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477B1 - 스포이드 용기 - Google Patents

스포이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477B1
KR102200477B1 KR1020180117476A KR20180117476A KR102200477B1 KR 102200477 B1 KR102200477 B1 KR 102200477B1 KR 1020180117476 A KR1020180117476 A KR 1020180117476A KR 20180117476 A KR20180117476 A KR 20180117476A KR 102200477 B1 KR102200477 B1 KR 102200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cave portion
dropper
storage spac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7983A (ko
Inventor
이순재
Original Assignee
이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재 filed Critical 이순재
Priority to KR1020180117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47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05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the container being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스포이드 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는 내부에 제1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에 용기입구가 형성되는 용기부; 상면에 끼움홀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입구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끼움홀에 끼워져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제2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저장공간으로 만곡진 오목부가 형성된 피펫몸체를 가지는 스포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포이드 용기{SPOID CONTAINER}
본 발명은 스포이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소량의 액체를 인출하여 원하는 장소에 도포 또는 배출하기 위해서 스포이드가 구비된 용기가 사용되곤 한다. 일반적으로, 스포이드 용기는 스포이드와 용기가 결합되며, 스포이드를 용기와 분리시켜 용기 내 저장된 액체를 스포이드를 통해 인출한다.
이때, 스포이드는 일반적으로 관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은 폭 방향 단면적이 적어지는 배출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고무 등 탄성재질로 감싸며 스포이드 내부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튜브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타단에 형성된 튜브를 손 또는 가압장비로 눌러 스포이드 내부의 공기압을 낮춘 뒤 인출을 원하는 액체를 공기압의 차이를 통해 스포이드 내부에 주입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튜브를 눌러 내부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포이드는 용기와 결합되어 있을 때, 용기의 하면까지 길이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용기와 분리할 경우, 용기와 결합되는 부분의 길이만큼 용기 하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용기하면의 잔존한 액체를 인출할 수 없었다. 이로 인해, 용기를 뒤집어 잔존한 액체를 인출하고 있으나, 액체에 점성이 있어 이 역시 용이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용기가 잔존한 액체와 함께 버려지고 있어 자원이 낭비되고, 버려지는 액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오염의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닥면에 잔존하는 액체를 보다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스포이드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제1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에 용기입구가 형성되는 용기부; 상면에 끼움홀이 형성되며, 상기 용기입구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끼움홀에 끼워져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제2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저장공간으로 만곡진 오목부가 형성된 피펫몸체를 가지는 스포이드부를 포함하는 스포이드 용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피펫몸체에 복수개로 형성되고 이격되어, 각각 반대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피펫몸체 단부에 인접한 제1 오목부 및 상기 제1 오목부와 이격되어 상기 덮개부에 인접한 제2 오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1 오목부보다 상기 제1 저장공간을 향해 더 깊게 만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용기부의 용기목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보강부재와의 이격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포이드부는 상기 피펫몸체 단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중공부인 벌브공간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밀봉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하면과 이격된 경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경사부재 외주부에 끼워져 상기 용기부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는 용기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액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에 도시한 스포이드 용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오목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스포이드 용기의 상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Ⅵ"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의 (a) 및 (b)는 도 5에 도시한 경사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서 보았을 때 벌브(370)에서 보강부재(350) 방향을 하방으로 규정하고, 보강부재(350)에서 벌브(370) 방향을 상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1)는 스포이드부(300), 용기부(100) 및 덮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포이드부(300)는 피펫몸체(310), 보강부재(350) 및 벌브(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피펫몸체(310)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인 제2 저장공간이 형성된 관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피펫몸체(310)는 유리, 강화유리, 크리스털 글래스 등 투과성 유리 재질 또는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의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의 고분자 화합물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스포이드부(300)를 통해 액체를 인출하거나, 인출한 액체를 다른 장소에 배출할 때, 사용자는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의 피펫몸체(310)를 통해 피펫몸체(310) 내부에 저장된 액체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피펫몸체(310) 내부에 저장되는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피펫몸체(310)는 투과성 또는 반투과성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피펫몸체(310) 내부의 제2 저장공간(311)에 저장되는 액체의 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조절할 수 있다.
도 2는 도 2에 도시한 스포이드 용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피펫몸체(310)의 제2 저장공간(311)은 용기부(100)의 제1 저장공간(111)에 저장되는 액체(2) 중 일부를 인출하여 내부에 보관할 수 있다.
이때, 피펫몸체(310)의 측면에는 피펫몸체(310)의 중심축 방향을 향해 만곡되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오목부(330)는 피펫몸체(310)의 단부에 인접한 제1 오목부(331) 및 제1 오목부(331)와 이격되어, 덮개부(500)와 인접한 제2 오목부(333)를 포함하는 복수개로 형성되어, 피펫몸체(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오목부(331) 및 제2 오목부(333)는 만곡된 면이 서로 엇갈리며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오목부(330)의 위치까지 액체가 올라와 피펫몸체(310) 내부에 저장될 경우, 액체의 질량중심을 피펫몸체(310)의 중심축의 위치와 동일하게 하여, 액체가 저장된 상태의 스포이드부(300)의 무게중심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오목부(3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액체를 저장한 상태에서도 스포이드부(300)의 무게중심을 유지할 수 있다.
보강부재(350)는 피펫몸체(310)의 하부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350)는 라운드 처리된 구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강부재(350)는 피펫몸체(310)의 단부를 보강하는 동시에, 라운드 처리되어 용기부(100)의 벽체 등 다른 장소와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피펫몸체(310)의 파손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부재(350)는 하부면에 개구인 피펫입구(351)가 형성될 수 있다. 피펫입구(351)는 피펫몸체(310)의 내측면까지 관통하여 피펫몸체(310)의 제2 저장공간(311)이 피펫입구(351)를 매개로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피펫입구(351)의 폭 방향 단면적은 제2 저장공간(311)의 폭 방향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액체가 모세관 현상을 통해 피펫입구(351)를 거쳐 제2 저장공간(311)까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부(100)에 저장된 액체(2)의 양이 적은 경우, 사용자는 용기부(100)를 일측 방향으로 기울여 액체(2)가 용기부(100)의 일측면에 고이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스포이드부(300)를 용기입구(131)에 투입한 뒤 용기목(130)의 내측면을 받침점으로 한 뒤, 피펫입구(351)를 액체(2) 방향으로 기울여, 피펫입구(351)의 외측면이 액체(2)와 접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용기입구(131)의 크기가 작아 스포이드부(300)가 용이하게 움직이지 못할 경우, 스포이드부(300)를 기울이더라도 피펫입구(351)가 액체(2)에 접촉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피펫몸체(310)의 측면에 형성된 제1 오목부(331)를 용기부(100)의 용기목(130)의 상단부에 접하도록 하고, 제2 오목부(333)를 용기목(130)의 하단부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입구(131)의 크기가 작을 경우에도, 피펫입구(351)을 액체(2)에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스포이드부(300)는 용기목(130)과 더욱 밀착되어 용기목(130)의 상단부에 보다 큰 경사로 접촉될 수 있다. 즉, 오목부(330)는 스포이드부(300)가 용기부(100)로부터 더욱 크게 기울일 수 있도록 하여, 용기부(100) 잔존하는 액체도 스포이드부(300)를 통해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포이드 용기(1)는 오목부(330)로 스포이드부(300)의 기울어진 정도를 더욱 크게 구성하여, 용기부(100)에 남은 용액을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오목부(331)의 만곡된 정도는 제2 오목부(333)의 만곡된 정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목부(331)의 만곡면과 피펫몸체(310) 사이의 거리(L1)는 제2 오목부(333)의 만곡면과 피펫몸체(310) 사이의 거리(L2)보다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제2 오목부(333)의 만곡된 깊이를 더욱 크게 함으로써, 용기목(130)과 피펫몸체(310)는 제2 오목부(333)의 위치에서 더욱 밀착하게 되고, 이로 인해 피펫몸체(310)는 제2 오목부(333)에서 기울어지는 정도를 더욱 크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1)는 만곡되는 정도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오목부(330)로 스포이드부(300)의 기울어지는 정도를 더욱 크게 하여, 스포이드부(300)로 용기부(100) 하면에 잔류한 액체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오목부(331)와 피펫몸체(310)의 단부, 예를 들어, 제1 오목부(331)와 보강부재(350) 사이의 거리(L3)는 제1 오목부(331)와 제2 오목부(333)의 사이의 거리(L4)보다 작게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포이드부(300)를 기울여 용기부(100)에 잔류한 액체(2)를 인출할 때, 제1 오목부(331) 및 제2 오목부(333)로 인해 스포이드부(300)는 용기목(130)과 밀착하여 용기부(100)와 접하게 된다.
이때, 보강부재(350)와 제1 오목부(331) 사이의 거리(L4)를 길게 구성함으로써, 피펫몸체(310)를 기울여 용기목(130)과 접한 상태에서도 보강부재(350) 및 보강부재(350)에 형성된 피펫입구(351)는 액체(2)와 닿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1)는 제1 오목부(331)와 보강부재(350) 사이의 거리(L3)와 제1 오목부(331)와 제2 오목부(333)의 사이의 거리(L4)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스포이드부(300)를 기울여 용기부(100)에 밀착한 상태에서도 액체(2)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제1 오목부(331)와 제2 오목부(333)의 사이의 거리(L4)는 용기입구(131)의 폭 방향 단면적과 용기목(130)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포이드부(300)를 기울여 용기목(130)에 접하도록 하여 액체(2)를 인출하는 경우, 스포이드부(300)가 기울어지는 정도는 용기입구(131)의 폭과 용기목(130)의 높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때, 용기입구(131)의 폭보다 제1 오목부(331)와 제2 오목부(333)의 사이의 거리(L4)가 지나치게 크거나 작은 경우, 용기목(130)의 내측면은 제1 오목부(331)와 제2 오목부(333)와 접하는 것이 아닌 피펫몸체(310)의 다른 부분과 접하게 되어, 스포이드부(300)의 기울어짐을 제한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오목부(331)와 제2 오목부(333)의 사이의 거리(L4)는 용기입구(131)와 높이 및 폭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스포이드부(300)를 기울일 때 제1 오목부(331)와 제2 오목부(333)가 용기목(130)의 내측면과 정확히 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1)는 제1 오목부(331)와 제2 오목부(333)가 용기목(130)과 용이하게 접하도록 하여, 용기부(100)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액체(2)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오목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도이다.
한편,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로, 제1 오목부(331) 및 제2 오목부(333)의 만곡면은 만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만곡면(331a, 333a) 및 제2 만곡면(331b, 33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만곡면(331a, 333a)과 제2 만곡면(331b, 333b)의 곡률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목부(331)의 제1 만곡면(331a)은 제2 만곡면(331b)보다 곡률이 클 수 있다. 제2 오목부(333)에서는 제2 만곡면(333b)의 곡률이 제1 만곡면(333a)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펫몸체(310)가 용기목(130)에 접촉되어 기울어지더라도, 피펫몸체(310)는 제1 저장공간(111)을 향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내부에 잔존하는 액체를 보다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스포이드 용기의 상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벌브(370)는 피펫몸체(310)의 상부측 단부에 위치하여, 상부측 단부의 상방면과 외측면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브(370)의 내부에는 벌브공간(373)이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 등의 기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벌브(370)는 피펫몸체(310)와 맞닿는 단부에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벽체(3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피펫몸체(310)는 결합벽체(375)와 접하는 면에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3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벽체(375)는 고정돌기(313)와 접하는 내측면에 고정홈(377)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313)는 고정홈(377)에 끼워지는 끼움결합을 하며 고정홈(377)의 내측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돌기(313) 및 고정홈(377)은 피펫몸체(310)와 벌브(370) 간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피펫몸체(310)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기 위해 우선 벌브(370)의 외측면을 손 또는 장비 등으로 가압하게 된다. 가압된 벌브(370)는 벌브공간(373)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고, 기체는 피펫몸체(310)의 제2 저장공간(311) 내부에 있던 기체와 함께 스포이드부(3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제2 저장공간(311)과 벌브공간(373)의 기압이 낮아지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벌브(370)를 가압한 상태에서 스포이드부(300)를 액체로 가져가 피펫입구(351)가 형성된 보강부재(350)를 액체에 접촉시킨 후 벌브(370)에 가하던 압력을 제거한다.
외부의 압력이 제거되며 제2 저장공간(311)과 외부 공간은 기압차가 형성된다. 즉, 기압은 액체의 수면을 가압하여 액체가 피펫입구(351)를 통해 제2 저장공간(311)으로 주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벌브(370)는 외부의 압력에 용이하게 변형되고, 압력이 사라지면 원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벌브(370)는 라텍스 등의 천연고무나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NBR) 등의 합성고무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벌브(370)는 피펫몸체(310)와 접하는 내측면에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돌출 형성되는 역류방지부재(3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역류방지부재(371)는 탄성을 가지고 내약품성 및 내유성이 좋은 재질인 폴리스티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 고분자 화합물 재질 또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역류방지부재(371)는 피펫몸체(310)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벌브(370)의 외측면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 벌브공간(373) 내부에 저장된 기체가 제2 저장공간으로 이동하며 역류방지부재(371)가 피펫입구(351)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벌브(370)의 외측면을 누르게 되면 역류방지부재(371)는 피펫몸체(310)의 상단부를 개방하여, 벌브공간(373)의 기체가 용이하게 스포이드부(300)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벌브(370)에 가하던 압력을 제거하는 경우, 외부의 공기는 다시 제2 저장공간(311)과 벌브공간(373)으로 이동하며 역류방지부재(371)를 벌브(370)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비스듬하게 돌출 형성된 역류방지부재(371)의 단부는 피펫몸체(310)의 내측면과 접하며 피펫몸체(310)의 상단부를 밀봉하게 된다.
즉, 스포이드부(300)로 액체를 제2 저장공간(311) 저장할 때, 역류방지부재(371)는 피펫몸체(310)의 상단부를 밀봉하여, 액체가 벌브(370)의 벌브공간(373)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무 재질로 구성되는 벌브(370)는 액체의 화학적 성분과 반응하여 변성되거나 용해되며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는 벌브(370)의 내구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액체의 화학적 변성도 같이 가져올 수 있다.
즉, 역류방지부재(371)는 액체가 벌브공간(373)으로 들어와 벌브(370)의 내측면과 접하는 것을 방지하여 액체의 화학적 순수성을 보호하는 한편, 벌브(37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포이드 용기(1)는 역류방지부재(371)로 액체가 벌브(37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벌브(370)의 수명을 연장하고, 액체가 변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 및 도 4을 참고하면, 덮개부(500)는 용기목(130)의 외측면을 덮을 수 있도록 양단부가 개방된 관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500)는 용기목(130)과 접하는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대응나사산(5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고하면, 용기부(100)의 나사산(150)은 덮개부(500)의 대응나사산(510) 사이의 나사홈(530)에 끼워지는 나사결합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덮개부(500)를 용기부(100)의 용기목(130)의 상면에 놓고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덮개부(500)의 나사홈(530)에 용기부(100)의 나사산(150)을 끼우게 된다. 이를 통해 덮개부(500)와 용기부(100)는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덮개부(500)는 내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550)는 덮개부(5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용기목(130)의 상단부와 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덮개부(500)를 회전시켜 용기부(100)와 결합하는 경우, 지지부재(550)는 용기목(130)에 형성된 용기입구(131)를 덮어 밀봉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550)는 중앙에 끼움홀(55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끼움홀(553)의 폭 방향 단면적은 피펫몸체(310)의 폭 방향 단면적과 동일하도록 구비되어, 끼움홀(553)에 피펫몸체(310)를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펫몸체(310)의 고정돌기(313)는 끼움홀(553)이 형성된 지지부재(550)의 상부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포이드부(300)와 덮개부(500)가 결합될 경우, 고정돌기(313)는 지지부재(550)의 상부면에 걸리며, 스포이드부(300)가 덮개부(500)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1)는 스포이드부(300)와 덮개부(50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550)는 피펫몸체(310)와 접하는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5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재(550)는 지지돌기(551)를 추가로 구비하여, 지지부재(550)가 피펫몸체(310)와 접하는 단면적을 넓힐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돌기(551)는 피펫몸체(310)와 접촉 면적을 넓혀, 마찰을 증대시켜 피펫몸체(310)가 끼움홀(55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550)는 벌브(370)의 결합벽체(375)의 하부면과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벽체(375)와 지지부재(550)는 상호간 접촉되어, 마찰력을 매개로 벌브(370)가 피펫몸체(310)의 상부에서 회전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덮개부(500)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벌브(370)의 결합벽체(375)의 상부면을 가압하는 대응결합벽체(570)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벽체(375)는 대응결합벽체(570) 및 지지부재(550)의 사이에 끼워지는 끼움 결합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덮개부(500)는 벌브(370)와의 결합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용기부(100)는 용기벽체(110) 및 용기목(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벽체(110)는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제1 저장공간(111)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목(130)은 용기벽체(110)의 상측 단부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용기목(130)으로 둘러싸인 공간인 용기입구(131)는 용기벽체(110)의 제1 저장공간(111)과 외부 공간을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용기입구(131)를 통해 스포이드부(300)를 투입하여 제1 저장공간(111)에 저장된 액체를 스포이드부(300)의 제2 저장공간(311)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용기목(130)의 외측면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선 형상의 나사산(150)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나사산(150)은 덮개부(500)와 결합하여, 덮개부(500)로 용기입구(131)를 밀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부(100)는 용기바닥(170) 및 경사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용기바닥(170)은 용기벽체(110)의 하측 단부를 밀봉하여, 제1 저장공간(111)에 저장된 액체가 용기부(100)의 하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용기바닥(170)은 용기벽체(110)의 하부면과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1)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후술할 경사부재(160)을 우선 용기벽체(110)의 내측으로 투입하고, 이어, 용기바닥(170)을 결합함으로써, 용기벽체(110)의 제1 저장공간(111)을 밀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경사부재(160)는 용기바닥(17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재(160)는 용기바닥(170)과 소정의 각을 가지고 비스듬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경사부재(160)는 용기목(130)과 용기바닥(17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저장공간(111)과 용기벽체(110), 용기바닥(170) 및 경사부재(160)으로 둘러싸인 공간인 하부공간(180)을 격리시킬 수 있다.
이때, 하부공간(180)에는 기체가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부공간(180)에 충진되는 기체는 통상적인 대기 중의 공기일 수도 있고, 질소(N₂) 또는 이산화탄소(CO₂) 등의 반응성이 적은 기체가 충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하부공간(180)의 기체는 경사부재(160)가 액체의 중량으로 인해 힘을 받을 경우, 공기압을 통해 경사부재(160)의 하부를 지지하여, 경사부재(160)가 용기바닥(170) 방향으로 미끄려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Ⅵ”부분의 확대도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경사부재(160)와 용기벽체(110) 사이에는 밀봉부재(190)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밀봉부재(190)는 탄성을 가지고 내약품성 및 내유성이 좋은 재질인 폴리스티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 고분자 화합물 재질 또는 실리콘 고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밀봉부재(190)는 경사부재(160)와 용기벽체(110)가 접하는 지점에 위치하여, 용기벽체(110)와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밀봉부재(190)는 경사부재(160)의 상부에 위치한 액체가 하부공간(18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대로 하부공간(180)의 기체가 제1 저장공간(111)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밀봉부재(190)는 경사부재(160) 방향에서 용기벽체(110) 방향으로 가면서 단면적이 점점 커지며, 최종적으로 용기벽체(110)와 접하는 면의 단면적이 제일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밀봉부재(190)는 밀봉부재(190)와 용기벽체(110) 사이를 밀착되도록 하여, 제1 저장공간(111)의 액체 또는 하부공간(180)의 기체가 용기벽체(110)와 밀봉부재(190)의 사이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1)는 밀봉부재(190)로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밀봉부재(190)는 경사부재(160)와 접하는 면에 돌출 형성되는 밀봉돌기(19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재(160)는 밀봉돌기(191)와 접하는 지점에 밀봉홈(1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밀봉돌기(191)와 밀봉홈(161)은 서로 끼워지는 끼움결합을 하며 밀봉부재(190)가 경사부재(160)의 둘레를 따라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의 (a) 및 (b)는 도 5에 도시한 경사부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외측면을 따라 밀봉부재(190)가 형성된 경사부재(160)는 도 7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체(2)의 양에 따라 용기벽체(11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와 같이 액체(2)의 양이 많은 경우, 액체의 중량(F1)은 경사부재(160)의 상방면에서 하방을 향해 힘을 가하게 된다. 경사부재(160)의 하부인 하부공간(180)에 위치한 기체는 액체(2)의 압력으로 인해 수축하고, 이로 인해 기체가 형성하는 공기압(F2)은 점차 커지게 된다.
결국, 액체의 중량(F1)과 공기압(F2)은 어느 순간 균형을 이루고, 경사부재(160)는 더 이상 내려가거나 올라가지 않고 그 자리에서 고정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액체(2)를 인출하여 액체(2)의 양이 감소하는 경우, 액체의 중량(F1)은 점차 감소하게 된다. 이에 대응되어, 하부공간(180)의 기체는 점차 부피가 커지며 경사부재(16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며 감소된 액체의 중량(F1)과 대응되는 공기압(F2)으로 경사부재(160)를 지지하게 된다.
즉, 액체(2)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경사부재(160)는 점차 위로 올라가며 액체(2)를 용기부(100)의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포이드 용기(1)는 액체(2)의 양에 따라 경사부재(160)의 높이가 변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기부(100)에 잔류한 액체(2)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스포이드 용기 2 : 액체
100 : 용기부 110 : 용기벽체
111 : 제1 저장공간 130 : 용기목
131 : 용기입구 150 : 나사산
160 : 경사부재 161 : 밀봉홈
170 : 용기바닥 180 : 하부공간
190 : 밀봉부재 191 : 밀봉돌기
300 : 스포이드부 310 : 피펫몸체
311 : 제2 저장공간 313 : 고정돌기
330 : 오목부 331 : 제1 오목부
333 : 제2 오목부 331a, 333a : 제1 만곡면
331b, 333b : 제2 만곡면 350 : 보강부재
351 : 피펫입구 370 : 벌브
371 : 역류방지부재 373 : 벌브공간
375 : 결합벽체 377 : 고정홈
500 : 덮개부 510 : 대응나사산
530 : 나사홈 550 : 지지부재
551 : 지지돌기 553 : 끼움홀
570 : 대응결합벽체

Claims (8)

  1. 내부에 제1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에 용기입구가 형성되는 용기부;
    내측면에서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면에 끼움홀이 형성되고 하면에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용기입구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끼움홀에 끼워져 상기 덮개부와 결합되고, 내부에 제2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제2 저장공간으로 만곡진 제1 오목부 및 상기 덮개부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1 오목부와 이격되어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오목부보다 상기 제2 저장공간으로 더 깊게 만곡된 제2 오목부가 형성된 피펫몸체를 가지는 스포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 각각은 한 쌍의 만곡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의 서로 인접하는 만곡면의 곡률은 상기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의 나머지 만곡면의 곡률보다 작게 형성되는 스포이드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용기부의 용기목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스포이드 용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 사이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피펫몸체 단부와의 이격거리보다 짧게 형성된 스포이드 용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이드부는,
    상기 피펫몸체 단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중공부인 벌브공간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밀봉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스포이드 용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하면과 이격된 경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포이드 용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재는,
    상기 경사부재 외주부에 끼워져 상기 용기부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스포이드 용기.
KR1020180117476A 2018-10-02 2018-10-02 스포이드 용기 KR102200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476A KR102200477B1 (ko) 2018-10-02 2018-10-02 스포이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7476A KR102200477B1 (ko) 2018-10-02 2018-10-02 스포이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983A KR20200037983A (ko) 2020-04-10
KR102200477B1 true KR102200477B1 (ko) 2021-01-08

Family

ID=7029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476A KR102200477B1 (ko) 2018-10-02 2018-10-02 스포이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4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152B1 (ko) 2022-07-25 2022-10-21 이정수 스포이트 타입의 뚜껑 및 스파우트 파우치로 이루어진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7028A (ja) * 2003-12-26 2005-07-14 Nippon Shizen Shokuhin Kk スポイト瓶
KR101442500B1 (ko) * 2013-04-16 2014-09-26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1174U (ko) * 1987-03-05 1988-09-16
KR100929908B1 (ko) * 2002-09-05 2009-12-04 정용석 판형 빨대
KR200463135Y1 (ko) * 2010-09-09 2012-10-18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형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7028A (ja) * 2003-12-26 2005-07-14 Nippon Shizen Shokuhin Kk スポイト瓶
KR101442500B1 (ko) * 2013-04-16 2014-09-26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983A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61029A1 (en) Liquid dropper allowing quantitative withdrawal, and a cosmetic container equipped with the same
US10974877B2 (en) Liquid contents discharge container
NO330484B1 (no) Skjenkeanordning
KR102200477B1 (ko) 스포이드 용기
RU2433076C2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жидкости
KR102414415B1 (ko) 탄성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조립체
KR102265177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CN114786530A (zh) 双重容器
KR101705030B1 (ko)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JP7196191B2 (ja) 化粧品容器
KR102297218B1 (ko) 화장품 용기
ES2268346T3 (es) Tapon dosificador para contenedor de liquidos.
KR20040074663A (ko) 배출대형 내용물 배출장치
GB1559542A (en) Material dispenser
KR200244402Y1 (ko) 자동여닫이뚜껑
JP5116521B2 (ja) 液体用容器
JP3114418U (ja) 漏斗受け具
KR20210110544A (ko) 화장품 용기
KR200493357Y1 (ko) 이액 분리 저장이 가능한 앰플용기
KR200493356Y1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JP6335522B2 (ja) 流体容器用の逆流防止弁機構
KR20220046220A (ko) 화장품 드로퍼
KR102245542B1 (ko) 화장품 용기
CN112810989B (zh) 容器
KR102124992B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