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846B1 - 내용물 배출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846B1
KR101331846B1 KR1020130054725A KR20130054725A KR101331846B1 KR 101331846 B1 KR101331846 B1 KR 101331846B1 KR 1020130054725 A KR1020130054725 A KR 1020130054725A KR 20130054725 A KR20130054725 A KR 20130054725A KR 101331846 B1 KR101331846 B1 KR 101331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tainer
contents
outlet
container bod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경아이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경아이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경아이앤아이
Priority to KR102013005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8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30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용기 내부에 채워진 점성을 갖는 내용물을 보다 깔끔하면서도 원활하게 배출시킴은 물론 내용물의 배출 정도와 상관없이 내용물의 배출 작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용물 배출 완료시 내용물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깔끔한 상태를 유지토록 한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인출구측의 폭이 타부위의 폭보다는 좁게 이루어져 그 내부에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채워지는 튜브용기 본체와; 튜브용기 본체 내부에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튜브용기 본체의 누름 조작시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측으로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가압해주는 인출 피스톤과;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측에 구성되어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개방되었다가 내용물의 배출완료시 폐쇄되는 제1 밸브와;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 반대측에 구성되어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폐쇄되었다가 내용물의 배출완료시 개방되어 공기를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 피스톤 후위쪽으로 유입시키는 제2 밸브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 배출용기{Content discharge receptacle}
본 발명은 내용물 배출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용기 내부에 채워진 점성을 갖는 내용물을 보다 깔끔하면서도 원활하게 배출시킴은 물론 내용물의 배출 정도와 상관없이 내용물의 배출 작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용물 배출 완료시 내용물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깔끔한 상태를 유지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이나 연고 및 헤어젤 등(이하 '점성물질'이라 함)은 점성을 갖는 물질로서 연성 튜브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튜브용기를 가압하면 튜브용기의 선단에 형성된 인출구로 인출된다.
이러한 튜브용기는 점성물질을 짜내어 사용할 때, 사용자에 따라 튜브용기의 끝부분이나 중간부분을 가압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점성물질을 짜내어 사용하기 때문에, 튜브용기의 불규칙한 변형으로 점성물질이 튜브용기의 내측 전영역에서 부분적으로 남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사용자는 점성물질을 거의 모두 사용할 때 쯤엔 튜브용기를 끝부분부터 접어서 점성물질을 억지로 짜내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튜브용기의 인출구 인접영역은 튜브용기의 나머지 대부분 영역처럼 연성이 아닌 비교적 경질의 형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튜브용기를 접어서 점성물질을 짜내어도 최종적으로 튜브용기의 인출구 영역에는 비교적 많은 량의 점성물질이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를 감안하여 특허 제 10-1022595 호에서 점성물질을 수용하며 선단부에 상기 점성물질을 인출하는 인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용기본체와, 상기 튜브용기본체 내에 수용되며, 누름 조작시 상기 인출구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점성물질을 가압하고, 누름 해제시 이동 정지하는 인출 피스톤과, 상기 인출 피스톤의 가압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인출구에 삽입되는 인출구삽입부를 포함하는 튜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인출 피스톤은, 상기 튜브용기본체의 인출구 인접영역의 선단부 내측에 둘레에 밀착 대응하는 형상의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 후방 상하 둘레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누름 조작시 축소되는 형태로 탄성 변형되고, 누름 해제시 원상태로 탄성 복귀되는 가압조작부와; 상기 가압부 후방 양측 둘레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외향 경사지게 확대되며 상기 가압조작부의 누름 조작 시 축소되는 형태로 탄성 변형되고, 누름 해제시 원상태로 탄성복귀되어 상기 튜브용기본체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역행방지부를 갖는 점성물질 인출 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 제 10-1022595 호에 따른 점성물질 인출 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의 경우 튜브용기의 외측부위를 눌러 인출 피스톤을 전진시킴에 따라 튜브용기 내부의 점성물질 배출은 깔끔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인출 피스톤이 전진됨과 동시에 튜브용기의 인출 피스톤 후위부위는 납작해지게 되어 외관이 매우 불량해지고, 또 튜브용기를 욕실 등의 수납함에 수납하고자 하더라도 튜브용기의 변형으로 인해 힘을 받지 못하여 수납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또한, 튜브용기 내부에 점성물질을 인입하고, 그 뒤쪽에 인출 피스톤을 배치한 후 튜브용기 후단부를 밀폐하게 되면 공기가 튜브용기 내부로 유입될 수 없어 인출 피스톤을 전진시킨 후 놓아주면 그 후위의 튜브용기 내 진공으로 인해 인출 피스톤이 역행됨으로써 점성물질과 인출 피스톤이 이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재차 인출 피스톤을 전진시켜 점성물질을 배출하고자 할 때 인출 피스톤을 전진시키는 정도와 점성물질의 배출량이 비례하지 않아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할 우려도 있었다.
아울러, 튜브용기의 인출구를 통해 점성물질을 배출시킨 후 배출을 멈추어주어야 하는데, 튜브용기의 인출구에는 점성물질을 일정량 배출시킨 상태에서 점성물질의 배출을 멈추어줄 수 있는 구조물이 부재하여 점성물질의 배출을 멈춘 상태에서도 점성물질이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튜브용기의 인출구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튜브용기 내부에 채워진 점성을 갖는 내용물을 보다 깔끔하면서도 원활하게 배출시킴은 물론 내용물의 배출 정도와 상관없이 내용물의 배출 작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용물 배출 완료시 내용물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깔끔한 상태를 유지토록 한 내용물 배출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인출구측의 폭이 타부위의 폭보다는 좁게 이루어져 그 내부에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채워지는 튜브용기 본체; 상기 튜브용기 본체 내부에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누름 조작시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측으로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가압해주는 인출 피스톤;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측에 구성되어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개방되었다가 내용물의 배출완료시 폐쇄되는 제1 밸브; 및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 반대측에 구성되어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폐쇄되었다가 내용물의 배출완료시 개방되어 공기를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 피스톤 후위쪽으로 유입시키는 제2 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출 피스톤은,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 인접영역의 선단부 내측 둘레에 밀착 대응하는 형상의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후방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누름 조작시 축소되는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가압부를 전진시켜주고, 누름 해제시 원상태로 탄성 복귀되는 가압조작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밸브는, "Ⅰ"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인출구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인출구의 전후 위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내용물이 밀려나오면 그 힘에 의해 눌려져 상기 인출구를 개방하는 제1 밸브 본체와, 상기 제1 밸브 본체와 상기 인출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용물이 더 이상 나오지 않으면 상기 제1 밸브 본체를 복귀시켜 상기 인출구를 폐쇄토록 작용하는 제1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 반대측에는 통기공을 갖는 밸브시트가 구비되어 상기 튜브용기 본체에 기밀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2 밸브는, "Ⅰ"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통기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통기공의 전후 위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튜브용기 본체가 눌려지면 공기압에 의해 밀려 상기 통기공을 폐쇄하고 상기 튜브용기 본체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상기 튜브용기 본체 내외부 사이의 기압차이로 인해 상기 통기공을 개방시켜 외부 공기를 상기 튜브용기 본체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2 밸브 본체와, 상기 제2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시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튜브용기 본체 내외부의 기압이 동일해지면 상기 제2 밸브 본체를 복귀시켜 상기 통기공을 폐쇄하도록 작용하는 제2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튜브용기 본체를 눌러 인출 피스톤이 전진시켜줌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튜브용기 본체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자연스럽게 튜브용기 본체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어 미관을 향상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튜브용기 본체를 욕실 등에 구비된 수납함에 수납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튜브용기 본체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더라도 인출 피스톤이 역행되지 않게 되어 내용물과 인출 피스톤이 상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내용물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를 통해 점성물질을 배출시킨 후 배출을 멈추어주면 더 이상 튜브용기 본체로부터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아 인출구 주변을 항상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뚜껑없이도 사용이 가능해지는 이점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배출용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배출용기의 인출 피스톤 작용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배출용기의 내용물 배출시 제1 밸브와 제2 밸브의 작용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배출용기의 내용물 멈춤시 제1 밸브와 제2 밸브의 작용설명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내용물(12)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튜브용기 본체(10)는 그 형상을 유지토록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튜브용기 본체(10) 내부에는 인출 피스톤(20)을 삽입하고,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구(11)에는 제1 밸브(30)를 구비하며,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구 반대측 단부에는 제2 밸브(40)를 구비한 것이다.
튜브용기 본체(10)는, 누름 해제시 자체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인출구(11)측의 폭이 타부위의 폭보다는 좁게 이루어지며, 튜브용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치약과 같이 점성을 갖는 내용물(12)이 채워지게 된다.
인출 피스톤(20)은,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구(11) 인접영역의 선단부 내측 둘레에 밀착 대응하는 형상의 가압부(21)와, 가압부(21)의 후방 둘레에 형성되어 튜브용기 본체(10)의 누름 조작시 축소되는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가압부(21)를 전진시켜주고 누름 해제시 원상태로 탄성 복귀되는 가압조작부(22)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압조작부(22)는 탄성을 갖는 별도의 재질로 구성하여 가압부(21)에 부착시켜 구성할 수도 있고, 가압부(21)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는 두께로 일체로 구성하여 형상적인 특징을 통해 탄성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출 피스톤(20)은 튜브용기 본체(10) 내부에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튜브용기 본체(10)의 누름 조작시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구(11)측으로 이동하면서 내용물(12)을 가압해주게 되는데, 튜브용기 본체(10)에는 내용물(12)을 먼저 채운 후 인출 피스톤(20)을 삽입시켜 인출 피스톤(20)이 내용물을 밀어준 상태에서는 인출 피스톤(20)의 후위측에 내용물(12)이 잔존하지 않도록 구성해야 함은 자명하다.
제1 밸브(30)는,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구(11)측에 구성되어 내용물(12)의 배출시에는 개방되었다가 내용물(12)의 배출완료시 폐쇄되도록 구성된다.
제1 밸브(3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Ⅰ"자 형태로 이루어져 인출구(11)를 관통한 상태로 인출구(11)의 전후 위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내용물(12)이 밀려나오면 그 힘에 의해 눌려져 인출구(12)를 개방하는 제1 밸브 본체(31)와; 제1 밸브 본체(31)와 인출구(11)의 사이에 개재되어 내용물(12)이 더 이상 나오지 않으면 제1 밸브 본체(31)를 복귀시켜 인출구(11)를 폐쇄토록 작용하는 제1 탄성부재(32)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밸브 본체(31) 중 튜브용기 본체 측 부위에는 내용물(12)이 밀려나올 때 내용물(12)이 통과하는 내용물 통과공(33)을 구성해줌이 바람직하다.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밸브(30)의 제1 밸브 본체(31)를 튜브 용기 본체(10)로부터 연장된 탄성편 형태로 구성하여 밸브 본체와 탄성부재 역할을 동시에 도모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제1 밸브(30)의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제한하지는 않는다.
제2 밸브(40)는,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구 반대측에 구성되어 내용물(12)의 배출시에는 폐쇄되었다가 내용물(12)의 배출완료시 개방되어 공기를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 피스톤 후위쪽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2 밸브(40)는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구(11) 반대측에 기밀하게 고정되는 밸브시트(44)의 통기공(45) 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Ⅰ"자 형태로 이루어져 통기공(45)을 관통한 상태로 통기공(45)의 전후 위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튜브용기 본체(10)가 눌려지면 공기압에 의해 밀려 통기공(45)을 폐쇄하고 튜브용기 본체(10)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튜브용기 본체(10) 내외부 사이의 기압차이로 인해 통기공(45)을 개방시켜 외부 공기를 튜브용기 본체(10)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2 밸브 본체(41)와; 제2 밸브 본체(41)와 밸브시트(44)의 사이에 개재되어 튜브용기 본체(10) 내외부의 기압이 동일해지면 제2 밸브 본체(41)를 복귀시켜 통기공(45)을 폐쇄하도록 작용하는 제2 탄성부재(42)로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제2 밸브(40)의 제2 밸브 본체(41) 역시 밸브 시트(44)로부터 연장된 탄성편 형태로 구성하여 밸브 본체와 탄성부재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제2 밸브(40) 역시 그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제한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사용 초기 튜브용기 본체(10)를 눌러주면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구(11) 반대측에서는 제2 밸브(40)가 튜브용기 본체(10) 내부의 인출 피스톤 후위측 공기압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그 눌러주는 위치가 인출 피스톤(20) 삽입위치의 전위이든 후위이든 상관없이 튜브용기 본체(10)의 면적이 좁아지는 만큼 튜브용기 본체(10) 내부에 채워진 점성을 갖는 내용물(12)이 인출구(11)측으로만 밀려나오게 되며, 인출구(11)측에 구비된 제1 밸브(30)의 제1 밸브 본체(31)는 내용물(12)의 밀려나오는 압력에 의해 눌려 인출구(11)를 개방해줌으로써 내용물(12)이 인출구(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튜브용기 본체(10)를 누르던 압력을 해제하면 제1 밸브(30)는 제1 탄성부재(32)에 의해 제1 밸브 본체(31)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 인출구(11)를 막아주게 되고, 튜브용기 본체(10)의 탄성력에 의해 튜브용기 본체(10)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며, 튜브용기 본체(10)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내용물(12)이 빠져나간 만큼 진공이 발생되면서 인출 피스톤(20)을 인출구(11) 방향으로 당겨주게 되고, 제2 밸브(40)의 제2 밸브 본체(41)는 인출 피스톤(20)이 이동함에 따른 흡인력에 의해 튜브용기 본체(10) 안쪽방향으로 이동하여 통기공(45)을 개방해줌으로써 통기공(45)을 통해 공기가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 피스톤 후위측 공간에 채워지게 되며, 튜브용기 본체(10) 내부의 기압과 튜브용기 본체(10) 외부의 기압이 동일해지면 제2 탄성부재(42)의 탄성력에 의해 제2 밸브 본체(41)가 튜브용기 본체(10) 외측방향으로 이동하여 통기공(45)을 폐쇄해주게 된다.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 피스톤 삽입위치 뒤쪽을 눌러주는 경우에는 인출 피스톤(20)의 가압부(21) 뒤쪽에 형성된 상대적으로 플렉시블한 가압조작부(22)가 눌리면서 자연스럽게 인출 피스톤(20)이 인출구(11) 방향으로 전진하여 내용물(12)을 밀어내게 되고, 내용물(12)이 전술한 바와 같은 작용으로 인출구(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튜브용기 본체(10)를 누르던 압력을 해제하면 전술한 것과 동일한 작용으로 제1 밸브(30)가 인출구(11)를 폐쇄하게 되고, 튜브용기 본체(10)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제2 밸브(40)의 제2 밸브 본체(41)가 튜브용기 본체(10)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통기공(45)을 통해 공기가 채워진 후 튜브용기 본체(10)의 내외부 기압이 동일해지는 시점에서 제2 탄성부재(42)가 작용하여 제2 밸브 본체(41)가 통기공(45)을 폐쇄해주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게 되면 튜브용기 본체(10)의 어떠한 부위를 가압하더라도 내용물(12)의 배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튜브용기 본체(10)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면서 인출 피스톤(20)의 위치를 내용물(12)과 밀착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외부로부터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 피스톤 후위측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튜브용기 본체(10)의 형태를 원래의 형태로 유지시켜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튜브용기 본체(10)의 미관을 향상시켜줄 수 있음은 물론 튜브용기 본체(10)를 욕실 등에 구비된 수납함에 수납하기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구(11)측에 구비된 제1 밸브(30)는 내용물(12)의 배출압 발생 유무에 따라 개폐되면서 인출구(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해주게 되므로 내용물(12)이 배출되지 않을 때 인출구(11)를 폐쇄해줌으로써 내용물(12)이 더 이상 배출되지 않아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구(11) 주변을 항상 깔끔하게 유지해줄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한편, 인출 피스톤(20)의 가압부(21)는 튜브용기 본체(10)의 인출구(11) 인접영역의 선단부 내측 둘레에 밀착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인출 피스톤(20)이 튜브용기 본체(10)의 끝까지 밀리게 되면 내용물(12)이 모두 인출구(11)측으로 빠져나가 튜브용기 본체(10) 내부는 깨끗하게 빈 상태가 될 수 있어 내용물(12) 배출이 전량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10 : 튜브용기 본체 11 : 인출구
12 : 내용물 20 : 인출 피스톤
21 : 가압부 22 : 가압조작부
30 : 제1 밸브 31 : 제1 밸브 본체
32 : 제1 탄성부재 33 : 내용물 통과공
40 : 제2 밸브 41 : 제2 밸브 본체
42 : 제2 탄성부재 44 : 밸브시트
45 : 통기공

Claims (4)

  1.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인출구측의 폭이 타부위의 폭보다는 좁게 이루어져 그 내부에 점성을 갖는 내용물이 채워지는 튜브용기 본체;
    상기 튜브용기 본체 내부에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누름 조작시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측으로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가압해주는 인출 피스톤;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측에 구성되어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개방되었다가 내용물의 배출완료시 폐쇄되는 제1 밸브; 및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 반대측에 구성되어 내용물의 배출시에는 폐쇄되었다가 내용물의 배출완료시 개방되어 공기를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 피스톤 후위쪽으로 유입시키는 제2 밸브를 포함하여서 된 내용물 배출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피스톤은,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 인접영역의 선단부 내측 둘레에 밀착 대응하는 형상의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후방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누름 조작시 축소되는 형태로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가압부를 전진시켜주고, 누름 해제시 원상태로 탄성 복귀되는 가압조작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는,
    "Ⅰ"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인출구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인출구의 전후 위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내용물이 밀려나오면 그 힘에 의해 눌려져 상기 인출구를 개방하는 제1 밸브 본체와; 상기 제1 밸브 본체와 상기 인출구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용물이 더 이상 나오지 않으면 상기 제1 밸브 본체를 복귀시켜 상기 인출구를 폐쇄토록 작용하는 제1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용기 본체의 인출구 반대측에는 통기공을 갖는 밸브시트가 구비되어 상기 튜브용기 본체에 기밀하게 고정되며;
    상기 제2 밸브는,
    "Ⅰ"자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통기공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통기공의 전후 위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튜브용기 본체가 눌려지면 공기압에 의해 밀려 상기 통기공을 폐쇄하고 상기 튜브용기 본체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상기 튜브용기 본체 내외부 사이의 기압차이로 인해 상기 통기공을 개방시켜 외부 공기를 상기 튜브용기 본체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2 밸브 본체와; 상기 제2 밸브 본체와 상기 밸브시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튜브용기 본체 내외부의 기압이 동일해지면 상기 제2 밸브 본체를 복귀시켜 상기 통기공을 폐쇄하도록 작용하는 제2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배출용기.
KR1020130054725A 2013-05-15 2013-05-15 내용물 배출용기 KR101331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725A KR101331846B1 (ko) 2013-05-15 2013-05-15 내용물 배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4725A KR101331846B1 (ko) 2013-05-15 2013-05-15 내용물 배출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846B1 true KR101331846B1 (ko) 2013-12-03

Family

ID=49986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725A KR101331846B1 (ko) 2013-05-15 2013-05-15 내용물 배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8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2984A (zh) * 2016-03-15 2020-08-25 Ctl-Th个人包装有限公司 具有外管和内部容器的管状容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045A (ja) * 1996-07-04 1998-01-20 Kao Corp 逆止弁
US20070062977A1 (en) * 2002-10-29 2007-03-22 Enzo Ferrarin Container for fluid susbtances like pastes or creams
KR100777364B1 (ko) * 2007-06-07 2007-11-19 손병문 공기 펌프식 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용 용기
KR101022595B1 (ko) * 2010-01-27 2011-03-16 우종원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045A (ja) * 1996-07-04 1998-01-20 Kao Corp 逆止弁
US20070062977A1 (en) * 2002-10-29 2007-03-22 Enzo Ferrarin Container for fluid susbtances like pastes or creams
KR100777364B1 (ko) * 2007-06-07 2007-11-19 손병문 공기 펌프식 배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생활용품용 용기
KR101022595B1 (ko) * 2010-01-27 2011-03-16 우종원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2984A (zh) * 2016-03-15 2020-08-25 Ctl-Th个人包装有限公司 具有外管和内部容器的管状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0022B2 (en) Button-sliding-type opening/closing device for a cosmetic container
EP3117737A1 (en) Rotary open/close-type tube container
KR200478584Y1 (ko)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 안전장치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BR112012031132B1 (pt) Dispositivo para embalar e distribuir
EP1976765B1 (en) Tube dispensing device
KR20140031235A (ko) 화장품 디스펜서
US10328451B2 (en) Gel-state content discharging applicator
KR101611211B1 (ko) 전량 사용 가능한 구조를 갖는 용기
KR200473610Y1 (ko)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덮개
KR101022595B1 (ko) 점성물질 인출피스톤을 갖는 튜브용기
US10004315B2 (en) Syringe-type cosmetic container
KR200487644Y1 (ko)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200474796Y1 (ko) 토출 조절수단이 결합된 스포이드 화장용기
KR101331846B1 (ko) 내용물 배출용기
KR100977172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20120085786A1 (en) Pinch tube with internal piston dispensing extractor
KR20130003770U (ko) 화장액 차단부재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KR20160081290A (ko) 컴팩트타입 화장품 용기
JP2010235134A (ja) ポンプ付き薄肉容器
CN209758050U (zh) 新型湿纸巾包装盒
KR20150093486A (ko) 내용물 배출용기의 개폐형 캡
KR102674202B1 (ko) 파마약 용기
EP2752250B1 (en) Collapsible tube with dispenser pump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302254A (ja) 吐出容器
KR20140131887A (ko) 펌프용기 및 이에 사용되는 펌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