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692B1 - 주입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피닝 공법 - Google Patents

주입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피닝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692B1
KR101023692B1 KR1020087003077A KR20087003077A KR101023692B1 KR 101023692 B1 KR101023692 B1 KR 101023692B1 KR 1020087003077 A KR1020087003077 A KR 1020087003077A KR 20087003077 A KR20087003077 A KR 20087003077A KR 101023692 B1 KR101023692 B1 KR 101023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nozzle
filling hole
inner cylinder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6074A (ko
Inventor
쇼고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에프에스 테크니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에스 테크니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프에스 테크니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8003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03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 E04G23/0211Arrangements for filling cracks or cavities in building constructions using inj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주입 노즐(22)의 접속 암(31)은 접착제 유로(36)를 가진다. 노즐 외측 실린더(32)는 접속 암(31)에 의해 지지되고, 접착제 유로(36)와 연통하는 중간 유로(48) 및 밀봉 부재(44)를 가진다. 노즐 내측 실린더(33)는 밀봉 부재(44)를 통해 연장하고, 노즐 외측 실린더(32)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고, 중간 유로(48)와 연통하는 연통 구멍(64) 및 접착제 토출구(63)를 가진다. 조작 부재(34)는 마감재(3)를 통해 소정의 깊이로 골조(2) 내에 보링된 충전용 구멍(8) 내부에서, 접착제 토출구(63)가 충전용 구멍(8) 내부에 깊게 놓이는 전진 위치와 접착제 토출구(63)가 충전용 구멍(8) 내부에 얕게 놓이는 후퇴 위치 사이로 노즐 내측 실린더(33)를 이동시킨다.
Figure R1020087003077
주입 노즐, 접속 암, 접착제 유로, 실린더, 밀봉 부재

Description

주입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피닝 공법{INJECTION NOZZLE AND PIN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른바 "분리(separation)"가 발생한 외벽 또는 내벽과 같은 벽체를 보수하는데 채용되는 피닝(pinning) 공법용 주입 노즐에 관한 것이고, 동시에 이 주입 노즐을 이용한 피닝 공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주입 노즐로서는, 선단부에 토출구를 형성한 주사기 바늘과 같은 형상의 내측 실린더 및, 내주면 주위에서 이 내측 실린더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내부가 접착제용 유로로서 기능하는 외측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내측 실린더는 외측 실린더에 대하여 접착제의 주입력을 받을 시, 전진한다(일본국 특허 공개 제2003-147971호 공보). 이 주입 노즐을 이용한 피닝 공법에서는, 마감재(타일, 석재 등),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 골조로 이루어지는 외벽의 보수가 필요한 개소에 충전용 구멍을 보링(boring)한 후에, 주입 노즐이 장착된 수지 주입기(즉, 수지 주입용 주입기)를 이용함으로써 접착제(에폭시 수지 접착제)의 주입이 수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주입 노즐을 충전용 구멍의 개구부에 대하여 가압한 채로 유지하고, 수지 주입기를 펌핑한다. 이어서, 먼저 내측 실린더가 접착제에 의한 주입력을 받아서 전진하여, 내측 실린더의 토출구는 충전용 구멍의 저부 에 도달한다. 그 후, 토출구로부터 접착제의 토출이 개시됨으로써, 접착제는 충전용 구멍의 최 심부(深部)로부터 점차적으로 충전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종래의 주입 노즐에 의하면, 접착제를 충전용 구멍의 최 심부에서부터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충전용 구멍의 최 심부에 공기 잔류 등이 일어날 가능성은 없다. 그러나, 모르타르와 콘크리트 골조 사이의 간격(이른바 "분리 부분(separated portion)")이 크면, 접착제가 이 간격에 흘러들어갈 수 있어서, 충전용 구멍의 얕은 위치에 접착제가 도달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마감재와 모르타르 사이에서도 "분리 부분"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으로는 "분리 부분"을 접착제로 충분하게 충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해결책으로서, "분리 부분"측으로 주입 노즐을 빼내면서 주입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충전용 구멍의 개구부의 밀봉이 해제되므로, 이와 같은 종류의 부분 내에는 접착제를 충분히 주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충전용 구멍의 심부로부터 얕은 부분에 이르는 범위 내에 접착제를 충분하게 주입할 수 있는 주입 노즐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피닝(pinning) 공법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감재를 통해 골조에 소정의 깊이로 보링된 충전용 구멍 내에 상기 충전용 구멍의 개구부를 밀봉하면서 이루어지는 접착제 주입에 의해서 수행되는 피닝 공법용의 주입 노즐이 제공되어, 사용시에 주입기 본체에 장착되게 된다. 상기 주입 노즐은 상기 주입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주입기 본체와 연통하는 접착제 유로를 가지는 접속 암과, 상기 접속 암에 의해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접착제 유로와 연통하는 중간 유로를 가지는 동시에 선단부에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가지는 노즐 외측 실린더와, 상기 밀봉 부재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노즐 외측 실린더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단부에 상기 중간 유로와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고 선단부에 접착제 토출구가 형성된 노즐 내측 실린더와, 상기 접착제 토출구가 상기 충전용 구멍의 저부에 도달하는 전진 위치와 상기 접착제 토출구가 상기 충전용 구멍 내부에서 상기 밀봉 부재를 넘어 돌출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노즐 내측 실린더를 이동시킬 수 있는 조작 부재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노즐 외측 실린더의 밀봉 부재에 의해 충전용 구멍의 개구부가 밀봉된 상태에서 주입기 본체로부터 접착제를 송출하면, 접착제는 접속 암의 접착제 유로를 통해서 노즐 외측 실린더의 중간 유로에 유입되고, 또한 노즐 내측 실린더의 연통 구멍으로부터 접착제 토출구로 흐른다. 이 접착제 토출구로부터 접착제가 충전용 구멍 내에 주입된다. 이 때, 조작 부재에 의해 노즐 내측 실린더가 전진 위치로 이동하면 접착제는 충전용 구멍의 심부에 주입되고, 후퇴 위치로 이동하면 접착제가 충전용 구멍의 얕은 부분에 주입된다. 충전용 구멍의 심부 및 얕은 부분으로의 주입은 충전용 구멍의 개구부가 밀봉 유지되는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는 "분리 부분"에도 충분히 퍼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조작 부재는 노즐 내측 실린더의 후단부에 접속되고 노즐 외측 실린더의 후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로드형(rod-shaped)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작 부재에 의해 노즐 내측 실린더는 후단부로부터 밀고 당기도록 조작될 수 있고, 노즐 내측 실린더의 전진 및 후퇴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노즐 내측 실린더 및 조작 부재는 둘레 벽(peripheral wall)에 연통 구멍을 형성한 일체형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노즐 내측 실린더 및 조작 부재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조작 부재는 노즐 내측 실린더보다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작 부재에 의해 노즐 내측 실린더가 전진된 상태에서 충전용 구멍의 심부로부터 접착제의 주입이 개시되면, 주입이 진행됨에 따라 중간 유로의 내압은 증가한다. 중간 유로의 내압이 증가하면, 이 내압은 직경이 큰 조작 부재에 강하게 작용하고, 결과적으로 노즐 내측 실린더는 조작 부재에 의해서 점차적으로 후퇴한다. 즉, 조작 부재의 후퇴 조작을 하지 않고도, 노즐 내측 실린더는 자동적으로 후퇴할 수 있다. 이 방식에서, 접착제는 충전용 구멍의 심부로부터 얕은 부분까지의 범위에 걸쳐 충분히 주입될 수 있다. 중간 유로의 내압과 노즐 내측 실린더의 후퇴 개시 타이밍 사이의 밸런스는 조작 부재의 직경에 의해, 노즐 외측 실린더에 대한 조작 부재의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또는 이 슬라이딩 저항과 밀봉 부재에 대한 노즐 내측 실린더의 슬라이딩 저항의 조합에 의해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주입 노즐은 접착제 토출구로부터 충전용 구멍에 주입된 접착제의 토출압을 받는 수압(pressure-receiving) 플랜지를 노즐 내측 실린더의 선단부에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작 부재에 의해 노즐 내측 실린더가 전진된 상태에서, 접착제의 주입이 충전용 구멍의 심부로부터 개시되면, 충전용 구멍에 주입된 접착제는 수압 플랜지를 밀어냄으로써, 노즐 내측 실린더는 후퇴된다. 결과적으로, 노즐 내측 실린더는 마감재 등의 분리 부분에 의해 접착제의 토출압(주입압)이 완화되는 위치로 자동적으로 후퇴될 수 있다. 접착제의 토출압과 노즐 내측 실린더의 후퇴 개시 타이밍 사이의 밸런스는 밀봉 부재 등에 대한 노즐 내측 실린더의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노즐 내측 실린더는 연통 구멍을 형성하는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가지며, 이 보강 부재는 노즐 내측 실린더의 후퇴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노즐 내측 실린더의 연통 구멍을 형성하는 부분을 보강하는 것뿐만 아니라 노즐 내측 실린더가 노즐 외측 실린더 내의 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노즐 외측 실린더는 원통형 외측 실린더 본체, 외측 실린더 본체의 선단을 폐쇄하는 선단 폐쇄 덮개, 및 외측 실린더 본체의 후단을 폐쇄하는 후단 폐쇄 덮개를 포함하고, 선단 폐쇄 덮개는 밀봉 부재의 베이스 부분을 선단 폐쇄 덮개와 외측 실린더 본체 사이에 개재한 상태에서 외측 실린더 본체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밀봉 부재의 외측 실린더 본체로의 조립과 외측 실린더 본체의 선단의 폐쇄를 간단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밀봉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외측 실린더 본체의 선단은 액밀(liquid tight) 상태로 밀봉될 수 있다.
한편, 노즐 내측 실린더의 후단부에는 노즐 외측 실린더의 내주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피스톤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작 부재에 의해 노즐 내측 실린더가 전진된 상태에서 접착제의 주입이 충전용 구멍의 심부로부터 개시되면, 주입이 진행됨에 따라 중간 유로의 내압은 증가한다. 중간 유로의 내압이 증가하면, 이 내압은 피스톤부에 작용함으로써, 피스톤부에 의해서 노즐 내측 실린더는 점차적으로 후퇴된다. 즉, 조작 부재의 후퇴 조작 없이 노즐 내측 실린더가 자동적으로 후퇴될 수 있으므로, 접착제는 충전용 구멍 내의 심부로부터 얕은 부분까지의 범위에 걸쳐 충분하게 주입된다. 중간 유로의 내압과 노즐 내측 실린더의 후퇴 개시 타이밍 사이의 밸런스는 노즐 외측 실린더에 대한 피스톤부의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 또는 이 슬라이딩 저항과 밀봉 부재에 대한 노즐 내측 실린더의 슬라이딩 저항의 조합에 의해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골조 및 마감재로 이루어진 벽 부재를 보수하는 피닝 공법이 제공되며, 상기 공법은 청구항 1에 따른 주입 노즐 및 주입 노즐이 장착된 주입기 본체로 이루어진 접착제 주입기를 이용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공법은 마감재를 통해 골조를 소정의 깊이로 관통함으로써 충전용 구멍을 보링하는 단계, 접착제 주입기로 충전용 구멍의 개구부를 밀봉하면서 충전용 구멍 내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단계, 및 접착제가 주입된 충전용 구멍에 마감재를 골조에 고정하는 앵커 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작 부재를 조정하여 노즐 내측 실린더를 전진 또는 후퇴하게 함으로써, 접착제가 충전용 구멍의 심부로부터 얕은 부분까지의 범위에 균일하게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골조의 보수가 양호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입 노즐 및 피닝 공법에 따르면, 골조에 대한 마감재의 "분리 부분"이 충전용 구멍의 깊이 방향으로 복수 개소에 존재하거나, 이 위치가 서로 차이가 있더라도, 노즐 내측 실린더를 전진 또는 후퇴 조작함으로써 충전용 구멍으로의 접착제 주입은 적당하고 충분하게 수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분리 부분"이 발생한 벽체의 완벽한 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주입기를 외벽의 충전용 구멍에 이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접착제 주입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입 노즐의 단면도.
도 4의 (a) 내지 도 4의 (c)는 충전용 구멍에 삽입된 앵커 핀의 정면도.
도 5의 (a) 내지 도 5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피닝(pinning) 공법에서의 보링 단계, 접착제를 주입하는 제 1 단계, 및 접착제를 주입하는 제 2 단계 각각을 나타내는 단계도.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는 접착제를 주입하는 제 3 단계, 접착제를 주입하는 제 4 단계, 및 앵커 핀을 삽입하는 단계 각각을 나타내는 단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입 노즐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입 노즐의 단면도.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입 노즐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입 노즐 및 이를 이용하는 피닝(pinning) 공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 피닝 공법에서, "분리(separation)"가 발생한 건물의 외벽, 계단통(stairwell), 홀(hall) 등의 내벽(벽체)의 보수되어야 할 개소에 보링된 충전용 구멍에 그 개구부로부터 접착제 주입기의 주입 노즐이 삽입된다. 이어서, 충전용 구멍에 접착제가 주입되고, 그 후, 충전용 구멍에는 앵커 핀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분리를 보수한다. 이하에서는 건물의 외벽에 이러한 보수가 시공되는 일례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1은 접착제 주입기가 외벽에 이용되는 경우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건물 또는 구조체의 외벽(1)은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볼 때, 베이스로 기능하는 콘크리트 골조(2) 및 그 표면을 덮는 마감재(3)로 구성된다. 마감재(3)는 모르타르(4)와 이 모르타르(4)에 부착되는 타일 및 석재 등의 장식재(5)를 포함한다. 콘크리트 골조(2)와 모르타르(4) 사이의 공간에는 제 1 분리 부분(6)이 있고, 모르타르(4)와 장식재(5) 사이의 공간에는 제 2 분리 부분(7)이 있다고 가정 한다. 이들을 보수할 목적으로, 외벽(1)에는 장식재(5) 및 모르타르(4)를 관통하여 콘크리트 골조(2)가 소정의 깊이로 보링된 충전용 구멍(8)이 형성되어 있다. 충전용 구멍(8) 내에 접착제 주입기(11)로 접착제(R)를 주입하고 이 충전용 구멍(8)에 앵커 핀(70)을 삽입함으로써(도 5의 (a) 내지 도 5의 (c) 및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를 참조), 외벽(1)의 보수가 수행된다. 특허청구범위에서의 용어 "마감재"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따라서 최소 필요조건으로서는 모르타르(4)만이 속하여 구성되며, 장식재(5)는 경우에 따라서 포함되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접착제 주입기(11)에 대하여 기술한다. 접착제 주입기(11)는, 주요부를 형성하고 접착제(R)를 공급하는 펌프 형식의 주입기 본체(21) 및 이 주입기 본체(21)의 선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피닝 공법용 주입 노즐(22)로 구성된다.
주입기 본체(21)는 베이스 단부 측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케이싱(24), 케이싱(24)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펌프 본체(25), 및 펌프 본체(25)에 의해 유지되는 실질적으로 L형상의 레버(26)로 구성된다. 케이싱(24) 내에는 접착제(R)가 채워진다. 펌프 본체(25)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부터 케이싱(24)을 설치하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부터 주입 노즐(22)을 설치한다. 이렇게 주입기 본체(21)가 배치되어서, 레버(26)의 수동 조작(펌핑)을 통해 주입 노즐(22)로부터 한번에 일정 양의 접착제(R)를 토출한다. 접착제(R)로서는, 에폭시 수지 접착제가 이용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유기 접착제뿐만 아 니라 점성을 가지는 무기 접착제도 이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입 노즐(22)은, 일 단부가 주입기 본체(2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체가 "L" 형상으로 형성된 접속 암(31), 접속 암(31)에 의해 지지되는 원통형 노즐 외측 실린더(32), 노즐 외측 실린더(32)의 내부에 지지되어 전진 및 후퇴할 수 있는 주사기형 노즐 내측 실린더(33), 및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후단과 연통하여 노즐 내측 실린더(33)를 전진 및 후퇴시키는 조작 로드(rod)(조작 부재)(34)로 구성된다. 펌핑에 의해서 주입기 본체(21)로부터 송출된 접착제(R)는 접속 암(31)을 통해 노즐 외측 실린더(32)의 내부로 흐르고, 노즐 외측 실린더(32)의 내부로부터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내부를 통해 그 선단으로부터 토출된다. 노즐 내측 실린더(33)는 충전용 구멍(8)의 깊이에 맞게 조작 로드(34)에 의해 전진 및 후퇴된다.
접속 암(31)은 내부에 주입기 본체(21)와 연통하는 접착제 유로(36)를 가지고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스틸의 엘보우 형상의 파이프로 구성되고, 그 양 단부에는 수나사(37, 37)가 형성된다. 접속 암(31)은 노즐 외측 실린더(32)의 선단을 충전용 구멍(8)의 개구부(14)에 가압하도록 가압력을 전달하기에 충분한 강도로 형성된다. 그 길이는 노즐 외측 실린더(32) 및 조작 로드(34)가 주입기 본체(21)의 펌핑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조정된다(도 2 참조). 접속 암(31)은 기계적 강도를 고려해서 리브(rib)를 가진 파이프로 이루어지거나, 간단하게는 중공(접착제 유로(36)로서 기능함) 부재일 수 있다. 즉, 접속 암(31)은 접착제 유로(36)를 가지는 파이프 및 이 파이프가 부착되는 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노즐 외측 실린더(32)는 원통형의 외측 실린더 본체(41), 외측 실린더 본체(41)의 선단을 폐쇄하는 선단 폐쇄 덮개(42), 외측 실린더 본체(41)의 후단을 폐쇄하는 후단 폐쇄 덮개(43), 선단 폐쇄 덮개(42)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된 밀봉 부재(44), 후단 폐쇄 덮개(43)의 내측의 위치에 장착된 O-링(O-ring)(45)으로 구성된다. 외측 실린더 본체(41)는 후단 측에 저부를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저부(41a)에는 조작 로드(34)가 관통하는 관통 구멍(47)이 형성되고, 또한, 외측 실린더 본체의 내부에는 접착제 유로(36)와 연통하는 중간 유로(48)가 구성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실린더 본체(41)의 전후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암나사(49a)를 가지는 보스부(boss portion)(49)가 돌출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 보스부(49)에는 접속 암(31)의 일 단부가 나사식으로 접속된다. 보스부(49)에는 외측 실린더 본체(41) 내부에 형성된 중간 유로(48)와 접속 암(31)의 접착제 유로(36)를 연통시키는 유로 개구(50)가 형성된다.
밀봉 부재(44)는 불소 고무 또는 부틸 고무 등의 내용제성(solvent-resistant) 탄성 부재로 구성되고, 충전용 구멍(8)의 개구부(14)를 밀봉하는 테이퍼부(tapered portion)(52), 테이퍼부(52)의 후방으로 연장하는 원통체부(53), 및 원통체부(53)의 후방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부(54)로 일체로 구성된다. 플랜지부(54)는 선단 폐쇄 덮개(42)의 내경(외측 실린더 본체(41)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원통체부(53)는 선단 폐쇄 덮개(42)의 원형 개구(42a)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밀봉 부재(44)의 축선을 따라 삽입 구멍(55)이 형성되어 있고, 그 삽입 구멍(55)을 통해, 노즐 내측 실린더(33)가 액밀 상태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한다. 한편, 선단 폐쇄 덮개(42)는 밀봉 부재(44)의 원통체부(53)가 관통하는 원형 개구(42a)를 가지고, 밀봉 부재(44)의 플랜지부(54)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측 실린더 본체(41) 전방 측의 외주면에 나사식으로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플랜지부(54)가 선단 폐쇄 덮개(42)와 외측 실린더 본체(41)의 단부면 사이에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외측 실린더 본체(41)와 선단 폐쇄 덮개(42) 사이의 간극이 밀봉된다.
후단 폐쇄 덮개(43)는 외측 실린더 본체(41)의 관통 구멍(47)과 연통하는 로드 삽입 구멍(56) 및 그 로드 삽입 구멍(56)과 대면하는 환형 홈(57)을 가진다. 환형 홈(57)에는 O-링(45)이 장착된다. 후단 폐쇄 덮개(43)는 내부에 조작 로드(34)가 삽입된 채로 외측 실린더 본체(41)의 후단부의 외주면과 나사식으로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O-링(45)은 후단 폐쇄 덮개(43)와 외측 실린더 본체(41)의 저부(41a) 사이에 견고하게 유지되는 동시에, 조작 로드(34)와는 슬라이딩 접촉하게 된다. 외측 실린더 본체(41), 후단 폐쇄 덮개(43), 및 O-링(45) 사이의 간극은 서로 밀봉된다.
한편, 노즐 내측 실린더(33)는 곧은 주사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내측 실린더 본체(61), 및 내측 실린더 본체(61)의 후단부에 끼워맞춰 고정되는 스토퍼 블록(보강 부재)(62)으로 구성된다. 노즐 내측 실린더(33)는 선단 측의 밀봉 부재(44) 및 후단 측의 조작 로드(34)를 통한 O-링 각각에 의해서 슬라이드식으로 전진 및 후퇴할 수 있게 지지된다. 내측 실린더 본체(61)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파이프 또는 수지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스토퍼 블록(62)은 수지 등으로 이루 어진다.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선단부에는, 대각선으로 절단된 접착제 토출구(63)가 형성된다. 그 후단부에는, 스토퍼 블록(62)과 내측 실린더 본체(61)의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한 쌍의 연통 구멍(64, 64)(이들 중 하나만 도시함)이 대향되게 형성된다. 스토퍼 블록(62)은 내부에 한 쌍의 연통 구멍(64, 64)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 실린더 본체(61)의 보강 부재로서 기능한다. 내측 실린더 본체(61)의 내부는 접착제(R)의 주입 유로(65)로서 기능한다. 노즐 외측 실린더(32)의 중간 유로(48) 내부의 접착제(R)는 한 쌍의 연통 구멍(64, 64)으로부터 주입 유로(65)를 따라 흘러, 접착제 토출구(63)에서 충전용 구멍(8)에 주입된다. 연통 구멍(64)은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일 수도 있고,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타원형이 된다.
내측 실린더 본체(61)는 스토퍼 블록(62)이 밀봉 부재(44)와 맞닿게 되는 전진 위치와 스토퍼 블록(62)이 외측 실린더 본체(41)의 저부(41a)와 맞닿게 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슬라이드)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내측 실린더 본체(61)의 길이는 전진 위치에서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접착제 토출구(63)가 충전용 구멍(8)의 저부에 도달하고, 후퇴 위치에서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접착제 토출구(63)가 밀봉 부재(44)를 넘어 약간 돌출되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상정될 수 있는 가장 깊은 충전용 구멍(8)을 다루도록, 전진 위치에서 밀봉 부재(44)를 넘는 내측 실린더 본체(61)의 돌출 치수는 약 100mm가 되도록 설계된다. 노즐 내측 실린더(33)(내측 실린더 본체(61))의 내경은, 예를 들면 2mm 내지 4 mm로 형성된다.
조작 로드(34)는 로드 본체(67) 및 이 로드 본체(67)의 후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조작 노브(knob)(68)로 구성된다. 조작 로드(34)는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후단부에 접속된다. 실제로,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내측 실린더 본체(61) 및 조작 로드(34)의 로드 본체(67)는 일체형 파이프로 구성되고, 그 내부는 사용 후에 조작 노브(68)를 제거함으로써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다. 사용 중에는, 로드 본체(67)의 후단이 조작 노브(68)에 의해 밀봉(나사 접속)되므로, 연통 구멍(64)으로부터 흐르는 접착제(R)가 조작 로드(34) 측부 주위로 유출할 가능성은 없다. 조작 노브(68)를 파지하여 조작 로드(34)가 전후로 이동하도록 조작하는 경우에, 이에 접속되는 노즐 내측 실린더(33)는 전진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전진 및 후퇴된다.
예를 들면, 주입 조작의 개시 시에, 노즐 내측 실린더(33)가 전진 위치로 이동되고 밀봉 부재(44)가 개구부(14)와 접촉하도록 충전용 구멍(8)에 노즐 내측 실린더(33)가 넣어진다. 이어서, 접착제 토출구(63)가 충전용 구멍(8)의 저부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길이 조정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접착제(R)의 주입(펌핑)이 개시되면, 접착제(R)는 충전용 구멍(8)의 최 심부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채워진다. 이어서, 접착제(R)가 콘크리트 골조(2)와 모르타르(4) 사이의 제 1 분리 부분(6)에 도달되고, 이로써 제 1 분리 부분(6) 내로 주입되어 확산된다. 제 1 분리 부분(6)이 너무 커서 접착제(R)가 모르타르(4)와 장식재(5) 사이의 제 2 분리 부분(7)으로 주입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노즐 내측 실린더(33)를 후퇴시켜 접착제 토출구(63)가 제 2 분리 부분(7)의 위치에 가까워지도록 하여, 계 속해서 주입을 행한다. 결과적으로, 접착제(R)가 제 2 분리 부분(7)에 주입되어서 확산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의 (a) 내지 도 4의 (c)를 참조하여, 앵커 핀(70)에 대하여 기술한다. 앵커 핀(70)은 스테인리스 스틸 등으로 이루어지고, 충전용 구멍(8)의 개구부(14)보다 큰 직경 및 작은 두께(0.3 mm 내지 0.5 mm)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원판형 핀 헤드부(71), 및 핀 헤드부(71)와 일체로 형성되고, 충전용 구멍(8)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는 바(bar) 형상의 핀 바디부(72)로 구성된다(도 4의 (a) 참조). 충전용 구멍(8)에 삽입된 앵커 핀(70)은, 핀 헤드부(71)가 충전용 구멍(8)의 개구 가장자리부, 즉 장식재(5)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고, 핀 바디부(72)가 충전용 구멍(8)의 최 심부에 도달하게 된다. 인출 저항력(pull-resistance strength)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핀 바디부(72)는 그 둘레면 상에 수나사로 나사가공되어 있어, 전체적으로는 나사식 핀으로 구성된다. 또한, 핀 헤드부(71)는 마감재(3)의 색채에 적합하도록, 굽기 등에 의해서 착색된다. 핀 헤드부(71)는 선택적으로 카운터성크 헤드(countersunk head)로 형성될 수 있다(도 4의 (b) 참조). 이 경우에, 피닝 공법의 단계에는, 충전용 구멍(8)의 개구부(14)를 핀 헤드부(71)에 맞게 모따기하는 추가 단계가 더해져야 한다. 마찬가지로, 핀 헤드부(71)는 카운터성크 보링(boring)의 직경에 대응하는 평평한 필리스터(fillister) 헤드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 4의 (c) 참조). 이 경우에, 피닝 공법의 단계에는, 충전용 구멍(8)의 개구부(14)에 카운터성크 보어(bore)를 형성하는 추가 단계가 더해져야 한다.
도 5의 (a) 내지 도 5의 (c)와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를 참조하여, 전술한 접착제 주입기(11)를 이용함으로써 외벽(1)에 보수를 수행하기 위한 시공 순서에 따른 피닝 공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 피닝 공법은 외벽(1)을 해머링(hammering)함으로써 충전용 구멍(8)의 보링 위치(분리 부분)를 결정하는 해머링 단계, 보링 위치의 외벽(1)에 충전용 구멍(8)을 보링하는 보링 단계, 접착제 주입기(11)를 사용함으로써 충전용 구멍(8)에 접착제(R)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 단계, 및 접착제(R)가 주입된 충전용 구멍(8)에 앵커 핀(70)을 삽입하는 핀 삽입 단계로 구성된다.
해머링 단계에서는, 소리가 나도록 해머 등을 이용하여 외벽(1)을 해머링하여서, 해머링 소리에 기초하여 외벽(1)에 보수되어야 할 개소, 즉 콘크리트 골조(2)와 모르타르(4) 사이의 제 1 분리 부분(6) 및 모르타르(4)와 장식재(5) 사이의 제 2 분리 부분(7)을 탐지함으로써, 각 충전용 구멍(8)의 보링 위치를 결정한다. 이어서, 보링 위치(각 타일의 중심 위치)에 적절하게 마킹한다.
보링 단계에서는, 다이아몬드 코어 드릴 등의 보링 공구(75)를 사용함으로써, 마킹된 외벽(1)의 상기 보링 위치에서 각 충전용 구멍(8)이 보링된다. 즉, 장식재(5)와 모르타르(4)를 관통하여서 콘크리트 골조(2)를 통해 소정의 깊이로 각 구멍이 보링됨으로써, 충전용 구멍(8)이 형성된다(도 5의 (a) 참조). 이 때, 보링이 외벽(1)에 직각으로 이루어지고, 콘크리트 골조(2)로의 보링 깊이는 30mm 이상으로 된다. 또한, 충전용 구멍(8)은 앵커 핀(70)이 내부로 헐겁게 끼워질 수 있도록 약간 큰 직경(1mm 내지 2mm 더 큰 직경)의 곧은 구멍으로 형성된다. 콘크리트 골조(2)의 파편 등이 충전용 구멍(8) 내에 잔존하기 때문에, 이후 파편 등을 블로워(blower) 등으로 불어 날리거나 진공 집진기 등으로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충전용 구멍(8)을 클리닝한다. 물론, 보링이 냉각수를 이용해 이루어짐으로써 파편이 냉각수와 함께 흘러 나가는 경우에는 이 제거 단계는 생략가능하다.
접착제 주입 단계에서는, 전진된 노즐 내측 실린더(33)는 충전용 구멍(8)에 삽입되고(도 5의 (b)를 참조), 노즐 내측 실린더(33)가 구멍의 저부와 접촉되는 동시에 밀봉 부재(44)가 충전용 구멍(8)의 개구부(14)와 접촉됨으로써,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돌출 치수가 조정된다(도 5의 (c) 참조). 이어서, 밀봉 부재(44)의 테이퍼부(52)에 의해서 개구부(14)가 밀착(가압)되는 상태에서, 주입기 본체(21)의 레버(26)가 조작(펌핑)된다. 이로써, 접착제(R)는 충전용 구멍(8)에 주입된다(도 6의 (a) 참조). 일단 펌핑이 개시되면, 접착제 토출구(63)에서 접착제(R)가 토출됨으로써, 접착제(R)는 충전용 구멍(8)의 최 심부로부터 점차적으로 주입된다. 접착제(R)는 곧 제 1 분리 부분(6)에 유입된다. 일단 펌핑 부하 정도에 의해 제 1 분리 부분(6) 내로의 수지 주입이 물리적으로 인지되면, 노즐 내측 실린더(33)는 제 2 분리 부분(7)과 대면하도록 후퇴한다. 펌핑이 다시 수행되어서, 접착제(R)는 제 2 분리 부분(7)에도 충분히 주입된다(도 6의 (b) 참조). 제 1 분리 부분(6)과 제 2 분리 부분(7) 사이의 중간부에는 때때로 공기가 잔류되지만, 이 잔류되어 있던 공기는 충전용 구멍(8)에서 주입 노즐(22)을 취출할 때 발생하는 부압(negative pressure)으로 인해 배출된다. 물론, 복수의 단계로 노즐 내측 실린더(33)를 후퇴시키면서 접착제(R)를 주입할 수 있다.
핀 삽입 단계에서는, 접착제(R)가 주입된 충전용 구멍(8)에는 앵커 핀(70)의 핀 바디부(72)를 유도하면서 앵커 핀(70)이 삽입된다. 앵커 핀(70)은 충전용 구멍(8) 내의 접착제(R)를 밀어내면서 충전용 구멍(8)의 최 심부에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접착제(R)는 간극 내로 흘러 핀 바디부(72)와 합치하고, 부분적으로는 충전용 구멍(8)의 개구부(14) 쪽으로 밀려진다. 앵커 핀(70)의 핀 바디부(72)가 충전용 구멍(8)의 최 심부에 도달하면, 핀 헤드부(71)는 개구부(14)를 폐쇄한다(도 6의 (c) 참조). 이 경우에, 노즐 내측 실린더(33)를 당겨낸 후에 발생되는, 접착제(R)로 충전되지 않은 비 충전부의 체적과 앵커 핀(70)의 체적이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해지도록 배치되면, 접착제 주입 단계 후에 충전용 구멍(8)에 앵커 핀(70)이 삽입되는 경우에, 충전용 구멍(8)의 외부로 접착제(R)가 누출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충전용 구멍(8)의 외부로 접착제(R)가 흐를 가능성이 없이, 충전용 구멍(8)을 접착제(R)로 충전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주입 노즐(22)에 따르면, 노즐 외측 실린더(32)의 밀봉 부재(44)를 충전용 구멍(8)의 개구부(14)에 가압하면서(밀봉하면서) 접착제(R)를 주입하는 주입 작업에서, 선단으로부터 접착제(R)를 토출하는 노즐 내측 실린더(33)는 적절하게 조작되어 전진 및 후퇴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R)는 충전용 구멍(8)의 최 심부(내측 부분)로부터 그 얕은 부분까지 균일하게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R)는 제 1 분리 부분(6) 및 제 2 분리 부분(7)에 충분히 유입될 수 있다(접착제(R)는 충전용 구멍(8)을 중심으로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확산된다). 결과적으로, 외벽(1)에 앵커 핀(70)과 접착제(R)가 효과적으로 작 용될 수 있게 되어, 외벽(1)의 완벽한 보수가 가능해진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입 노즐(22)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후술한다. 이 실시예에서, 외측 실린더 본체(41)는 저부가 없는 원통체로 간단하게 구성되고, 후단 폐쇄 덮개(43)의 내경(노즐 외측 원통체(32)의 외경)과 직경이 동일한 원판(81), 및 제 2 O-링(82)이 개재된다. 원판(81)에는 전술한 로드 충전용 구멍(56)과 동일한 직경의 로드 관통 구멍(81a)이 형성된다. 상술한 O-링(45)과 제 2 O-링(82)이 원판(81)을 샌드위치형으로 내포한 상태에서, 후단 폐쇄 덮개(43)가 외측 실린더 본체(41)의 후단부 외주면과 나사식으로 맞물리면, 외측 실린더 본체(41)와 후단 폐쇄 덮개(43) 사이의 간극은 원판(81)에 의해서 밀봉된다.
또한,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선단부에는, 접착제 토출구(63)로부터 충전용 구멍(8)에 주입되는 접착제(R)의 토출압(주입압)을 받는 수압(pressure-receiving) 플랜지(83)가 설치된다. 수압 플랜지(83)는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외주에 끼워 맞춰지는 O-링,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외주면에 고정된 칼라부(collar portion) 등으로 구성되고, 그 외경은 충전용 구멍(8)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또한, 수압 플랜지(83)는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후퇴 위치를 제한하는 위치 스토퍼로 기능함으로써, 상술한 스토퍼 블록(62)은 생략될 수 있다.
조작 로드(34)에 의해 노즐 내측 실린더(33)가 전진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접착제(R)의 주입이 개시되면, 접착제(R)는 충전용 구멍(8)의 최 심부로부터 입구 측으로 충전된다. 이 때, 접착제(R)는 수압 플랜지(83)의 위치에 도달하고, 수압 플랜지(83)를 개구부(14) 쪽으로 미는 작용을 한다. 즉, 접착제(R)의 주입이 진행 됨에 따라, 노즐 내측 실린더(33)는 수압 플랜지(83)에 의해 점차적으로 후퇴하고, 이로써 접착제(R)는 충전용 구멍(8)의 최 심부로부터 충전된다. 예를 들면, 제 1 분리 부분(6)이 폭이 넓고 큰 경우에,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수압 플랜지(83)(접착제 토출구(63))가 제 1 분리 부분(6)에 도달하면, 반복된 펌핑에도 불구하고,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후퇴는 정지한다. 이러한 경우에, 접착제 토출구(63)가 제 2 분리 부분(7)에 대면하도록, 조작 로드(34)로 노즐 내측 실린더(33)를 후퇴시킴으로써, 제 2 분리 부분(7)에 접착제(R)를 주입한다. 그러나, 제 1 분리 부분(6)이 작은 경우에는,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후퇴는 계속되고, 결과적으로 제 2 분리 부분(7) 내로의 접착제(R)의 주입이 가능해진다. 접착제(R)의 토출압과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후퇴 개시 타이밍 사이의 밸런스는 주로 밀봉 부재(44)에 대한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서 조정된다. 이 수압 플랜지(83)는 본 발명의 조작 부재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는, 상술한 조작 로드(34)가 불필요하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주입 노즐(22)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후술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외측 실린더 본체(41)가 저부가 없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조작 로드(34)는 상술한 실시예보다도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연통 구멍(64)은 조작 로드(34)의 선단부(노즐 내측 실린더와 접속되는 부분)에서 관통된다. 외측 실린더 본체(41)의 후단은 조작 로드(34)가 삽입되는 O-링(45)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에도, O-링(45)을 내포하는 후단 폐쇄 덮개(43)가 외측 실린더 본체(41)의 후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면, O-링(45)은 외측 실린더 본 체(41)의 후단 및 슬라이딩 조작 로드(34)와 밀착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로드(34)의 직경은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배치에 따르면, 노즐 내측 실린더(33)가 전진된 상태에서 충전용 구멍(8)의 최 심부로부터 접착제(R)의 주입이 개시되면, 주입의 진행에 따라 중간 유로(48)의 내압은 높아진다. 이 때, 중간 유로(48)의 내압은 조작 로드(34)의 단면에 강하게 작용함으로써, 조작 로드(34)에 의해 노즐 내측 실린더(33)가 점차적으로 후퇴되도록 한다. 즉, 조작 로드(34)의 후퇴 조작 없이 노즐 내측 실린더(33)는 자동적으로 후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착제(R)는 충전용 구멍(8)의 심부로부터 얕은 부분까지의 범위에 걸쳐 충분하게 주입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중간 유로(48)의 내압과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후퇴 개시 타이밍 사이의 밸런스는 조작 로드(34)의 직경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O-링(45)에 대한 조작 로드(34)의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서 또는 이 슬라이딩 저항과 밀봉 부재(44)에 대한 슬라이딩 저항에 의해서도 조정된다.
도 9의 (a) 및 도 9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입 노즐(22)에 대하여 기술한다. 이 실시예의 주입 노즐(22)에서, 접속 암(31)은 노즐 외측 실린더(32)의 선단측에 접속된다. 노즐 내측 실린더(33)는 스토퍼 블록(62)을 대신하여, 노즐 외측 실린더(32)의 내부 표면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피스톤 블록(86)(피스톤부)에 고정된다. 또한, 연통 구멍(64)은 피스톤 블록(86)의 전방 부근에 형성된다. 이 경우에, 피스톤 블록(86)은 노즐 외측 실린더(32)의 중간 유로(48)의 내압을 받을 시에 후퇴하도록 배치된다. 노즐 내측 실린더(33)가 전진 위치로 이동한 상태(조작 노브(68)가 후단 폐쇄 덮개(43)와 접촉함)에서는, 피스톤 블록(86)은 유로 개구(50)의 측면(측면 부근)에 가깝게 위치되고(도 9의 (b) 참조), 후퇴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피스톤 블록(86)은 노즐 외측 실린더(32)의 저부(41a)와 접촉된다(도 9의 (a) 참조).
노즐 내측 실린더(33)가 전진된 상태에서, 접착제(R)의 주입이 충전용 구멍(8)의 심부로부터 개시되면, 주입의 진행에 따라 중간 유로(48)의 내압은 높아진다. 중간 유로(48)의 내압이 높아지면, 이 내압은 피스톤 블록(86)에 작용하여 피스톤 블록(86)에 의해 노즐 내측 실린더(33)가 점차적으로 후퇴하도록 작용한다. 즉, 조작 로드(34)의 후퇴 조작이 필요없이, 노즐 내측 실린더(33)는 자동적으로 후퇴함으로써, 접착제(R)가 충전용 구멍(8)의 심부로부터 얇은 부분까지의 범위에 걸쳐 충분히 주입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속 암(31)의 접착제 유로(36)를 피스톤 블록(86)의 전후에 접속되도록 분기하여 배치함으로써, 노즐 내측 실린더(33)의 전진도 밸브의 스위칭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할 수 있다.

Claims (9)

  1. 주입기 본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주입 노즐이며, 마감재를 통해 골조에 소정의 깊이로 보링된 충전용 구멍 내에 상기 충전용 구멍의 개구부를 밀봉하면서 접착제를 주입함으로써 수행되는 피닝(pinning) 공법용의 주입 노즐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주입기 본체와 연통하는 접착제 유로를 가지는 접속 암과,
    상기 접속 암에 의해 지지되고, 내부에 상기 접착제 유로와 연통하는 중간 유로를 가지는 동시에, 선단부에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를 가지는 노즐 외측 실린더와,
    상기 밀봉 부재를 통해 연장하고, 상기 노즐 외측 실린더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며, 후단부에 상기 중간 유로와 연통하는 연통 구멍이 형성되고, 선단부에 접착제 토출구가 형성되는 노즐 내측 실린더와,
    상기 접착제 토출구가 상기 충전용 구멍의 저부에 도달하는 전진 위치와 상기 접착제 토출구가 상기 충전용 구멍 내부에서 상기 밀봉 부재를 넘어 돌출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상기 노즐 내측 실린더를 이동시킬 수 있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노즐 내측 실린더의 후단부에 접속되고 상기 노즐 외 측 실린더의 후단부를 통해 연장하는 로드형(rod-shaped)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내측 실린더 및 상기 조작 부재는 둘레 벽(peripheral wall)에 상기 연통 구멍을 형성한 일체형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노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노즐 내측 실린더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노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내측 실린더의 선단부에 상기 접착제 토출구로부터 상기 충전용 구멍 내에 주입된 접착제의 토출압을 받는 수압 플랜지(pressure-receiving flang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노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내측 실린더는 상기 연통 구멍을 형성하는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노즐 내측 실린더의 후퇴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노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외측 실린더는 원통형의 외측 실린더 본체, 상기 외측 실린더 본체의 선단을 폐쇄하는 선단 폐쇄 덮개, 및 상기 외측 실린더 본체의 후단을 폐쇄하는 후단 폐쇄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 폐쇄 덮개와 상기 외측 실린더 본체 사이에 상기 밀봉 부재의 베이스 부분을 개재시킨 상태로, 상기 선단 폐쇄 덮개가 상기 외측 실린더 본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노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내측 실린더의 후단부에는 상기 노즐 외측 실린더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피스톤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입 노즐.
  9. 제 1 항에 따른 주입 노즐과 상기 주입 노즐이 장착되는 주입기 본체로 구성된 접착제 주입기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골조 및 마감재로 이루어진 벽체를 보수하는 피닝 공법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를 통해 상기 골조를 소정의 깊이로 관통함으로써 충전용 구멍을 보링하는 단계와,
    상기 접착제 주입기로 상기 충전용 구멍의 개구부를 밀봉하면서 상기 충전용 구멍 내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단계와,
    접착제가 주입된 상기 충전용 구멍에, 상기 마감재를 상기 골조에 고정하는 앵커 핀(anchor pin)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닝 공법.
KR1020087003077A 2005-08-05 2006-08-02 주입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피닝 공법 KR101023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8459 2005-08-05
JP2005228459A JP4522341B2 (ja) 2005-08-05 2005-08-05 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074A KR20080036074A (ko) 2008-04-24
KR101023692B1 true KR101023692B1 (ko) 2011-03-25

Family

ID=3772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077A KR101023692B1 (ko) 2005-08-05 2006-08-02 주입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피닝 공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579216B2 (ko)
EP (1) EP1917408B1 (ko)
JP (1) JP4522341B2 (ko)
KR (1) KR101023692B1 (ko)
CN (1) CN101238263B (ko)
ES (1) ES2626573T3 (ko)
HK (1) HK1123335A1 (ko)
RU (1) RU2365721C1 (ko)
WO (1) WO20070182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64B1 (ko) * 2010-11-08 2011-07-01 와이앤케이텍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용 보수액 주입장치
JP5749139B2 (ja) * 2011-10-27 2015-07-15 Fsテクニカル株式会社 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6410499B2 (ja) * 2014-07-11 2018-10-24 Fsテクニカル株式会社 ピンニング工法用のアンカーピ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CN106150692A (zh) * 2016-08-31 2016-11-23 芜湖三联锻造有限公司 一种链轮罩盖用密封装置
JP7341474B2 (ja) * 2019-12-10 2023-09-11 株式会社呉英製作所 化粧キャップおよび剥離補修部材
CN111395796A (zh) * 2020-04-09 2020-07-10 杭州摩亚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钉孔修复设备
RU201810U1 (ru) * 2020-07-08 2021-01-1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Триада-Холдинг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ъектирования затюбингов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а
CN114016762A (zh) * 2021-10-21 2022-02-08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简易手握式植筋安装装置
CN115898066A (zh) * 2022-11-08 2023-04-04 上海天补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空鼓修复胶枪及墙面多层空鼓的修复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690A (ja) * 1994-02-28 1995-09-12 Toshiharu Osaka モルタル層剥離剥落防止補修壁,その補修工法およびアンカーピン
KR20000021619U (ko) * 1999-05-21 2000-12-26 정영찬 콘크리트 크랙 충진기
JP2003147971A (ja) 2001-11-15 2003-05-21 Hori Kouichiro ピンニング工法用注入ノズルおよびピンニング工法
JP2004238847A (ja) 2003-02-04 2004-08-26 Dgp:Kk ピンニング工法用のアンカーピ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5598A (en) * 1949-12-31 1952-05-06 Paul L Morton Soil penetrating terminal
GB8806369D0 (en) * 1988-03-17 1988-04-13 Unilever Plc Method & apparatus for volumetric dosing viscous products
US5062486A (en) * 1989-12-07 1991-11-05 Mcclenahan Charles H Firefighter's barrier penetrator and agent injector
FI955515A0 (fi) 1995-11-15 1995-11-15 Juha Haavisto Injekteringspropp
DE10064619A1 (de) 2000-12-22 2002-06-27 Sotano Baustofftechnologie Gmb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Flüssigkeiten zum Sanieren von feuchten Wänden
CN2594384Y (zh) * 2002-09-09 2003-12-24 姜英子 树脂注入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8690A (ja) * 1994-02-28 1995-09-12 Toshiharu Osaka モルタル層剥離剥落防止補修壁,その補修工法およびアンカーピン
KR20000021619U (ko) * 1999-05-21 2000-12-26 정영찬 콘크리트 크랙 충진기
JP2003147971A (ja) 2001-11-15 2003-05-21 Hori Kouichiro ピンニング工法用注入ノズルおよびピンニング工法
JP2004238847A (ja) 2003-02-04 2004-08-26 Dgp:Kk ピンニング工法用のアンカーピ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8263B (zh) 2015-07-15
US20090313939A1 (en) 2009-12-24
US8579216B2 (en) 2013-11-12
RU2365721C1 (ru) 2009-08-27
HK1123335A1 (en) 2009-06-12
EP1917408B1 (en) 2017-03-08
KR20080036074A (ko) 2008-04-24
JP2007046231A (ja) 2007-02-22
ES2626573T3 (es) 2017-07-25
CN101238263A (zh) 2008-08-06
EP1917408A1 (en) 2008-05-07
EP1917408A4 (en) 2009-04-01
WO2007018224A1 (en) 2007-02-15
JP4522341B2 (ja)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692B1 (ko) 주입 노즐 및 이를 이용한 피닝 공법
EP1885972B1 (en) Injection nozzle for use in pinning method and pinning method using the same
JP5339252B2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6557907B1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5339255B2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4777199B2 (ja) 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3812948B2 (ja) 注入ノズル、樹脂注入器およびピンニング工法
JP4587886B2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4583231B2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2003147971A (ja) ピンニング工法用注入ノズルおよびピンニング工法
JP6557904B1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3946196B2 (ja) 注入ノズル
JP6557929B1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注入ノズル、ピンニング工法用の接着剤注入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6557908B1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3946210B2 (ja) 注入ノズル、樹脂注入器およびピンニング工法
JP5749139B2 (ja) 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2008007972A (ja) 拡張アンカ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3585825B2 (ja) 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樹脂注入器、並びにピンニング工法
JP6557906B1 (ja) ピンニング工法用の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JP5339254B2 (ja) ピンニング工法
KR20030019505A (ko) 구조물의 균열 및 누수의 보수 보강제 주입장치 및 주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