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402Y1 - 자동여닫이뚜껑 - Google Patents

자동여닫이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402Y1
KR200244402Y1 KR2019980016805U KR19980016805U KR200244402Y1 KR 200244402 Y1 KR200244402 Y1 KR 200244402Y1 KR 2019980016805 U KR2019980016805 U KR 2019980016805U KR 19980016805 U KR19980016805 U KR 19980016805U KR 200244402 Y1 KR200244402 Y1 KR 200244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outlet
hole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8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663U (ko
Inventor
손진영
Original Assignee
손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진영 filed Critical 손진영
Priority to KR20199800168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402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6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402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자동여닫이 뚜껑에 관한 본 발명은, 용기의 유출구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 위치하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와 연결되어 유출구의 중심축 위치에 구멍부재를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구멍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내에 설치되며, 구멍의 내부에서 운동이 자유로운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무게추 및; 상기 연결봉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뚜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자동여닫이 뚜껑은, 사용자가 매번 마개를 사용하여 용기를 개방하거나 밀폐하지 않아도, 용기의 사용시 용기의 개방 및 밀폐가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용기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따라서 마개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또한, 용기의 마개가 개방된 상태로 방치되지 않으므로 용기내로 먼지나 외부 이물질이 유입하지 않고, 외부공기와의 접촉시간이 단축되고 내용물의 증발이 억제되어 용기속의 내용물의 원상보존 및 주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용기와 뚜껑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뚜껑의 분실이 예방되고, 휴대하기 위하여 통상의 마개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도 있어 밀폐효과가 매우 높은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고 이동시에도 내용물의 유출이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자동여닫이 뚜껑{Cap for bottle open or close by tilt}
본 고안은 각종 병 또는 용기의 출구에 장착하는 자동여닫이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를 기울이는 동안 뚜껑이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용기를 세우면 뚜껑이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구성된 자동여닫이 뚜껑에 관한 것이다.
액상이나 분말 또는 과립상태의 각종 물질을 저장하기 위하여 각종 병이나 용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병이나 용기는 평상시에는 마개로서 유출구를 밀폐하고 사용할 때 마다 마개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따른 후 잔량이 남을 경우 다시 마개를 닫아 용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하지 못하도록 한다. 마개를 닫아 용기를 밀폐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진데, 만약 용기의 내용물이 휘발성 물질인 경우에는 휘발을 방지하고 용기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가령 음료수인 경우에는 주로 위생적인 측면으로 벌레나 먼지등이 유입됨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용기나 병의 사용에 있어서, 용기를 밀폐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한 손으로 용기를 잡고 다른 손으로 마개를 잡아 마개를 용기의 유출구에 결합하여야 한다. 즉, 용기내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마개를 열고 내용물을 따른 후, 다시 마개를 막아야 용기내에 이물질이 침투함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매번 마개를 열고 닫고 하는 일은 매우 귀찮은 일로서, 사용자의 성격에 따라서 마개를 닫지 않고 방치하여 내용물의 변질을 유발할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용기의 내부에 담겨있는 물질이 휘발성이거나, 유독한 화학물질이거나 공기와의 접촉이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일 경우에, 사용자는 내용물을 사용할 때 마다 마개를 열고 닫는 불편을 감수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매번 뚜껑을 열거나 닫을 필요없이, 용기를 기울일 때 뚜껑이 자동으로 열리고 병을 세울 대 뚜껑이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되어, 용기속의 내용물을 따른 후 즉시 자동으로 뚜껑이 닫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효과적 저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여닫이 뚜껑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밀착부재를 용기의 유출구에 설치한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자동여닫이 뚜껑을 통상의 마개와 겸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의 뚜껑부재 및 연결봉과 무게추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일부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유출구 12,34:밀착부재
14:구멍부재 16:지지부재
18:구멍 20:연결봉
22:무게추 24:뚜껑부재
26:절제부 28:하단부
30:수나사부 32:암나사부
35:밀착부재 36:지지부재
38:마개 40:뚜껑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의 유출구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 위치하며 띠의 형상을 갖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유출구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되, 일측부가 절제된 일정간극의 절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재를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구멍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내에 설치되는 원형단면의 봉으로서, 구멍의 내부에서 운동이 자유로운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무게추 및; 테두리부가 유출구의 외경에 대응하며 상기 연결봉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용기가 수직으로 위치하여 있을 때에 유출구의 상부선단에 얹히며 무게추의 무게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어 용기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의 상단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뚜껑부재의 중심부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연결봉과 뚜껑부재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무게추는 금속이나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지고, 무게추의 상부에 해당하는 연결봉의 하단부는 상기 절제부의 간극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연결봉의 하단부가 상기 절제부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구멍부재내의 구멍내부에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은 탄성을 구비하며 얇은 띠의 형상을 갖는 밀착부재(12)와, 상기 밀착부재(12)의 대략 내측중간부에 일체로 마련되며 일정길이 연장된 지지부재(16)와, 상기 지지부재(16)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부재(14)와, 구멍부재(14)의 구멍(18)내에 위치하며, 상단부에는뚜껑부재(24)가 결합하며 하단부에는 무게추(22)가 위치하는 연결봉(20)으로 구성된다.
먼저, 밀착부재(12)는 탄성을 내재하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폭과 두께 및 길이는 적용되는 용기의 유출구의 내경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밀착부재(12)는, 후술하겠거니와 적어도 적용되는 용기의 유출구의 내경이 이루는 원주길이의 반 이상의 길이를 갖어야 한다. 아울러 상기 밀착부재(12)는 유출구의 내주면을 도 2의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므로, 내주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밀착부재(12)의 폭(h)은 크게 할수록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부재(12)의 내측면의 중간부에는 지지부재(16)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16)는 밀착부재(12)의 내측면에 대해서 대략 직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며 단부에는 구멍부재(14)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재(16)의 연장길이는 적용되는 용기의 유출구의 내경의 반지름에 대응하도록 하여 구멍부재(14)의 구멍(18)의 중심이 유출구의 내경의 중심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절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6)는 강성을 가져 후술할 지지추(22)의 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지지부재(16)의 단부에 마련되는 구멍부재(14)는 대체로 도우넛(doughnut)의 형상을 취하여 내부에 구멍(18)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18)에는 후술할 연결봉(20)이 관통하여 위치한다. 아울러 구멍부재(14)의 일측부는 절제되어 일정간극의 절제부(26)가 형성됨으로써 구멍부재(14)는 폐곡선을 이루지 않고 구멍(18)이 외부와 연결된다. 상기 절제부(26)는 연결봉(20)을 구멍부재(14)내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마련한 것으로서, 연결봉(20)의 하단부(28)가 이루는 직경보다 간극을 크게 형성하여 연결봉(20)의 하단부(28)가 절제부(26)를 통과함으로서, 연결봉(20)이 구멍(18)내에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이는 필요시 용기의 유출구로부터 뚜껑부재(24)를 일시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용기에 내용물을 재충진 하기 위하여 뚜껑부재(24)를 용기로부터 일시 분리하고 재충진후에는 뚜껑부재(24)를 용기 유출구에 다시 장착한다.
상기 구멍(18)의 내부에 위치하는 연결봉(20)은 일정길이를 갖는 원형봉으로서, 상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무게추(22)가 고정설치된다. 상기 무게추(22)는 구형의 형상을 취하며 용기내부의 내용물의 비중보다 큰 재질의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한다. 상기 무게추(22)는 금속이나 세라믹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무게추(22)의 상부에 해당하는 연결봉(20)의 직경을 구멍부재(14)의 절제부(26)의 간극보다 가늘게 형성한다.
연결봉(20)의 상단에는 뚜껑부재(24)가 결합한다. 상기 뚜껑부재(24)의 중심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연결봉(20)의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한다. 뚜껑부재(24)는 용기의 유출구 상단을 덮는 부재로서 테두리부가 유출구의 외경과 대응하도록 하여 뚜껑부재(24)가 용기를 밀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뚜껑부재(24)는 용기를 기울였을 경우, 무게추(22)에 의해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무게추(22)에 비하여 가벼운(예를들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용기가 수직으로 위치하며 대기상태에 있는 경우 뚜껑부재(24)의 테두리부는 유출구의 상부선단에 얹히며 지지된 상태로 무게추(22)의 무게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어 용기의 밀폐가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봉(20)과 뚜껑부재(24)가 나사결합을 통하여 조립되므로, 나사결합을 해체하면 연결봉(20)과 뚜껑부재(24)와의 분리가 가능하다.
연결봉(20)과 뚜껑부재(24)의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므로, 만약 뚜껑부재(24)의 교체필요시, 연결봉(20)으로부터 뚜껑부재(24)를 분리하여 다른 뚜껑부재를 조립하기만 하면 되므로, 뚜껑부재만의 결함 때문에 상태가 양호한 연결봉(20)과 무게추(22)를 폐기하지 않아도 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밀착부재(12)가 유출구(10)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밀착부재(12)는 유출구(10)의 내주면과 밀착하여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미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직선형의 밀착부재(12)는 탄성력을 내재하므로 곡면을 이루는 내주면에 삽입되면, 내주면에 탄성력을 가하면서 고르게 밀착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밀착부재(12)를 유출구(10)로부터 끄집어내면 밀착부재(12)는 탄성에 의해 원래의 직선형으로 돌아옴은 물론이다. 또한 밀착부재(12)의 길이는 유출구(10)의 내주면이 이루는 원주 길이의 반절보다 길게 형성하여 내주면에 고르게 접촉한다. 만약 지지띠(12)의 길이가 원주 길이의 반절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면 지지띠(12)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직선으로 복원되고 용기내로 떨어질 것이다.
상기 지지띠(12)의 대략 중앙부에 연결된 지지부재(16)는 유출구의 내경의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단부에 형성한 구멍부재(14)의 구멍(18)이 용기 입구의중심에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용기의 유출구 중심에 위치한 구멍(18)내에 삽입된 연결봉(도 1의 20)에 의해 뚜껑부재(도 1의 24)가 유출구(10)의 상단부에 적절히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을 적용한 용기를 세워놓은 상태의 모습이고, 도 3b는 도 3a의 용기를 기울여 내용물을 외부로 유출시킬 때의 모습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탄성띠(12)가 유출구(10)의 내주면에서 탄성력에 의해 일정높이에 위치하며, 지지부재(16)의 단부에 형성한 구멍부재(14)의 내부에 삽입된 연결봉(20)이 수직으로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연결봉(20)의 상단에는 뚜껑부재(24)가 나사결합하며, 하단에는 무게추(22)가 위치하여 중력에 의해 연결봉(20) 및 뚜껑부재(14)는 화살표 g의 방향으로 당겨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뚜껑부재(24)의 테두리부는 유출구(10)의 외경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므로, 유출구의 선단, 즉 유출구의 내경과 외경이 이루는 두께가 이루는 면적은 뚜껑부재(24)의 테두리부와 접촉하며, 무게추(22)의 중력에 의해 밀착력을 더욱 크게 제공받는다. 상기 무게추(22)에 가해지는 중력에 의해 용기가 수직으로 위치하면 뚜껑부재(24)는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용기의 입구를 막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대기하고 있는 용기를 기울이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부재(24)가 자동으로 개방된다.
즉, 도 3b를 참조하면, 용기의 내용물을 따르기 위해 용기를 기울이면 유출구(10)내에 위치한 무게추(22)가 중력에 의해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내려가고, 연결봉(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부재(24)는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상부로 올라가용기가 열리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무게추(22)의 무게가 뚜껑부재(24)의 무게보다 무거우므로, 뚜껑부재(24)는 구멍부재(14)를 힘의 받침점으로 하여 상부로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용기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출하는 내용물이 액체일 경우, 내용물의 유동장내에서 무게추(22)에 부력이 작용할 수 있으나, 무게추(22)는 뚜껑부재(24)에 비해서 매우 무겁게 설계되고, 특히 힘의 받침점인 구멍부재(14)와의 거리(n)가 충분히 길게 형성되므로 뚜껑부재(24)의 개방이 실패하지 않는다. 즉, 무게추(22)가 뚜껑부재(24)에 비하여 무거울 뿐 아니라, 구멍부재(14)를 힘의 받침점으로 할 때, 구멍부재(14)로부터 뚜껑부재(24)와의 거리 m에 비해 구멍부재(14)로부터 무게추(22)까지의 거리인 n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뚜껑부재(24)의 개방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용기의 내용물을 따른 후, 용기를 다시 수직으로 위치시키면, 무게추(22)는 유출구(10)의 내부에서 중앙에 위치하며 연결봉(20)을 수직으로, 뚜껑부재(24)를 수평으로 위치시켜 용기를 다시 밀폐한다.
결국 사용자가 용기를 기울이면 자동적으로 개방이 수행되고 용기를 세우면 자동적으로 밀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을 설명하기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은 상호 대향하고 있는 띠형상의 밀착부재(34)와, 상기 밀착부재(34)를 연결하며 강성을 내재한 지지부재(36)와, 지지부재(36)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재(14)와, 뚜껑부재(24)와, 연결봉(20) 및 무게추(22)를 포함한다. 상기 각 밀착부재(34)의 길이는 유출구(10)의 내주면이 이루는 원주 길이의 절반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하되, 두 개의 밀착부재(34)의 길이를 같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호 대향하고 있는 각 밀착부재(34)의 중앙부에는 지지부재(36)가 일체로 결합한다. 상기 지지부재(36)는 각 밀착부재(34)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어 두 개의 밀착부재(34)를 연결하고, 지지부재(36)의 중앙부에는 구멍부재(14)가 위치하여 연결봉(20)을 수용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밀착부재(34)는 내재하고 있는 탄성력에 의해 유출구(10)의 내주면에 대해 탄성력 f를 가하면서 유출구(10)의 내부에 밀착하여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밀착부재(34)는 직선으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에 의해 양단을 힘의 지지점으로 원래의 직선위치로 돌아오려고 하므로 지지부재(36)는 압축력을 받는다. 지지부재(36)가 압축력을 받지만 지지부재(36)는 강성을 갖는 부재이므로 밀착부재(34)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밀착부재(36)로 하여금 내주면을 가압시킨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을 설명하기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 2실시예에 비해서 직선형의 밀착부재(도 4의 34) 및 지지부재(36)가 생략되며, 대신에 플렉시블하고 길이가 적어도 유출구의 내경보다 길게 형성된 밀착부재(35) 및 밀착부재(35)의 중앙에 마련된 구멍부재(14)가 구비된다.
즉, 도 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은 탄성력을 내재한 상태로 플렉시블한 밀착부재(35)가 중앙부에 구멍부재(14)를 구비한 상태로 위치하고, 구멍부재(14)내에는 연결봉(20)이 설치된다. 연결봉(20)의 상하단에는 뚜껑부재(24)와 무게추(22)가 마련됨을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밀착부재(35)는 플렉시블함과 동시에 탄성이 내재하고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출구의 내주면과 밀착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밀착부재(35)는 직선형이며 플렉시블하므로 직선부의 임의의 부위가 벤딩될 수 있으므로, 유출구의 내경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아울러 밀착부재(35)의 길이는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적용하는 밀착부재(35)의 길이는 유출구(10)의 내경보다 크도록 하여 양단이 휘어짐으로서 양단과 유출구(10)의 내주면이 접하여 탄성력을 갖도록 한다.
계속하여 도 5b를 참조하면, 유출구(10)의 내부에 설치된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은, 밀착부재(35)에 의해 위치되어 짐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밀착부재(35)는 플렉시블하며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유출구(10) 내주면에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며 내주면에 대하여 탄성지지된다. 이 때에 양측의 밀착부재(35)의 설치방향을 도면과 같이 상호 반대로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밀착부재(35)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위치시켰다.
또한 도 5c를 참조하면, 도 5b에 사용하였던 밀착부재(35)를 유출구 내경이 보다 작은 유출구를 가진 용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밀착부재(35)는 평상시 직선을 이루며 직선부위의 임의의 부위가 벤딩이 가능하며, 벤딩을 통하여 화살표 f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 유출구(10) 내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본 실시예의 자동여닫이 뚜껑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을 적용한 용기에 통상의 마개를 장착할 수 있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유출구(10)의 외경이 이루는 면적과 뚜껑부재(24)가 이루는 면적이 동일하므로, 통상의 마개(38)를 유출구(10)의 외주부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자동여닫이 뚜껑을 적용한 상태로, 마개(38)를 이용해 유출구와 결합하여 용기를 휴대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또한 마개(38)를 유출구(10)의 외주면과 결합하면 마개(38)의 상면이 뚜껑부재(24)를 화살표 f의 방향으로 가압하므로, 뚜껑부재(24)의 테두리부 저면과, 유출구 상부 선단면과의 사이에 밀폐가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의 뚜껑부재와 연결봉 및 무게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은, 뚜껑부재를 제 1내지 제 3실시예와 달리 부피가 크지만 신축성이 있고 가벼운 뚜껑부재를 적용한다. 이와 같은 뚜껑부재(40)는 부피가 크지만 질량이 적은 재질을 사용하여, 무게추(22)의 무게보다 적은 무게를 갖도록 설계한다. 상기 뚜껑부재(40)로서 바람직스럽게는 통상의 코르크마개를 사용할 수 있다. 공지의 사실과 같이 코르크마개는 밀도가 낮고 신축성이 내재하므로 특히 각종 술병등에 밀폐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뚜껑부재(40)의 하측면에는 연결봉(20)과 무게추(22)가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무게추(22)를 뚜껑부재(40)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게 설계함은 물론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자동여닫이 뚜껑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아울러 밀착부재 및 지지부재는 편의상 제 1실시예에서 설명한 밀착부재(12)를 적용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뚜껑부재(40)는 경량이며, 신축성을 내재하고 있으므로 용기의 유출구(10)의 내부에 뚜껑부재(40)의 하단이 일부 삽입되어 설치된다.
도 8a를 참조하면, 뚜껑부재(40)의 저면에 연결봉(20)과 무게추(22)가 연결되고, 연결봉(20)은 지지부재(16)의 구멍부재(14)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뚜껑부재(40)가 용기의 주둥이부에 삽입되어 용기를 밀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뚜껑부재(40)가 유출구(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므로, 이 상태로 용기를 휴대하더라도 용기의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는다.
도 8b는 상기와 같은 상태로 대기 또는 휴대하고 있는 용기로부터 본 실시예의 자동여닫이 뚜껑을 빼내어 용기의 내용물을 따를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뚜껑부재(40)를 병의 주둥이부로부터 빼내어 용기의 밀폐를 해제한 후, 용기를 기울이면 무게추(22)는 중력에 의해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쳐지고, 구멍부재(14)를 힘의 받침점으로 하여 연결봉(20)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는 뚜껑부재(40)는 화살표 d의 방향으로 올라가면서 용기의 개방이 수행된다. 이는 상기 도 3을 참고로 설명된 내용과 같은 원리에 의거한 것으로서, 무게추(22)의 무게와 뚜껑부재(40)와의 무게차이와, 힘의 받침점인 구멍부재(14)와 무게추(22)와의 거리(n) 및 구멍부재(14)와 뚜껑부재(40)와의 거리(m)차이에 의해 구현되는 동작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자동여닫이 뚜껑은, 사용자가 매번 마개를 사용하여 용기를 개방하거나 밀폐하지 않아도, 용기의 사용시 용기의 개방 및 밀폐가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용기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따라서 마개를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 또한, 용기의 마개가 개방된 상태로 방치되지 않으므로 용기내로 먼지나 외부 이물질이 유입하지 않고, 외부공기와의 접촉시간이 단축되고 내용물의 증발이 억제되어 용기속의 내용물의 원상보존 및 주변의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용기와 뚜껑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뚜껑의 분실이 예방되고, 휴대하기 위하여 통상의 마개와 겸용으로 사용할 수 도 있어 밀폐효과가 매우 높은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고 이동시에도 내용물의 유출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용기의 유출구(10)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밀착 위치하며 띠의 형상을 갖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와 일체로 연결되며 유출구(10)의 중심 위치에 위치하되, 일측부가 절제된 일정간극의 절제부(28)가 형성되어 있는 구멍부재(14)를 갖는 지지부재(16,36)와;
    상기 구멍부재(14)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8)내에 설치되는 원형단면의 봉으로서, 구멍(18)의 내부에서 운동이 자유로운 연결봉(20)과;
    상기 연결봉(20)의 하단부에 결합하는 무게추(22) 및;
    테두리부가 유출구(10)의 외경에 대응하며 상기 연결봉(20)의 상단부와 연결되어, 용기가 수직으로 위치하여 있을 때에 유출구의 상부선단에 얹히며 무게추(22)의 무게에 의해 하부로 가압되어 용기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24,4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20)의 상단부에는 수나사부(30)가 형성되고 뚜껑부재(24)의 중심부에는 암나사부(32)가 형성되어 연결봉(20)과 뚜껑부재(24)는 나사결합에 의하여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무게추(22)는 금속이나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지고, 무게추(22)의 상부에 해당하는 연결봉(20)의 하단부는 상기 절제부(26)의 간극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연결봉(20)의 하단부가 상기 절제부(26)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구멍부재(14)내의 구멍(18)내부에 설치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여닫이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12)는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가 적어도 유출구(10) 내주면의 원주길이의 반 이상으로 구성된 하나의 밴드형 부재이며, 지지부재(16)는 구멍부재(14)를 유출구(10)의 중심축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밀착부재(12)와 대략 직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여닫이 뚜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34)는 일정폭을 가지고 상호 대향하며, 길이가 유출구 내주면의 원주길이의 반 이하인 두 개의 밴드형 부재이며, 지지부재(36)는 대향하는 밀착부재(34)를 연결하며 중앙부에 구멍부재(14)를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여닫이 뚜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35)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멍부재(14)를 중심으로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유출구(10) 내경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여닫이 뚜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재(40)는 신축성 및 탄성을 내재한 코르크마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여닫이 뚜껑.
KR2019980016805U 1998-09-04 1998-09-04 자동여닫이뚜껑 KR200244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805U KR200244402Y1 (ko) 1998-09-04 1998-09-04 자동여닫이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805U KR200244402Y1 (ko) 1998-09-04 1998-09-04 자동여닫이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663U KR19980068663U (ko) 1998-12-05
KR200244402Y1 true KR200244402Y1 (ko) 2002-01-16

Family

ID=69504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805U KR200244402Y1 (ko) 1998-09-04 1998-09-04 자동여닫이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4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5137A2 (en) * 2009-01-21 2010-07-29 Siow Kuang Ling Siew Kuang Choong A pendulum cap apparatus
KR102111649B1 (ko) * 2019-12-30 2020-05-15 농업회사법인 나무와열매 주식회사 과일청 보관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732B1 (ko) * 2002-03-18 2003-12-24 김동환 용기의 가스배출 방지구
KR20020059321A (ko) * 2002-06-21 2002-07-12 안돈례 병마개 조립체
KR101443150B1 (ko) * 2013-05-23 2014-09-26 여태수 자동 캡
KR102553768B1 (ko) * 2021-06-23 2023-07-10 서정탁 휴대용 비데
KR102594347B1 (ko) * 2021-08-12 2023-10-25 김병수 개폐가능한 이중덮개가 구비되는 뚜껑이 결합되는 물병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5137A2 (en) * 2009-01-21 2010-07-29 Siow Kuang Ling Siew Kuang Choong A pendulum cap apparatus
WO2010085137A3 (en) * 2009-01-21 2010-10-21 Siow Kuang Ling Siew Kuang Choong A pendulum cap apparatus
KR102111649B1 (ko) * 2019-12-30 2020-05-15 농업회사법인 나무와열매 주식회사 과일청 보관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663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2303A (en) Bottle cover with dispensing spout
EP1371579B1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US5582315A (en) Pour spout closure with handle
US5853096A (en) Pressure equalizing and foam eliminating cap
AU2002338746B2 (en) Dispensing closure for a container that holds pourable material
US6840410B2 (en) Fluid dispensing valve and method of use
US6135311A (en) Drink valve
AU2011202432B2 (en) Discharge cap for bottle-like container
US4779773A (en) Container cap with turnable retractable nozzle
US6851586B2 (en) Closure device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ame
JP2002506781A (ja) 配給バルブおよびバリヤ貫通器を備えた配給構造
CA2573335A1 (en) Closure with selectable dispensing orifices
JP6177791B2 (ja) 膜および膜を備える首部
KR200244402Y1 (ko) 자동여닫이뚜껑
JP2021519246A (ja) 流動性歯科用物質を分注するためのフリップトップキャップ
RU2404906C2 (ru) Раздаточные колпачки для емкостей, предназначенных для жидкостей
US6427881B1 (en) Edge seal closure
US5961010A (en) Dispensing beverage closure
US20080224350A1 (en) Fluid dispensing clos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4846360A (en) Reusable bottle cap
WO1996001216A2 (en) Pour spout assembly for bottles
FR2750954A1 (fr) Bouchon en matiere synthetique destine a distribuer un liquide contenu dans un recipient, notamment une boisson
JP3410551B2 (ja) スクイズボトル用キャップ
JP4582451B2 (ja) 注出栓
KR970705952A (ko) 콘돔포장용기(condom packaging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