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133B1 -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 - Google Patents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133B1
KR101018133B1 KR1020100122514A KR20100122514A KR101018133B1 KR 101018133 B1 KR101018133 B1 KR 101018133B1 KR 1020100122514 A KR1020100122514 A KR 1020100122514A KR 20100122514 A KR20100122514 A KR 20100122514A KR 101018133 B1 KR101018133 B1 KR 101018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rface
packaged
confectionery
base surfac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아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Priority to KR102010012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8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70Trays provided with projections or recesses in order to assemble multiple articles, e.g. intermediate elements f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과자류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번들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과자류를 묶음 단위로 판매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포장 대상 소박스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하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용기와, 포장 대상 소박스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상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포장 대상 소박스를 포함하는 과자류 번들 제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PACKAGE CASE FOR SNACK FOOD AND BUNDLE PACK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과자류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번들 제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과자류를 묶음 단위로 판매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에 관한 것이다.
스낵류, 초콜릿류, 캔디류 등의 과자류는 소박스 형태로 판매되는 경우가 많다. 과자류의 소박스 포장은 포함되는 내용물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데 일반적으로는 직사각형 형태 또는 막대 형태 등의 형상을 가진다.
소박스로 포장된 과자류를 묶음 단위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묶음 단위로 판매하는 경우 개별 소박스를 접착제나 접착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부착하여 판매하기도 한다.
특히, 발렌타인데이, 화이트데이, 빼빼로데이 등 각종 기념일에는 과자류 소박스를 글루건, 투명테이프 등으로 연결하여 하트 모양, 별 모양 등 다양한 입체적 형상으로 만들어 판매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 포장된 과자류를 입체적 형상을 가지는 번들 제품으로 신속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포장 용기를 이용하여 형성된 과자류 번들 제품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포장 대상 소박스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 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하단 또는 상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하에서 포장 대상 소박스를 고정하는 형태로,
포장 대상 소박스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 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하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용기와,
포장 대상 소박스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 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상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용기를 포함하는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내측벽면의 상단에 연결되는 보조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측벽면이 다른 종류의 포장 대상물의 외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측벽면과 상기 외측벽면은 하나의 포장 대상 소박스의 적어도 2개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포장 대상 소박스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하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용기와, 포장 대상 소박스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상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포장 대상 소박스를 포함하는 과자류 번들 제품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포장 대상 소박스와 접촉하는 상기 베이스면에 점착층을 구비하여 포장 대상 소박스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는 합성수지 판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는 복수개의 포장 대상 소박스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입체 형상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자류 번들 제품은 복수의 포장 대상 소박스와 다른 종류의 제품을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외관을 향상하고 단위 제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과자류 번들 제품은 내부에 선물 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의 베이스면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을 나타낸 사시도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서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이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접하여 설치될 수 있고,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경우엔 상기 어떤 구성요소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3의 수단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100)는, 포장 대상 소박스(10)의 바닥면(12)을 지지하는 베이스면(110)과, 포장대상 소박스(10)의 측면 및 모서리를 지지하는 내측벽면(120) 및 외측벽면(130)을 포함한다.
베이스면(110)은 복수개의 포장 대상 소박스(10)의 바닥면(12)을 지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며, 특정한 형상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면(110)이 하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100)는 복수개의 포장 대상 소박스(10)를 집합적으로 결합시켜 포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가 특정한 입체 형상을 나타내도록 함으로써 상품 가치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종래에도 복수개의 소박스를 글루건이나 스카치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연결 및 결합함으로써 특정한 입체 형상을 구현하여 판매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하여 좌우되며,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100)는 포장 소박스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을 지지 고정할 수 있는 틀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소박스 연결 및 결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일정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온다.
베이스면(110)은 복수개의 셀(도 2의 112)이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셀(112)이란 포장 대상 소박스(10)의 바닥면(12)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다.
포장 대상 소박스(10)는 단일한 종류일 수도 있으며, 2종 이상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100)는 합성수지(대표적으로 PET, PP, PE 등) 판재를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일부를 착색할 수도 있다.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을 사용하게 되면, 포장 대상 소박스(10)의 외관이 외부에서 식별이 가능한 효과를 가져오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선물용품을 수용하는 경우 이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의 베이스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제 1 실시예는 포장 대상 소박스의 바닥면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개별 셀(112)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의 베이스면(110)은 20개의 셀(112)을 포함하고 있다. 베이스면(110)이 20개의 셀(112)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에 20개의 포장 대상 소박스가 수용 및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베이스면(110)은 복수개의 셀(112)이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셀(112)의 배열을 통해서 특정한 입체 형상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복수개의 셀(112)이 하트 형상을 모티브로 배열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삼각형, 자동차 모양 등 다양한 모양을 모티브로 하여 셀(112)을 배열할 수 있다. 단위 셀(112)을 배열하여 특정한 모양을 나타내는 것은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의 인쇄방식과 유사한 형태가 된다.
단위 셀(112)을 복수개 배열하여 형성되는 베이스면(110)은 단위 셀(112)의 안쪽 라인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내측 라인(114)과 단위 셀(112)의 바깥쪽 라인을 연결하여 형성되는 외측 라인(116)을 가지게 된다.
내측 라인(114)을 따라 내측벽면(120)이 형성되며, 외측 라인(116)을 따라 외측벽면(130)이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내측벽면(120)과 외측벽면(130)은 베이스면(110)에서 위쪽으로 연장형성된다. 내측벽면(120)과 외측벽면(130)은 포장 대상 소박스의 측면과 모서리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내측벽면(120)의 상단에는 보조면(140)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면(140)은 다른 종류의 상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보조면(140)은 베이스면(110)에서 내측벽면(120)의 높이에 해당하는 만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보조면(140)의 테두리에는 내측벽면(120)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보조면(140)과 내측벽면(120)으로 소정의 공간이 구획되며 이 부분에 다른 종류의 상품을 부착하거나 고정할 수 있다.
내측벽면(120)과 외측벽면(130)의 높이는 최소 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포장 대상 박스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벽면(120)과 외측벽면(130)의 높이가 5mm 미만인 경우 포장 대상 박스의 고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반대로 높이가 포장 대상 박스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에는 포장 대상 박스를 인출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2 실시예는 내측벽면(120)과 외측벽면(130)의 높이가 포장 대상 소박스 높이의 50% 수준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 2 실시예처럼 하나의 포장 용기(100-1)를 이용하여 포장 대상 소박스를 포장하는 경우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포장 용기(100-1)의 내측벽면(120)과 외측벽면(130)의 높이를 높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포장 대상 소박스의 하단 또는 상단의 일측만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나,
제 2 실시예는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가 상부 용기(200)와 하부 용기(300) 2개로 형성되어, 포장 대상 소박스의 하단과 상단 양측을 고정하는 형태이다.
하부 용기(300)는 포장 대상 소박스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 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하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상부 용기(200)는 포장 대상 소박스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 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상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제 3 실시예의 경우 내측벽면과 외측벽면의 높이는 최소 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포장 대상 소박스 높이의 1/2 이하의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예의 경우 상부 용기(200)와 하부 용기(300)가 상하에서 포장 대상 소박스를 감싸게 되므로, 포장 대상 소박스 높이의 1/2을 초과하게 되면 유격이 발생하여 포장 대상 소박스가 흔들릴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를 이용하여 포장 대상 소박스를 포장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는 상부 용기(200-1)와 하부용기(300-1)의 벽면들의 높이를 포장 대상 소박스 높이의 50%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 용기(200-1)와 하부용기(300-1) 벽면들의 높이가 포장 대상 소박스 높이의 50%가 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대상 소박스들(10)이 포장 용기에 완전하게 수납되며, 상부 용기(200-1)와 하부 용기(300-1)를 직접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자류 번들 제품은 상술한 상부 용기(200), 하부 용기(300), 이들 사이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포장 대상 소박스(10)를 포함하는 것으로, 포장 대상 소박스(10)들이 특정한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 용기(200)와 하부 용기(300)에 구속되어 있다.
포장 대상 소박스(10)와 상부 용기(200) 및 하부 용기(300)의 결합은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에 의하여 이루질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포장 대상 소박스(10)와 접촉하는 베이스면(210, 310), 내측벽면(220, 320) 또는 외측벽면(230, 330)의 표면에 점착층을 형성하여, 포장 대상 소박스(10)가 베이스면(210, 310)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점착층은 점착제를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하거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6 실시예는 하트형의 다른 제품(400)을 상부 용기(200)의 보조면(240)과 내측벽면(220)으로 구획되는 공간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하트형 케이스에 담겨진 초콜릿을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면(240)에 결합하여, 전체 번들 제품의 부가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 때, 하트형 제품(400)의 고정은 테이프 또는 점착층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측벽면(220)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7 실시예는 하부 용기(300)의 보조면(340) 위쪽에 별도의 선물용품(500)을 배치하여, 선물용품(500)이 상부 용기(200)와 하부 용기(300)의 보조면들(240, 340) 사이와, 포장 대상 소박스(10)들로 둘러 쌓여진 공간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선물용품(500)은 인형이나 다른 악세사리 등이 될 수 있으며, 반지, 목걸이 등일 수도 있다.
이 부분에 선물용품(500)을 수납하게 되면, 선물용품(5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부에서 보조면(240, 340)을 통해서 수납된 선물용품(500)을 확인할 수 있어 과자류 번들 제품의 미관을 향상시키고 전체 제품의 부가가치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100-1 :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200, 200-1 : 상부 용기
300, 300-1 : 하부 용기
110, 210, 310 : 베이스면
120, 220, 320 : 내측벽면
130, 230, 330 : 외측벽면
140, 240, 340 : 보조면
400 : 하트형 제품
500 : 선물용품

Claims (11)

  1. 포장 대상 소박스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
    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하단 또는 상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면의 상단에 연결되는 보조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면이 다른 종류의 포장 대상물의 외관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4. 포장 대상 소박스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하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용기와,
    포장 대상 소박스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상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용기를 포함하는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면과 상기 외측벽면은 하나의 포장 대상 소박스의 적어도 2개의 모서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6. 포장 대상 소박스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하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하부 용기와,
    포장 대상 소박스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개별 셀이 복수개가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된 형태를 가지는 베이스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내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내측벽면과, 상기 베이스면의 외측 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외측벽면을 포함하여,포장 대상 소박스들의 상단의 일부를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와 상기 상부 용기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포장 대상 소박스를 포함하는 과자류 번들 제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 또는 상기 하부 용기의
    상기 내측벽면이 다른 종류의 포장 대상물의 외관에 대응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내측벽면의 상단에 연결되는 보조면을 형성하여,
    상기 내측벽면과 보조면으로 구획되는 공간에 다른 종류의 포장 대상물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류 번들 제품.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대상 소박스와 접촉하는 상기 베이스면에 점착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류 번들 제품.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의
    상기 내측벽면의 상단에 연결되는 보조면을 형성하고,
    상기 보조면 사이에 선물용품을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류 번들 제품.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는 합성수지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류 번들 제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용기와 상기 하부 용기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자류 번들 제품.


KR1020100122514A 2010-12-03 2010-12-03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 KR101018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514A KR101018133B1 (ko) 2010-12-03 2010-12-03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514A KR101018133B1 (ko) 2010-12-03 2010-12-03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8133B1 true KR101018133B1 (ko) 2011-02-25

Family

ID=43777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514A KR101018133B1 (ko) 2010-12-03 2010-12-03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81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38Y1 (ko) * 2013-03-20 2013-09-12 윤정현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
KR102164466B1 (ko) 2019-06-26 2020-10-12 서기원 상품포장 트레이용 합성수지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KR102164729B1 (ko) 2019-08-05 2020-10-14 강현식 상품포장 트레이용 공압출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235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표시모듈용 포장케이스 및 포장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235A (ko) * 2006-06-30 2008-01-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표시모듈용 포장케이스 및 포장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938Y1 (ko) * 2013-03-20 2013-09-12 윤정현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
KR102164466B1 (ko) 2019-06-26 2020-10-12 서기원 상품포장 트레이용 합성수지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KR102164729B1 (ko) 2019-08-05 2020-10-14 강현식 상품포장 트레이용 공압출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19052B2 (ja) 部分的に露出されたブリスタートレイを有するブリスターパッケージ
US7472792B2 (en) High-visibility product and package system
KR101018133B1 (ko)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
US20140356489A1 (en) Pack for food, set for forming such a pack, and material sheet for such a set
KR101705019B1 (ko) 포장 용기
CN203612311U (zh) 一种组合式包装展示盒
KR101367692B1 (ko) 악세서리용 포장상자
KR101899873B1 (ko) 즉시 진열형 포장박스
JP3210953U (ja) 詰め合わせ商品用の包装箱
JP5196944B2 (ja) 陳列台
JP6004842B2 (ja) 食品容器
KR200459316Y1 (ko) 쿠키 포장상자
AU2009321337B2 (en) Product mounting sheet
JP3179458U (ja) 包装容器カバー
KR101765869B1 (ko) 디저트 제품 포장 패키지
JP3198697U (ja) 商品移送用及び箱詰め用のプリセットケース
KR20080051951A (ko) 판매자 중심의 기능성 포장상자
JP3170911U (ja) 商品展示用台紙
CN218878041U (zh) 一种一体式双层置物盒
JP3099916U (ja) 包装用箱
JP2004217270A (ja) 菓子類の包装容器
CN205256841U (zh) 水果包装盒
KR100586933B1 (ko) 란 포장용기
JPS6131940Y2 (ko)
EP3972914A1 (en) Package for foodstuff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