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866B1 -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 Google Patents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866B1
KR102234866B1 KR1020190029532A KR20190029532A KR102234866B1 KR 102234866 B1 KR102234866 B1 KR 102234866B1 KR 1020190029532 A KR1020190029532 A KR 1020190029532A KR 20190029532 A KR20190029532 A KR 20190029532A KR 102234866 B1 KR102234866 B1 KR 102234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uction
piston
diameter
syring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824A (ko
Inventor
장건주
박진호
Original Assignee
장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건주 filed Critical 장건주
Priority to KR1020190029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8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사기형 충진용기 및 그를 위한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충진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실리콘, 수지 재질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한 주사기형 충진용기를 제공하여 충진된 액상의 재질을 밀어낼 때 효과적으로 용기본체 벽의 긁기와 미끄럼 동작을 원활히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는 하우징부(Housing Part)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피스톤 운동하는 피스톤부(Piston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99~99.98중량부의 저밀도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 및 1~0.02중량부의 슬립제(Slip Agent)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94~95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1~0.02중량부의 슬립제 및 4~5.92중량부의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어 신축성을 높이고 주사기의 마찰계수를 줄여서 표면의 미끄러짐이 충분히 구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COMPOSITION FOR MAKING SYRINGE TYPE CONTAINER FOR EASILY FILLING AND THE SYRINGE TYPE CONTAINER THEIRFROM}
본 발명은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충진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충진된 액상의 재질을 밀어낼 때 효과적으로 긁기와 미끄럼 동작을 위해 실리콘, 수지 재질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과 그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나 약품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여 필요에 따라 공급하는 용기는 다양한 형태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용기본체(하우징부)의 내부에 피스톤을 내장하여 피스톤을 가압함에 따라 내용물을 공급하는 주사기형 충진용기가 여러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주사기형 충진용기는 용기본체 내에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피스톤을 밀게 되면, 용기본체 내의 내용물이 피스톤에 의해 가압되어져 전면의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토출되는 것이나 실제로 충진하는데 물리적으로 어려워 대량 제조공정화가 어려울 뿐만아니라, 충진된 액상재질을 효과적으로 벽을 긁어 밀어내기 어려울 뿐만아니라, 보관중 충진물이 흘러나오지 못하도록 밀폐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주사기형 충진용기의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396호[문헌 1]에서는 용기본체의 끝단에 뚜껑의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는 밀봉박판을 형성하고, 피스톤의 끝단에는 다수의 가압부를 형성한 주사기형 충진용기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1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는 그 구조가 복합하고, 부품수가 증가하여 단가가 상승 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주사기형 충진용기의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451호[문헌 2]에서는 피스톤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주사기형 충진용기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는데 이에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는 피스톤부의 길이를 조절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부드러운 재질의 패킹을 사용하여야 하고, 그 구조가 복잡하며,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서 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주사기형 충진용기의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945호[문헌 3]에서는 뚜껑을 피스톤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사기형 충진용기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또한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많고,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5396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9451호 [문헌 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945호
본 발명은 충진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충진된 액상의 재질을 밀어낼 때 효과적으로 용기본체 벽의 긁기와 미끄럼 동작을 위해 실리콘, 수지 재질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는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과 그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실리콘 등의 패킹(Packing) 없이도 효과적으로 충진된 액상의 재질을 밀폐할 수 있는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과 그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는 하우징부(Housing Part) 및 상기 하우징부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부 내에서 피스톤 운동하는 피스톤부(Piston Part)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99~99.98중량부의 저밀도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 및 1~0.02중량부의 슬립제(Slip Agent)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94~95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1~0.02중량부의 슬립제 및 4~5.92중량부의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99.5~99.96중량부의 저밀도폴리에틸렌 및 0.5~0.04중량부의 슬립제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94.5~94.98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 0.5~0.04중량부의 슬립제 및 4.52~5.46중량부의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의 연신율은 상기 피스톤부의 연신율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진이 용이할 뿐만아니라, 실리콘, 수지 재질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한 주사기형 충진용기를 제공하여 충진된 액상의 재질을 밀어낼 때 효과적으로 용기본체 벽의 긁기와 미끄럼 동작을 원활히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는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도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는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도 액상의 재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는 재질이 미끄러워 용기본체(하우징부)에 저장된 액상의 재질을 효과적으로 밀어내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는 구조를 단순하게 하면서도 액상의 재질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진장치는 주사기형 충진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액상의 재질을 효과적이고 빠르게 충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은 하우징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피스톤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마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충진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4는 제 2 지그부와 수평 운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 내지 도 34는 제 1 지그부 및 수직 운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 내지 도 36은 제 1 지그부와 제 2 지그부의 이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 내지 도 41은 액상의 재질의 재활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 내지 도 44는 이탈 방지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 및 그를 위한 충진장치 및 충진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은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 및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과 교차(수직)하고, 제 2 방향(DR2)은 제 3 방향(DR3)과 교차(수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DR1)과 제 2 방향(DR2)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DR3)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이하에서 설명하는 직경(Diameter)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벽두께(Wall Thickness)까지를 포함하는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주사기형 충진용기(10A)는 하우징부(Housing Part, 1A), 피스톤부(Piston Part, 2A) 및 마개부(Cap Part, 3A)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1A)는 액상의 재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포함하고, 이러한 저장공간을 통해 액상의 재질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액상의 재질은 화장품, 약품, 식품 등 다양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액상의 재질을 액상의 화장품 재질로 가정하여 설명할 수 있다.
액상의 재질이 액상의 화장품 재질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는 '주사기형 화장품 용기'가 되고, 액상의 재질이 액상의 약품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는 '주사기형 약품 용기'가 될 수 있다.
피스톤부(2A)는 하우징부(1A)의 일측에 삽입되고 하우징부(2A) 내에서 피스톤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부(2A)의 피스톤 운동에 따라 하우징부(1A)의 내부(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상의 재질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마개부(3A)는 하우징부(1A)의 타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하우징부(1A)는 제 1 바디부(First Body Part, 10), 테두리부(Rim Part, 11), 제 1 머리부(First Head Part, 12) 및 배출구(Outlet, 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개부(3A)는 하우징부(1A)의 제 1 머리부(12)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피스톤부(2A)의 하우징부(1A)의 제 1 바디부(10)에 삽입되고 제 1 바디부(10) 내에서 피스톤 운동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보면, 하우징부(1A)의 제 1 바디부(10)의 일측에는 제 1 개구부(First Opening, 14)가 형성되고, 피스톤부(2A)는 제 1 바디부(10)의 제 1 개구부(14)를 통해 제 1 바디부(10)로 삽입될 수 있다.
도 3에는 하우징부(1A), 피스톤부(2A) 및 마개부(3A)가 결합된 상태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실리콘, 고무, 수지 재질 등 부드러운 재질의 패킹(Packing)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피스톤부(2A)가 하우징부(1A) 내에서 원활하게 피스톤 운동을 하고 하우징부(1A) 내에 채워진 액상의 재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부(1A)의 연신율은 피스톤부(2A)의 연신율보다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피스톤부(2A)의 강도는 하우징부(1A)의 강도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각 부분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하우징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하우징부(1A)는 제 1 바디부(10), 테두리부(11), 제 1 머리부(12) 및 배출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바디부(10)는 양측이 개방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원통형의 제 1 바디부(10)의 내측 공간이 액상의 재질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테두리부(11)는 제 1 바디부(10)의 일측 끝단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부(11)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를 소정의 지그(Zig, 미도시)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1 머리부(12)는, 도 5와 같이, 제 1 바디부(10)의 타측에 배치되며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바디부(10), 테두리부(11) 및 제 1 머리부(12)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배출구(13)는 제 1 머리부(12)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13)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에 저장된 액상의 재질이 배출되는 통로일 수 있다.
테두리부(11)를 A1-A2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6의 경우와 같이, 테두리부(11)는 수평 주연부(110) 및 수직 주연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주연부(110)는 제 1 바디부(10)의 일측 끝단의 테두리로부터 제 1 바디부(10)의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동심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직 주연부(111)는 수평 주연부(110)의 끝단에서 제 1 머리부(12)를 향해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며 동심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수직 주연부(111)는 수평 주연부(110)의 전면(Front Surface, FS)로부터 제 1 머리부(12)를 향해 돌출/연장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수평 주연부(110)와 수직 주연부(111)가 동심원 형태를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부(11)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A)를 지그(미도시)에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3은 피스톤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살펴보면, 피스톤부(2A)는 제 2 바디부(Second Body Part, 20), 걸림부(21) 및 제 2 머리부(Second Head Part, 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바디부(20)는 양측이 개방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바디부(20)의 일측에는 제 2 개구부(Second Opening, 2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21)는 제 2 바디부(20)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며 직경(R4)이 제 2 바디부(20)의 직경(R1)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부(21)가 제 2 바디부(20)의 일측 끝단에 걸릴 수 있다.
제 2 머리부(22)는 제 2 바디부(20)의 타측에 배치되며 끝단이 막힐 수 있다.
이러한 제 2 머리부(22)는, 도 9와 같이, 연결부분(Connecting Part, 220), 적어도 하나의 홀(Hole, 221), 증가부분(222), 제 1 감소부분(223) 및 제 2 감소부분(224)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분(220)은 원통형상이고 제 2 바디부(2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아울러, 연결부분(220)의 직경(R2)은 제 2 바디부(20)의 직경(R1)보다 작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홀(221)은 연결부분(220)의 측벽(Side Wall)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홀(221)은 제 2 개구부(23)와 연결될 수 있다.
피스톤부(2A)의 피스톤 운동 시 피스톤부(2A)와 하우징부(1A) 사이 공간의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홀(221)과 제 2 개구부(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부(2A)의 피스톤 운동이 원활할 수 있다.
증가부분(222)은 연결부분(22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가부분(222)에는 사선 함몰부(225)가 형성될 수 있다.
사선 함몰부(225)는 증가부분(222)의 측벽에 형성되고, 증가부분(222)의 중심을 향해 함몰되며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선 함몰부(225)는 피스톤부(2A)의 부드러운 피스톤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 1 감소부분(223)은 증가부분(22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직경이 제 1 비율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감소부분(224)은 제 1 감소부분(223)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직경이 제 1 비율보다 큰 제 2 비율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감소부분(224)의 기울기는 제 1 감소부분(223)의 기울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제 2 머리부(22)의 최대 직경(R3), 즉 증가부분(222)과 제 1 감소부분(223)의 경계부분에서의 직경(R3)은 제 2 바디부(20)의 최대 직경(R1)보다 클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제 2 머리부(22)는 제 1 감소부분(223)과 제 2 감소부분(224)의 사이에 위치하는 유지부분(2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지부분(226)에서는 제 2 머리부(22)의 직경이 유지될 수 있다.
제 1 감소부분(223)은 제 1-1 감소부분(223a), 제 1-2 감소부분(223b) 및 제 1-3 감소부분(22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1 감소부분(223a)의 직경이 감소하는 비율은 제 1-2 감소부분(223b)의 직경이 감소하는 비율보다 더 작고, 제 1-2 감소부분(223b)의 직경이 감소하는 비율은 제 1-3 감소부분(223b)의 직경이 감소하는 비율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제 1-2 감소부분(223b)의 폭(X2)은 제 1-1 감소부분(223a)의 폭(X1) 및 제 1-3 감소부분(223c)의 폭(X3)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1 감소부분(223a)과 증가부분(222)의 경계부분 및 제 1-3 감소부분(223c)과 제 2-1 감소부분(224a)의 경계부분에서 제 2 머리부(22)의 직경의 변화를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하면서도, 제 1 감소부분(223)의 직경의 감소 비율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제 2 감소부분(224)은 제 2-1 감소부분(224a)과 제 2-2 감소부분(224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1 감소부분(224a)의 직경이 감소하는 비율은 제 2-2 감소부분(224b)의 직경의 감소 비율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제 2-2 감소부분(224b)의 폭(X5)은 제 2-1 감소부분(224a)의 폭(X4)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3 감소부분(223c)과 제 2-1 감소부분(224a)의 경계부분에서 제 2 머리부(22)의 직경의 변화를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하면서도, 제 2 감소부분(224)의 직경의 감소 비율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도 11을 살펴보면, (B)의 피스톤부(2A)의 제 2 머리부(22)의 최대 직경(R3)은 (A)의 하우징부(1A)의 제 1 바디부(10)의 직경(최대직경)(R5)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증가부분(222)과 제 1 감소부분(223)의 경계부분에서의 직경(R3)은 제 1 바디부(10)의 직경(R5)보다 클 수 있다.
아울러, 제 2 머리부(22)의 최대 직경(R3)은 제 1 바디부(10)의 내측 직경(R5a)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제 1 바디부(10)의 벽두께(Wall Thickness)는 충분히 얇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2와 같이, 제 1 바디부(10)의 벽두께(t1)는 제 2 바디부(20)의 벽두께(t2)보다 얇을 수 있다.
이처럼, 제 1 바디부(10)의 벽두께(t1)가 충분히 얇고, 하우징부(1A)의 연신율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피스톤부(2A)의 제 2 머리부(22)가 하우징부(1A)의 제 1 바디부(10) 내에서 제 1 바디부(10)와 밀착된 상태에서 피스톤 운동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과 같이, 피스톤부(2A)가 하우징부(1A)의 제 1 바디부(10)에 삽입되면, 피스톤부(2A)의 제 2 머리부(22)가 제 1 바디부(10)의 측벽을 밀어 올려서 제 1 바디부(10)의 일부가 볼록하게 솟아오를 수 있다.
이후, 피스톤부(2A)가 제 1 바디부(10)로부터 이탈되거나, 제 1 바디부(10) 내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솟아올랐던 부분이 다시 복원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머리부(22)가 제 1 바디부(10)에 밀착되면 실리콘 등의 연성재질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아도 제 1 바디부(10)와 제 2 머리부(22) 사이의 틈으로 액상의 재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머리부(22)는 제 1 바디부(10) 내에 저장된 액상의 재질을 효과적으로 밀어 올려 배출구(13)를 통해 토출시킬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7은 마개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살펴보면, 마개부(3A)는 제 3 바디부(Third Body Part, 30) 및 받침 플레이트(Supporting Plate, 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바디부(30)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3 바디부(30)의 일측에는 제 3 개구부(Third Opening, 3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 개구부(32)에는 하우징부(1A)의 끝단, 즉 제 1 머리부(1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받침 플레이트(31)는 제 3 바디부(30)의 타측 끝단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받침 플레이트(31)는 대략 원형의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살펴보면, 받침 플레이트(31)는 함몰부(33) 및 돌출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받침 플레이트(31)를 A3-A4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함몰부(33)는 받침 플레이트(31)의 외측면(Outer Surface, OS)에 형성되며 제 3 바디부(30)를 향해 함몰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 플레이트(31)의 외측면(OS)은 받침 플레이트(31)에서 외부를 향하는 면을 의미하고, 내측면(IS)은 받침 플레이트(31)에서 제 3 바디부(30)를 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33)는 그 단면이 포물선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4)는 받침 플레이트(31)의 내측면(Inner Surface, IS)에 형성되며 제 3 바디부(3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34)는 제 3 바디부(30)의 내측에 위치하고, 하우징부(1A)의 배출구(13)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부(1A)와 마개부(3A)가 결합된 상태에서, 돌출부(34)는 배출구(13)에 끼워져서 배출구(13)를 막을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받침 플레이트(31)의 폭(혹은 직경)(R7)은 제 3 바디부(30)의 직경(R6)보다 클 수 있다.
이처럼, 받침 플레이트(31)가 충분히 큰 폭과 넓은 면적을 가지고 함몰부(33)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를 용이하게 세울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7의 (A)와 같이, 마개부(3A)를 받침으로 하여 주사기형 충진용기(10A)를 세울 수 있다. 여기서, 받침 플레이트(31)에 의해 주사기형 충진용기(10A)가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받침 플레이트(31)가 함몰부(33)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7의 (B)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31)의 하부에 이물질이 위치하거나 바닥이 고르지 않은 경우에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가 균형을 잡기 어려울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재질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머리부(22)의 최대직경(R3)이 제 1 바디부(10)의 최대직경(R5)보다 더 크며, 제 2 머리부(22)가 제 1 바디부(10)에 밀착된 상태에서 피스톤 운동을 하기 위해, 하우징부(1A)는 충분한 탄력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처럼, 하우징부(1A)는 충분한 탄력을 가지기 위해 저밀도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은 에틸렌으로 만든 합성수지로 내수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 1 바디부(10) 내에서 제 2 머리부(22)가 원활하게 피스톤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부(1A)는 슬립제(Slip Agen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바디부(10)와 제 2 머리부(22)의 사이에서 마찰계수를 줄여서 표면의 미끄러짐이 충분히 구현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슬립제는 제 1 바디부(10)와 제 2 머리부(22)의 사이에서 윤활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부(1A)에 사용할 수 있는 슬립제로는 K-5060N, ARMOSLIP 계열, Oleamide, Erucamide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하우징부(1A)에서 슬립제의 함량이 과도하게 적거나 없다면 제 1 바디부(10)와 제 2 머리부(22)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피스톤 운동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반면에, 하우징부(1A)에서 슬립제의 함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제 1 바디부(10)와 제 2 머리부(22) 사이의 마찰계수를 충분히 줄일 수 있으나, 하우징부(1A)의 제조단가가 과도하게 상승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면, 하우징부(1A)에서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의 함량은 99~99.98중량부이고, 슬립제의 함량은 1~0.02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부(1A)는 99.5~99.96중량부의 저밀도폴리에틸렌 및 0.5~0.04중량부의 슬립제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피스톤부(2A)는 하우징부(1A) 내에서 피스톤 운동을 하면서도 제 1 바디부(10)와 제 2 머리부(22) 사이의 틈으로 액상의 재질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우징부(1A)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의 재질을 효과적으로 토출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큰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스톤부(2A)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은 열가소성 범용수지의 한 가지이고 내열성, 내약품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부(2A)는 강도를 향상시키고 산(Acid) 등의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리 재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피스톤부(2A)가 폴리프로필렌(PP) 재질과 함께 유리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하우징부(1A) 내부의 저장공간에 채워지는 액상의 재질에 의해 피스톤부(2A)의 제 2 머리부(22)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바디부(10) 내에서 제 2 머리부(22)가 원활하게 피스톤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피스톤부(2A)도 하우징부(1A)와 마찬가지로 슬립제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부(2A)에 사용할 수 있는 슬립제로는 K-5060N, ARMOSLIP 계열, Oleamide, Erucamide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피스톤부(2A)에서 슬립제의 함량이 과도하게 적거나 없다면 제 1 바디부(10)와 제 2 머리부(22)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해 피스톤 운동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반면에, 피스톤부(2A)에서 슬립제의 함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피스톤부(2A)의 제조단가가 과도하게 상승할 수 있다.
아울러, 피스톤부(2A)에서 유리 재질의 함량이 과도하게 적거나 없다면 피스톤부(2A)의 약품에 대한 저항성이 과도하게 약해질 수 있으며 피스톤부(2A)의 강도가 과도하게 약해질 수 있다.
반면에, 피스톤부(2A)에서 유리 재질의 함량이 과도하게 많은 경우에는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제조단가가 과도하게 상승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고려하면, 피스톤부(2A)에서 폴리프로필렌(PP)의 함량은 94~95중량부이고, 슬립제의 함량은 1~0.02중량부이고, 유리 재질의 함량은 4~5.92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스톤부(2A)는 94.5~94.98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PP), 0.5~0.04중량부의 슬립제 및 4.52~5.46중량부의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조성비로서 하우징부(1A)와 피스톤부(2A)를 제조하면, 하우징부(1A)의 연신율을 피스톤부(2A)의 연신율보다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부(1A)의 제 1 바디부(10)의 벽두께(t1)를 피스톤부(2A)의 제 2 바디부(20)의 벽두께(t2)보다 더 얇게 하면, 제 1 바디부(10) 내에서 제 2 머리부(22)가 보다 효과적으로 피스톤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실시예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이하의 표 1에서와 같이, 하우징부(1A)를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 슬립제를 또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작하고, 제작한 하우징부(1A)를 연신율, 피스톤 운동, 제조단가의 측면에서 평가한다.
슬립제는 분말 상태의 Oleamide를 사용한다.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 분말 상태의 Oleamide를 혼합하고, 혼합한 재료를 용융시키고, 용융된 상태의 재료를 틀에 부어 하우징부(1A)를 제조할 수 있다.
피스톤 운동에 대한 평가는 다수의 사용자가 피스톤부(2A)를 하우징부(1A)의 제 1 바디부(10)에 삽입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피스톤 운동을 실시하고, 그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하우징부

성분

함량(중량부)
평가
연신율 피스톤 운동 제조단가

비교예 1
LDPE 99.99

X

슬립제 0.01

비교예 2
LDPE 100

X

슬립제 0

비교예 3
LDPE 90


X
슬립제 10

실시예 1
LDPE 99.95


슬립제 0.05
표 1을 살펴보면, 99.99중량부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 0.01중량부의 슬립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1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하우징부(1A)에서는 연신율에 대한 평가와 제조단가의 평가는 양호하지만, 피스톤 운동의 평가는 불량함을 알 수 있다.
100중량부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2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하우징부(1A)에서는 연신율에 대한 평가와 제조단가의 평가는 양호하지만, 피스톤 운동의 평가는 불량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서 피스톤 운동에 대한 평가가 불량인 이유는 슬립제의 함량이 과도하게 적어서 제 1 바디부(10)와 제 2 머리부(22) 사이의 마찰계수가 과도하게 높기 때문일 수 있다.
90중량부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 10중량부의 슬립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3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하우징부(1A)에서는 연신율에 대한 평가와 피스톤 운동에 대한 평가는 양호하지만, 제조단가의 측면에 대한 평가는 불량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고가인 슬립제의 함량이 과도하게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전체 단가가 상승해서 발생한 문제점일 수 있다.
아울러, 표 1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슬립제의 함량이 과도한 경우에는 슬립제의 특성에 의해 하우징부(1A)의 연신율 등의 특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반면에, 99.95중량부의 저밀도폴리에틸렌(LDPE)과 0.05중량부의 슬립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하우징부(1A)에서는 연신율에 대한 평가, 제조단가의 평가 및 피스톤 운동의 평가는 모두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의 표 2에서와 같이, 피스톤부(2A)를 폴리프로필렌(PP), 슬립제 및/또는 유리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고, 제작한 피스톤부(2A)를 연신율(강도), 피스톤 운동, 제조단가, 약품에 대한 저항성 및 성형성의 측면에서 평가한다.
슬립제는 분말 상태의 Oleamide를 사용하고, 유리 재질은 연질 유리를 사용한다.
분말 상태의 폴리프로필렌(PP), 분말 상태의 Oleamide 및 분말 상태의 유리 재질을 혼합하고, 혼합한 재료를 용융시키고, 용융된 상태의 재료를 틀에 부어 피스톤부(2A)를 제조할 수 있다.
피스톤 운동에 대한 평가는 다수의 사용자가 피스톤부(2A)를 하우징부(1A)의 제 1 바디부(10)에 삽입한 상태에서 수동으로 피스톤 운동을 실시하고, 그에 대한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저항성에 대한 평가는 약산성의 약품 용액에 피스톤부(2A)를 소정 시간 동안 담갔다가 뺀 이후에 피스톤부(2A)의 표면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성형성에 대한 평가는 분말 상태의 재료를 용융시키는데 필요한 온도 및/또는 완전한 용융에 필요한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피스톤부

성분

함량(중량부)
평가
연신율(강도) 피스톤운동 저항성 성형성 제조단가

비교예 4
PP 99




슬립제 0.05
유리재질 0.95

비교예 5
PP 99.95
X


X


슬립제 0.05
유리재질 0

비교예 6
PP 99.95
X

X

X


슬립제 0
유리재질 0.05

비교예 7
PP 90



X

X
슬립제 0.05
유리재질 9.95

실시예 2
PP 94.95




슬립제 0.05
유리재질 5
표 2를 살펴보면, 99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PP), 0.05중량부의 슬립제 및 0.95중량부의 유리 재질을 포함하는 비교예 4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피스톤부(2A)에서는 연신율에 대한 평가와 저항성에 대한 평가는 보통이고, 피스톤 운동에 대한 평가, 성형성에 대한 평가 및 제조단가에 대한 평가는 양호함을 알 수 있다.
99.95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PP), 0.05중량부의 슬립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5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피스톤부(2A)에서는 연신율에 대한 평가와 저항성에 대한 평가는 불량이고, 피스톤 운동에 대한 평가, 성형성에 대한 평가 및 제조단가에 대한 평가는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와 비교예 5에서 연신율에 대한 평가가 불량하거나 보통인 이유는 피스톤부(2A)에서 유리 재질의 함량이 과도하게 적거나 없기 때문에 피스톤부(2A)의 강도가 충분히 강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아울러, 비교예 4와 비교예 5에서 저항성에 대한 평가가 불량하거나 보통인 이유는 피스톤부(2A)에서 유리 재질의 함량이 과도하게 적거나 없기 때문에 피스톤부(2A)의 표면이 약산성의 약품 용액에 의해 부식되는 등 손상을 입었기 때문일 수 있다.
99.95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PP), 0.05중량부의 유리 재질을 포함하는 비교예 6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피스톤부(2A)에서는 연신율에 대한 평가, 저항성에 대한 평가 및 피스톤 운동에 대한 평가는 불량이고, 성형성에 대한 평가 및 제조단가에 대한 평가는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6에서 피스톤 운동에 대한 평가가 불량인 이유는 피스톤부(2A)에서 슬립제가 포함되지 않아서 제 1 바디부(10)와 제 2 머리부(22) 사이의 마찰계수가 과도하게 높기 때문일 수 있다
90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PP), 0.05중량부의 슬립제 및 9.95중량부의 유리 재질을 포함하는 비교예 7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피스톤부(2A)에서는 연신율에 대한 평가, 저항성에 대한 평가는 양호하고, 피스톤 운동에 대한 평가는 보통이고, 성형성에 대한 평가 및 제조단가에 대한 평가는 불량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7에서 성형성에 대한 평가가 불량인 이유는 피스톤부(2A)에서 유리 재질의 함량이 과도하게 많아서 분말 재료를 용융시키는데 과도하게 긴 시간이 필요하고, 용융에 필요한 시간이 과도하게 길기 때문일 수 있다.
아울러, 비교예 7에서 제조 단가에 대한 평가가 불량인 이유는 피스톤부(2A)에서 유리 재질의 함량이 과도하게 많아서 상대적으로 고가인 유리 재질에 의해 피스톤부(2A)의 전체 제조 단가가 상승했기 때문일 수 있다.
반면에, 94.95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PP), 0.05중량부의 슬립제 및 5중량부의 유리 재질을 포함하는 비교예 7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피스톤부(2A)에서는 연신율에 대한 평가, 저항성에 대한 평가, 피스톤 운동에 대한 평가, 성형성에 대한 평가 및 제조단가에 대한 평가는 모두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에 액상의 재질을 충진시키기 위한 충진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충진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을 살펴보면, 충진장치(20A)는 제 1 지그부(First Zig Part, 50), 재료 공급부(80) 및 제 2 지그부(Second Zig Part, 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충진장치(20A)는 수직 운동부(70) 및 수평 운동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그부(40)는 액상의 재질이 지나는 적어도 하나의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지그부(40)는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First Hole,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홀에는 본 발명에 따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가 삽입/배치될 수 있다.
재료 공급부(80)는 제 1 지그부(40)의 통로의 일측으로 액상의 재질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재료 공급부(80)는 액상의 재질을 담는 용기부(Container Part, 81) 및 용기부(81)로부터 액상의 재질을 공급하는 펌프부(Pump Part, 8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재료 공급부(80)는 액상의 재질의 공급을 위한 공급관(8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운동부(70)는 제 1 지그부(50)를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수평 운동부(60)는 제 2 지그부(40)를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장치(20A)에서는 수직 운동부(70)와 수평 운동부(60)에 의해 제 1 지그부(50)와 제 2 지그부(40)가 정렬되면, 펌프부(82)가 용기부(81)로부터 공급관(83)을 통해 공급하는 액상의 재질이 제 1 지그부(50)를 경유하여 제 2 지그부(40)에 배치된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배출구(13)로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충진장치(20A)의 각각의 부분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 내지 도 24는 제 2 지그부와 수평 운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을 살펴보면, 제 2 지그부(40)는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41)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 1 홀(41)은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주사기형 충진용기(10A)는 제 1 홀(41)의 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제 1 머리부(13)가 제 2 지그부(40)의 상면(Upper Surface, US)에서 제 1 홀(41)로 삽입되는 방법으로 주사기형 충진용기(10A)가 제 1 홀(41)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지그부(40)에 주사기형 충진용기(10A)가 배치된 상태에서는, 도 20과 같이, 주사기형 충진용기(10A)는 제 2 지그부(40)의 상면(US)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아울러 제 2 지그부(40)의 하면(Bottom Surface, BS)보다 더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2 지그부(40)에 주사기형 충진용기(10A)가 배치된 상태에서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제 1 머리부(13)는 제 2 지그부(40)의 하면(BS)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제 2 지그부(40)의 길이(L3)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길이(L1)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아울러,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제 2 지그부(40)의 길이(L3)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하우징부(1A)의 길이(L2)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여기서, 제 2 지그부(40)의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의 길이(L3)는 제 1 홀(41)의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1을 살펴보면, 제 2 지그부(40)는 상면(US) 측에 제 1 홀(41)의 주변부에 형성되는 고정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지그부(40)를 A5-A6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22와 같이, 고정부(42)는 제 1 홀(41)의 주변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동심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42)에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테두리부(11)가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 23과 같이, 고정부(42)에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수직 주연부(111)가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사기형 충진용기(10A)를 제 2 지그부(40)에 용이하게 정렬 및 배치시킬 수 있다.
아울러, 수직 주연부(111)가 고정부(42)에 단단히 고정되는 경우에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배출구(13)로 액상의 재질을 주입하는 충진 과정에서 주사기형 충진용기(10A)가 제 2 지그부(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지그부(40)를 수평 운동부(60)가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4의 (A), (B)와 같이, 수평 운동부(60)는 제 2 지그부(40)에 연결되는 수평 구동축(61)을 포함하고, 수평 구동축(61)을 이용하여 제 2 지그부(40)를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24에서 제 2 지그부(40)의 이동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25 내지 도 34는 제 1 지그부 및 수직 운동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5를 살펴보면, 제 1 지그부(50)는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홀(Second Hole, 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홀(51)은 액상의 재질이 지나는 통로에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홀(51)은 제 2 지그부(40)에 형성되는 제 1 홀(41)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6을 살펴보면, 제 2 홀(51)의 일측에는 공급관(83)이 연결될 수 있고, 제 2 홀(51)의 타측은 제 1 홀(41)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 2 홀(51)이 일측에 공급관(83)이 연결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급관(83)은 제 2 홀(51)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 2 홀(51)의 타측까지 연장설치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 1 지그부(50)의 상부에 제 2 지그부(40)가 정렬되는 경우에는, 도 27과 같이,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끝단, 즉 제 1 머리부(13)의 적어도 끝단은 제 2 홀(51)의 타측에 대응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제 1 머리부(13)의 적어도 끝단은 제 2 홀(51)의 타측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급관(83)을 통해 액상의 재질이 주입되는 경우에는 액상의 재질은 제 1 지그부(50)의 통로, 즉 제 2 홀(51)을 통해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배출구(13)를 저장공간에 충진될 수 있다.
그러면, 도 28과 같이,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피스톤부(2A)가 액상의 재질에 의해 상부로 밀려 올라갈 수 있다.
작업자는 피스톤부(2A)의 상승을 통해 액상의 재질이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내부 저장공간에 충진된 것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9를 살펴보면, 제 1 지그부(50)는 제 2 홀(51)에 배치되는 탄성부(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52)는 원통 형태를 갖고 통로, 즉 제 2 홀(51) 내에 배치되며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52)는 탄성을 갖는 재질, 예컨대 실리콘 재질, 수지 재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그부(50)를 A7-A8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면, 도 30과 같이, 탄성부(52)는 제 2 홀(51)의 타측에 삽입/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부(52)는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제 1 지그부(50)의 상면(US)보다 소정 높이(S1) 만큼 더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31과 같이,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제 1 머리부(13)의 끝단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부(52)에 대응(삽입/접촉/밀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배출구(13)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액상의 재질을 충진시킬 수 있다.
제 1 지그부(50)는 통로의 확보 및 액상의 재질의 주입 방향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지그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2와 같이, 제 1 지그부(50)는 베이스 지그부(Base Zig Part, 50b) 및 상부 지그부(Top Zig Part, 50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지그부(50b)는 수평방향 중 제 1 방향(DR1)으로 형성되는 제 1 수평 홈(First Horizontal Groove, 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지그부(50a)는 제 1 수평 홈(55)에 대응되며 제 1 방향(DR1)으로 형성되는 제 2 수평 홈(Second Horizontal Groove, 54)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홀(51)은 상부 지그부(50a)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지그부(50a)에 형성된 제 2 홀(51)과 앞서 도 25에서 설명한 제 2 홀(51)을 비교하면, 그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 2 수평 홈(54)의 출구측은 제 2 홀(51)에 대응(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수평 홈(55)의 출구측도 제 2 홀(51)에 대응(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수평 홈(55)과 제 2 수평 홈(54)은 소정의 통로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3과 같이, 베이스 지그부(50b)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지그부(50a)가 배치되면, 제 1 수평 홈(55)과 제 2 수평 홈(54)이 하나의 홀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지그부(50) 내에서 제 1 수평 홈(55), 제 2 수평 홈(54) 및 제 2 홀(51)이 액상의 재질이 통과하는 통로를 이룰 수 있다.
즉, 도 32에서 통로는 제 1 수평 홈(55), 제 2 수평 홈(54) 및 제 2 홀(51)에 의해 형성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수평 홈(55)과 제 2 수평 홈(54)이 형성한 홀의 진행방향은 제 1 방향(DR1)이고, 제 2 홀(51)의 진행방향은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서, 그 진행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제 1 지그부(50)를 수직 운동부(70)가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4의 (A), (B)와 같이, 수평 운동부(70)는 제 1 지그부(50)에 연결되는 수직 구동축(71)을 포함하고, 수직 구동축(71)을 이용하여 제 1 지그부(50)를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34에서 제 1 지그부(50)의 이동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35 내지 도 36은 제 1 지그부와 제 2 지그부의 이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수평 운동부(60)와 수직 운동부(70)의 동작은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제어부(Controller)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36에서 제 1 지그부(50) 및 제 2 지그부(40)의 이동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도 35를 살펴보면, 먼저 수평 운동부(60)가 제 2 지그부(40)를 제 1 방향(DR1)으로 당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지그부(50)와 제 2 지그부(40)가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후, 도 36과 같이, 수직 운동부(70)가 제 1 지그부(50)를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 1 지그부(50)의 상부에 제 2 지그부(40)가 밀착될 수 있다. 혹은 제 1 지그부(50)와 제 2 지그부(40)가 충분히 가깝게 근접할 수 있다.
이후,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충진작업이 완료되면 역순으로 제 1 지그부(50)와 제 2 지그부(4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에 충진되지 못하고 넘친 액상의 재질의 적어도 일부를 재활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37 내지 도 41은 액상의 재질의 재활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충진장치(20A)는 바닥 트레이부(Bottom Tray Part, 90), 회수 펌프부(Recovery Pump Part, 91) 및 회수관(Recovery Pipe, 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 트레이부(90)는 제 1 지그부(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 트레이부(90)는 제 1 지그부(50)로부터 떨어지는 액상의 재질을 받아서 회수할 수 있다.
회수 펌프부(91)는 바닥 트레이부(90)에 모인 액상의 재질을 재활용하기 위해 회수관(92)을 통해 회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수 펌프부(91)는 바닥 트레이부(90)에 모인 액상의 재질을 용기부(81)로 회수할 수 있다.
도 38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충진장치(20A)는 제 1 지그부(50)의 상부에 잔존하는 액상의 재질을 긁어서 바닥 트레이부(90)로 떨어지게 하기 위한 스크래퍼(Scraper, 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8에서 스크래퍼(43)의 긁는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스크래퍼(43)는 제 2 지그부(40)에 설치되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제 2 지그부(40)의 하부면(BS)보다 더 연장될 수 있다.
스크래퍼(43)는 제 1 지그부(50)의 상부에 잔존하는 액상의 재질을 효과적으로 긁기와 미끄럼 동작을 위해 실리콘, 수지 재질 등의 탄성을 가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래퍼(43)의 효과적인 긁기 동작을 위해, 수직 운동부(70)를 이중동작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9와 같이, 먼저 수평 운동부(60)가 제 2 지그부(40)를 제 1 방향(DR1)으로 당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지그부(50)와 제 2 지그부(40)가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처럼, 제 2 지그부(40)가 제 1 방향(DR1)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제 1 지그부(50)와 스크래퍼(43)는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소정 거리 이격(G2)될 수 있다.
물론,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제 1 지그부(50)와 제 2 지그부(40)는 소정 거리(G1)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G1은 G2보다 더 클 수 있다.
이후, 수직 운동부(70)가 제 1 지그부(50)를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 1 지그부(50)의 상부에 제 2 지그부(40)가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액상의 재질이 제 2 지그부(40)에 설치된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배출구(13)로 주입하여 충진할 수 있다.
이후,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충진작업이 완료되면, 도 41의 경우와 같이, 수직 운동부(70)가 제 1 지그부(50)를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제 1 지그부(50)가 하강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제 1 지그부(50)와 제 2 지그부(40) 사이의 이격 거리(G3)는 도 39의 G1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 방향(DR1)으로 제 1 지그부(50)가 스크래퍼(43)와 중첩될 수 있다.
이처럼, 제 1 방향(DR1)으로 제 1 지그부(50)가 스크래퍼(43)와 중첩된 상태에서, 수평 운동부(60)가 제 2 지그부(40)를 제 1 방향(DR1)으로 밀어낼 수 있다.
그러면, 스크래퍼(43)가 제 2 지그부(40)와 함께 이동하면서 제 1 지그부(50)의 상면에서 액상의 재질을 긁어낼 수 있다.
이후, 스크래퍼(43)가 제 1 지그부(50)의 상면을 벗어나면, 수직 운동부(70)가 제 1 지그부(50)를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좀 더 하강시킬 수 있다.
그러면, 도 39와 같은 상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한편,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에 액상의 재질을 충진하는 과정에서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이탈을 방지위해 이탈 방지부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42 내지 도 44는 이탈 방지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2를 살펴보면, 이탈 방지부(1000)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에 액상의 재질을 충진 시,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탈 방지부(10A)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가 배치된 제 2 지그부(40)가 제 1 지그부(5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우징부(1A)의 테두리부(11)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탈 방지부(1000)는 빗(Comb)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이탈 방지부(1000)는 플레이트부(Plate Part, 1010) 및 적어도 하나의 홈부(Hollow Part, 10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1010)는 수평방향 중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홈부(102)는 플레이트부(1010)의 측면에 형성되며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에 대응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홈부(102)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하우징부(1A)의 테두리부(11)와 피스톤부(2A)의 걸림부(21) 사이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탈 방지부(1000)는 하우징부(1A)의 테두리부(11)를 상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평방향 중 제 2 방향(DR)으로 홈부(102)의 폭(G4)은 테두리부(11)의 직경보다는 작고, 제 2 바디부(20)의 직경(R1)보다는 클 수 있다.
도 43과 같이, 이탈 방지부(1000)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테두리부(11)를 상부에 지지하기 위해 제 2 지그부(4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배출구(13)로 액상의 재질을 주입하게 되면, 이탈 방지부(1000)에 의해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의 하우징부(1A)는 고정된 상태에서, 액상의 재질의 주입에 의해 피스톤부(2A)가 상부로 밀려 올라갈 수 있다.
이후, 수평 운동부(60)가 제 2 지그부(40)를 제 1 방향(DR1)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주사기형 충진용기(10A)가 이탈 방지부(10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액상의 재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포함하고, 저장공간을 통해 액상의 재질을 저장하는 하우징부(1A); 하우징부(1A)의 일측에 삽입되고 하우징부(1A) 내에서 피스톤 운동할 수 있으며, 피스톤 운동에 따라 하우징부(1A)의 내부(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상의 재질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피스톤부(2A); 및 하우징부(1A)의 타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마개부(3A); 를 포함하는 주사기형 충진용기(10A)에 있어서,
    하우징부(1A)가 제 1 바디부(First Body Part, 10), 테두리부(Rim Part, 11), 제 1 머리부(First Head Part, 12) 및 배출구(Outlet, 13)를 포함하므로, 마개부(3A)는 하우징부(1A)의 제 1 머리부(12)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으며,
    하우징부(1A)의 제 1 바디부(10)의 일측에는 제 1 개구부(First Opening, 14)가 형성되므로, 피스톤부(2A)는 제 1 바디부(10)의 제 1 개구부(14)를 통해 제 1 바디부(10)로 삽입되며,
    하우징부(1A)의 연신율은 피스톤부(2A)의 연신율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 1 바디부(10)는,
    양측이 개방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테두리부(11)는,
    제 1 바디부(10)의 일측 끝단의 테두리에 배치되며, 주사기형 충진용기(10A)를 소정의 지그(Zig에 고정하는데 사용하며,
    제 1 머리부(12)는, 제 1 바디부(10)의 타측에 배치되며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제 1 바디부(10), 테두리부(11) 및 제 1 머리부(12)는 일체로 형성되며,
    배출구(13)는 제 1 머리부(12)의 끝단에 형성되며,
    테두리부(11)는 수평 주연부(110) 및 수직 주연부(111)를 포함하며,
    수평 주연부(110)는 제 1 바디부(10)의 일측 끝단의 테두리로부터 제 1 바디부(10)의 외측을 향해 수평방향(제 1 방향(DR1) 또는 제 2 방향(DR2))으로 연장되며 동심원 형태를 가지며,
    수직 주연부(111)는 수평 주연부(110)의 끝단에서 제 1 머리부(12)를 향해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연장되며 동심원 형태에 해당하는 수평 주연부(110)의 전면(Front Surface, FS)로부터 제 1 머리부(12)를 향해 돌출되어 연장된 형태를 가지며, 수평 주연부(110)와 수직 주연부(111)가 동심원 형태를 가지며,
    피스톤부(2A)는, 하우징부(1A)의 제 1 바디부(10)에 삽입되고 제 1 바디부(10) 내에서 피스톤 운동하며, 제 2 바디부(Second Body Part, 20), 걸림부(21) 및 제 2 머리부(Second Head Part, 22)를 포함하며,
    제 2 바디부(20)는 양측이 개방되는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제 2 바디부(20)의 일측에는 제 2 개구부(Second Opening, 23)가 형성되며,
    걸림부(21)는, 제 2 바디부(20)의 일측 끝단에 배치되며 직경(R4)이 제 2 바디부(20)의 직경(R1)보다 더 크므로, 걸림부(21)가 제 2 바디부(20)의 일측 끝단에 걸리며,
    제 2 머리부(22)는,
    제 2 바디부(20)의 타측에 배치되며 끝단이 막히도록 형성되며, 연결부분(Connecting Part, 220), 적어도 하나의 홀(Hole, 221), 증가부분(222), 제 1 감소부분(223) 및 제 2 감소부분(224)을 포함하며,
    연결부분(220)은 원통형상이고 제 2 바디부(2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연결부분(220)의 직경(R2)은 제 2 바디부(20)의 직경(R1)보다 작으며,
    적어도 하나의 홀(221)은 연결부분(220)의 측벽(Side Wall)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홀(221)은 제 2 개구부(23)와 연결되며,
    피스톤부(2A)의 피스톤 운동 시 피스톤부(2A)와 하우징부(1A) 사이 공간의 공기가 적어도 하나의 홀(221)과 제 2 개구부(2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증가부분(222)은, 연결부분(22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증가부분(222)에는 사선 함몰부(225)가 형성되며,
    사선 함몰부(225)는 증가부분(222)의 측벽에 형성되고, 증가부분(222)의 중심을 향해 함몰되며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포함하며,
    제 1 감소부분(223)은 증가부분(222)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직경이 제 1 비율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며,
    제 2 감소부분(224)은 제 1 감소부분(223)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직경이 제 1 비율보다 큰 제 2 비율로 감소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에 해당하는 제 2 감소부분(224)의 기울기는 제 1 감소부분(223)의 기울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제 2 머리부(22)의 최대 직경(R3)에 해당하는 증가부분(222)과 제 1 감소부분(223)의 경계부분에서의 직경(R3)은 제 2 바디부(20)의 최대 직경(R1)보다 크게 형성되며,
    제 2 머리부(22)는,
    제 1 감소부분(223)과 제 2 감소부분(224)의 사이에 위치하는 유지부분(226)을 더 포함하며,
    유지부분(226)에서는 제 2 머리부(22)의 직경이 유지되며,
    제 1 감소부분(223)은,
    제 1-1 감소부분(223a), 제 1-2 감소부분(223b) 및 제 1-3 감소부분(223c)을 포함하며,
    제 1-1 감소부분(223a)의 직경이 감소하는 비율은 제 1-2 감소부분(223b)의 직경이 감소하는 비율보다 더 작고, 제 1-2 감소부분(223b)의 직경이 감소하는 비율은 제 1-3 감소부분(223b)의 직경이 감소하는 비율보다 더 크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제 1-2 감소부분(223b)의 폭(X2)은 제 1-1 감소부분(223a)의 폭(X1) 및 제 1-3 감소부분(223c)의 폭(X3)보다 더 크며,
    제 1-1 감소부분(223a)과 증가부분(222)의 경계부분 및 제 1-3 감소부분(223c)과 제 2-1 감소부분(224a)의 경계부분에서 제 2 머리부(22)의 직경의 변화를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하면서도, 제 1 감소부분(223)의 직경의 감소 비율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며,
    제 2 감소부분(224)은,
    제 2-1 감소부분(224a)과 제 2-2 감소부분(224b)을 포함하며,
    제 2-1 감소부분(224a)의 직경이 감소하는 비율은 제 2-2 감소부분(224b)의 직경의 감소 비율보다 더 작으며,
    수직방향(제 3 방향(DR3))으로 제 2-2 감소부분(224b)의 폭(X5)은 제 2-1 감소부분(224a)의 폭(X4)보다 더 크게 하는 경우, 제 1-3 감소부분(223c)과 제 2-1 감소부분(224a)의 경계부분에서 제 2 머리부(22)의 직경의 변화를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하면서도, 제 2 감소부분(224)의 직경의 감소 비율을 더욱 크게 하며,
    하우징부(1A)는,
    99~99.98중량부의 저밀도폴리에틸렌(Low-Density Polyethylene, LDPE) 및 1~0.02중량부의 슬립제(Slip Agent)를 포함하고,
    피스톤부(2A)는,
    94~95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1~0.02중량부의 슬립제 및 4~5.92중량부의 유리 재질을 포함하는 주사기형 충진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99.5~99.96중량부의 저밀도폴리에틸렌 및 0.5~0.04중량부의 슬립제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부는
    94.5~94.98중량부의 폴리프로필렌, 0.5~0.04중량부의 슬립제 및 4.52~5.46중량부의 유리 재질을 포함하는 주사기형 충진용기.
  3. 삭제
KR1020190029532A 2019-03-14 2019-03-14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KR102234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532A KR102234866B1 (ko) 2019-03-14 2019-03-14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532A KR102234866B1 (ko) 2019-03-14 2019-03-14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24A KR20200109824A (ko) 2020-09-23
KR102234866B1 true KR102234866B1 (ko) 2021-03-31

Family

ID=7270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532A KR102234866B1 (ko) 2019-03-14 2019-03-14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8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72B1 (ko) * 2008-03-26 2010-10-29 이용학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KR101022595B1 (ko) * 2010-01-27 2011-03-16 우종원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9847A1 (en) * 1994-07-01 1996-01-0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assembly
KR200469451Y1 (ko) 2012-07-02 2013-10-15 (주)아모레퍼시픽 화장품용 주사기형 디스펜서
KR200465396Y1 (ko) 2012-08-03 2013-02-18 주식회사 웰컴엠에스 주사기형 배출용기
KR20160001945U (ko) 2014-11-28 2016-06-08 임준국 내용물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화장품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872B1 (ko) * 2008-03-26 2010-10-29 이용학 이중 후리휠드 시린지
KR101022595B1 (ko) * 2010-01-27 2011-03-16 우종원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824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5771B2 (ja) 防湿性を有し再シール自在の容器
JP3403727B2 (ja) 特殊なシールを備えた非流通エレベータシステムを持つ充填/倒立パッケージ
KR100943149B1 (ko) 통기식 마스카라 와이퍼
CN103998149B (zh) 筒和多组分筒
JP2004203443A (ja) 流動体貯留容器
JP5650291B2 (ja) 樹脂製ドラム缶
US20020113093A1 (en) Device for dispensing product
KR100785915B1 (ko) 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액상물 분배 용기
KR20110030643A (ko) 일회용 화장제 샘플러
CN105358446B (zh) 由塑料构成的内容器以及用于液体的具有这种内容器的运输和存放容器
KR102234866B1 (ko) 충진이 용이한 주사기형 충진용기 제조용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사기형 충진용기
US20090301685A1 (en) Flexible nozzle for injection molded solder
KR20220101417A (ko) 액상 수용이 가능한 이중캡 및 이를 포함하는 수납용기
KR102205149B1 (ko) 주사기형 충진용기
CN102079409B (zh) 树脂制容器和复合容器以及树脂制容器的制作方法
KR102085031B1 (ko) 주사기형 용기 및 그를 위한 충진장치
CN106103298B (zh) 用于容纳活性剂的罐
EP1523405B1 (en) Tube, method and tool for its manufacture
KR101660033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339855B1 (ko) 내용물 배출용기
CN1498184A (zh) 止回阀和具有止回阀的液体容器
KR102200477B1 (ko) 스포이드 용기
JP4906483B2 (ja) 液体用容器
KR200497359Y1 (ko) 액상용 용기
KR100910028B1 (ko) 스파우트 파우치용 충전 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