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326B1 - 푸쉬버튼 - Google Patents

푸쉬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326B1
KR101023326B1 KR1020100111248A KR20100111248A KR101023326B1 KR 101023326 B1 KR101023326 B1 KR 101023326B1 KR 1020100111248 A KR1020100111248 A KR 1020100111248A KR 20100111248 A KR20100111248 A KR 20100111248A KR 101023326 B1 KR101023326 B1 KR 101023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fixing member
door
hand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민
Original Assignee
임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민 filed Critical 임상민
Priority to KR1020100111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1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twisting of torsion memb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02G3/085Inlets including knock-out or tear-out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단자함, 배전함, 배전반, 전기 분전함, TV 증폭기함, 소화전함, 세대단자함 등의 단자함의 일측에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푸쉬버튼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부를 가지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전방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구멍(208)과, 상기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양측벽에 상호 대향하게 각각 형성된 삽입구멍(206)과, 상기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가이드구멍(208)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삽입구멍(206)에 체결 돌출되어 푸쉬버튼(200)을 도어(1)에 고정시키는 "ㄷ"자 형상의 고정부재(300)를 포함한 푸쉬버튼에 있어서, 상기 "ㄷ"자 형상의 고정부재(30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는 호형의 만곡부(300-1)와; 상기 호형의 만곡부(300-1)의 양단에 수직상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수직부(300-3)와; 상기 수직부(300-3)의 외면 일측에 각각 연장형성된 체결돌기(30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푸쉬버튼{A push botton}
본 발명은 푸쉬버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화 단자함, 배전함, 배전반, 전기 분전함, TV 증폭기함, 소화전함, 세대단자함 등의 단자함의 일측에 용이하게 체결시킬 수 있는 푸쉬버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도록 배전함 또는 단자함(端子函, terminal box)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단자함은 전화선을 가입자의 집안으로 인입하기 위한 나선(裸線) 또는 피복선(被服線)을 배선(配線)케이블에 접속할 때, 그 접속점에서 케이블에 장치하는 접속용 상자를 말한다.
상기의 단자함은 직사각형 프레임으로, 벽체에 실리콘 등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함(100)에 도어(1)가 설치되는바, 상기 도어(1)는 힌지결합되며, 도어(1)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1)를 용이하게 열도록 푸쉬버튼(1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푸쉬버튼(10)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090739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도 2는 종래의 푸쉬버튼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푸쉬버튼의 구성을 일부 결합한 단면도로써, 배전함, 단자함 또는 소화전등의 도어(1)의 일측에 설치되는 푸쉬버튼(10)은 크게 본체(11), 손잡이(21), 누름편(31), 고정부재(40)로 구성된다.
본체(11)는 내측에 수용부(12)를 가지며, 손잡이(21)는 본체(11)의 수용부(12) 내측에 비틀림스프링(22)에 의해 탄발설치되고, 누름편(31)은 수용부(12) 내에서 손잡이(21) 하측에 코일스프링(32)에 의해 탄발설치되고 손잡이
(21)의 단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손잡이(21)를 탄발설치하는 비틀림스프링(22)은 도 3과 같이 절곡된 일측이 손잡이(21)의 저면 일측에 지지되며 다른 일측의 단부(22a)는 수용부(12)내의 중앙부 양측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손잡이(21)의 하단 상부와 누름편(31)의 상단 하부에는 걸림턱(21a)이 형성되어 도 3과 같이 손잡이(21)의 걸림턱(21a)이 누름편(31)의 단부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특히, 본체(11)의 구성 및 본체(11)를 도어(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40)는 본체(11)의 양측벽에는 상호 대향하는 삽입구멍(13)이 형성되고, 수용부(12) 내측에 형성되고 삽입구멍(13)들과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지지홈(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홈(17)의 양측에는 이탈방지홈(14)이 형성되어 도 3과 같이 수용부(12) 내의 중앙부 양측까지 연장되는 비틀림스프링(22)의 단부가 지지된다.
또한, 누름편(31)이 위치되는 수용부(12) 일측의 바닥면에는 돌출부(15)가 형성되어 도 3과 같이 누름편(31)을 탄발설치하는 코일스프링(32)이 하단이 그 돌출부(15)에 지지되며, 수용부(12)의 상하부에는 그 내측을 개방하는 절개된 개구부(16)가 형성된다.
고정부재(40)는, 도 2와 같이 일측에 파지부(41)가 형성되며, 중앙에 지지돌부(42a)를 가지는 반호형의 만곡부(42)가 형성되고, 지지돌부(42a)가 지지홈(17)에 지지되도록 삽입구멍(13)에 체결되어서 본체(11)를 도어(1)의 일측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고정부재(40)를 푸쉬버튼(10)에 고정시키는 방식을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살펴보면, 도어(1)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도시는 생략함)에 푸쉬버튼(1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푸쉬버튼(10)의 삽입구멍(13)의 일측에 고정부재(40)를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40)를 가압하여 삽입구멍(13)으로 밀어 넣는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0)에 의해 푸쉬버튼(10)이 도어(1)에 밀착 고정된다.
그러나, 고정부재(40)를 푸쉬버튼(10)의 삽입구멍(13)으로 밀어 넣기 위해서는 많은 힘이 들어가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고정부재(40)를 푸쉬버튼(10)의 삽입구멍(13)으로 분리할 때도 필요 이상으로 많이 힘이 들어가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가 계속적으로 반복된 일을 할 경우, 빠른 시간 내에 피로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화 단자함, 배전함, 배전반, 전기 분전함, TV 증폭기함, 소화전함, 세대단자함 등의 단자함의 일측에 푸쉬버튼을 용이하게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계속적으로 반복된 일을 하더라도 피로감을 느끼지 못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푸쉬버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측에 수용부를 가지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전방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구멍(208)과, 상기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양측벽에 상호 대향하게 각각 형성된 삽입구멍(206)과, 상기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가이드구멍(208)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삽입구멍(206)에 체결 돌출되어 푸쉬버튼(200)을 도어(1)에 고정시키는 "ㄷ"자 형상의 고정부재(300)를 포함한 푸쉬버튼에 있어서,
상기 "ㄷ"자 형상의 고정부재(30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는 호형의 만곡부(300-1)와;
상기 호형의 만곡부(300-1)의 양단에 수직상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수직부(300-3)와;
상기 수직부(300-3)의 외면 일측에 각각 연장형성된 체결돌기(30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은 단자함의 일측에 푸쉬버튼을 용이하게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계속적으로 반복된 일을 하더라도 피로감을 느끼지 못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단자함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푸쉬버튼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푸쉬버튼의 구성을 일부 결합한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푸쉬버튼을 도어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푸쉬버튼의 요부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을 도어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푸쉬버튼의 요부 분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을 도어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쉬버튼(200)은, 본체(11), 손잡이(21), 누름편(31), 고정부재(300)로 구성된다.
본체(11)는 내측에 수용부(12)를 가지며, 손잡이(21)는 본체(11)의 수용부(12) 내측에 비틀림스프링(22)에 의해 탄발설치되고, 누름편(31)은 수용부(12) 내에서 손잡이(21) 하측에 코일스프링(32)에 의해 탄발설치되고 손잡이
(21)의 단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손잡이(21)를 탄발설치하는 비틀림스프링(22)은 절곡된 일측이 손잡이(21)의 저면 일측에 지지되며 다른 일측의 단부(22a)는 수용부(12)내의 중앙부 양측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손잡이(21)의 하단 상부와 누름편(31)의 상단 하부에는 걸림턱(21a)이 형성되어 손잡이(21)의 걸림턱(21a)이 누름편(31)의 단부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된다.
특히, 본체(11)의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양측벽에는 상호 대향하는 삽입구멍(206)이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그 전방에 가이드구멍(208)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홈(17)의 양측에는 이탈방지홈(14)이 형성되어 수용부(12) 내의 중앙부 양측까지 연장되는 비틀림스프링(22)의 단부가 지지된다.
또한, 누름편(31)이 위치되는 수용부(12) 일측의 바닥면에는 돌출부(15)가 형성되어 누름편(31)을 탄발설치하는 코일스프링(32)의 하단이 그 돌출부(15)에 지지된다.
그리고, 고정부재(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재질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작업자가 용이하게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는 호형의 만곡부(300-1)와, 상기 호형의 만곡부(300-1)의 양단에 수직상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수직부(300-3)와, 상기 수직부(300-3)의 외면 일측에 각각 연장형성된 체결돌기(300-5)로 구성되며,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삽입구멍(206)에 체결되어서 본체(11)를 도어(1)의 일측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고정부재(300)를 푸쉬버튼(10)에 고정시키는 방식을 도 7을 참조하여 좀 더 살펴보면, 도어(1)의 일측에 형성된 관통홀(도시는 생략함)에 푸쉬버튼(1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푸쉬버튼(10)의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가이드구멍(208)의 일측에 만곡부(300-1)와 수직부(300-3)와 체결돌기(300-5)를 구비한 "ㄷ"자 형상의 고정부재(300)를 각각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300)의 만곡부(300-1)를 가압하여 가이드구멍(208)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0)의 체결돌기(300-5)가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삽입구멍(206)으로 각각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300)에 의해 푸쉬버튼(10)이 도어(1)에 밀착 고정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200 : 푸쉬버튼
202 : 상단부
204 : 하단부
206 : 삽입구멍
208 : 가이드구멍
300 : "ㄷ"자 형상의 고정부재
300-1 : 만곡부
300-3 : 수직부
300-5 : 체결돌기

Claims (3)

  1. 삭제
  2. 내측에 수용부를 가지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전방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구멍(208)과, 상기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양측벽에 상호 대향하게 각각 형성된 삽입구멍(206)과, 상기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가이드구멍(208)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상단부(202) 및 하단부(204)의 삽입구멍(206)에 체결 돌출되어 푸쉬버튼(200)을 도어(1)에 고정시키는 "ㄷ"자 형상의 고정부재(300)를 포함한 푸쉬버튼에 있어서,
    상기 "ㄷ"자 형상의 고정부재(300)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손가락으로 가압할 수 있는 호형의 만곡부(300-1)와;
    상기 호형의 만곡부(300-1)의 양단에 수직상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된 수직부(300-3)와;
    상기 수직부(300-3)의 외면 일측에 각각 연장형성된 체결돌기(30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3. 삭제
KR1020100111248A 2010-11-10 2010-11-10 푸쉬버튼 KR101023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48A KR101023326B1 (ko) 2010-11-10 2010-11-10 푸쉬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248A KR101023326B1 (ko) 2010-11-10 2010-11-10 푸쉬버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3326B1 true KR101023326B1 (ko) 2011-03-18

Family

ID=4393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248A KR101023326B1 (ko) 2010-11-10 2010-11-10 푸쉬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3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712A (ko) * 2007-09-20 2009-03-25 김상진 분전반 캐비닛의 도어 개폐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2093U (ko) * 2008-08-19 2010-03-02 권오숙 분전반 도어핸들
KR200449020Y1 (ko) 2008-08-19 2010-06-09 권오숙 분·배전반 도어 핸들
KR20100130306A (ko) * 2009-06-03 2010-12-13 주식회사 태영기전 분전함용 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712A (ko) * 2007-09-20 2009-03-25 김상진 분전반 캐비닛의 도어 개폐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2093U (ko) * 2008-08-19 2010-03-02 권오숙 분전반 도어핸들
KR200449020Y1 (ko) 2008-08-19 2010-06-09 권오숙 분·배전반 도어 핸들
KR20100130306A (ko) * 2009-06-03 2010-12-13 주식회사 태영기전 분전함용 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2210B2 (ja) 回路遮断器および端子カバー
TW201820705A (zh) 導體接頭接觸元件(一)
KR101832214B1 (ko) 케이블 설치가 용이한 공동주택용 케이블트레이
JP2012205416A (ja) 収納箱および電気接続箱
JP5646974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023326B1 (ko) 푸쉬버튼
KR100775022B1 (ko) 전주 상단의 케이블 정열장치
KR200440509Y1 (ko) 전기 계량기함
JP5148446B2 (ja) コネクタ収納ケース
TWI743124B (zh) 用於電連接器之容納系統及具有此容納系統之電連接器
KR20100022841A (ko) 커넥터
JP4447089B2 (ja) デスクにおける配線受
KR200451610Y1 (ko) 전기 통신용 노출형 박스
KR100670691B1 (ko) 공동주택의 배전을 위한 스위치박스의 전선 단말 고정장치
KR200476183Y1 (ko) 분리형 배선분기장치
KR101850145B1 (ko)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KR20100005970U (ko) 콘센트 박스 지지대
KR200409086Y1 (ko) 전원 공급장치
JP2000308239A (ja) 床用配線器具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KR20120005110A (ko) 일체형 전기배선박스
KR10132924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00675B1 (ko) 콘센트의 이동이 가능한 테이블
JP3889675B2 (ja) 圧縮機のターミナル保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