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894A - 토목공사의 성토부법면 녹화구조 - Google Patents

토목공사의 성토부법면 녹화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894A
KR20030038894A KR1020010069081A KR20010069081A KR20030038894A KR 20030038894 A KR20030038894 A KR 20030038894A KR 1020010069081 A KR1020010069081 A KR 1020010069081A KR 20010069081 A KR20010069081 A KR 20010069081A KR 20030038894 A KR20030038894 A KR 20030038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main body
greening structure
cut surface
stee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8963B1 (ko
Inventor
김일신
김유신
Original Assignee
김일신
김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신, 김유신 filed Critical 김일신
Priority to KR10-2001-0069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963B1/ko
Publication of KR20030038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9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02D5/805Ground anchors with deformable anchor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취면을 녹화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녹화구조는, 토목공사후의 절취면을 상부를 녹화하기 위한 녹화구조로써; 절취면의 지중에 소정 깊이로 박히는 앵커(2)와; 상기 절취면의 상부에서 격자형상으로 설치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구멍이 성형되는 파이프형상의 유공관(6); 상기 유공관 사이 및 상부에서, 절취면의 표면에 형성되는 잔디층(10); 상기 잔디층(10)의 상부를 덮는 코팅철망(12); 상기 코팅철망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스틸와이어(14); 그리고 상기 앵커와 스틸와이어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4)를 포함한다. 그리고 앵커는; 하방의 선단부가 예각으로 형성되는 본체(22)와; 상기 본체에 힌지축(2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날개부(24a,24b)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24a,24b)가 펼쳐진 상태에서, 날개부의 하단부(25a,25b)가 본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그 이상 펼쳐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토목공사의 성토부법면 녹화구조{Plant tree structure for surface of slope surface}
본 발명은 토목공사의 절취부 또는 성토부를 녹화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취면에 잔디를 이용하는 녹화를 수행하면서, 이러한 구조가 풍수 등에 의하여 무너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녹화구조에관한 것이다.
산의 일부를 깍아 내는 등의 토목공사 후에는, 그 해당부분을 녹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절취된 부분의 녹화는 수해 예방 또는 산사태 방지의 측면에서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녹화구조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많은 제안이 있었으나, 가장 현저하게 대두되는 문제점은 녹화구조가 토목공사후의 경사면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지 못한다는 점이다. 즉, 폭우에 의하여 녹화된 부분 전체 또는 일부가 물에 의하여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아서, 실질적으로 녹화사업 자체에 그리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토목공사후 절취면의 표면 또는 그 절취면을 녹화하는 경우에는, 여러가지 요소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이중에서도 특히 녹화층이 절취면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우기에 많은 빗물이 녹화층을 따라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러한 물에 대해서는 충분히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취취면에 부착되어 견고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절취면녹화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녹화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앵커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앵커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앵커의 날개부가 접힌 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앵커4 ..... 와이어로프
6 ..... 유공관8 ..... 토사층
10 ..... 잔디층12 ..... 코팅철망
14 ..... 스틸와이어16 ..... 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절취면 녹화구조는, 토목공사후의 절취면을 상부를 녹화하기 위한 녹화구조로써;
절취면의 지중에 소정 깊이로 박히는 앵커와; 상기 절취면의 상부에서 격자형상으로 설치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구멍이 성형되는 파이프형상의 유공관; 상기 유공관 사이 및 상부에서, 절취면의 표면에 형성되는 잔디층; 상기 잔디층의 상부를 덮는 코팅철망; 상기 코팅철망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스틸와이어; 그리고 상기 앵커와 스틸와이어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로프는 스프링을 통하여 상기 스틸와이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팅철망은 합성수지가 코팅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앵커는; 하방의 선단부가 예각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날개부의 하단부가 본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그 이상 펼쳐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녹화구조는, 절취면(S)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절취면(S)에는, 표면에서 하방으로 앵커(2)가 박혀 있고, 상기 앵커(2)의 상부에는 와이어로프(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앵커(2)는, 절취면(S)의 지중에 박혀서 외력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서 적용할 수 있는 앵커(2)에 대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앵커는, 본체(22)와, 상기 본체의 상방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날개부(24a,24b)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본체(22)는, 본 발명에 의한 앵커의 중심부분에서 전체적인 지지프레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22)의 하단부는 가능하면 예리한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지중에 매설될 때 보다 원활하게 지중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22)의 하부는 정면에서 보았을 경우, 대략 삼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날개부(24a,24b)는, 상기 본체(22)의 중간부분에 힌지축(26)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날개부(24a,24b)는, 그 하단부에 성형되는 힌지공(27a,27b)과, 본체(22)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힌지공(22b)을 관통하는 힌지축(26)에 의하여, 본체(2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26)은 볼트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볼트부재(28a)에 의하여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볼트부재(28a)는 너트부재(28b)와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한쌍의 날개부(24a,24b)가 본체(22)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힌지축(26)을 중심으로 날개부(24a,24b)가 결합된 상태가 되면, 상기 날개부(24a,24b)는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날개부(24a,24b)가 외측으로 펼쳐지게 되면(도 2와 같은 상태), 상기날개부(24a,24b)의 하단부(25a,25b)는, 상기 본체(22)에 접하게 된다. 상기 하단부(25a,25b)가 본체(22)에 접촉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날개부(24a,24b)는 더 이상 외측으로 펼쳐지는 것이 방지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날개부(24a,24b)는 상기 힌지축(2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으나, 도 2에서 화살표 A와 같은 방향(즉 날개부가 펼쳐지는 방향)으로는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펼쳐질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날개부(24a,24b)는 도 2에서 화살표 B와 같은 방향(즉 날개부가 본체측으로 접혀지는 방향)으로는 본체(22)의 외측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을 때까지 회동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앵커의 사용상태를 중심으로 기능적인 부분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앵커를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다른 기계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에어햄머와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고, 도 3에서 도면부호 AH는 에어햄머의 단부 또는 단부에 장착되는 팁의 일종을 의미한다. 상기 에어햄머의 단부에 장착되는 팁에 소정의 요홈형상(AHa)을 본체(22)의 상단부의 요홈부(22h)에 끼우고, 에어햄머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에어햄머의 구동력에 의하여 앵커는 전체적으로 지중으로 박혀들어가게 된다. 이 때 상기 앵커의 본체(22)의 상부에 성형되어 있는 구멍(22a)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22)의 상방에는 와이어로프 등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앵커(2)가 지중으로 박혀들어가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22)의 예리한 하단부에 의하여 보다원활하게 지중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 에어햄머의 동작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앵커(2)가 소정의 깊이로 들어가게 되면, 상기 에어햄머(AH)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앵커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부(24a,24b)가 본체(22) 측으로 접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22)의 상방으로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로프(4)(도 1 참조)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날개부(24a,24b)의 상부에 있는 흙 등에 의한 반력으로 상기 날개부(24a,24b)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지게 된다. 상기 날개부(24a,24b)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지게 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날개부(24a,24b)의 내측에는 흙이 가득찬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앵커가 지상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날개부(24a,24b)의 하단부(25a,25b)가 본체(22)에 부딪히는 상태로 되고, 더 이상 상기 날개부(24a,24b)가 벌어지지 않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날개부(24a,24b)가 더 이상 벌어지지 않음과 동시에, 상기 날개부(24a,24b)에 의하여 앵커 자체가 지상으로 올려지지 않도록 지중에서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앵커의 본체(22)의 상부에 성형된 구멍(22a)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로프는 지중으로 나와 있는 상태이고 이러한 와이어로프(4)에 지상의 구조물을 연결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지상의 구조물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한 구성을 가지는 앵커(2)를 사용하는, 녹화구조를 다시 도 1에 기초하면서 살펴보기로 한다.
그리고 절취면(S)의 상면에는 유공관(6)이 설치된다. 상기 유공관(6)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과 같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파이프 형상의 관이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공관(6)은, 격자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절취면(S)의 표면에 설치된다. 상기 유공관(6)은, 녹화구조를 설치하고자 하는 절취면의 전체적인 넓이 등을 고려하여 그 치수가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유공관(6)은, 절취면(S)의 경사면을 흘러내리는 물의 통로로써의 기본적인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유공관(6)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성형되어 있는 구멍을 통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토사층(8)에서의 물을 그 내부로 안내하여, 본 발명의 녹화구조의 하단부로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공관(6)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성형되는 다수개의 구멍은, 유공관(6) 내부를 흐르는 물이, 토사층(8)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유공관(6)은 격자형상을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유공관 자체의 직경 및 유공관의 배치간격 등은, 절취면의 경사도, 넓이, 그리고 배수용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격자형상으로 배치되는 유공관(6)의 상부에는 잔디층(1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잔디층(10)은 상기 절취면(S)의 토사에 뿌리를 내림으로써 상기 절취면(S)의 표면이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절취면(S)의 표면은, 상기 잔디층(10)에 식재된 잔디의 뿌리와, 상술한 격자형상의 유공관(6)에 의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상태로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잔디층(10)의 상부는 코팅철망(12)에 의하여 덮혀지게 된다. 상기 코팅철망(12)은 일정한 메쉬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부에서 볼 때 상기 잔디층(10)에 의한 녹화현장이 눈에 보이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 코팅철망(12)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고, 합성수지재로 코팅된 금속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코팅철망(12)의 상부에는 스틸와이어(14)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틸와이어(14)는, 예를 들면 격자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직선형상으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스틸와이어(14)의 양측단부는, 토목공사에 있어서의 상하부 콘크리트 타설층 또는 기타 다른 상하부분에 의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앵커(2)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로프(4)의 상단부는, 상기 스틸와이어(14)와 연결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앵커(2)가 빠지지 않는 한, 상기 와이어로프(4)를 통하여 연결된 상기 스틸와이어(14)는 실질적으로 그 하부의 잔디층(10)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틸와이어(14)와 와이어로프(4) 사이에는 스프링(16)이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16)을 개재하는 것에 의하여 절취면(S)과 상기 스틸와이어(14) 사이의 상술한 각각의 층이 보다 탄성적으로 하방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녹화구조에 의하면, 상기앵커(2) 및 스틸와이어(14)에 의하여, 절취면(S)의 상부에 형성되는 잔디층(10)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절취면의 상부에 형성되는 녹화를 위한 구조가, 스틸와이어(14) 및 앵커(2)에 의하여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공관에 의하여 녹화구조 내부의 배수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우기에 빗물에 의한 녹화층의 유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토목공사후의 절취면을 상부를 녹화하기 위한 녹화구조로써;
    절취면의 지중에 소정 깊이로 박히는 앵커(2)와;
    상기 절취면의 상부에서 격자형상으로 설치되고,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구멍이 성형되는 파이프형상의 유공관(6);
    상기 유공관 사이 및 상부에서, 절취면의 표면에 형성되는 잔디층(10);
    상기 잔디층(10)의 상부를 덮는 코팅철망(12);
    상기 코팅철망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는 스틸와이어(14); 그리고
    상기 앵커와 스틸와이어를 연결하는 와이어로프(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면 녹화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는 스프링(16)을 통하여 상기 스틸와이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면 녹화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철망(12)은 합성수지가 코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면 녹화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하방의 선단부가 예각으로 형성되는 본체(22)와;
    상기 본체에 힌지축(2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날개부(24a,24b)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24a,24b)가 펼쳐진 상태에서, 날개부의 하단부(25a,25b)가 본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그 이상 펼쳐지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면 녹화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방에는, 와이어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22a)이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취면 녹화구조.
KR10-2001-0069081A 2001-11-07 2001-11-07 토목공사의 성토부법면 녹화구조 KR100458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081A KR100458963B1 (ko) 2001-11-07 2001-11-07 토목공사의 성토부법면 녹화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081A KR100458963B1 (ko) 2001-11-07 2001-11-07 토목공사의 성토부법면 녹화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894A true KR20030038894A (ko) 2003-05-17
KR100458963B1 KR100458963B1 (ko) 2004-12-03

Family

ID=2956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081A KR100458963B1 (ko) 2001-11-07 2001-11-07 토목공사의 성토부법면 녹화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9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385B1 (ko) * 2003-07-31 2006-10-04 최종선 자연제방 축조 시공방법
KR100788942B1 (ko) * 2007-01-23 2007-12-27 최은성 인조매트 시공구조 및 그 방법
KR200454179Y1 (ko) * 2009-11-23 2011-06-21 이예순 어스와이어앵커
KR102103123B1 (ko) * 2019-12-05 2020-04-21 김양수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8119B1 (ko) 2008-02-13 2010-02-03 (주)자연과학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KR200448984Y1 (ko) 2008-05-16 2010-06-09 (주)자연과학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KR101213986B1 (ko) * 2010-05-06 2012-12-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KR101213985B1 (ko) * 2010-05-06 2012-12-2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구조물의 고정 장치
KR101055635B1 (ko) * 2010-07-08 2011-08-09 덕산콘크리트(주)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59050B1 (ko) * 2011-02-16 2013-04-29 청호산업 유한회사 블록 고정용 말뚝
KR101056727B1 (ko) 2011-03-18 2011-08-12 주식회사 녹색나라 식생매트용 고정구
KR101276997B1 (ko) 2011-07-19 2013-06-24 김병구 어스앵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2644A (en) * 1957-11-21 1961-12-12 Vern F Bush Anchor pile
US4178726A (en) * 1978-08-08 1979-12-18 Watson Gary Q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thread on an earth anchor
US5150549A (en) * 1992-01-03 1992-09-29 Chen Chin Lung Anchor pile and concrete protection wall construction using said anchor pile
TW457317B (en) * 1998-11-06 2001-10-01 Bridgestone Corp Resin net and its production method, and drawn product of polyethylene based resin
KR100352889B1 (ko) * 1999-09-29 2002-09-16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포트를 이용한 암비탈면 녹화공법
KR100352888B1 (ko) * 1999-09-29 2002-09-16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종비토 뿜어붙이기를 이용한 암비탈면 용출수 처리공법
KR100384232B1 (ko) * 2000-11-21 2003-05-22 주식회사 고산엔지니어링 낙석방지망용 와이어로프 지지구조
KR20030038893A (ko) * 2001-11-07 2003-05-17 김일신 토목공사용 앵커
KR100458962B1 (ko) * 2001-11-07 2004-12-03 김유신 암반면 녹화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385B1 (ko) * 2003-07-31 2006-10-04 최종선 자연제방 축조 시공방법
KR100788942B1 (ko) * 2007-01-23 2007-12-27 최은성 인조매트 시공구조 및 그 방법
KR200454179Y1 (ko) * 2009-11-23 2011-06-21 이예순 어스와이어앵커
KR102103123B1 (ko) * 2019-12-05 2020-04-21 김양수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8963B1 (ko) 200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534B1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어스앵커
KR100458963B1 (ko) 토목공사의 성토부법면 녹화구조
KR200448984Y1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KR20200123700A (ko) 절개지의 법면 보호용 식생매트 고정앵커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38119B1 (ko) 법면의 녹화구조에 사용되는 철판앵커 고정장치
US5720579A (en) Ground anchor
KR100443037B1 (ko) 법면보호블록
KR102169809B1 (ko) 결속력이 향상된 식생토낭 결속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54179Y1 (ko) 어스와이어앵커
KR101669891B1 (ko) 스톤네트 구조체
KR100458962B1 (ko) 암반면 녹화구조
KR101519230B1 (ko) 강재 사면 보호책
KR101219217B1 (ko) 토사 흐름방지 및 녹화를 위한 사면 안정화 시공방법
KR101213986B1 (ko) 사면 및 호안 복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KR200233315Y1 (ko) 지반 보강재
JP3862606B2 (ja) 樹木根系支圧による斜面安定工法及びその斜面安定装置
KR100594399B1 (ko) 건축물 비탈면 보호 구조
KR200287899Y1 (ko) 도로 비탈면 슬라이딩 방지용 십자용 조경블록 설치구조
KR100545663B1 (ko) 건축물 경사면 보호구조
KR100882186B1 (ko) 건축 또는 도로용 경사면의 토사 붕괴방지 시설
JP4461126B2 (ja) 法面植栽用土留め資材
KR200271898Y1 (ko) 법면보호블록
KR940008631B1 (ko) 비탈면 보호용 합성수지 수로망
JPH035137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