 연결부의 제 1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도전성 스트립이고, 제 2 연결부는 도전성 와이어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단자 연결부에 대한 전지셀 전극단자의 접촉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도전성 스트립은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탄력적으로 가압되면서 접촉될 수 있도록 전극단자 대면 부위가 절곡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탄력적인 절곡 구조의 도전성 스트립은, 예를 들어, 일측이 상기 절연성 본체의 측면부에 고정되어 있고, 전극단자 대면 부위가 'V'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판상형 스프링과 같은 탄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셀 전극단자에 대해 탄력적으로 가압되면서 접촉될 수 있으므로, 전지셀의 전극단자와 도전성 스트립간의 거리를 정밀하게 조절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전기적 접촉을 보장할 수 있다.
도전성 스트립과 도전성 와이어의 전기적 연결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전성 나사에 의해 절연성 본체의 측면부에 함께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절연성 본체의 측면부에 도전성 스트립과 도전성 와이어를 동시에 장착하면서 상호간에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예로는, 소정의 단자 연결부(a)에 그것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측면부들의 단자 연결부들(b, c)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단자 연결부(a)에 장착되어 있는 1개의 도전성 스트립에, 단자 연결부들(b, c)과 각각 연결되는 2개의 도전성 와이어들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들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는 또한 폭 조절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폭 조절부는 전지셀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구획부들의 장착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구획부에 대한 전지셀의 장착과 상기 단자 연결부들에 대한 전지셀 전극단자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구획부들이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폭 조절부는, 양 단부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 상태로 구획부들을 관통하는 1개 이상의 바(bar); 구획부들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바에 장착되어 있는 압축 스프링들;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최외측 구획부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핸들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고, 관통홈을 포함하고 있는 고정 플레이트; 최외측 구획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고, 내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 관통홈을 포함하고 있는 가변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관통홈과 가변 플레이트의 나사선 관통홈을 통과하는 구조로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고,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바(screw bar);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구획부들 사이의 간격은 폭 조절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폭 조절부의 바는 그것의 양 단부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 상태로 구획부들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바에 의해 구획부들은 작동 조건에 따라 바의 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구획부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바에 장착되어 있는 압축스프링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다. 즉, 압축스프링은 일정한 압력으로 구획부들의 측면을 가압하여 구획부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구획부들 간의 간격은 핸들에 의해 조절된다. 즉, 핸들을 조작하여 구획부를 가압하거나 구획부로부터 가압력을 해제하면, 구획부는 그것을 관통하고 있는 바의 축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한편, 스크류 바가 고정플레이트의 관통홈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하고, 가변 플레이트의 나사선 관통홈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과 스크류 바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이 서로 맞물려 있으므로, 핸들의 조작을 통해 스크류 바를 회전시키면, 나사선의 진행 방향을 따라 가변플레이트가 전후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폭 조절부의 핸들의 조작으로 가변 플레이트를 전진-후진하여 구획부들의 장착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구획부들의 장착폭을 최대로 하여 보다 수월하게 전지셀을 장착할 수 있고, 그런 다음, 구획부들의 장착폭을 좁혀서 전지셀 전극단자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는 상기 전지셀들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과 밸런싱 시간을 표시하는 검출/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표시부는, 예를 들어, 전압 측정기; 절연성 본체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검출 단자; 상기 검출 단자를 전압 측정기에 연결하는 도전성 와이어; 및 검출 전압 및 밸런싱 시간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검출 단자 중 양극 검출 단자는 측면부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고, 음극 검출 단자는 하나의 측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음극 검출 단자는 측면부의 음극 단자 연결부 중 도전성 스트립 상에 함께 연결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음극 단자 연결부는, 2개의 음극 단자 연결부들이 하나의 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전지셀 등의 전압의 측정은 전지셀들마다 개별적으로 전압을 측정하여야 하므로, 각각의 전지셀이 개별적으로 전압 측정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양극 검출단자는 상기 측면부들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 검출단자가 각각에 설치되어 있어서 전지셀 역시 각각 따로 전압 측정기와 연결되므로 전지셀들마다 개별적인 전압측정이 가능하다.
상기 검출/표시부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전지셀들의 밸런싱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런싱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밸런싱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는 상기 밸런싱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싱 장치에 포함되는 구조일 수도 있고, 또한, 별도의 입출력 단자와 와이어에 의하여 외부에서 연결되는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병렬 접속을 행하는 소정의 시간은 단위전지들의 수, 전압, 용량, 소망하는 전압의 레벨링 수준 등 다양한 요소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밸런싱은 병렬 연결을 통하여 평준화된 각각의 전지셀들의 전압이 0.001V의 단위까지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이용한 전지셀들의 전압 레벨링은 전지모듈의 제조시 또는 사용 중에 임의의 시간대에서 행할 수 있다. 전지모듈 제조시에는 당해 단위전지들의 직렬방식 연결에 앞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를 사용하여 전압차를 최소화한 둘 이상의 전지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전지셀들이 전압차가 최소화 된 경우 최상의 작동상태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압차를 최소화 한 전지셀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지모듈은 최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모듈의 다양한 구조들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는 전지모듈을 이루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병렬 연결하여 전지셀들 상호간의 전압차를 최소화하여 전지모듈 성능을 최적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지 셀 밸런싱 장치는, 전지모듈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장착하여 셀 전압 밸런싱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가변적으로 구획부의 위치를 변경하여 다수의 전지셀들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셀 전압 밸런싱 과정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의 양극 단자부의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의 음극 단자부의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에서 구획부의 간격이 넓혀진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에서 구획부의 간격이 좁혀진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에 전지셀이 장착된 경우에 있어서 음극 단자부의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100)는 다수의 전지셀들이 장착되는 다수의 구획부들(210)이 상향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 본체(200)와, 절연성 본체(20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단자 연결부들(310, 320)(양극 단자 연결부(310), 음극 단자 연결부(320)), 및 전지셀들(도시하지 않음)이 장착된 상태에서 구획부들(210)들의 장착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폭 조절부(500)를 포함하고 있다.
절연성 본체(200)는, 구획부(210)에 전지셀을 장착할 때, 전지셀의 하부 양면을 감싸는 장착부들(220), 및 단자 연결부들(310, 3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장착부들(220)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는 측면부들(300)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100)에는 전지셀들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과 밸런싱 시간을 표시하는 검출/표시부가 일측에 추가로 포함되어 있다.
상기 검출/표시부는, 전압 측정기(610); 절연성 본체(200)의 측면부(300)에 설치되어 있는 검출 단자(620, 630); 검출 단자(620, 630)를 전압 측정기(610)에 연결하는 도전성 와이어(621, 631); 및 검출 전압 및 밸런싱 시간을 표시하는 모니터(64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양극 단자 연결부 및 음극 단자 연결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단자 연결부들(310, 320)은,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절연성 본체(200)의 측면부(300)에 장착되어 있는 도전성 스트립(311, 321), 및 도전성 스트립(311, 321)을 인접한 단자 연결부의 도전성 스트립(311, 32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와이어(312, 322)로 이루어져 있다.
도전성 스트립(311, 321)은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탄력적으로 가압되면서 접촉될 수 있도록 전극단자 대면 부위가 절곡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전성 스트립(311, 321)과 도전성 와이어(312, 322)는 도전성 나사(330)에 의해 절연성 본체(200)의 측면부(300)에 함께 결합되어 있다.
단자 연결부(310, 320)는, 1개의 도전성 스트립(311, 321)에,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측면부들(300)의 단자 연결부들(310, 320)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2개의 도전성 와이어들(312, 322)이 결합되어 있다. 도전성 와이어들(312, 322)은 측면부들(300)의 단자 연결부들(310, 320)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탄력적인 절곡 구조의 도전성 스트립(311, 321)은 일측이 절연성 본체(200)의 측면부(300)에 도전성 나사(30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전극대면 부위가 대략 'V'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전극셀(도시하지 않음)의 전극단자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면서 안정적인 접촉 상태를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음극 단자 연결부(320)는 2개의 음극 단자 연결부들(320)이 하나의 측면부(300)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음극 단자 연결부(320)는 2개 단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전기적 접속을 이룰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검출 단자(620, 630) 중 양극 검출 단자(620)는 측면부들(300) 각각에 설치되어 있고, 음극 검출 단자(630)는 하나의 측면부(300)에 설치되어 있다.
전지셀 등의 전압의 측정은 전지셀들마다 개별적으로 전압을 측정하여야 하므로, 각각의 전지셀이 개별적으로 전압 측정기(도 1: 6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양극 검출단자(620)는 측면부들(300)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음극 검출단자(630)는 양극 검출단자(620)가 각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각마다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음극 단자 연결부(320) 중 도전성 스트립(321) 상에 함께 연결되어 각각의 전지셀의 음극과 전체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양극 검출단자(620)가 각각에 설치되므로 전지셀 역시 각각 따로 전압 측정기(610)와 연결되어 전지셀마다 개별적인 전압측정이 가능하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의 평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구획부들(210)은 베이스 플레이트(400) 상에 가변적으로 탑재되어 있다.
폭 조절부(500)는, 양 단부들이 베이스 플레이트(400)에 고정된 상태로 구획부들을 관통하는 한 쌍의 바(bar; 510)와, 구획부들(210)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바(510)에 장착되어 있는 압축 스프링들(520), 및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최외측 구획부(210')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핸들(530)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핸들(530)은, 베이스 플레이트(400)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고 관통홈(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는 고정 플레이트(410), 최외측 구획부(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고 내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 관통홈(421)을 포함하고 있는 가변 플레이트(420), 및 고정 플레이트(410)의 관통홈(412)과 가변 플레이트(420)의 나사선 관통홈(421)을 통과하는 구조로 고정 플레이트(410)에 고정되어 있고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바(screw bar; 540)로 이루어져 있다.
도 5에는 도 4의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에서 폭 조절부에 의해 구획부의 간격을 좁힌 상태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구획부들(210)간의 거리는 핸들(530)에 의해 조절된다. 즉, 핸들(530)은 베이스 플레이트(400)의 일측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핸들(530)의 조작을 통해 구획부(21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스크류 바(540)는 고정플레이트(420)의 관통홈(421)을 통과하도록 되어있고 관통홈(421)에 의하여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스크류 바(540)는 또한 가변 플레이트(420)의 나사선 관통홈(421)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나사선 관통홈(421)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은 스크류 바(540)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과 서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핸들(530)의 조작을 통해 스크류 바(540)를 회전시키면, 나사선의 진행 방향을 따라서 가변플레이트(420)가 움직이게 되고, 최외측 구획부(210')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변 플레이트(420)가 움직임에 따라 구획부들(210)의 간격이 조절된다. 결과적으로, 가변 플레이트(420)는 핸들(530)의 회전 조작방향에 따라 스크류 바(540)의 축 방향으로 전진-후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폭 조절부(500)의 핸들(530) 조작으로 가변 플레이트(420)를 전진-후진하여 구획부들(420)의 장착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구획부들(210)의 장착폭을 최대로 하여 보다 수월하게 전지셀을 장착한 후 구획부들(210)의 장착폭을 좁혀서 전지셀 전극단자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는 전지셀이 장착되어 있는 하나의 예시적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의 부분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100)의 음극 단자 연결부(620)의 부분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다.
도 2,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전지셀(70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획부들(210)간의 간격이 넓혀진 상태에서 구획부(210)에 장착되게 되고, 전지셀(700)은 하부 양면을 감싸는 장착부들(220)에 의해 고정된다. 전지셀(700)이 장착되면, 전지셀(700)의 전극단자(710)는 단자 연결부들(320)에 대응하는 위치로 오게 된다.
전지셀(700)은 구획부들(210) 간의 간격이 넓혀진 상태에서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100)에 장착되게 되므로, 전지셀(700)의 전극단자(7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존재하는 단자 연결부들(320)로 인한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도 수월하게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전지셀(700)을 장착한 후,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폭 조절부(500)의 핸들(530)을 조작하여 구획부들(210) 간의 간격을 좁히게 되면 도전성 스트립(321)이 전지셀(700)의 전극단자(710)에 탄력적으로 가압되면서 접촉된다.
도전성 스트립(321)은 탄력적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구획부들(210) 간의 간격이 반드시 정밀하게 조절될 필요 없이 전지셀(700)의 전극단자(710)와 도전성 스트립(321)간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0)

  1. 둘 이상의 전지셀들을 병렬 연결하여 전지셀들 상호간의 전압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로서,
    둘 이상의 전지셀들이 각각 장착되는 구획부들이 상향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 본체;
    상기 절연성 본체에 장착된 전지셀의 양극 및 음극을 인접한 전지셀의 양극 및 음극에 연결하도록 절연성 본체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단자 연결부들; 및
    상기 구획부에 대한 전지셀의 장착과 상기 단자 연결부들에 대한 전지셀 전극단자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전지셀들이 장착된 상태에서 구획부들의 장착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폭 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양극과 음극이 양 단부에 각각 위치하는 구조의 판상형 또는 각형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전지케이스에 양극/분리막/음극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해액과 함께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본체는, 전지셀 전극단자가 단자 연결부들에 대응하는 위치로 구획부에 전지셀을 장착할 때, 전지셀의 하부 양면을 감싸는 장착부들; 및 상기 단자 연결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장착부들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는 측면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부는,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절연성 본체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를 인접한 단자 연결부의 제 1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는 도전성 스트립이고, 제 2 연결부는 도전성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스트립은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탄력적으로 가압되면서 접촉될 수 있도록 전극단자 대면 부위가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스트립과 도전성 와이어는 도전성 나사에 의해 절연성 본체의 측면부에 함께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부는, 1개의 도전성 스트립에,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측면부들의 단자 연결부들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2개의 도전성 와이어들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들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폭 조절부는, 양 단부들이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 상태로 구획부들을 관통하는 1개 이상의 바(bar); 구획부들 사이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바에 장착되어 있는 압축 스프링들;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최외측 구획부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있고, 관통홈을 포함하고 있는 고정 플레이트; 최외측 구획부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고, 내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선 관통홈을 포함하고 있는 가변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관통홈과 가변 플레이트의 나사선 관통홈을 통과하는 구조로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있고, 외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바(screw 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들의 전압을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과 밸런싱 시간을 표시하는 검출/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표시부는, 전압 측정기; 절연성 본체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검출 단자; 상기 검출 단자를 전압 측정기에 연결하는 도전성 와이어; 및 검출 전압 및 밸런싱 시간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자 중 양극 검출 단자는 측면부들 각각에 설치되어 있고, 음극 검출 단자는 하나의 측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검출 단자는 측면부의 음극 단자 연결부 중 도전성 스트립 상에 함께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2개의 음극 단자 연결부들이 하나의 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표시부로부터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밸런싱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은 병렬 연결한 결과 평준화된 각각의 전지셀들의 전압이 0.001V의 단위까지 일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퍼스널 컴퓨터(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20. 제 1 항에 따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를 사용하여 전압차를 최소화한 둘 이상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20100041844A 2009-05-06 2010-05-04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KR101023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312 2009-05-06
KR20090039312 2009-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621A KR20100120621A (ko) 2010-11-16
KR101023920B1 true KR101023920B1 (ko) 2011-03-22

Family

ID=4305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844A KR101023920B1 (ko) 2009-05-06 2010-05-04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84350B2 (ko)
EP (1) EP2429024B1 (ko)
JP (1) JP5430745B2 (ko)
KR (1) KR101023920B1 (ko)
CN (1) CN102422479B (ko)
WO (1) WO20101287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4686B1 (ko) * 2011-05-17 2013-04-15 강성일 폴리머 전지 충,방전 검사장치
KR101233240B1 (ko) * 2011-06-13 2013-02-14 안혁 이차전지 검사용 트레이
EP2755274A4 (en) * 2011-09-05 2015-06-03 Nihon Micronics Kk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SHEET BATTERY
JP2013240219A (ja) * 2012-05-16 2013-11-28 Sharp Corp 蓄電池システムおよび蓄電池システム構築方法
KR101456901B1 (ko) * 2012-05-16 2014-10-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 가스 제거 장치
US9315113B2 (en) 2012-12-21 2016-04-19 Ample Inc. Electric vehicle battery systems with exchangeable parallel electric vehicle battery modules
EP3683589B1 (en) 2018-06-11 2023-03-29 LG Energy Solution, Ltd. Simultaneous inspection device of multiple secondary battery cell pouches
CN109979665B (zh) * 2019-05-10 2022-03-22 安顺市乾辰谷材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连接的分拆抗拉式漆包线
CN111679207B (zh) * 2020-05-09 2023-03-14 军事科学院系统工程研究院军事新能源技术研究所 一种金属空气电池及放电测试系统
CN113346179B (zh) * 2021-04-16 2022-08-26 安徽理士新能源发展有限公司 基于高精度叠片工艺的汽车起动用蓄电池
USD1012844S1 (en) * 2023-09-12 2024-01-30 Tengjiang Tang Charging st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3882A (ja) 2002-05-07 2003-11-14 Fuji Heavy Ind Ltd 板状電池、および板状電池の接続構造
JP2005235428A (ja) 2004-02-17 2005-09-02 Nissan Motor Co Ltd バイポーラ電池、組電池およびこれらの電池を備えた車両
KR100809846B1 (ko) 2005-03-17 2008-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밸런싱을 위한 지그
KR100859957B1 (ko) 2007-04-06 2008-09-24 주식회사 미트 스택형 금속 연료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4841A (en) * 1972-12-29 1974-10-29 Energy Res Corp Modular battery construction
US6146778A (en) * 1997-07-25 2000-1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lid-state energy storage module employing integrated interconnect board
JP2000100480A (ja) * 1998-09-28 2000-04-07 Kataoka Seisakusho:Kk 薄型電池の電極接触装置並びに電極接触方法
EP0997741A3 (en) * 1998-10-31 2001-04-04 Mirae Corporation Carrier for an integrated circuit module handler
KR100302517B1 (ko) * 1998-11-09 2001-09-22 정문술 모듈아이씨핸들러용캐리어
JP2002042763A (ja) * 2000-07-28 2002-02-08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制御弁式鉛蓄電池の収納金枠
JP3516649B2 (ja) * 2000-10-04 2004-04-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蓄電池収納キャビネット及び蓄電池収納接続方法
JP2002298929A (ja) * 2001-03-30 2002-10-11 Japan System Engineering Kk ポリマーラミネート型二次電池の検査装置
JP2004055432A (ja) * 2002-07-23 2004-02-19 Techno Core International Kk 二次電池の充電方法及び使用方法
JP2004319334A (ja) * 2003-04-17 2004-11-11 Nittetsu Elex Co Ltd 扁平型電池の充放電及び検査システム
AR045377A1 (es) * 2003-08-15 2005-10-26 Rovcal Inc Metodo y aparato para cargar celdas electroquimicas
JP2005151679A (ja) * 2003-11-14 2005-06-09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組電池の電圧調整方法
EP2590242B1 (en) * 2004-12-24 2019-09-18 LG Chem, Ltd.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attery module by leveling voltage
KR100590050B1 (ko) * 2005-01-26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5270915B2 (ja) * 2005-03-01 2013-08-21 日本電気株式会社 モジュール用筐体、フィルム外装電気デバイス用ケース、および組電池
JP2006269345A (ja) * 2005-03-25 2006-10-05 Nec Lamilion Energy Ltd 過電圧検出方法、装置及びバッテリパック
WO2006112501A1 (ja) * 2005-04-20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二次電池の保護回路、電池パック、及び感熱保護スイッチ装置
KR100720820B1 (ko) * 2005-05-10 2007-05-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압 레벨링에 의한 전지모듈 성능의 향상 방법 및 이를위한 병렬 접속장치
KR100991084B1 (ko) * 2005-12-15 2010-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멀티 전지 팩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지팩
JP5092387B2 (ja) * 2006-03-09 2012-12-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
KR100748311B1 (ko) * 2006-09-01 2007-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및 전력 입력 장치
KR100881212B1 (ko) * 2007-04-28 2009-02-05 (주)테크윙 테스트핸들러용 픽앤플레이스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3882A (ja) 2002-05-07 2003-11-14 Fuji Heavy Ind Ltd 板状電池、および板状電池の接続構造
JP2005235428A (ja) 2004-02-17 2005-09-02 Nissan Motor Co Ltd バイポーラ電池、組電池およびこれらの電池を備えた車両
KR100809846B1 (ko) 2005-03-17 2008-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밸런싱을 위한 지그
KR100859957B1 (ko) 2007-04-06 2008-09-24 주식회사 미트 스택형 금속 연료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9024B1 (en) 2016-12-28
JP5430745B2 (ja) 2014-03-05
WO2010128791A2 (ko) 2010-11-11
WO2010128791A3 (ko) 2011-03-31
JP2012526351A (ja) 2012-10-25
EP2429024A4 (en) 2013-06-12
US20110062915A1 (en) 2011-03-17
CN102422479B (zh) 2014-04-16
KR20100120621A (ko) 2010-11-16
EP2429024A2 (en) 2012-03-14
CN102422479A (zh) 2012-04-18
US8384350B2 (en)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920B1 (ko)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CN102077390B (zh) 电池单元互连和电压感测组件以及用于将电池单元组件与其耦合的方法
US9806386B2 (en) Battery pack
KR100801635B1 (ko) 전지 팩의 전지 전압 및 온도 측정용 부재
US9356269B2 (en) Battery pack
KR101795718B1 (ko) 확장형 배터리 셀 모듈 조립체
JP5636443B2 (ja) バッテリパック
US20200203782A1 (en) Battery Module
KR101802926B1 (ko) 셀의 신호 처리를 위한 센싱 어셈블리를 가지는 배터리
JP2015513199A (ja) 燃料電池スタックおよびその圧縮システム
KR101728101B1 (ko) 이차 전지의 충방전용 지그,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충방전 장치 및 시스템 및, 이차 전지의 충방전용 지그의 배치 방법
EP3846273A1 (en) Battery pack
WO2015127840A1 (zh) 电池组及电池模块
US11799143B2 (en) Battery pack
JP4568495B2 (ja) 組蓄電装置
JP2004127778A (ja) 燃料電池
JP2019169254A (ja) 蓄電装置
KR101487209B1 (ko) 전지셀의 충방전 장치
CN115066797A (zh) 电池模块和电池组
RU2649315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KR102556473B1 (ko) 전기에너지 저장방출팩의 제어기판연결장치
WO2023167217A1 (ja) バイポーラ型電池
CN109659162B (zh) 蓄电组件
KR101074992B1 (ko) 이차전지용 배터리 셀 단자
US20120088126A1 (en) Battery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