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352Y1 -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 Google Patents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352Y1
KR200362352Y1 KR20-2004-0017379U KR20040017379U KR200362352Y1 KR 200362352 Y1 KR200362352 Y1 KR 200362352Y1 KR 20040017379 U KR20040017379 U KR 20040017379U KR 200362352 Y1 KR200362352 Y1 KR 200362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el
coupled
tip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이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철 filed Critical 이종철
Priority to KR20-2004-0017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3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3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or movable bottom being pulled upwards to dispense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누름 버튼(101)이 구비된 용기 몸체(103)와, 상기 용기 몸체(103)의 선단부로 결합된 팁 홀더(118)를 매개로 고정된 화장솔(2)와, 립스틱 재료(4)를 상기 화장솔(2)로 배출하기 위한 이송관 홀더(117) 및 이송관(112)과, 상기 이송관(112)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 단부는 용기 몸체(103)에 설치되어 저장실(108)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관(112)과의 사이에 제2스프링(111a)으로 탄력 설치된 실린더(105)와, 상기 실린더(105)의 후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 단부는 용기 몸체(103)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저장실(108)을 압축하기 위한 판 스프링(116)과 제1 및 제 2 피스톤(114)(115)이 소정 피치만큼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트 봉(106)으로 구성된 공지의 립스틱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팁 홀더(118)의 외측 둘레면에는 나사부(118a)가 형성되고, 선단부는 반 구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리브(118b)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118b)의 표면에는 화장부재(121)가 감싸여지도록 안착되고 상기 나사부(118a)에는 화장부재(121)를 고정시키는 고정캡(120)이 나사 결합된 것이다.

Description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gel type foundation vessel}
본 고안은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액상 또는 겔상의 파운데이션 재료라 하더라도 확실한 단속 조작에 의해 재료가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용기의 선단부에 반 구 형상의 접촉부를 마련하여 파운데이션 재료를 얼굴중 발라야하는 특정부위에 간편하게 바를 수 있도록 한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중화되어 있는 파운데이션은 고형의 것이며, 이러한 고형의 파운데이션은 주근깨나 점과 같은 부위를 감쪽같이 화장으로 없앨 수 없는 것과 같이 몇 가지의 단점을 안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액상 또는 겔상의 파운데이션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액상 또는 겔상 파운데이션을 일정량씩 배출하여 사용케 하는 파운데이션 용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 액상 또는 겔상의 파운데이션 용기들은 단지 액상, 겔상 파운데이션을 담을 수 있는 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정량씩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파운데이션 용기는 존재하지 않았다.
본 출원인은 과거 겔상 립스틱 용기를 개발하여 실용신안 등록을 한바 있는데 이 겔상 립스틱 용기 구조를 이용하여 본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점도의 유무에 관계없이 액상 또는 겔상의 립스틱 재료를 원활하게 배출 사용하기 위한 겔상 립스틱 용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등록 제220243호, 실용신안등록 제230179호, 실용신안등록 제297639호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 선행 고안중 실용신안등록 제230179호 립스틱 용기 구조가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선행 고안을 살펴보면, 누름 버튼(101)을 누르면, 누름판(101a)에 의해 활차(102)의 경사면(102a)이 눌러지면서 활차(102)가 용기 몸체(103)의 앞쪽으로 전진하면서 제1 스프링(104)을 밀게 되고, 활차(102)의 이동에 따라 활차(102)에 결합된 실린더(105)도 동시에 전진하며, 래치트 봉(106) 역시 밸브 홀더(107) 안쪽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저장실(108)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립스틱 재료(4)가 배출구(110)를 통하여 밸브 홀더(107) 내부로 유입되고, 배출 밸브(111)가 열리면서 이송관(112)쪽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이송관(112)쪽으로 배출된 립스틱 재료(4)는 팁 홀더(118)에 의해서 지지된 화장솔(2)로 공급된다.
한편, 누름 버튼(101)을 눌러 래치트 봉(106)이 전진하면, 래치트 봉(106)에 끼워진 제1 피스톤(114)과 제2 피스톤(115) 및 판 스프링 (116)이 앞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한편, 누름 버튼(101)을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여 누름 버튼(101)이 다시 상승하면, 제1스프링(104)의 복원력에 의하여 활차(102)가 밀리면서 제자리로 후퇴하고, 활차(102)에 결합되어 있는 실린더(105)와 래치트 봉(106) 역시 후퇴하게 되며, 열려 있던 배출밸브(111) 역시 제2 스프링(111a)의 복원력에 의하여 밸브홀더(107)에 닫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래치트 봉(106)이 뒤로 후퇴하더라도 이에 끼워진 제1피스톤(114)과 제2 피스톤(115)은 판 스프링(116)이 저장실(108)의 안쪽에 걸려서 뒤로 후퇴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겔상 립스틱 용기는 립스틱 재료(4)가 이송관홀더(117) 및 화장솔(2)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립스틱 재료(4)가 화장솔(2)의 일측(직경이 큰 부분)에는 과다하게 공급되고, 화장솔(2)의 타측(뾰족한 부분)에는 공급되지 않게되므로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로 사용할 경우 얼굴중 특정 부위에 넓게 분포되어 있는 주근깨 위에 겔상 파운데이션을 균일하게 펴 바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는 화장솔(2)의 타측에 립스틱 재료(4)가 공급되도록 겔상 파운데이션을 배출할 수도 있지만 이때에는 겔상 파운데이션이 과다하게 배출되어 파운데이션의 불필요한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의 선단부에 겔상 파운데이션이 함침되도록 반구 형상의 접촉부를 마련하여 용기에서 배출되는 립스틱 용기가 접촉부의 전체면에 균일하게 함침되어 불필요한 립스틱 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누름 버튼 103 : 용기 몸체
105 : 실린더 106 : 래치트 봉
108 : 저장실 111a : 제2스프링
112 : 이송관 114 : 제 1 피스톤
115 : 제 2 피스톤 116 : 판 스프링
117 : 이송관 홀더 118 : 팁 홀더
118a : 나사부 118b : 리브
120 : 고정캡 121 : 화장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는 도 1에서와 같은 종래의 겔상 립스틱 용기에 있어서 즉, 누름 버튼이 구비된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선단부로 결합된 팁 홀더를 매개로 고정된 화장솔과, 상기 팁 홀더의 내부로 순차적으로 끼워지고 립스틱 재료를 상기 화장솔로 배출하기 위한 이송관 홀더 및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 단부는 용기몸체에 설치되어 저장실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관과의 사이에 제2스프링으로 탄력 설치되어 상기 누름 버튼의 누름 조작시 진퇴 조작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후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 단부는 용기 몸체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저장실을 압축하기 위한 판 스프링과 제1 및 제2 피스톤이 소정 피치만큼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트 봉으로 구성된 공지의 립스틱 용기에 있어서, 상기 팁 홀더의 단부 외측 둘레면에는 나사부이 형성되고, 선단부는 반 구 형상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되며, 리브의 표면에는 화장부재가 감싸여지도록 안착되고 나사부에는 화장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캡이 나사 결합된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의 요부 발췌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용기 몸체(103)와 뚜껑(130)으로 이루어지며, 용기 몸체(103)의 상단부에 누름 버튼(101)이 설치된다.
용기 몸체(103)의 앞부분에는 팁 홀더(118)가 결합되며, 팁 홀더(118)의 둘레면에는 나사부(118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팁 홀더(118)의 선단부는 반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되, 그 반구 형상의 선단부에는 겔상파운데이션 재료(109)가 배출되도록 복수개의 리브(118b)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리브(118b)의 표면에는 화장부재(121)가 감싸여지도록 안착되어 있고, 그 화장부재(121)는 나사부(118a)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캡(120)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화장부재(121)는 겔상 파운데이션 재료(109)가 함침된 후 표면으로 이동되어 얼굴에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무수히 많은 통공을 갖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부재(121)는 팁 홀더(118)에 결합되는 뚜껑(130)에 의해 커버 보호된다.
팁 홀더(118)의 내부로는 이송관 홀더(117)와, 이송관(112)이 순차적으로 끼워지며, 이 이송관(112)의 내부로는 배출밸브(1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출밸브(111)는 이송관 홀더(117)와의 사이에 개재된 제2스프링(111a)으로 탄력 설치되어 겔상의 파운데이션 재료(109)가 이송관(112)을 통해 이송관 홀더(117)를 지나 화장부재(121)로 공급되는 경우에만 이송관(112)의 배출밸브(111)를 개방하고, 그 이외에는 항상 닫게 된다.
누름 버튼(101) 하부에는 누름판(10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누름판(101a)은 용기 몸체(103)에 내장된 활차(102)의 경사면(102a)을 이동시키면서 실린더(105)를 작동시킨다.
이송관(112)의 일 단부가 내부로 삽입된 실린더(105)는 누름 버튼(101)의 누름 조작에 의해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송관(112)과의 사이에 제1스프링(104)으로 탄력 설치되어 있다.
한편, 실린더(105)의 후단부에는 래치트 봉(106)이 함께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고, 래치트 봉(106)은 용기 몸체(103)의 내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어 용기 몸체(103) 후단부에 끼워진다.
용기 몸체(103) 내부의 중간부분의 일정 공간이 저장실(108)로 되고, 저장실(108)에 겔상의 립스틱 재료(109)가 담겨 있다.
래치트 봉(106)의 외주면에는 제1 피스톤(114)이 끼워지며, 제2 피스톤(115)이 제1 피스톤(114)과 결합하여 용기 몸체(103)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또한, 판 스프링(116)이 래치트 봉(106)과 용기 몸체(103)의 내벽 사이에 끼워지고 제2 피스톤(115)의 후단부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립스틱 용기(100)에 대한 작용을 도3 및 도4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화살표와 같이 누름 버튼(101)을 누르면 실린더(105)는 용기 몸체(103)의 앞쪽으로 전진하면서 제2스프링(111a)을 압축하게 된다.
이 때 누름 버튼(101)의 누름 조작에 의해 실린더(105)가 전진 이동됨에 따라 이에 결합된 래치트 봉(106) 역시 밸브홀더(107)의 안쪽에서 전진 이동하는 것에 의해 저장실(108)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서 립스틱 재료(109)가 실린더(105)와 이송관(112) 쪽으로 배출되고, 겔상 파운데이션 재료(109)의 배출 이송에 따라 배출밸브(111)가 제1스프링(104)을 밀면서 전진 이동되어 이송관(112)의 배출밸브(111)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배출밸브(111)에 의해 개방된 이송관(112)을 통과한 겔상 파운데이션 재료(109)는 이송관 홀더(117)를 지나 팁 홀더(118)에 형성된 리브(118b)의 사이를 통하여 화장부재(121)에 공급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누름 버튼(101)의 압력을 해제하여 누름 버튼(101)이 도4와 같이 다시 상승하면, 제2스프링(111a)의 복원력에 의하여 실린더(105)가 밀리면서 제자리로 후퇴하게 되고, 실린더(105)에 결합되어 있는 래치트 봉(106) 역시 후퇴하게 되며, 배출밸브(111) 역시 제1스프링(104)의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이송관(112)을 닫게 된다.
따라서 이송관(112)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겔상 파운데이션 재료(109)는 배출밸브(111)에 의해 이송관(112)이 닫히게 됨에 따라 화장부재(121)로의 배출이 정지되어 결국 겔상 파운데이션 재료(109)는 임의적으로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래치트 봉(106)이 뒤로 후퇴하면, 래치트 봉(106)에 끼워진 제1피스톤(114)과 제2피스톤(115) 및 판 스프링(116)은 래치트 봉(106)을 따라 뒤로 후퇴하지 않고 전진했던 위치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저장실(108)의 용적은 판 스프링(116)과 제1 및 제2 피스톤(114)(115)이 전진한 만큼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누름 버튼(101)의 동작이 반복될수록, 즉 겔상 파운데이션 재료(109)의 배출이 계속될수록 판 스프링(116)과, 제1 및 제2 피스톤(114)(115)은 소정의 피치만큼 래치트 봉(106)을 따라 조금씩 전진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된 겔상 파운데이션 재료(109)는 팁 홀더(118)에 형성된 리브(118b)를 통하여 화장부재(121)로 함침되는 것이며, 이때 화장부재(121)의 전체면에 겔상 파운데이션 재료(109)가 균일하게 전달되는 것으로서, 화장부재(121)를 얼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화장을 하는 것이다.
한편,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화장부재(121)가 파손될 경우에는 나사결합된 고정캡(120)을 풀고 신품의 화장부재(121)를 안착시킨 후 상기 고정캡(120)을 나사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팁 홀더를 통하여 배출되는 겔상 파운데이션 재료가 화장부재의 전체면에 균일하게 함침되므로 주근깨난 점과 같이 얼굴중 특정부위에 겔상 파운데이션을 용이하게 펴 바를 수 있게 한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누름 버튼(101)이 구비된 용기 몸체(103)와, 상기 용기 몸체(103)의 선단부로 결합된 팁 홀더(118)를 매개로 고정된 화장솔(2)과, 상기 팁 홀더(118)의 내부로 순차적으로 끼워지고 립스틱 재료(4)를 상기 화장솔(2)로 배출하기 위한 이송관 홀더(117) 및 이송관(112)과, 상기 이송관(112)의 일단부가 삽입되고 타 단부는 용기 몸체(103)에 설치되어 저장실(108)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이송관(112)과의 사이에 제2스프링(111a)으로 탄력 설치되어 상기 누름 버튼(101)의 누름 조작시 진퇴 조작되는 실린더(105)와, 상기 실린더(105)의 후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 단부는 용기 몸체(103)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저장실(108)을 압축하기 위한 판 스프링(116)과 제1 및 제2 피스톤(114)(115)이 소정 피치만큼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트봉(106)으로 구성된 공지의 립스틱 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팁 홀더(118)의 선단부에 리브(118b)가 형성하고, 리브(118b)의 표면에는 화장부재(121)가 감싸여지도록 안착하며, 고정캡(120)으로 화장부재(121)를 상기 팁 홀더(118)에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부재(121)는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부재(121)는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파운데이션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120)과 상기 팁 홀더(118)의 결합방식은 나사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캡(120)과 상기 팁 홀더(118)의 결합방식은 언더컷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KR20-2004-0017379U 2004-06-19 2004-06-19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KR200362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379U KR200362352Y1 (ko) 2004-06-19 2004-06-19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379U KR200362352Y1 (ko) 2004-06-19 2004-06-19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352Y1 true KR200362352Y1 (ko) 2004-09-16

Family

ID=4935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379U KR200362352Y1 (ko) 2004-06-19 2004-06-19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35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260B1 (ko) 2008-02-15 2010-02-24 조만영 액상물 도포용 기구 및 액상물 도포용 기구의 섬유질부재제조방법
KR200452697Y1 (ko) 2008-12-30 2011-04-07 강성일 내용물 히팅 기능을 갖는 펜슬형 화장품용기
KR200456236Y1 (ko) 2008-12-16 2011-10-20 주식회사 하나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KR20140045280A (ko) * 2010-08-11 2014-04-16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노크식 투입 용기
KR101672495B1 (ko) * 2016-03-24 2016-11-03 윤일표 화장품 용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260B1 (ko) 2008-02-15 2010-02-24 조만영 액상물 도포용 기구 및 액상물 도포용 기구의 섬유질부재제조방법
KR200456236Y1 (ko) 2008-12-16 2011-10-20 주식회사 하나 액상 내용물 정량 배출 용기
KR200452697Y1 (ko) 2008-12-30 2011-04-07 강성일 내용물 히팅 기능을 갖는 펜슬형 화장품용기
KR20140045280A (ko) * 2010-08-11 2014-04-16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노크식 투입 용기
KR101869991B1 (ko) 2010-08-11 2018-06-22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노크식 조출 용기
KR101672495B1 (ko) * 2016-03-24 2016-11-03 윤일표 화장품 용기
WO2017164534A1 (ko) * 2016-03-24 2017-09-28 윤일표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650B2 (en) Retractable substance dispenser
US4244525A (en) Writing instrument with refillable scent dispenser
US4699161A (en) Nail polish remover wand
US20100243677A1 (en) Cosmetic case for eye cream having airless pump
KR200475944Y1 (ko) 액상 화장품 용기의 배출 구조체
JP3104498U (ja) ゲル状リップスティック容器
KR100789295B1 (ko)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0362352Y1 (ko) 겔상 파운데이션 용기
JPH0356165A (ja) 分与装置
KR20140115097A (ko)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아이라이너 화장품용기
KR20090005978U (ko) 화장퍼프를 구비한 튜브용기
KR100840590B1 (ko) 화장도구용 노즐 및 이를 구비한 화장도구
KR100696364B1 (ko) 액상체 화장기구
KR100840589B1 (ko) 직접 분사식 분배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구
KR102501294B1 (ko) 한손으로 사용가능한 상향 토출식 액상화장품 도포 겸용 보관용기
KR101785397B1 (ko) 함침부재와 에어리스 펌프를 가지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EP0855155A1 (en) Dispenser for cosmetic products
US1973158A (en) Magazine shaving lather brush
KR200238108Y1 (ko) 액상입술연지용기
KR200230104Y1 (ko) 겔상 립스틱 용기
US20030133739A1 (en) Rectractable squeezable washing device
KR200468389Y1 (ko) 화장품 내용물 배출용기
KR200220243Y1 (ko) 겔상 립스틱 용기
KR200297639Y1 (ko) 겔상 립스틱 용기
KR101932094B1 (ko) 이종 내용물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