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534B1 -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 Google Patents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534B1
KR101017534B1 KR1020090004816A KR20090004816A KR101017534B1 KR 101017534 B1 KR101017534 B1 KR 101017534B1 KR 1020090004816 A KR1020090004816 A KR 1020090004816A KR 20090004816 A KR20090004816 A KR 20090004816A KR 101017534 B1 KR101017534 B1 KR 10101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earth anchor
greening structure
mesh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5505A (ko
Inventor
김현종
Original Assignee
이예순
(주)자연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순, (주)자연과학 filed Critical 이예순
Priority to KR1020090004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534B1/ko
Priority to JP2011517362A priority patent/JP5204898B2/ja
Priority to CN2010800019686A priority patent/CN102076913B/zh
Priority to PCT/KR2010/000350 priority patent/WO2010085075A2/ko
Publication of KR20100085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5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vegetable material, e.g. wood, ree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30Flood prevention; Flood or storm water management, e.g. using flood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oi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공사 및 일반 토목공사시에 발생되어지는 경사면 즉, 법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직포에 씨앗을 뿜어 붙이기인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 또는 씨앗이 부착된 부직포를 도포한 후 그 위로 그물망을 설치하고, 상기 그물망을 보강하기 위한 와이어로프를 설치하여 상기 그물망과 와이어로프가 직면하는 곳에 어스앵커를 밀착, 고정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법면의 붕괴 및 파손을 방지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를 제공함에 있다.
어스앵커, 법면, 고정

Description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Earth anchor using for greening slope of a ground}
본 발명은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로공사 및 일반 토목공사시에 발생되어지는 경사면 즉, 법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직포에 씨앗을 뿜어 붙이기인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 또는 씨앗이 부착된 부직포를 도포한 후 그 위로 그물망을 설치하고, 상기 그물망을 보강하기 위한 와이어로프를 설치하여 상기 그물망과 와이어로프가 직면하는 곳에 어스앵커를 밀착, 고정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법면의 붕괴 및 파손을 방지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를 제공함에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절개지는 20세기에 접어들면서 교통수단의 발달로 늘어나는 도로를 시공하기 위하여 산의 일부나 강, 하천 등의 일부에 도로를 시공하면서 도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절개지는 엘니뇨, 라니냐 등 지구의 이상기온으로 예상치 못한 폭우가 내리게 됨으로써 70~80%의 절개지에서 물이 흘러내림과 함께 미처 흘러내리지 못한 물이 지중으로 침투되어 도로 또는 절개지의 토질이 약한 부분으로 스며들게 된다.
이와 같이 지중으로 과다하게 물이 스며들게 되면, 절개지 법면이 붕괴되거나 파손되는데, 법면의 붕괴로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이 매몰되거나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됨은 물론 차량의 통행이 막히게 되어 인명은 물론 막대한 재산상의 손실을 입게 된다.
이러한 절개지의 토질은 암석을 굴착하거나 토사로 이루어는데, 토사의 대부분을 이루는 흙은 암석의 오랜 세월 동안 물리화학적인 작용 및 생물학적 풍화작용을 통하여 생성된다.
또한, 암석에서 생성된 흙의 주요 구성요소는 암석의 풍화 산물인 광물과 함께 동물, 식물의 잔해로부터 형성된 유기물과 유기물의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 탄산가스, 산소 등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산이나 하천 등의 절개지는 절개지 시공 후 대략 5~10년이 지나야 토질의 생물학적 풍화작용으로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토질로 변화된다.
이와 같은 절개지에는 장마철의 폭우, 집중 호우 등에 의하여 훼손되지 않도록 잔디, 관목 등의 관상 식물을 심어 녹화함으로써 절개지 법면이 붕괴되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절개지 법면의 녹화 공법은 절개지 법면에 복토를 하고, 이에 잔디, 관목 식물의 씨앗을 파종한 다음 볏짚, 섬유망 등의 보온재를 덮어 습도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발아된 씨앗이 성장하여 절개지 법면에 녹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이러한 절개지 법면의 녹화는 씨앗을 파종하고 씨앗이 성장하게 되는데 미처 뿌리내리지 못한 법면 부위나 지질적인 취약점이 나타난 법면 부위에 폭우나 집 중호우 등이 내리면 절개지 법면이 세굴(洗掘)되어 붕괴되거나 훼손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절개지는 그 토질에 따라 리핑암(풍화암), 연암, 경암 등으로 구분되는데, 리핑암, 경암일 경우 절개지 시공 후 절개지 법면에 철망이나 섬유망 등을 설치한 다음 하수 오니, 음식물 오니, 산업폐기물, 슬러지, 오니 등으로 이루어진 배양토로 복토한 다음 철망이나 섬유망 등을 설치하고, 그 위에 씨앗을 파종하여 녹화시켰다.
그러나, 상기 철망이나 섬유망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철재나 플라스틱재로 구비된 고정말뚝(앙카핀)을 이용하여 고정하도록 하였으나, 고정말뚝이 법면에 박혀있는 상태가 장기간 경과하게 되면 지면의 풍화작용 및 다년간 기온차로 인한 결속부위 지면이 헐거워져 고정말뚝이 이탈되는 우려가 발생하여 이에 파생된 폭우 및 기온차로 인해 토사의 유실로 연쇄적인 고정말뚝의 이탈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산의 일부를 깍아 내는 등의 토목공사 후에는, 그 해당부분을 녹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절취된 부분의 녹화는 수해 예방 또는 산사태 방지의 측면에서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녹화구조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제안이 있었으나, 가장 현저하게 대두되는 문제점은 녹화구조가 토목공사후의 경사면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한다는 점이다. 즉, 폭우에 의하여 녹화된 부분 전체 또는 일부가 물에 의하여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아서, 실질적으로 녹화사업 자체에 그리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도로공사 및 일반 토목공사시에 발생되어지는 경사면 즉, 법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직포에 씨앗을 뿜어 붙이기인 시드 스프레이 또는 씨앗이 부착된 부직포를 도포 한 후 그 위로 그물망을 설치하고, 상기 그물망을 보강하기 위한 와이어로프를 설치하여 상기 그물망과 와이어로프가 직면하는 곳에 어스앵커를 밀착, 고정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법면의 붕괴 및 파손을 방지하고 견고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법면의 표면에 씨앗을 고착시킨 부직포형태의 발아층이 덮혀지도록 하고, 상기 발아층 상면에 발아층이 법면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그물망이 덮여지고, 상기 그물망 상면에 직선상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와이어로프가 구성되며, 상기 그물망 상면에 와이어로프가 직선상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되는 그 양단 및 교차되는 부분의 법면 지중에 박히는 어스앵커로 구성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는;
수평 단면이 원형이며 하향 첨단(尖端)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를 갖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 상단 외주선단에 상기 머리부 수평 상면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상향 연 결되는 다수의 날개부와,
상기 머리부 상면에 각 날개부 내측으로 소정의 폭이 가진 타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중앙에 수직으로 상향된 소정의 길이를 가진 몸체부와,
상기 머리부 하단부에서 몸체부의 상단부까지 수직 관통된 한쌍의 결속공이 형성되어 상기 각 결속공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 하단부로 돌출되는 철선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머리부, 날개부 및 몸체부가 일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머리부의 수평단면이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택된 머리부의 상부 선단 각 변(邊)마다 상기 머리부 수평 상면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상향 연결되는 날개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스앵커의 머리부, 날개부 및 몸체부로 구성되는 일몸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법면 녹화구조에 따른 발아층과 그물망의 결속을 위한 고정장치로서, 상기 고정장치인 상기 어스앵커는 법면의 지중에 박히면, 쉽게 빠지거나 이탈되지 않아 법면의 녹화구종에 따른 녹생토가 법면에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식생 녹화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100)는 법면(10)의 표면에 씨앗을 고착시킨 부직포형태의 발아층(20)이 덮혀지도록 하고, 상기 발아층(20) 상면에 발아층(20)이 법면(10)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그물망(30)이 덮여지고, 상기 그물망(30) 상면에 직선상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와이어로프(40)가 구성되며, 상기 그물망(30) 상면에 와이어로프(40)가 직선상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되는 그 양단 및 교차되는 부분의 법면(10) 지중에 박히는 어스앵커(100)로 구성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100)는; 수평 단면이 원형이며 하향 첨단(尖端)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를 갖는 머리부(110a)와, 상기 머리부(110a) 상단 외주선단에 상기 머리부(110a) 수평 상면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상향 연결되는 판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날개부(120)와, 상기 머리부(110a) 상면에 각 날개부(120) 내측으로 소정의 폭이 가진 타격공간부(111)가 형성되도록 중앙에 수직으로 상향된 소정의 길이를 가진 몸체부(130)와, 상기 머리부(110a) 하단부에서 몸체부(130)의 상단부까지 수직 관통된 한쌍의 결속공(140)이 형성되어 상기 각 결속공(140)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30) 하단부로 돌출되는 철선와이어(1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법면의 녹화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시공에 있어 먼저, 법면(10)을 평탄하게 작업을 한 후 씨앗을 고착시킨 부직포형태의 발아층(20)을 얹혀진 법면(10)에 상기 발아층(20)이 법면(10) 지면에 밀착되도록 그물망(30)을 덮혀주고, 상기 그물망(30)의 결속을 보조하는 그물망(30) 상면에 직선상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와이어로프(40)를 설치한다.
상기 발아층(20)에 있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기 발아층(20)의 표면이 볏짚을 엮어 제조되어진 볏짚거적과 코코아껍질을 엮은 줄로 직조되어진 코야네트 및 마섬유로 엮어 직조되어진 주트네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발아층(20)을 법면(10)의 지면에 밀착시키도록 발아층(20) 상면에 설치되는 그물망(30)은 합성섬유사를 이용하여 망상구조로 직조된 그리드, 철선으로 합성수지가 코팅된 망상구조의 철망 또는 부식성이 없는 망상구조의 와이어메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그물망(30)을 설치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법면(10) 상면에 설치된 발아층(20), 그물망(30) 및 와이어로프(40)를 고정시키기 위해 법면(10)의 지중에 박아넣는 고정장치로서, 먼저 본 발명의 어스앵커(100)를 법면(10)의 지중에 박아넣기 위해 앙카드릴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사전(事前)에 법면의 지중에 예비구멍(50)을 뚫어 놓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법면(10)의 상면에 설치된 상기 그물망(30) 상면에 와이어로프(40)가 직선상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되는 그 양단 및 교차되는 부분의 법면(10) 지중에 박히는 어스앵커(100)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100)의 머리부(110a) 상단 외주선단에 상기 머리부(110a)의 수평 상면을 기준으로 둔각(鈍角)의 상향 연결된 다수의 날개부(120)로 인해 상기 사전에 뚫어 놓은 예비구멍(50)에 삽입하게 될 때 들어가는 것은 쉽게 들어갈 수 있으나 즉, 외부의 충격으로 예비구멍(50)으로 들어가게 될 때 날개부(120)가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응력이 발생하여 약간 압축되는 오므림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 예비구멍(50)에 쉽게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반면 상기 기울기를 가진 날개부(120)가 예비구멍(50) 깊숙이 삽입되면 날개부(120)가 탄성을 가져 원상태로 복귀되어 예비구멍(50)의 내측을 강하게 압박하게 되어 쉽게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상기 머리부(110a) 하단부에서 몸체부(130) 상단부까지 관통된 한쌍의 결속공(140)을 통해 철선와이어(150)를 연결하여 상기 몸체부(130)의 상단부로 돌출되게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법면(10)의 상면에 설치된 상기 그물망(30) 상면에 와이어로프(40)가 직선상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되는 그 양단 및 교차되는 부분에 상기 몸체부(130) 상부로 돌출된 철선와이어(150)를 매듭지어 결속시키게 된다.
상기 철선와이어(150)가 설치된 어스앵커(100)를 상기 법면(10)의 예비구멍(50)에 삽입시키기 위해 예비구멍(50)을 통해 삽입되도록 안내역할을 하는 보조금속 캡(200)을 씌워 예비구멍(50)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보조금속캡(200)을 철선와이어(150)가 장착된 어스앵커(100)에 삽입시켜 예비구멍(50)이 내속시키는 방법에 있어 상기 수직의 원통형 보조금속캡(200)의 관통된 일단부를 통해 몸체부(130)를 삽입시켜 머리부(110a) 상면에 형성된 타격공간부(111)에 면착시킨 상태로 예비구멍(50)에 내속시킨 후 상기 보조금속캡(200)을 제거하면 예비구멍(50)에 어스앵커(100)를 장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머리부(110a), 날개부(120) 및 몸체부(130)가 일몸체로 구성되어 법면(10)의 지중에 박혀지는 과정 중 일부 단락 또는 부러짐이 없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머리부(110a)의 수평단면이 사각형(110b), 육각형(110c), 팔각형(110d)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택된 머리부(110b, 110c, 110d)의 상단 원주 각 변(邊)마다 상기 머리부(110b, 110c, 110d) 수평 상면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상향 연결되는 날개부(120)가 구성됨에 있어, 상기 선택된 머리부((110b, 110c, 110d)의 상부 선단의 각 변(邊)마다 날개부(120)가 형성되는 것으로 각 선단 변(邊)으로 상향 연결되는 날개부(120)가 매듭이 없이 이어져 연결되는 상태를 가짐으로서 날개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어스앵커의 머리부(110a), 날개부(120) 및 몸체부(130)로 구성되는 일 몸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됨으로 머리부(110a)와 몸체부(130)의 내부가 밀집된 형태를 가져 더욱 견고하고 강한 어스앵커(100)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시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발명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수직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와 수직단면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와 보조금속캡의 조립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수평 단면이 사각형 머리부를 가진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수평 단면이 육각형 머리부를 가진 사시도.
도 8의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의 수평 단면이 팔각형 머리부를 가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를 법면에 설치한 구성도.
도 10은 도 9의 본 발명에 따른 어스앵커를 법면에 설치된 “A”부위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법면 10 발아층 20 그물망 30 와이어로프 40 예비구멍 50 어스앵커 100 머리부 110a, 110b, 110c, 110d 타격공간부 111 날개부 120 몸체부 130 결속공 140 철선와이어 150 보조금속캡 200

Claims (4)

  1. 법면의 표면에 씨앗을 고착시킨 부직포형태의 발아층이 덮혀지도록 하고, 상기 발아층 상면에 발아층이 법면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그물망이 덮여지고, 상기 그물망 상면에 직선상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와이어로프가 구성되며, 상기 그물망 상면에 와이어로프가 직선상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되는 그 양단 및 교차되는 부분의 법면 지중에 박히는 어스앵커로 구성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는;
    수평 단면이 원형이며 하향 첨단(尖端)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를 갖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 상단 외주선단에 상기 머리부 수평 상면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상향 연결되는 판상으로 다수개 형성된 날개부와,
    상기 머리부 상면에 각 날개부 내측으로 소정의 폭이 가진 타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중앙에 수직으로 상향된 소정의 길이를 가진 몸체부와,
    상기 머리부 하단부에서 몸체부의 상단부까지 수직 관통된 한쌍의 결속공이 형성되어 상기 각 결속공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 하단부로 돌출되는 철선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날개부 및 몸체부가 일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수평단면이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택된 머리부의 상부 선단 각 변(邊)마다 상기 머리부 수평 상면을 기준으로 둔각으로 상향 연결되는 날개부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스앵커의 머리부, 날개부 및 몸체부로 구성되는 일몸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KR1020090004816A 2009-01-21 2009-01-21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KR10101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816A KR101017534B1 (ko) 2009-01-21 2009-01-21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JP2011517362A JP5204898B2 (ja) 2009-01-21 2010-01-19 河川護岸及び法面保護用植生マット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固定装置
CN2010800019686A CN102076913B (zh) 2009-01-21 2010-01-19 用以保护河堤及斜坡面的植被垫的固定装置
PCT/KR2010/000350 WO2010085075A2 (ko) 2009-01-21 2010-01-19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및 이에 사용되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816A KR101017534B1 (ko) 2009-01-21 2009-01-21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505A KR20100085505A (ko) 2010-07-29
KR101017534B1 true KR101017534B1 (ko) 2011-03-18

Family

ID=42356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816A KR101017534B1 (ko) 2009-01-21 2009-01-21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04898B2 (ko)
KR (1) KR101017534B1 (ko)
CN (1) CN102076913B (ko)
WO (1) WO2010085075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727B1 (ko) 2011-03-18 2011-08-12 주식회사 녹색나라 식생매트용 고정구
KR101276997B1 (ko) 2011-07-19 2013-06-24 김병구 어스앵커
WO2015009088A1 (ko) * 2013-07-18 2015-01-22 주식회사 보림 지중매설 말뚝
KR101513681B1 (ko) * 2013-11-27 2015-04-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면보강틀 고정용 앵커기구
KR102060114B1 (ko) 2019-06-03 2020-02-11 (주)하나건설 토양 결속 강화용 지중구조체
KR102060103B1 (ko) 2019-05-29 2020-02-11 김장환 경사면 붕괴 방지용 말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4841B (zh) * 2011-02-12 2012-05-23 河海大学 河流水下硬质斜坡沉水植物联遍修复方法
CN103374921A (zh) * 2012-04-16 2013-10-30 成都措普科技有限公司 双层边坡防护网
CN102995843B (zh) * 2012-12-11 2014-08-20 青岛冠中生态股份有限公司 一种低养护生态型斜坡屋面绿化方法
KR101501502B1 (ko) * 2013-08-01 2015-03-11 오문섭 스톤네트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3975745A (zh) * 2014-05-23 2014-08-13 张锦宇 坡地崩岗土壤改良系统
US10246842B2 (en) * 2014-10-01 2019-04-02 Desso Sports B.V. Water barrier, in particular a dike
US11134621B1 (en) 2014-10-22 2021-10-05 Siby Pothen Eco-friendly netting and methods of growing and harvesting sod using the same
US11690329B1 (en) 2014-10-22 2023-07-04 Siby Pothen Eco-friendly netting and methods of growing and harvesting sod using the same
US10687483B1 (en) 2014-10-22 2020-06-23 Siby Pothen Eco-friendly netting and methods of growing and harvesting sod using the same
DK201570344A1 (en) * 2015-06-03 2017-01-30 Groundplug Int Aps Protective covering for preventing erosion of a ground surface and method of establishing said protective covering
CN106284377B (zh) * 2015-10-21 2018-07-20 肥城恒丰塑业有限公司 一种山体边坡防护网
US11306454B2 (en) 2016-08-31 2022-04-19 Wilkinson Ecological Design Erosion control apparatus
US11306455B2 (en) 2016-08-31 2022-04-19 Wilkinson Ecological Design Erosion control apparatus
US11492771B2 (en) 2016-08-31 2022-11-08 Wilkinson Ecological Design Erosion control apparatus
US10125462B2 (en) 2016-08-31 2018-11-13 Wilkinson Ecological Design Erosion control apparatus
CN106612694B (zh) * 2016-09-19 2019-08-27 内蒙古和盛生态育林有限公司 一种改善黄土丘陵沟壑区生态环境的方法
EP3378993A1 (en) 2017-03-23 2018-09-26 FAM. AG Holding ApS Protective construction for preventing erosion of a ground surface arranged adjacent to a body of water
KR102111607B1 (ko) 2018-03-28 2020-05-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출 제어형 비료
EP3708357A1 (de) * 2019-03-15 2020-09-16 Naue GmbH & Co. KG Geomaterialbahn mit biologischen abbaueigenschaften
CN110036877B (zh) * 2019-03-29 2021-10-01 安徽大学 一种用于边坡水土保持的定植块及其制作和施工方法
CN112544292B (zh) * 2020-12-08 2022-06-21 铁汉山艺环境建设有限公司 一种防止边坡水土流失的自消型盘旋状扩根固土方法
CN112779887A (zh) * 2020-12-31 2021-05-11 上海宏辉港务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人工生态河床及构建方法
CN114892601A (zh) * 2022-06-18 2022-08-12 江苏省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调节型预制块砼护坡及高效施工工艺
CN115323980B (zh) * 2022-08-20 2023-08-25 江苏淮阴水利建设有限公司 一种复合式生态景观挡墙及其施工方法
CN116240855A (zh) * 2023-05-09 2023-06-09 山东省路桥集团有限公司 一种水利防汛用护坡装置
KR102611201B1 (ko) * 2023-07-18 2023-12-06 구나은 5m 내지 10m 논슬립 보행매트 제작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374Y1 (ko) 2006-07-06 2006-09-25 (주)천수녹화조경 사면보강 네트용 앵커
KR100938119B1 (ko) 2008-02-13 2010-02-03 (주)자연과학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8042U (ko) * 1979-06-02 1980-12-20
JPS5625520A (en) * 1979-08-08 1981-03-11 Takemi Momo Protection and afforestation of slope surface
JPH0526117Y2 (ko) * 1985-11-28 1993-07-01
JPH0931979A (ja) * 1995-07-21 1997-02-04 Yuzo Sakamoto 地中アンカ−
JP3436662B2 (ja) * 1997-09-09 2003-08-11 日本植生株式会社 金網付き植生ネット
CN2418164Y (zh) * 2000-04-27 2001-02-07 王中放 固草器
CN2444990Y (zh) * 2000-09-29 2001-08-29 包家兵 加有垫网的植被护坡网
JP2002180470A (ja) * 2000-12-13 2002-06-26 Tsutomu Kiyono 植生マット
US20030022134A1 (en) * 2001-07-24 2003-01-30 Tim Seniuk Anchoring gabion system for erosion control
CN2731954Y (zh) * 2003-12-04 2005-10-12 机科发展科技股份有限公司 人工植被的植被垫毯
KR200382114Y1 (ko) * 2005-01-21 2005-04-18 김연술 식생호안용/조경용 매트
KR100690364B1 (ko) * 2005-07-05 2007-03-09 심석래 사면보강용 네일링앵커장치
KR20070030370A (ko) * 2005-09-13 2007-03-16 주식회사 디오예은 짚코 원단 네트와 그의 제조방법
CN2919846Y (zh) * 2006-05-17 2007-07-11 北京绿之源生态科技有限公司 边坡绿化植被垫
KR200448984Y1 (ko) * 2008-05-16 2010-06-09 (주)자연과학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KR101078073B1 (ko) * 2008-12-04 2011-10-28 이예순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7374Y1 (ko) 2006-07-06 2006-09-25 (주)천수녹화조경 사면보강 네트용 앵커
KR100938119B1 (ko) 2008-02-13 2010-02-03 (주)자연과학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727B1 (ko) 2011-03-18 2011-08-12 주식회사 녹색나라 식생매트용 고정구
KR101276997B1 (ko) 2011-07-19 2013-06-24 김병구 어스앵커
WO2015009088A1 (ko) * 2013-07-18 2015-01-22 주식회사 보림 지중매설 말뚝
KR101545189B1 (ko) * 2013-07-18 2015-08-20 주식회사 보림 지중매설 말뚝
KR101513681B1 (ko) * 2013-11-27 2015-04-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사면보강틀 고정용 앵커기구
KR102060103B1 (ko) 2019-05-29 2020-02-11 김장환 경사면 붕괴 방지용 말뚝
KR102060114B1 (ko) 2019-06-03 2020-02-11 (주)하나건설 토양 결속 강화용 지중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26973A (ja) 2011-10-20
CN102076913A (zh) 2011-05-25
WO2010085075A2 (ko) 2010-07-29
JP5204898B2 (ja) 2013-06-05
WO2010085075A3 (ko) 2010-11-11
CN102076913B (zh) 2013-11-06
KR20100085505A (ko)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534B1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KR200448984Y1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KR101157531B1 (ko) 생태복원을 위한 잔디식재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38119B1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US20200170202A1 (en) Protective tree tube, method, and revetment using tree contained in same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200454179Y1 (ko) 어스와이어앵커
KR20030038894A (ko) 토목공사의 성토부법면 녹화구조
CN108396752A (zh) 一种装配式边坡防护柔性网及其施工方法
KR20120038665A (ko) 어스앵커 및 이를 이용한 식생매트 시공방법
KR100756375B1 (ko) 와이어네트를 이용한 사면 보호 방법 및 그 장치
KR100935176B1 (ko) 도로사면 보호용 친환경 식생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212561559U (zh) 一种基于生物桩和藤蔓植物的急陡土坡绿色防护结构
KR101138723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에 사용되는 철망의 고정쐐기
CN214460496U (zh) 一种高速公路岩质边坡防护结构
KR200420007Y1 (ko) 도로 암절개지 사면의 조경 식재 구조
KR101519230B1 (ko) 강재 사면 보호책
JP6016310B2 (ja) アースアンカー
KR20080111218A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JP5699291B2 (ja) 植生工法
CN214613901U (zh) 一种湖泊生态防护坡
KR101824674B1 (ko) 하천 및 여울 사면의 세굴을 방지하는 미늘형 앵커판넬 및 u자형 샤클을 이용한 친환경 스톤네트
KR101374688B1 (ko) 다층 격자구조망을 이용한 법면녹화 시공방법
CN210562230U (zh) 一种高陡边坡绿化种植结构
JPH09233958A (ja) 容器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緑化材、この緑化材を使用した斜面緑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