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595B1 -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 - Google Patents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595B1
KR101022595B1 KR1020100016130A KR20100016130A KR101022595B1 KR 101022595 B1 KR101022595 B1 KR 101022595B1 KR 1020100016130 A KR1020100016130 A KR 1020100016130A KR 20100016130 A KR20100016130 A KR 20100016130A KR 101022595 B1 KR101022595 B1 KR 101022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outlet
pressing
viscous materi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원
Original Assignee
우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원 filed Critical 우종원
Priority to PCT/KR2011/0003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87335A2/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30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72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provided in the container or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약 또는 연고나 화장품 등의 점성물질을 수용하는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점성물질을 수용하며 선단부에 상기 점성물질을 인출하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용기본체와; 상기 튜브용기본체 내에 수용되며, 누름 조작시 상기 인출구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점성물질을 가압하고, 누름 해제시 이동 정지하는 인출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점성물질을 편리하게 항상 일정량을 인출시킬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튜브용기 내에 점성물질이 남지 않고 모두 인출될 수 있는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튜브용기의 디자인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A tube having extrude piston for viscosity substance}
본 발명은 점성물질을 수용하는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점성물질을 외부로 가압하여 인출시키는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이나 연고 및 헤어젤 등(이하 '점성물질'이라 함)은 점성을 갖는 물질로서 연성 튜브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튜브용기를 가압하면 튜브용기의 선단에 형성된 인출구로 인출된다.
이러한 튜브용기는 점성물질을 짜내어 사용할 때, 사용자에 따라 튜브용기의 끝부분이나 중간부분을 가압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점성물질을 짜내어 사용하기 때문에, 튜브용기의 불규칙한 변형으로 점성물질이 튜브용기의 내측 전영역에서 부분적으로 남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사용자는 점성물질을 거의 모두 사용할 때 쯤엔 튜브용기를 끝부분부터 접어서 점성물질을 억지로 짜내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튜브용기의 인출구 인접영역은 튜브용기의 나머지 대부분 영역처럼 연성이 아닌 비교적 경질의 형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튜브용기를 접어서 점성물질을 짜내어도 최종적으로 튜브용기의 인출구 영역에는 비교적 많은 량의 점성물질이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상의 편의 및 잔여 점성물질 최소화를 위해서 튜브용기가 원형의 디자인으로만 제작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점성물질을 편리하게 인출시킬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튜브용기 내에 점성물질이 남지 않고 모두 인출될 수 있는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튜브용기의 디자인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점성물질을 수용하며 선단부에 상기 점성물질을 인출하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용기본체와; 상기 튜브용기본체 내에 수용되며, 상기 튜브용기본체의 인출구 인접영역 선단부 내측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인출구 측으로 점성물질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 후방 상하 둘레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탄성 변형 및 탄성 복귀되는 가압조작부와, 상기 가압부 후방 양측 둘레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확대되며 탄성 변형 및 탄성 복귀되는 역행방지부를 갖는 인출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튜브용기본체의 선단부 인출구 둘레영역은 상기 인출구 둘레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선단부 인출구 둘레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출피스톤의 가압부에는 인출구에 삽입되는 인출구삽입부가 돌출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인출구삽입부 내측으로부터 인출피스톤의 후방으로 공기통과공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인출구삽입부 내측에는 전방으로부터 점성물질이 접촉하면 상기 공기통과공을 폐쇄하는 개페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점성물질을 편리하게 항상 일정량을 인출시킬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튜브용기 내에 점성물질이 남지 않고 모두 인출될 수 있는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튜브용기의 디자인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인출피스톤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인출피스톤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인출피스톤 배면도,
도 5a 및 도 5b 내지 도 7a 및 도 7b는 도 1 내지 도 4의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의 측단면도,
도 9는 도 8의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의 평단면도,
도 10a 및 도 10b 내지 도 11a 및 도 11b는 도 8 및 도 9의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의 사용 상태 단면도.
상기 도면들 중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1)는, 점성 물질을 수용하면서 그 선단부로 점성 물질을 인출하는 튜브용기본체(10)와, 튜브용기본체(10)의 선단부 인출구(11)를 개폐하는 개폐캡(20)과, 튜브용기본체(10)내에 수용되어 점성물질을 튜브용기본체(10)의 인출구(11)로 가압 배출시키는 인출피스톤(30)을 포함한다.
튜브용기본체(10)는 일반적인 치약이나 연고 화장품의 튜브용기(1)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박판이나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제작되며, 선단부가 중심에 인출구(11)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로 갈수록 타원형으로 일측 폭이 축소되고 타측 폭이 확대되면서 후단부는 직선형으로 압착 밀봉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때, 튜브용기본체(10)의 선단부 인출구(11) 둘레영역은 인출구(11) 둘레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경사면으로 단차진 구조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점성물질이 원활히 인출되는 것을 고려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점성물질이 후술할 인출피스톤(30)에 의해서 인출될 때, 선단부 인접 영역 내측에 점성물질이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여기서, 튜브용기본체(10)의 선단부 인출구(11) 둘레영역과 인출구(11)의 단면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다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개폐캡(20)은 튜브용기본체(10)의 선단 인출구(11)를 둘러싸는 형태로 개폐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튜브용기(1)의 개폐캡(20)과 마찬가지로 나사체결구조 또는 걸림 및 걸림 해제 구조 등 다양한 착탈 구조로 인출구(11)를 개폐하도록 튜브용기본체(10)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개폐캡(20)의 형상은 튜브용기본체(10)의 선단부 인출구(11) 둘레영역과 인출구(11)의 단면 형상에 적절히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인출피스톤(30)은 튜브용기본체(10)의 인출구(11) 측으로 점성물질을 가압하는 가압부(31)와, 사용자의 가압조작시 인출피스톤(30)을 튜브용기본체(10)의 인출구(11)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조작부(35)와, 사용자의 가압조작 해제시 인출피스톤(3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행방지부(37)를 가지고 있다. 이 인출피스톤(30)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적어도 가압조작부(35)와 역행방지부(37) 부분이 탄성을 가지고 있다.
가압부(31)는 가압조작부(35)의 가압조작시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튜브용기본체(10)의 선단부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에는 튜브용기본체(10)의 인출구(11)에 삽입되는 인출구삽입부(32)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인출구삽입부(32) 내측에는 전후방으로 관통된 미세한 공기통과공(3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공기통과공(33)은 인출구삽입부(32) 내측에 수용되는 개폐변(34)에 의해 개폐된다. 이때, 인출구삽입부(32)의 내주면은 선단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확경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변(34)의 직경은 공기통과공(33)을 폐쇄하면서 인출구삽입부(32)의 선단부로 이탈되지 않고 인출구삽입부(32)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가압부(31)의 형상과 인출구삽입부(32)의 형상은 튜브용기본체(10)의 선단부 인출구(11) 내측 둘레영역과 인출구(11)의 내측 단면 형상에 적절히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가압부(31)의 인출구삽입부(32) 내측에 마련되는 공기통과공(33)과 개폐변(34)은 튜브용기본체(10) 내에 점성물질과 인출피스톤(30)을 수용하는 생산 공정에서 점성물질과 인출피스톤(30) 간에 형성되는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튜브용기본체(10)의 후방으로 점성물질을 튜브용기본체(10) 내에 주입하고, 인출피스톤(30)을 튜브용기본체(10) 후방에서 내부로 삽입할 때, 튜브용기본체(10) 내의 공기가 점성물질과 인출피스톤(30) 사이에 존재하다가 공기통과공(3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점성물질이 가압부(31)의 인출구삽입부(32)를 통해 개폐변(34)을 접촉 가압하면 개폐변(34)이 공기통과공(33)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튜브용기본체(10)의 후단부를 밀폐시키면 튜브용기본체(10) 내부에 공기를 빼낸 상태에서 점성물질과 인출피스톤(30)을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기에 의한 저항력이 없어지므로 인출피스톤(30)이 튜브용기본체(10) 내부에서 선단부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점성물질을 인출구(11)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때, 개폐변(34)은 경질의 합성수지나 강성을 갖는 섬유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변(34)에 경품 추첨 등의 이벤트 패턴을 형성하여 인출피스톤(30)이 튜브용기본체(10)내의 점성물질을 모두 인출한 상태에서 인출구삽입부(32)가 튜브용기본체(10)의 인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면서 개폐변(34)이 인출구(11)를 통해 확인될 때, 이벤트 경품 당첨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광고성 이벤트 기능을 첨가할 수 있다.
가압조작부(35)는 인출피스톤(30)의 후방 상하부면을 형성하면서 가압부(31) 상하 둘레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상하부면이 상호 점진적으로 인접해지면서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역행방지부(37)는 인출피스톤(30)의 후방 양측면 형성하면서 가압부(31) 양측 둘레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양측면이 외향 경사지게 확대되는 날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들 가압조작부(35)와 역행방지부(37)는 인출피스톤(30)의 후방 둘레면을 형성하면서 인출피스톤(30)의 내측에 탄성 유동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가압조작부(35)의 두께는 사용자가 튜브용기본체(10)의 양측면을 가압할 때 상하 탄성적으로 변형 및 형상 복원 가능한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역행방지부(37)의 두께는 사용자가 튜브용기본체(1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가압조작부(35)가 가압될 때 양 단부가 탄성적으로 내향 축소되고, 가압 해제시 탄성적으로 원형 복귀되어 튜브용기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1)의 사용을 살펴본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용기본체(10)내에 수용된 치약 등의 점성물질(A)을 인출하고자 할 때, 먼저 개폐캡(20)을 개방한다.
그런 다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용기본체(10) 외부에서 인출피스톤(30)의 양 가압조작부(35)를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면, 가압조작부(35)의 경사 구조에 의해서 작은 가압력에 의해서도 인출피스톤(30)이 튜브용기본체(10)의 인출구(11) 측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점성물질(A)을 인출구(11)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때, 역행방지부(37)는 도 6b와 같이, 튜브용기본체(10)의 양 내측면에 압력을 줄여주면서 인출피스톤(3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압을 해제하면, 가압조작부(35)는 원형태로 복귀되면서 해당위치의 튜브용기본체(10) 상하측을 원형태로 복귀시킨다. 이때, 역행방지부(37)는 튜브용기본체(10)의 양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면서 압력을 가해 인출피스톤(30)이 후방으로 역행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에 의해, 인출피스톤(30)은 점성물질(A)을 인출시킨 후 정지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출피스톤(30)을 사용하여 튜브용기본체(10) 내부의 점성물질(A)을 인출구(11)를 통해 모두 배출하면서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최종적으로 마지막 점성물질(A)을 배출할 때는 인출피스톤(30)의 가압부(31)가 튜브용기본체(10)의 선단부 내측 영역에 형상 맞춤되고 인출피스톤(30)의 인출구삽입부(32)가 튜브용기본체(10)의 인출구(11)에 삽입되면서 마지막 점성물질(A)을 모두 인출구(11)를 통해 간단하게 튜브용기본체(10) 외부로 인출시킨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에서 인출피스톤은 도 8 및 도 9에 다른 실시예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인출피스톤(30')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7b의 인출피스톤(30)과 마찬가지로 튜브용기본체(10)의 인출구(11) 측으로 점성물질(A)을 가압하는 가압부(31')와, 사용자의 가압조작시 인출피스톤(30')을 튜브용기본체(10)의 인출구(11) 측으로 이동시키는 가압조작부(35')와, 사용자의 가압조작 해제시 인출피스톤(30')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행방지부(37')를 갖도록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가압부(31')는 가압조작부(35')의 가압 조작시 형태가 변형되지 않는 형태를 가지고 튜브용기본체(10)의 선단부 내측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부(31') 역시, 그 중앙에 인출구삽입부(32')가 돌출되어 있고, 인출구삽입부(32') 내측에 공기통과공(33')이 개폐변(34')에 의해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압부(31')의 후방에는 가압부(31')의 후단 중간 영역 상하에서 상호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면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면부 사이에는 빈공간으로 형성되며 이 빈공간은 공기통과공(33')과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가압부(31')의 형상과 인출구삽입부(32')의 형상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튜브용기본체(10)의 선단부 인출구(11) 내측 둘레영역과 인출구(11)의 내측 단면 형상에 적절히 대응하는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압조작부(35')는 인출피스톤(30')의 가압부(31') 후방 상하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외측 둘레면이 전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해 축소되는 형태의 경사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그 전단부는 가압부의 후단부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지지면부를 향하는 양 가압조작부(35')의 내측면부는 지지면부와 소정의 탄성변형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양 가압조작부(35')의 후방 하단부 가운데 부분은 지지면부와 지지리브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가압조작부(35')의 전단부 영역 둘레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하면, 가압조작부(35')의 전단부와 이에 인접한 전방측 내측면부는 가압부(31')와의 간극 및 지지면부와의 탄성 변형 간극 범위 내에서 탄성적으로 가압 변형되면서 인출피스톤(3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복원되면서 인출피스톤(30')의 전방이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가압조작부(35')의 전방측 내측면부와 및 지지면부와의 탄성 변형 간극 크기에 따라서, 인출피스톤(30')의 전방 이동범위를 조절할 수 있는데, 탄성 변형 간극의 크기가 작으면 가압조작부(35')의 가압 변형이 적게 이루어져 인출피스톤(30')의 전방 이동거리가 짧아지고, 탄성 변형 간극의 크기가 크면 가압조작부(35')의 가압 변형이 크게 이루어져 인출피스톤(30')의 전방 이동거리가 길어진다. 이는 튜브용기본체(10)의 인출구(10)로 배출되는 점성물질(A)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점성물질(A)의 종류와 튜브용기본체(10)의 크기 등의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탄성 변형 간극 크기를 선택하여 인출피스톤(30')을 제조할 수 있다.
역행방지부(37')는 인출피스톤(30')의 후방 양측면 형성하면서 가압부(31') 양측 둘레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양 측면이 외향 경사지게 확대되는 날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역행방지부(37')의 형상 및 두께는 사용자가 튜브용기본체(10)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가압조작부(35')가 가압될 때 양 단부가 탄성적으로 내향 축소되고, 가압 해제시 탄성적으로 원형 복귀되어 튜브용기본체(10)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적절한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실시예 따른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1)의 사용을 살펴본다. 이때, 인출피스톤(30')의 점성물질 가압작용을 제외한 나머지 사용 상태 및 과정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7b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용기본체(10) 외부에서 인출피스톤(30')의 양측 가압조작부(35')를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면, 가압조작부(35')가 눌러지면서 가압조작부(35'_의 경사곡면 구조에 의해 인출피스톤(30')이 튜브용기본체(10)의 인출구(11) 측으로 이동하면서 점성물질(A)을 인출구(11)를 통해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때, 역행방지부(37')는 도 10b와 같이, 탄성적으로 양 폭이 축소되어 튜브용기본체(10)의 양 내측면에 압력을 줄여주면서 인출피스톤(3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가압을 해제하면, 가압조작부(35')는 원형태로 복귀되면서 해당위치의 튜브용기본체(10) 상하측을 원형태로 복귀시킨다. 이때, 역행방지부(37')는 튜브용기본체(10)의 양측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되면서 압력을 가해 인출피스톤(30')이 후방으로 역행하는 것을 저지한다. 이에 의해, 인출피스톤(30')은 점성물질(A)을 인출시킨 후 정지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출피스톤(30')의 가압조작부를 가압하면서 튜브용기본체(10) 내부의 점성물질(A)을 인출구(11)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a및 도 11b와 같이, 최종적으로 마지막 점성물질(A)을 배출할 때는 인출피스톤(30')의 가압부(31')가 튜브용기본체(10)의 선단부 내측 영역에 형상 맞춤되고 인출피스톤(30')의 인출구삽입부(32')가 튜브용기본체(10)의 인출구(11)에 삽입되면서 마지막 점성물질(A)을 모두 인출구(11)를 통해 간단하게 튜브용기본체(10)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에 의해, 점성물질을 편리하게 항상 일정량을 인출시킬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튜브용기 내에 점성물질이 남지 않고 모두 인출될 수 있는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튜브용기의 디자인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가 제공된다.
10 : 튜브용기본체 11 : 인출구
30 : 인출피스톤 31 : 가압부
31 : 인출구삽입부 33 : 공기통과공
34 : 개폐변 35 : 가압조작부
37 : 역행방지부

Claims (6)

  1. 점성물질을 수용하며 선단부에 상기 점성물질을 인출하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용기본체와, 상기 튜브용기본체 내에 수용되며, 누름 조작시 상기 인출구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점성물질을 가압하고, 누름 해제시 이동 정지하는 인출피스톤과, 상기 인출피스톤의 가압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인출구에 삽입되는 인출구삽입부를 포함하는 튜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인출피스톤은,
    상기 튜브용기본체의 인출구 인접영역의 선단부 내측에 둘레에 밀착 대응하는 형상의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 후방 상하 둘레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누름 조작시 축소되는 형태로 탄성 변형되고, 누름 해제시 원상태로 탄성 복귀되는 가압조작부와;
    상기 가압부 후방 양측 둘레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확대되며 상기 가압조작부의 누름 조작시 축소되는 형태로 탄성 변형되고, 누름 해제시 원상태로 탄성복귀되어 상기 튜브용기본체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역행방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는 가압부 중간 영역 상하에서 상호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지지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압조작부는 상기 가압부 후방 상하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되, 외측 둘레면이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해 축경되는 형태의 경사곡면으로 형성되면서 전단부는 상기 가압부의 후단부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면부를 향하는 상기 양 가압조작부의 내측면부는 상기 지지면부와 탄성변형 간극을 두고 이격되어 있고. 상기 양 가압조작부의 후방 하단부 가운데 부분은 상기 지지면부와 지지리브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인출구삽입부 내측으로부터 인출피스톤의 후방으로 공기통과공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인출구삽입부 내측에는 전방으로부터 점성물질이 접촉하면 상기 공기통과공을 폐쇄하는 개페변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6. 삭제
KR1020100016130A 2010-01-27 2010-02-23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 KR101022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0339 WO2011087335A2 (ko) 2010-02-23 2011-01-17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289 2010-01-27
KR20100007289 2010-01-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2595B1 true KR101022595B1 (ko) 2011-03-16

Family

ID=4393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130A KR101022595B1 (ko) 2010-01-27 2010-02-23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59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8777A (zh) * 2011-07-11 2012-01-25 余三元 注射器式牙膏袋
KR101331846B1 (ko) * 2013-05-15 2013-12-03 주식회사 우경아이앤아이 내용물 배출용기
KR20200109821A (ko) * 2019-03-14 2020-09-23 장건주 주사기형 충진용기
KR20200109824A (ko) * 2019-03-14 2020-09-23 장건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JP2021522126A (ja) * 2018-04-27 2021-08-30 ジョエル・シャロウィッツJoel SHALOWITZ 食品容器およびディスペン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5245U (ko) 1980-08-01 1982-02-24
KR960014391U (ko) * 1994-10-31 1996-05-17 이효승 밀착 튜브용기
US20070062977A1 (en) 2002-10-29 2007-03-22 Enzo Ferrarin Container for fluid susbtances like pastes or creams
WO2007066123A1 (en) * 2005-12-10 2007-06-14 William Arthur Bell Tube dispens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5245U (ko) 1980-08-01 1982-02-24
KR960014391U (ko) * 1994-10-31 1996-05-17 이효승 밀착 튜브용기
US20070062977A1 (en) 2002-10-29 2007-03-22 Enzo Ferrarin Container for fluid susbtances like pastes or creams
WO2007066123A1 (en) * 2005-12-10 2007-06-14 William Arthur Bell Tube dispensing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8777A (zh) * 2011-07-11 2012-01-25 余三元 注射器式牙膏袋
KR101331846B1 (ko) * 2013-05-15 2013-12-03 주식회사 우경아이앤아이 내용물 배출용기
JP2021522126A (ja) * 2018-04-27 2021-08-30 ジョエル・シャロウィッツJoel SHALOWITZ 食品容器およびディスペンサ
KR20200109821A (ko) * 2019-03-14 2020-09-23 장건주 주사기형 충진용기
KR20200109824A (ko) * 2019-03-14 2020-09-23 장건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KR102205149B1 (ko) * 2019-03-14 2021-01-19 장건주 주사기형 충진용기
KR102234866B1 (ko) * 2019-03-14 2021-03-31 장건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2595B1 (ko)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
EP2319358A1 (en) Liquid applying tool
KR20160107191A (ko) 주사 기구
KR100699521B1 (ko) 페이스트물질 토출장치
KR101204400B1 (ko) 펜타입 화장품 용기
KR200230179Y1 (ko) 겔상 립스틱 용기
WO2014180591A1 (de) Spritze
KR20090005978U (ko) 화장퍼프를 구비한 튜브용기
KR20170021017A (ko) 이중 주사기
JP5111801B2 (ja) 粘性材料の注出用ディスペンサー
JP4761373B2 (ja) 歯科用シリンジ
CN113859745A (zh) 用于可压缩管的刚性壳
KR101331846B1 (ko) 내용물 배출용기
WO2011087335A2 (ko)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
EP2926683B1 (de) Innengespeister Applikator mit Fingern und Folienvorratsbehälter
WO2011115586A1 (en) Applicator for ejecting of contents, preferably tampons
US3326419A (en) Toothpaste tube holder and dispenser
JP5369243B1 (ja) 歯磨きセット
CN106137004B (zh) 一种自动加液盒
KR200417200Y1 (ko) 디스펜서
KR20160013593A (ko) 가압형 치약 케이스
CN211705314U (zh) 开塞露瓶
KR20150093486A (ko) 내용물 배출용기의 개폐형 캡
CN213466475U (zh) 一种开塞露注射装置
KR200397881Y1 (ko) 분리된 가압판과 피스톤 로드를 갖는 치약이 내장된 칫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