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938Y1 -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938Y1
KR200468938Y1 KR2020130002088U KR20130002088U KR200468938Y1 KR 200468938 Y1 KR200468938 Y1 KR 200468938Y1 KR 2020130002088 U KR2020130002088 U KR 2020130002088U KR 20130002088 U KR20130002088 U KR 20130002088U KR 200468938 Y1 KR200468938 Y1 KR 200468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 line
food packaging
line
longitudinal lanes
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현
Original Assignee
윤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현 filed Critical 윤정현
Priority to KR2020130002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9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내부에 직육면체의 공간을 가지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절개하고 접어서 형성되는 식품포장용 트레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식품포장용 트레이는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품포장을 빠르게 할 수 있어 제조업자 및 유통업자에게 유용하고 또한 장식적 미가 우수하여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주어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Tray For Packing Food And Food-Packing Vessel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 장식적 미가 우수한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초콜릿류, 캔디류와 같은 식품들은 기호품으로서 제품 자체의 맛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동일한 맛을 가지는 제품이라도 포장의 형태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도가 달라진다. 특히, 발렌타인데이 등과 같은 연인들 또는 친구들 간의 기념일에는 제품의 포장에서 장식적 미가 더욱 중요해진다.
특허등록 제10-101833호(2011. 02. 21. 등록), 특허등록 제10-1125831호(2012. 03. 05.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245759호(2001. 08. 28.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464829호(2013. 01. 14.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442343호(2008. 10. 23. 등록), 실용신안등록 제20-0440268호(2008. 05. 28. 등록) 등은 장식적 미가 추구된 포장재를 개시하였다.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20-0403607호(2005. 12. 06. 등록)는 농특산물 포장용 복합 트레이를 개시하였다.
본 고안자는 지금까지 제안된 장식적 미가 추구된 포장재와는 다른 독특하면서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주어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으면서 제조가 용이하고 상품포장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포장재를 연구한 결과 본 고안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면서 상품포장도 빠르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장식적 미가 우수한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식품포장용 트레이는 내부에 직육면체의 공간을 가지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절개하고 접어서 형성되는 식품포장용 트레이이다.
상기 직육면체의 상기 상면은 상기 직육면체의 좌측면에서 우측면까지에 걸쳐서 상기 상면을 전체적으로 절단하는 상면 중앙부 절개선;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이하, '세로방향'이라 함)으로 절개되고, 서로에 대하여도 평행하며,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의 상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상부 부분 절개선; 세로 방향으로 절개되고, 서로에 대하여도 평행하며,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하부 부분 절개선, 이때, 상기 하부 부분 절개선의 각각은 상기 상부 부분 절개선 각각의 연장선과 일치함; 상기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들 및 그것들의 가상적인 연장선들에 의하여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의 상부 및 하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인식되는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 상기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 각각에서 세로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이하, '가로방향'이라 함)으로 접히도록 형성되는 상면 접는선 및 하면 접는선, 이때 상기 상면 접는선과 하면 접는선 간의 거리는 상기 직육면체의 전면, 후면,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의 높이와 동일함, 상기 상부 세로방향 레인들 각각에서는 상기 후면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상기 상면 접는선이 배치되고 상기 후면으로부터 먼 곳에 상기 하면 접는선이 배치되며, 상기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 각각에서는 상기 전면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상기 상면 접는선이 배치되고 상기 전면으로부터 먼 곳에 상기 하면 접는선이 배치됨, 단, 상기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 중 일부에서 상기 하면 접는선만이 존재할 수 있음, 상기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에서 상기 상면 접는선은 존재하지 않고 상기 하면 접는선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면의 해당 변이 상기 상면 접는선에 대응하는 것임;을 포함한다.
상기 직육면체의 상기 상면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은 그것과 왼쪽 및 오른쪽에 인접한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에 존재하는 상기 상면 접는선들 및 상기 하면 접는선들 간의 길이가 가장 긴 것에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에 인접하는 세로방향 레인이 하나 밖에 없는 경우에는 상기 좌측면 또는 상기 우측면에 접하는 상기 상면의 변에서 이웃한 상기 세로방향 레인에 존재하는 상기 상면 접는선에서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까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품포장용 트레이는 상기 직육면체의 상기 상면을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을 따라 절개하고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들을 따라 절개한 후에 상기 상면 접는선들 및 상기 하면 접는선들을 따라 접되, 상기 상면 접는선들은 상기 상면에 그대로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하면 접는선들은 상기 하면에 접촉함에 의하여, 상기 후면에 접하는 상기 상면의 변에서 상기 상면 접는선까지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 세로방향 레인들의 영역들은 상기 상면을 그대로 유지하지만, 상기 상면 접는선에서 상기 하면 접는선까지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 세로방향 레인들의 영역들은 수직한 면(이하, '수직면'이라 함)의 상태가 되며, 상기 하면 접는선에서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까지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 세로방향 레인들의 영역은 상기 하면에 접촉하게 되는 상태, 그리고 상기 전면에 접하는 상기 상면의 변에서 상기 상면 접는선까지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의 영역들은 상기 상면을 그대로 유지하지만, 상기 상면 접는선에서 상기 하면 접는선까지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의 영역들은 수직한 면(이하, '수직면'이라 함) 상태가 되며, 상기 하면 접는선에서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까지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의 영역은 상기 하면에 접촉하게 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식품포장용 트레이에서 상기 상면 접는선들 또는 상기 하면 접는선들의 전체 윤곽은 하트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품포장용 트레이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수직면들 사이에는 직육면체 식품포장용기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또한 식품포장 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식품포장 용기는 상기한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상기 식품포장용 트레이의 상기 상면에서 상기 상면 접는선들 또는 상기 하면 접는선들의 전체 윤곽에 의하여 형성되는 형상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투명창이 상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식품포장용 트레이를 수용하는 직육면체 공간이 형성된 식품포장 박스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는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품포장을 빠르게 할 수 있어 제조업자 및 유통업자에게 유용하고 또한 장식적 미가 우수하여 소비자들에게 호감을 주어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트레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품포장용 트레이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식품포장용 트레이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식품포장용 트레이로 되기 전 상태의 직육면체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식품포장용 트레이에 직육면체 초콜릿포장 용기를 적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이어 식품포장용 트레이에 직육면체 초콜릿포장 용기의 적재를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식품포장용 트레이를 식품포장 박스에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포장용 트레이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식품포장용 트레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에 직육면체의 공간을 가지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직육면체(10')의 상면(100)을 부분적으로 절개하고 접어서 형성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접어서 본 고안의 식품포장용 트레이(10)를 형성하기 위한 직육면체(10')는 내부에 직육면체의 공간을 가지는 통상의 직육면체와 동일하고, 단지 상면(100)만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르다.
직육면체(10')의 상면(100)에는 직육면체(10')의 좌측면(500)에서 우측면까지에 걸쳐서 상면(100)을 전체적으로 절단하는 상면 중앙부 절개선(1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면 중앙부 절개선(110)은 전체적으로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적 미를 위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상면 접는선(140 및 140') 또는 하면 접는선(150 및 150')의 전체적 형상과 일치하도록 좌측면에서 우측면으로 향하는 방향(이하, '가로방향'이라 함)의 직선과 전면(300)에서 후면(400)으로 향하는 방향(이하, '세로방향'이라 함)의 직선이 이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직육면체(10')의 상면(100)에는 또한 복수개의 상부 부분 절개선(120) 및 하부 부분 절개선(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부분 절개선(120)은 상면 중앙 절개선(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있으며, 또한 서로에 대하여 평형하게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부분 절개선(120')은 상면 중앙 절개선(1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세로방향으로 절개되어 있으며, 또한 서로에 대하여 평형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하부 부분 절개선(120')은 각각의 상부 부분 절개선(120)의 연장선과 일치한다.
이러한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들(120 및 120') 그리고 그것들의 가상적인 연장선들에 의하여 상면 중앙부 절개선(110)의 상부 및 하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130 및 130')이 각각 인식된다.
각각의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130 및 130')에서 각각 상면 접는선(140 및 140')과 하면 접는선(150 및 150')이 가로방향으로 접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각 상부 세로방향 레인(130)에서 상면 접는선(140)과 하면 접는선(150) 간의 거리는 직육면체(10')의 전면(300), 후면(400), 좌측면(500) 및 우측면의 높이와 동일하다. 각 하부 세로방향 레인(130')에서 상면 접는선(140')과 하면 접는선(150') 간의 거리도 마찬가지이다. 상부 세로방향 레인들(130) 각각에서, 후면(400)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상면 접는선(140)이 배치되고, 후면으로부터 먼 곳에 하면 접는선(150)이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130') 각각에서, 전면(300)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상면 접는선(140')이 배치되고, 전면으로부터 먼 곳에 하면 접는선(150')이 배치된다.
보통의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130 및 130')에는 상면 접는선(140 및 140')과 하면 접는선(150 및 150')이 모두 존재하지만, 예외적으로 하면 접는선(150 및 150)만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면(100)과 후면(400)이 만나는 변 그리고 상면(100)과 전면(300)이 만나는 변이 상면 접는선(140 및 140')에 대응하는 상면 접는선 대응 변(142 및 142')으로 작용한다. 상면 접는선 대응 변(142 및 142')은 형태적으로는 상면 접는선(140 및 140')과 구분되는 것이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면 접는선(140 및 140')과 하면 접는선(150 및 150') 사이에 수직면(170 및 170')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상면 접는선 대응 변(142 및 142')은 실질적으로 상면 접는선(140 및 140')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어떤 세로방향 레인(130 및 130')에서 상면 접는선(140 및 140')이 없는 경우에는 상면 접는선 대응 변(142 및 142')이 대신 작용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직육면체(10')의 상면(100)에서,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120 및 120')이 형성되는 위치는 그것의 왼쪽과 오른쪽에 인접한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130 및 130')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것에 인접한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130 및 130')에 존재하는 상면 접는선들(140 및 140')과 하면 접는선(150 및 150') 간의 길이 중에서 가장 긴 것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열의 하부 세로방향 레인(130')과 제3열의 하부 세로방향 레인(130') 사이에 형성되는 하부 부분 절개선(120')은 제2열 세로방향 레인(130')에 형성된 하면 접는선(150')과 제3열 세로방향 레인(130')에 형성된 상면 접는선(140')까지의 길이가 제2열 세로방향 레인에 형성된 하면 접는선(150')과 제2열 세로방향 레인에 형성된 상면 접는선(140')까지의 길이, 제3열 세로방향 레인에 형성된 하면 접는선(150')과 제3열 세로방향 레인에 형성된 상면 접는선(140')까지의 길이 및 제2열 세로방향 레인에 형성된 상면 접는선(140')과 제3열 세로방향 레인에 형성된 하면 접는선(150')까지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그 길이에 상부 부분 절개선(120')이 형성된다.
한편, 좌측면(500) 또는 우측면과 만나는 상면(100)의 변에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120 및 120')은 인접하는 세로방향 레인이 하나밖에 없는데, 이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120 및 120')은 좌측면(500) 또는 우측면에 접하는 상면(100)의 변에서 이웃한 세로방향 레인에 존재하는 상면 접는선(140 및 140')에서 상면 중앙부 절개선(110)까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면(100)을 가지는 직육면체(10')에서 상면(100)을 상면 중앙부 절개선(110)을 따라 절개하고 또한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들(120 및 120')을 따라 절개한 후 상면 접는선들(140 및 140') 및 하면 접는선들(150 및 150')을 따라 접으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식품포장용 트레이(1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직육면체(10')의 상면(100)을 상면 중앙부 절개선(110)을 따라 절개하면, 상부와 하부에 상면 중앙부 절개선(110 및 110')이 각각 형성된다. 상부 및 하부 절개선들을 따라 절개한 후 상면 접는선들(140 및 140') 및 하면 접는선들(150 및 150')을 따라 접을 때, 상면 접는선들은 상면에 그대로 위치하도록 하고, 하면 접는선들은 하면에 접촉하게 한다. 그러면, 후면(400)에 접하는 상면(100)의 변에서 상면 접는선(140)까지에 해당하는 상부 세로방향 레인들(130)의 영역들은 상면(100)을 그대로 유지하지만, 상면 접는선(140)에서 하면 접는선(150)까지에 해당하는 상부 세로방향 레인들(130)의 영역들은 수직한 면(이하, '수직면'이라 함)(170)의 상태가 되며, 하면 접는선(150)에서 상면 중앙부 절개선(110)까지에 해당하는 상부 세로방향 레인들(130)의 영역은 하면(200)에 접촉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전면(300)에 접하는 상면(100)의 변에서 상면 접는선(140')까지에 해당하는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130')의 영역들은 상면(100)을 그대로 유지하지만, 상면 접는선(140')에서 하면 접는선(150')까지에 해당하는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130')의 영역들은 수직한 면(이하, '수직면'이라 함)(170')의 상태가 되며, 하면 접는선(150')에서 상면 중앙부 절개선(110')까지에 해당하는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130')의 영역은 하면(200)에 접촉하게 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식품포장용 트레이(10)에서 상면 접는선들(140 및 140') 또는 하면 접는선들(150 및 150')의 전체 윤곽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하트 형상은 발렌타인 데이와 같은 기념일에 연인 또는 친구에게 선물하는 초콜릿 등을 포장하는 용기를 적재하고 장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데 적절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식품포장용 트레이(1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130 및 130') 각각에 형성되는 수직면들(170 및 170') 사이에 직육면체 초콜릿 포장용기(700)를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초콜릿 포장용기(700)를 수용한 식품포장용 트레이(1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품포장용 트레이(10)의 상면에서 상면 접는선들(140 및 140') 또는 하면 접는선들(150 및 150')의 전체 윤곽에 의하여 형성되는 형상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투명창(810)이 상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식품포장용 트레이를 수용하는 직육면체 공간이 형성된 식품포장 박스(800)에 넣어 식품포장 용기를 완성한다.
한편, 하트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본 고안의 식품포장용 트레이를 형성할 수 있는데, 도 8은 물고기 형상의 식품포장용 트레이를 예시하였다.
10: 식품포장용 트레이 10': 직육면체 100: 상면 110,110': 상면 중앙부 절개선 120,120':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 130,130':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 140,140': 상면 접는선 142,142': 상면 접는선 대응 변 150,150': 하면 접는선 160,160': 상면 유지 면 170,170': 수직면 180,180': 하면 접촉 면 200: 하면 300: 전면 400: 후면 500: 좌측면 700: 초콜릿포장 용기 800: 식품포장 박스 810: 투명창

Claims (4)

  1. 내부에 직육면체의 공간을 가지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직육면체의 상면을 부분적으로 절개하고 접어서 형성되는 식품포장용 트레이로서,
    상기 직육면체의 상기 상면은 상기 직육면체의 좌측면에서 우측면까지에 걸쳐서 상기 상면을 전체적으로 절단하는 상면 중앙부 절개선;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이하, '세로방향'이라 함)으로 절개되고, 서로에 대하여도 평행하며,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의 상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상부 부분 절개선; 세로 방향으로 절개되고, 서로에 대하여도 평행하며,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하부 부분 절개선, 이때, 상기 하부 부분 절개선의 각각은 상기 상부 부분 절개선 각각의 연장선과 일치함; 상기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들 및 그것들의 가상적인 연장선들에 의하여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의 상부 및 하부에서 세로방향으로 인식되는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 상기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 각각에서 세로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이하, '가로방향'이라 함)으로 접히도록 형성되는 상면 접는선 및 하면 접는선, 이때 상기 상면 접는선과 하면 접는선 간의 거리는 상기 직육면체의 전면, 후면, 상기 좌측면 및 상기 우측면의 높이와 동일함, 상기 상부 세로방향 레인들 각각에서는 상기 후면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상기 상면 접는선이 배치되고 상기 후면으로부터 먼 곳에 상기 하면 접는선이 배치되며, 상기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 각각에서는 상기 전면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상기 상면 접는선이 배치되고 상기 전면으로부터 먼 곳에 상기 하면 접는선이 배치됨, 단, 상기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 중 일부에서 상기 하면 접는선만이 존재할 수 있음, 상기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에서 상기 상면 접는선은 존재하지 않고 상기 하면 접는선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면의 해당 변이 상기 상면 접는선에 대응하는 것임;을 포함하고,
    상기 직육면체의 상기 상면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은 그것과 왼쪽 및 오른쪽에 인접한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에 존재하는 상기 상면 접는선들 및 상기 하면 접는선들 간의 길이가 가장 긴 것에서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에 인접하는 세로방향 레인이 하나 밖에 없는 경우에는 상기 좌측면 또는 상기 우측면에 접하는 상기 상면의 변에서 이웃한 상기 세로방향 레인에 존재하는 상기 상면 접는선에서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까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식품포장용 트레이는 상기 직육면체의 상기 상면을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을 따라 절개하고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부분 절개선들을 따라 절개한 후에 상기 상면 접는선들 및 상기 하면 접는선들을 따라 접되, 상기 상면 접는선들은 상기 상면에 그대로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하면 접는선들은 상기 하면에 접촉함에 의하여, 상기 후면에 접하는 상기 상면의 변에서 상기 상면 접는선까지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 세로방향 레인들의 영역들은 상기 상면을 그대로 유지하지만, 상기 상면 접는선에서 상기 하면 접는선까지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 세로방향 레인들의 영역들은 수직한 면(이하, '수직면'이라 함)의 상태가 되며, 상기 하면 접는선에서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까지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 세로방향 레인들의 영역은 상기 하면에 접촉하게 되는 상태, 그리고 상기 전면에 접하는 상기 상면의 변에서 상기 상면 접는선까지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의 영역들은 상기 상면을 그대로 유지하지만, 상기 상면 접는선에서 상기 하면 접는선까지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의 영역들은 수직한 면(이하, '수직면'이라 함) 상태가 되며, 상기 하면 접는선에서 상기 상면 중앙부 절개선까지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의 영역은 상기 하면에 접촉하게 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포장용 트레이에서 상기 상면 접는선들 또는 상기 하면 접는선들의 전체 윤곽은 하트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트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포장용 트레이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세로방향 레인들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수직면들 사이에는 직육면체 식품포장용기가 수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포장용 트레이.
  4. 제1항에 따른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상기 식품포장용 트레이의 상기 상면에서 상기 상면 접는선들 또는 상기 하면 접는선들의 전체 윤곽에 의하여 형성되는 형상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투명창이 상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식품포장용 트레이를 수용하는 직육면체 공간이 형성된 식품포장 박스를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
KR2020130002088U 2013-03-20 2013-03-20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 KR200468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088U KR200468938Y1 (ko) 2013-03-20 2013-03-20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088U KR200468938Y1 (ko) 2013-03-20 2013-03-20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938Y1 true KR200468938Y1 (ko) 2013-09-12

Family

ID=51396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088U KR200468938Y1 (ko) 2013-03-20 2013-03-20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93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466B1 (ko) 2019-06-26 2020-10-12 서기원 상품포장 트레이용 합성수지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KR102164729B1 (ko) 2019-08-05 2020-10-14 강현식 상품포장 트레이용 공압출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4636B2 (ja) * 1991-07-01 1998-02-16 小林製薬株式会社 揮発性成分含有製品の包装方法およびその包装用箱
JP2888765B2 (ja) * 1994-11-04 1999-05-10 ザ・パック株式会社 ゲームソフトカセットの内装用ケース
KR200381478Y1 (ko) * 2004-11-30 2005-04-14 홍상근 종이상자용 수납안지
KR20100036797A (ko) * 2008-09-30 2010-04-08 주식회사 대흥 서랍형 포장 박스
KR101018133B1 (ko) * 2010-12-03 2011-02-25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4636B2 (ja) * 1991-07-01 1998-02-16 小林製薬株式会社 揮発性成分含有製品の包装方法およびその包装用箱
JP2888765B2 (ja) * 1994-11-04 1999-05-10 ザ・パック株式会社 ゲームソフトカセットの内装用ケース
KR200381478Y1 (ko) * 2004-11-30 2005-04-14 홍상근 종이상자용 수납안지
KR20100036797A (ko) * 2008-09-30 2010-04-08 주식회사 대흥 서랍형 포장 박스
KR101018133B1 (ko) * 2010-12-03 2011-02-25 주식회사 지에스리테일 과자류 입체 형상 포장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과자류 번들 제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466B1 (ko) 2019-06-26 2020-10-12 서기원 상품포장 트레이용 합성수지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KR102164729B1 (ko) 2019-08-05 2020-10-14 강현식 상품포장 트레이용 공압출 적층시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39278S1 (en) Beverage container with lid
USD939280S1 (en) Beverage container with lid
USD884419S1 (en) Beverage container closure
USD939281S1 (en) Beverage container with lid
USD995917S1 (en) Lip product container
US20150090618A1 (en) Packet for tobacco products and flat blank for making the packet
USD934624S1 (en) Container cap
USD821821S1 (en) Condiment container with flip-top lid
US3459356A (en) Confectionery package
RU2011111441A (ru) Упак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способ е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заготовка
CN102482019A (zh) 具有部分暴露的泡罩盘的泡罩包装
EP2969786B1 (en) A packaging
KR200468938Y1 (ko)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
GB2522436A (en) Packaging
AU2012301356B2 (en) Pack for food, set for forming such a pack, and material sheet for such a set
USD865298S1 (en) Packaging container for lipstick
EP2451726A1 (en) Carton with a set of different containers
KR200469280Y1 (ko) 식품포장용 트레이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식품포장 용기
JP7201201B2 (ja) 包装用容器
USD929223S1 (en) Packaging container for beverage
CN108124439A (zh) 包装元件
USD1028734S1 (en) Packaging container
CN206537746U (zh) 一种包装礼盒
US3026997A (en) Container for corsage
US9327863B1 (en) Integrated gift box and ornamental character article and method and system for constructing integrated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