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737B1 -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9737B1 KR101019737B1 KR1020070104550A KR20070104550A KR101019737B1 KR 101019737 B1 KR101019737 B1 KR 101019737B1 KR 1020070104550 A KR1020070104550 A KR 1020070104550A KR 20070104550 A KR20070104550 A KR 20070104550A KR 101019737 B1 KR101019737 B1 KR 1010197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ship block
- dock
- block
- sh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obot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크 내부의 정확한 위치로 선박 블럭을 안착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시키고자 하는 선박 블럭 및 도크의 반목에 부착시킬 센서의 부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는 센서 설치 단계와 상기 선박 블럭을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도크의 반목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를 조정하여 선박 블럭을 상기 반목에 안착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선박 블럭 및 반목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의 정확한 위치로 안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선박 블럭 이동 도크 반목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 블럭을 안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블럭을 도크 내의 정확한 위치로 안착시키기 위하여 센서를 선박 블럭 및 반목에 설치하여 정확한 위치에 선박 블럭을 안착시킬 수 있는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일반 건축물보다도 규모가 휠씬 크고 공정면에서도 복잡하며, 수많은 부재와 기자재를 조립하여 하나의 움직일 수 있는 제품을 만드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선박 건조 과정은 철판 등의 소재를 선체 일부의 모양에 맞도록 가공하고, 이를 소조립공장에서 크기가 작은 몇개의 부재를 결합시킨 후 대조립공장에서 선박 블럭으로 완성시킨다.
상기 과정을 거쳐 완성된 선박 블럭(또는 선체 블럭)은 선박으로 건조되기 위하여 도크 내부로 이동되어 선박으로 조립된다.
이러한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은 육상 또는 해상 크레인등 의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로 선박 블럭을 안착시키는 이렉션(erection) 과정이라 하며, 종래에는 여러 사람들이 협력하여 선박 블럭이 연결된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선박 블럭의 위치를 조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세밀한 작업 수행에 오랜 시간이 요구되고, 작업자간에 협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대형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선박 블럭을 정확한 위치에 안착시키지 못하면, 하중의 불균형으로 인해 선박 블럭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크 내부의 정확한 위치로 선박 블럭을 안착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선박 블럭의 이동을 자동화시킬 수 있어 선박 블럭의 안착 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로 안착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은 이동시키고자 하는 선박 블럭 및 도크의 반목에 부착시킬 센서의 부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는 센서 설치 단계와 상기 선박 블럭을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도크의 반목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를 조정하여 선박 블럭을 상기 반목에 안착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 설치 단계는 선박 블럭의 하부면 및 측면에 수광부 센서를 설치하고 도크의 반목에 발광부 센서를 설치하거나, 선박 블럭의 하부면 및 측면에 발광부 센서를 설치하고 도크의 반목에 수광부 센서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동시키고자 하는 제 1 선박 블럭 및 도크 내에 안착된 제 2 선박 블럭에 부착시킬 센서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는 센서 설치 단계와 상기 제1 선박 블럭을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제 2 선박 블럭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를 조정하여 제 1 선박 블럭을 상기 제 2 선박 블럭에 안착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은 선박 블럭 및 반목에 설치된 센서를 이용하여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의 정확한 위치로 안착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선박 블럭을 정확한 위치에 신속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면 선박 블럭을 안착시키는 과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선박 블럭을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 하중 등으로 인하여 선박 블럭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은 센서 부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1)와 센서 설치 단계(S2)와 선박 블럭을 이동 시키는 단계(S3) 및 선박 블럭을 안착시키는 단계(S4)로 구성된다.
센서 부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S1)는 선박 블럭의 형상을 고려하여 하부면 또는 측면에 부착될 센서의 개수와 부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이며, 센서 설치 단계(S2)는 자석 등을 이용하여 센서를 상기 결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선박 블럭을 이동시키는 단계(S3) 및 선박 블럭을 안착시키는 단계(S4)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선박 블럭을 상기 센서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통해 이동 장치를 조작하여 정확한 위치로 선박 블럭을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 장치는 육상 또는 해상 크레인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 이용되는 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적외선 센서(infrared sensor)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를 반목 또는 선박 블럭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자석 등을 이용한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의 개수는 최소한 3개 이상으로 선박 블럭이 도크 내부의 X,Y,Z축 상의 정확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설치 단계(S2)는 선박 블럭의 하부면 및 측면에 발광부 센서를 설치하고, 도크의 반목에 수광부 센서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념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크(2) 내부에 선박의 선저부를 형성하는 선박 블 럭(10)을 반목(20) 위에 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선박 블럭(10)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 발광부 센서(34,34a)를 설치하고, 상기 선박 블럭(10)이 안착되는 반목(20)에는 이와 대응되게 수광부 센서(32,32a)를 설치한다.
여기서, 설치되는 센서의 개수와 부착 위치는 안착시키고자 하는 선박 블럭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며, 반목에 설치되는 센서는 반목의 측면에 부착되어 선박 블럭과의 접촉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반대로 선박 블럭의 하부면 및 측면에 수광부 센서를 설치하고, 도크의 반목에 발광부 센서를 설치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착되고자 하는 반목의 상부 위치로 크레인(3) 등의 이동 장치를 통해 이동된 선박 블럭은 발광부 센서를 통해서 수광부 센서에 입력되는 신호가 정해진 신호와 일치하는 경우 그대로 반목 위로 안착시키고,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선박 블럭의 요동 및 외부 요인(풍향 등)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경우 수광부 센서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이동 장치를 미세조정하면서 반목의 정확한 위치에 선박 블럭을 안착시킬 수 있다.
<실시예2>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념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제 1 선박 블럭을 도크 내에 안착된 제 2 선박 블럭의 상부에 안착시키는 과정에 이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목 위에 안착된 제 2 선박 블럭(10a)에 이동시키 고자 하는 제 1 선박 블럭(10b)을 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 1 선박 블럭(10b)의 하부면 및 측면에 발광부 센서(34)를 설치하고, 도크 내에 안착된 제 2 선박 블럭(10a)에 상기 발광부 센서(34)에 대응되는 위치에 수광부 센서(32)를 설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반대로 제 1 선박 블럭(10a)의 하부면 및 측면에 수광부 센서를 설치하고, 도크 내에 안착된 제 2 선박 블럭(10a)에 발광부 센서를 설치하여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하여 선박 블럭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조작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이동 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에 해당 선박 블럭들과 반목 및 도크내 지점을 좌표화하고, 각 선박 블럭이 안착되는 순서를 입력한다.
지정된 순서에 따라 선박 블럭을 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면 이동 장치의 제어부가 해당 선박 블럭을 정확한 위치로 안착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도크 내측면 또는 하부면에도 센서를 부착하여 도크 내부에서 이동 장치의 작동으로 인한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념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을 도시하는 개념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도크 3: 크레인
10: 선박 블럭 20: 반목
30: 센서
Claims (6)
- 이동시키고자 하는 선박 블럭 및 도크의 반목에 부착시킬 센서의 부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상기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는 센서 설치 단계와;상기 선박 블럭을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도크의 반목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와;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를 조정하여 선박 블럭을 상기 반목에 안착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센서 설치 단계는,선박 블럭의 하부면 및 측면에 수광부 센서를 설치하고, 도크의 반목에 발광부 센서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센서 설치 단계는,선박 블럭의 하부면 및 측면에 발광부 센서를 설치하고, 도크의 반목에 수광부 센서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
- 이동시키고자 하는 제 1 선박 블럭 및 도크 내에 안착된 제 2 선박 블럭에 부착시킬 센서의 부착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상기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는 센서 설치 단계와;상기 제 1 선박 블럭을 이동 장치를 이용하여 제 2 선박 블럭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와;상기 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를 조정하여 제 1 선박 블럭을 상기 제 2 선박 블럭에 안착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센서 설치 단계는,제 1 선박 블럭의 하부면 및 측면에 발광부 센서를 설치하고, 도크 내에 안착된 제 2 선박 블럭에 수광부 센서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센서 설치 단계는,제 1 선박 블럭의 하부면 및 측면에 수광부 센서를 설치하고, 도크 내에 안착된 제 2 선박 블럭에 발광부 센서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4550A KR101019737B1 (ko) | 2007-10-17 | 2007-10-17 |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104550A KR101019737B1 (ko) | 2007-10-17 | 2007-10-17 |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9104A KR20090039104A (ko) | 2009-04-22 |
KR101019737B1 true KR101019737B1 (ko) | 2011-03-08 |
Family
ID=4076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104550A KR101019737B1 (ko) | 2007-10-17 | 2007-10-17 |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973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1519B1 (ko) | 2013-12-11 | 2015-04-1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체 블록 세팅 장치 및 방법 |
KR20160031195A (ko) | 2014-09-12 | 2016-03-2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체의 정위치 안착을 위한 안내 반목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9463B1 (ko) * | 2010-12-24 | 2013-04-3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블록 세팅 시스템 및 방법 |
KR101271624B1 (ko) * | 2011-03-11 | 2013-06-1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곡블록 내부재 취부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330584B1 (ko) * | 2011-05-16 | 2013-11-18 | (주)동진이앤티 | 주판 위치 정렬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9388A (ja) | 2000-01-19 | 2001-07-24 | Sumitomo Metal Ind Ltd | 大型重量物の水上運搬方法と水底設置方法 |
JP2001220087A (ja) | 2000-02-03 | 2001-08-14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クレーンの吊り荷位置検出装置 |
KR20030083938A (ko) * | 2002-04-23 | 2003-11-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양식 독에서 선박을 건조하는 방법 |
-
2007
- 2007-10-17 KR KR1020070104550A patent/KR1010197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99388A (ja) | 2000-01-19 | 2001-07-24 | Sumitomo Metal Ind Ltd | 大型重量物の水上運搬方法と水底設置方法 |
JP2001220087A (ja) | 2000-02-03 | 2001-08-14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クレーンの吊り荷位置検出装置 |
KR20030083938A (ko) * | 2002-04-23 | 2003-11-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양식 독에서 선박을 건조하는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1519B1 (ko) | 2013-12-11 | 2015-04-1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체 블록 세팅 장치 및 방법 |
KR20160031195A (ko) | 2014-09-12 | 2016-03-2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체의 정위치 안착을 위한 안내 반목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39104A (ko) | 2009-04-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19737B1 (ko) | 선박 블럭을 도크 내부에 안착시키는 방법 | |
EP1499778A1 (en) | Method and vessel for manipulating an offshore construction | |
CN100371211C (zh) | 横舱壁、抗扭甲板、舱口围和导轨架四位一体预装方法 | |
CN103057661A (zh) | 船舶上层建筑整体吊装工艺 | |
KR102701722B1 (ko) | 물체의 상대 위치 및 상대 운동을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CN105416508A (zh) | 提高舾装先行率的方法 | |
KR20090059827A (ko) | 선박의 횡방향 진수시 높이 조절 시스템 | |
US11162875B2 (en) | Smart safety management sensor for measuring safety-related data of structure | |
CN100510296C (zh) | 超大型铁件的高精度安装施工方法 | |
KR20140144983A (ko) | 해양 플랫폼의 탑사이드 장착 장치 | |
CN112112186B (zh) | 一种海上换流站上分体式导管架基础的安装方法 | |
KR102129507B1 (ko) | 통합센서구조물 장착 구조를 포함하는 차세대 함정용 마스트 | |
JPH10203471A (ja) | ハッチカバー等大荷重被据付体の据付方法 | |
KR101657778B1 (ko) | 앵커 체인 세척 노즐 마운팅 지그 | |
KR102438695B1 (ko) | 레그 지지 장치를 포함하는 부유식 구조물 | |
CN109029535B (zh) | 船载水上水下一体化测量系统的平台装置 | |
KR20130138535A (ko) | 선박의 체인 록커 및 그 시팅 플레이트 형성 방법 | |
KR101566523B1 (ko) | 선박 건조 방법 | |
KR20190003140A (ko) | 반잠수형 플랫폼의 건조 방법 | |
CN113086126B (zh) | 一种集装箱船的舱口围的定位方法及集装箱船 | |
KR20140049301A (ko) | 선박의 벤트구조물 설치방법 | |
KR20130073553A (ko) | 헬리데크 서포트 설치방법 | |
KR100596188B1 (ko) | 셀가이드 블럭 세팅용 피스 | |
KR20210001007U (ko) | 콘형 레이더 마스트 | |
KR102487580B1 (ko) | 액화 화물의 오프로딩 제어 방법 및 액화 화물 오프로딩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