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123B1 -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3123B1
KR102103123B1 KR1020190161066A KR20190161066A KR102103123B1 KR 102103123 B1 KR102103123 B1 KR 102103123B1 KR 1020190161066 A KR1020190161066 A KR 1020190161066A KR 20190161066 A KR20190161066 A KR 20190161066A KR 102103123 B1 KR102103123 B1 KR 102103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vertical
frame
horizontal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수
강상철
Original Assignee
김양수
강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양수, 강상철 filed Critical 김양수
Priority to KR1020190161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폭포 구조물의 형성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적인 구성은, 인공폭포를 형성하기 위하여 터파기로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간으로 방수시트 및 부직포를 설치하며, 설치가 이루어진 방수시트의 상부로 레미콘을 타설하여 이루어지는 인공폭포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의 경사면에 후면이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경사면과 대향되는 전면으로는 복수개의 패턴블럭이 배열 배치되게 결합되는 수직고정부와, 상기 수직고정부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설치공간의 바닥면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으로는 복수개의 패턴블록이 배열 배치되게 결합되는 수평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블럭은 복수개의 설치공을 갖는 자연석 또는 인공석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부와 수평고정부의 연결 부위에는 수직고정부, 수평고정부, 패턴블럭의 결합을 지지하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ARTIFICIAL FALL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공폭포를 형성하기 위하여 터파기가 이루어진 장소에 설치되는 수직고정부와 수평고정부의 구성을 통하여 인공폭포 구조물의 형성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공폭포란, 높이가 있는 경사지 민 단에 물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낙차를 조성하여 형성되는 폭포를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공폭포는 설치되는 장소의 미적 효과를 높여주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를 이루고자 하는 환경이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대체적으로, 위와 같은 인공폭포는 목적과 구성요건에 따라 자연적으로 흐르는 물에 인위적인 낙차 단만 축조하는 인공폭포와, 자연경사지형에 동력으로 물을 끌러올려 조성시킨 폭포 등의 형태로 구분되며, 외장재료는 자연석이나 인조바위(FRP), 기와, 토관, 인조목 등이 주로 사용되어 인공폭포 구조물이 설치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에는 문헌(1)에서와 같이, 인공암을 미리 제작한 후 현장에서 조립하여 인공암의 설치를 이루며 인공폭포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인공폭포 구조물은 옹벽 구조물을 형성한 후에 옹벽 구조물의 일측에 인조암을 연결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조암을 지지할 수 있는 옹벽구조물을 설치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는 인조암의 지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힘든 문제가 있었으며, 인조암의 자체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의 인공폭포 구조물은 그 설치과정 또는 형성과정이 복잡함은 물론이고, 이에 따른 장시간의 인력 및 비용이 낭비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이 증대되는 문제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419413(2006.06.1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폭포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에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인공폭포 구조물의 설치를 이룰 수 있다.
둘째, 수직고정부에 결합되는 패털블럭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결합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인공폭포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인공폭포를 설치하기 위한 경사면에 수직고정부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패턴블럭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형성하고자 하는 인공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수직고정부에 결합되는 패턴블럭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인공폭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조립,분리가 용이한 수직고정부, 수평고정부, 패털블럭의 결합되는 구성을 통하여 설치가 편리함은 물론이고,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공폭포를 형성하기 위하여 터파기로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간으로 방수시트 및 부직포를 설치하며, 설치가 이루어진 방수시트의 상부로 레미콘을 타설하여 이루어지는 인공폭포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의 경사면에 후면이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경사면과 대향되는 전면으로는 복수개의 패턴블럭이 배열 배치되게 결합되는 수직고정부와, 상기 수직고정부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설치공간의 바닥면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으로는 복수개의 패턴블록이 배열 배치되게 결합되는 수평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블럭은 복수개의 설치공을 갖는 자연석 또는 인공석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부와 수평고정부의 연결 부위에는 수직고정부, 수평고정부, 패턴블럭의 결합을 지지하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고정부는 상기 경사면에 후면이 밀착되게 위치되는 메쉬망 구조의 수직틀과, 상기 수직틀의 후면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의 단부에 펼침 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면의 내측에 견고하게 삽입되는 수직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바는 내측 길이 방향으로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틀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테두리 부위에는 인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고정구는 상기 수직바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틀과 대향되는 테두리 부위에는 경사부가 형성된 결합몸체와, 상기 삽입공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고, 상기 인출공에 타단이 인출되게 결합되는 조절와이어와, 상기 결합몸체의 전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우산살 모양으로,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조절와이어가 결합되어 상기 인출공으로 인출된 조절와이어의 당김에 따라, 결합몸체의 전면에서 펼쳐지는 고정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고정부는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 위치되는 메쉬망 구조의 수평틀과, 상기 수평틀의 일측에 설치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단에는 상기 수직틀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는 장형의 삽입홈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바닥면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바가 구비된 지지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틀의 전면과 수평틀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설치구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구는 상기 수직틀 및 수평틀의 전면에 밀착되게 '+'자 형상의 결합홈이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과 인접한 일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구비된 결합몸체와,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틀 및 수평틀의 후면을 감싸도록 결합몸체에 볼트로 체결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틀의 전면에는 상기 설치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틀이 더 설치되고, 상기 설치틀은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이 일면에 형성된 판 형상의 설치판과, 상기 설치판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어 설치판의 상부에 놓이는 패턴블럭의 설치공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상부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틀에는 전면에 위치되는 패턴블럭의 설치공에 결합되게 복수개의 걸림고리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바는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어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타설공이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몸체는 상기 삽입공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배출공이 더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수직고정부와, 상기 수직고정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수평고정부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구조물을 통하여 인공폭포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인공폭포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터파기로 경사면 및 바닥면이 형성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설치공간형성단계; 상기 설치공간형성단계가 이루어진 설치공간에 방수시트 및 부직포를 설치하는 부재설치단계; 상기 부재설치단계가 이루어진 설치공간의 경사면으로 수직고정부를 이루는 수직틀의 일면이 밀착되게 위치시키고, 수직틀과 연결된 수직바를 경사면의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수직고정부설치단계; 상기 수평고정부의 지지틀과 수직틀의 하단이 연결되도록 설치공간의 바닥면 상부에 밀착되게 설치하고, 지지틀에 구비된 수평바가 바닥면의 내측에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수평틀이 바닥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고정 시키는 수평고정부설치단계; 상기 수평고정부설치단계가 이루어진 수직틀의 전면과 수평틀의 상면으로 복수개의 설치구를 결합하는 설치구설치단계; 상기 설치구설치단계가 이루어진 수직틀의 전면과 수평틀의 상면으로 자연석 또는 인공석으로 이루어진 패턴블럭을 설치하는 패턴블럭설치단계; 상기 패턴블럭설치단계 이후에 수직틀, 수평틀, 패턴블럭의 결합 부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타설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가 이루어진 수직틀, 수평틀, 패턴블럭의 결합 부위로 인공식재를 위치시켜 고정시키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치구설치단계 이후에는 상기 수직틀의 전면으로 복수개의 걸림고리를 결합하는 걸림고리설치단계가 더 이루어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인공폭포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장소에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인공폭포 구조물의 설치를 이룰 수 있다.
둘째, 수직고정부에 결합되는 패털블럭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결합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인공폭포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셋째, 인공폭포를 설치하기 위한 경사면에 수직고정부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패턴블럭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넷째, 형성하고자 하는 인공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수직고정부에 결합되는 패턴블럭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인공폭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다섯째, 조립,분리가 용이한 수직고정부, 수평고정부, 패털블럭의 결합되는 구성을 통하여 설치가 편리함은 물론이고, 사용 중 어느 하나의 구성이 손상되는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만을 교체하며 안정적인 사용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인공폭포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인공폭포 구조물의 다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인공폭포 구조물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인공폭포 구조물의 다른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인공폭포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인공폭포 구조물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다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고정부의 수직바 결합 상태를 도시한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요부 발췌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수직고정부의 전면에 설치틀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인공폭포 구조물에 복수개의 패턴블럭이 설치되어 콘크리트로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의 공정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의 다른 공정 흐름도.
이하, 도시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인공폭포를 형성하기 위하여 터파기로 설치공간(S)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간(S)으로 방수시트 및 부직포를 설치하며, 설치가 이루어진 방수시트의 상부로 레미콘을 타설하여 이루어지는 인공폭포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S)의 경사면(S1)에 후면이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경사면(S1)과 대향되는 전면으로는 복수개의 패턴블럭(30)이 배열 배치되게 결합되는 수직고정부(10)와, 상기 수직고정부(1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설치공간(S)의 바닥면(S2)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으로는 복수개의 패턴블록(30)이 배열 배치되게 결합되는 수평고정부(20)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블럭(30)은 복수개의 설치공(31)을 갖는 자연석 또는 인공석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부(10)와 수평고정부(20)의 연결 부위에는 수직고정부(10), 수평고정부(20), 패턴블럭(30)의 결합을 지지하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수직고정부(10)와 수평고정부(20)는 인공폭포를 형성하고자 하는 장소에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경사면(S1)과 바닥면(S2)이 형성된 설치공간(S)이 형성된 후에 상기 설치공간(S)의 경사면(S1)과 바닥면(S2)에 설치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수직고정부(10)와 수평고정부(20)가 연결되게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설치공간(S)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상기 수직고정부(10)와 수평고정부(20)의 갯 수와 연결되는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직고정부(1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경사면(S1)에 후면이 밀착되게 위치되는 메쉬망 구조의 수직틀(11)과, 상기 수직틀(11)의 후면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S1)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바(12)와, 상기 수직바(12)의 단부에 펼침 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면(S1)의 내측에 견고하게 삽입되는 수직고정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틀(11)은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내측에 공간을 갖는 사각틀의 내측으로 메쉬망 구조가 결합된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바(12)는 상기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틀(12)의 후면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복수개 구비되는 것으로, 설치공간(S)의 경사면(S1)으로 수직바(12)가 삽입된 형태를 이루도록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고정구(13)는 도 7 및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바(12)의 단부에 펼침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12)가 경사면(S1)의 내측에 설치를 이룬 경우, 상기 수직바(12)의 단부에서 펼쳐져 경사면(S1)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바(12)는 내측 길이 방향으로 삽입공(12a)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수직틀(11)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테두리 부위에는 인출공(12b)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수직구(13)는 상기 수직바(12)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삽입공(12a)과 대응되는 관통공(13a-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틀(11)과 대향되는 테두리 부위에는 경사부(13a-2)가 형성된 결합몸체(13a)와, 상기 삽입공(12a)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13a-1)에 관통되고, 상기 인출공(12b)에 타단이 인출되게 결합되는 조절와이어(13b)와, 상기 결합몸체(13a)의 전면에 스프링(13d)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우산살 모양으로, 상기 관통공(13a-1)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조절와이어(13b)가 결합되어 상기 인출공(12b)으로 인출된 조절와이어(13b)의 당김에 따라, 결합몸체(13a)의 전면에서 펼쳐지는 고정날개(13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수직바(12)의 인출공(12b)으로 노출된 조절와이어(13b)를 당기는 경우, 도 8에서와 같이, 결합몸체(13a)의 단부에 스프링(13d)을 개재하여 결합된 고정날개(13c)가 결합몸체(13a)의 경사부(13a-2)를 따라 이동되며 펼쳐지게 됨으로써, 고정날개(13c)의 펼쳐진 부위가 경사면(S1)의 내측에서 우산살 모양으로 위치되어 수직바(12)과 경사면(S1)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결합몸체(13a)와 고정날개(13c)의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13d)의 탄성력을 통하여 고정날개(13c)로 탄성력이 전달되게 구성됨으로써, 경사면(S1)의 내측에서 펼쳐진 상태를 이루는 고정날개(13c)가 경사면(S1)의 내측에서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바(12)는 상기 삽입공(12a)과 연통되어 콘크리트(C)가 주입되는 타설공(12c)이 더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결합몸체(13a)는 상기 삽입공(12a)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배출공(13a-3)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은,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경사면(S1)의 내측으로 수직고정구(13)가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경우, 상기 타설공(12c)으로 콘크리트(C)를 주입하여, 타설공(12c)으로 주입되는 콘크리트(C)가 수직바(12)의 삽입공(12a)을 따라 이동된 후, 결합몸체(13a)의 배출공(13a-3)을 따라 배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출공(13a-3)을 따라 배출되는 콘크리트(C)가 경사면(S1)의 내측에서 굳어져, 경사면(S1)의 내측에 설치되는 수직바(12)와 수직고정구(13)의 설치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고정부(20)는 상기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고정부(1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설치공간(S)의 바닥면(S2)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고정부(20)는 상기 바닥면(S2)의 상부에 위치되는 메쉬망 구조의 수평틀(21)과, 상기 수평틀(21)의 일측에 설치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단에는 상기 수직틀(11)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는 장형의 삽입홈(22a)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바닥면(S2)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바(22b)가 구비된 지지틀(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틀(21)은 견고한 재질의 금속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내측에 공간을 갖는 사각틀의 내측으로 메쉬망 구조가 결합된 형태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틀(22)은 상단에 형성된 삽입홈(22a)으로 상기 수직틀(11)의 하단이 안착되게 결합되어 수직고정바(10)와 수평고정바(20)가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지지틀(22)의 하단에 구비된 복수개의 수평바(22b)는 설치공간(S)의 바닥면(S2)에 삽입되게 설치되어 수평고정부(20)의 위치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수평고정부(20)와 연결된 수직고정부(10)의 설치 위치를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직틀(11)의 전면과 수평틀(21)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설치구(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설치구(40)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틀(11) 및 수평틀(21)의 전면에 밀착되게 '+'자 형상의 결합홈(41a)이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1a)과 인접한 일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41b)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결합돌기(41c)가 돌출 구비된 결합몸체(41)와, 상기 체결공(41b)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고정공(42a)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틀(11) 및 수평틀(21)의 후면을 감싸도록 결합몸체(41)에 볼트(P)로 체결되는 고정판(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상기 설치구(40)의 구성을 통하여 수직고정부(10)의 수직틀(11) 전면과 수평고정부(20)의 수평틀(21) 상부로 패턴블럭(30)의 설치를 용이하게 이루돌고 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도 2, 도 4,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설치구(40)의 결합몸체(41)에 형성된 결합홈(41a)이 수직틀(11) 및 수평틀(21)의 전면에 밀착되게 결합시킨 후, 고정판(42)의 고정공(42a)으로 삽입되는 볼트(P)가 결합몸체(41)의 체결공(41b)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결합몸체(41)와 고정판(42)이 수직틀(11)과 수평틀(21)의 메쉬망 구조를 전,후로 감싸도록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몸체(41)에 구비된 결합돌기(41c)로 패턴블럭(30)에 형성된 설치공(31a)이 끼워지도록 결합함으로써,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수직고정부(10)의 수직틀(11) 전면과, 수평고정부(20)의 수평틀(21) 상면으로 복수개의 패턴블럭(30)을 용이하게 설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틀(11)의 전면과 수평틀(12)의 상면에 결합되는 설치구(40)의 갯 수와 설치 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하여 수직틀(11)의 전면과 수평틀(12)의 상면에 결합되는 패턴블럭(30)의 갯 수와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며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수직틀(11)의 전면에는
상기 설치구(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틀(50)이 더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설치틀(50)은 상기 결합돌기(41c)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공(51a)이 일면에 형성된 판 형상의 설치판(51)과, 상기 설치판(51)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어 설치판(51)의 상부에 놓이는 패턴블럭(30)의 설치공(31)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상부돌기(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수직틀(11)의 전면에 설치하고자 하는 패턴블럭(30)의 형상에 따라 수직틀의 전면으로 복수개의 설치틀(50)을 설치 구성하여, 수직틀(11)의 전면에 다양한 위치와 형상으로 패턴블럭(30)을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틀(11)에는 전면에 위치되는 패턴블럭(30)의 설치공(31)에 결합되게 복수개의 걸림고리(16)가 더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걸림고리(16)는 상술한 설치틀(50)과 같이, 수직틀(11)의 전면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패턴블럭(30)의 형상에 따라 수직틀(11)의 전면에 설치되어 수직틀(11)의 전면에 다양한 위치와 형상으로 패턴블럭(30)을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수직틀(11)의 전면에 설치된 패턴블럭(30)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직고정부(10)와 수평고정부(20)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패턴블럭(30)의 형상이 자연석과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되도록 한 후, 수직고정부(10)와 수평고정부(20)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패턴블럭(30)의 사이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수직고정부(10), 수평고정부(20), 패턴블럭(3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먼저, 수직고정부(10)와, 상기 수직고정부(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수평고정부(20)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구조물을 통하여 인공폭포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인공폭포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터파기로 경사면(S1) 및 바닥면(S2)이 형성된 설치공간(S)을 형성하는 설치공간형성단계(10S);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는 인공폭포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를 선정하여 경사면(S1)과 바닥면(S2)이 형성된 설치공간(S)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설치공간형성단계(10S)가 이루어진 설치공간(S)에 방수시트 및 부직포를 설치하는 부재설치단계(20S);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단계는 종래의 방수시트 및 부직포를 설치하는 과정과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부재설치단계(20S)가 이루어진 설치공간(S)의 경사면(S1)으로 수직고정부(10)를 이루는 수직틀(11)의 일면이 밀착되게 위치시키고, 수직틀(11)과 연결된 수직바(12)를 경사면(S1)의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수직고정부설치단계(30S);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는 설치공간(S)의 경사면(S1)으로 수직틀(11)의 일면이 말착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직틀(11)과 연결된 수직바(12)가 경사면(S1)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산계에서는 수직바(12)의 단부에 연결된 수직고정구(13)를 이용하여 수직바(12)가 경사면(S1)의 내측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직고정부설치단계(30S) 이후에는 상기 수평고정부(20)의 지지틀(22)과 수직틀(21)의 하단이 연결되도록 설치공간(S)의 바닥면(S2) 상부에 밀착되게 설치하고, 지지틀(22)에 구비된 수평바(22b)가 바닥면(S2)의 내측에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수평틀(21)이 바닥면(S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고정 시키는 수평고정부설치단계(40S);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는 지지틀(22)에 형성된 삽입홈(22a)과 수평바(22b)의 구성을 통하여 지지틀(22)의 삽입홈(22a)으로 수직틀(11)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어 수직고정바(10)와 수평고정바(20)가 연결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설치공간(S)의 바닥면(S2)에 수평바(22b)가 삽입되도록 하여 바닥면(S2)의 상면에 수평고정부(20)가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고정부설치단계(40S)가 이루어진 수직틀(11)의 전면과 수평틀(21)의 상면으로 복수개의 설치구(40)를 결합하는 설치구설치단계(50S);를 수행한다.
이러한 단계는 후술할 패턴블럭설치단계(60S)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공간(S)의 경사면(S1)과 바닥면(S2)에 설치된 수직고정부(10)와 수평고정부(20)의 전면으로 복수개의 설치구(40)를 결합하여 수직고정부(10)와 수평고정부(20)의 전면에 복수개의 패턴블럭(30)을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단계 이후에는 패턴블럭설치단계(60S)가 더 수행되며, 상기 패턴블럭설치단계(60S)는 설치공간(S)에 설치된 수직고정부(10)의 전면과 수평고정부(20)의 상부로 자연석 또는 인공석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패턴블럭(30)을 설치하여 인공폭포 구조물의 형상을 이루기 위하여 수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패턴블럭설치단계(60S) 이후에는 수직틀(11), 수평틀(21), 패턴블럭(30)의 결합 부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타설단계(70S); 및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70S)가 이루어진 수직틀(11), 수평틀(21), 패턴블럭(30)의 결합 부위로 인공식재를 위치시켜 고정시키는 후처리단계(80S);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수직고정부(10)의 전면과, 수평고정부(20)의 상면으로 복수개의 패턴블럭(30)이 설치되는 경우, 수직틀(11), 수평틀(21), 패턴블럭(30)의 결합 부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직고정부(10)의 전면과 수평고정부(20)의 상면에 패턴블럭(30)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수직틀(11), 수평틀(21), 패턴블럭(30)의 결합 부위로 다양한 형상의 인공식재(나무, 풀)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설치구설치단계(50S) 이후에는 상기 수직틀(11)의 전면으로 복수개의 걸림고리(16)를 결합하는 걸림고리설치단계(50-1S)를 더 수행하게 됨으로써, 수직고정부(10)의 전면으로 패턴블럭(30)의 설치를 더욱 용이하게 이루고, 설치가 이루어진 패턴블럭(30)의 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요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수직고정부 11: 수직틀
12: 수직바 12a: 삽입공
12b: 인출공 12c: 타설공
13: 수직고정구 13a: 결합몸체
13a-1: 관통공 13a-2: 경사부
13a-3: 배출공 13b: 조절와이어
13c: 고정날개 16: 걸림고리
20: 수평고정부 21: 수평틀
22: 지지틀 22a: 삽입홈
22b: 수평바 30: 패턴블럭
31: 설치공 40: 설치구
41: 결합몸체 41a: 결합홈
41b: 체결공 41c: 결합돌기
42: 고정판 42a: 고정공
50: 설치틀 51: 설치판
51a: 결합공 52: 상부돌기
10S: 설치공간형성단계 20S: 부재설치단계
30S: 수직고정부설치단계 40S: 수평고정부설치단계
50S: 설치구설치단계 50-1S: 걸림고리설치단계
60S: 패턴블럭설치단계 70S: 콘크리트타설단계
80S: 후처리단계

Claims (9)

  1. 인공폭포를 형성하기 위하여 터파기로 설치공간(S)을 형성하고, 상기 설치공간(S)으로 방수시트 및 부직포를 설치하며, 설치가 이루어진 방수시트의 상부로 레미콘을 타설하여 이루어지는 인공폭포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간(S)의 경사면(S1)에 후면이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경사면(S1)과 대향되는 전면으로는 복수개의 패턴블럭(30)이 배열 배치되게 결합되는 수직고정부(10)와,
    상기 수직고정부(1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설치공간(S)의 바닥면(S2)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으로는 복수개의 패턴블록(30)이 배열 배치되게 결합되는 수평고정부(20)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블럭(30)은 복수개의 설치공(31)을 갖는 자연석 또는 인공석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부(10)와 수평고정부(20)의 연결 부위에는 수직고정부(10), 수평고정부(20), 패턴블럭(30)의 결합을 지지하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고정부(10)는
    상기 경사면(S1)에 후면이 밀착되게 위치되는 메쉬망 구조의 수직틀(11)과,
    상기 수직틀(11)의 후면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경사면(S1)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바(12)와,
    상기 수직바(12)의 단부에 펼침 가능하게 설치되어 경사면(S1)의 내측에 견고하게 삽입되는 수직고정구(13)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바(12)는 내측 길이 방향으로 삽입공(12a)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틀(11)과 결합이 이루어지는 테두리 부위에는 인출공(12b)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고정구(13)는
    상기 수직바(12)의 단부에 끼움 결합되며 내측 중심부에는 상기 삽입공(12a)과 대응되는 관통공(13a-1)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틀(11)과 대향되는 테두리 부위에는 경사부(13a-2)가 형성된 결합몸체(13a)와,
    상기 삽입공(12a)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관통공(13a-1)에 관통되고, 상기 인출공(12b)에 타단이 인출되게 결합되는 조절와이어(13b)와,
    상기 결합몸체(13a)의 전면에 스프링(13d)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우산살 모양으로, 상기 관통공(13a-1)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조절와이어(13b)가 결합되어 상기 인출공(12b)으로 인출된 조절와이어(13b)의 당김에 따라, 결합몸체(13a)의 전면에서 펼쳐지는 고정날개(1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고정부(20)는
    상기 바닥면(S2)의 상부에 위치되는 메쉬망 구조의 수평틀(21)과,
    상기 수평틀(21)의 일측에 설치되는 박스 형상으로, 상단에는 상기 수직틀(11)의 하단이 안착 결합되는 장형의 삽입홈(22a)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바닥면(S2)의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평바(22b)가 구비된 지지틀(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
  4.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틀(11)의 전면과 수평틀(21)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설치구(40)가 설치되고,
    상기 설치구(40)는
    상기 수직틀(11) 및 수평틀(21)의 전면에 밀착되게 '+'자 형상의 결합홈(41a)이 후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41a)과 인접한 일면에는 복수개의 체결공(41b)이 형성되며, 전면에는 결합돌기(41c)가 돌출 구비된 결합몸체(41)와,
    상기 체결공(41b)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고정공(42a)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틀(11) 및 수평틀(21)의 후면을 감싸도록 결합몸체(41)에 볼트(P)로 체결되는 고정판(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틀(11)의 전면에는
    상기 설치구(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틀(50)이 더 설치되고,
    상기 설치틀(50)은
    상기 결합돌기(41c)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결합공(51a)이 일면에 형성된 판 형상의 설치판(51)과,
    상기 설치판(51)의 상부로 돌출 구비되어 설치판(51)의 상부에 놓이는 패턴블럭(30)의 설치공(31)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상부돌기(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틀(11)에는 전면에 위치되는 패턴블럭(30)의 설치공(31)에 결합되게 복수개의 걸림고리(16)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12)는
    상기 삽입공(12a)과 연통되어 콘크리트(C)가 주입되는 타설공(12c)이 더 형성되고,
    상기 결합몸체(13a)는 상기 삽입공(12a)과 연통되는 복수개의 배출공(13a-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
  8. 수직고정부(10)와, 상기 수직고정부(10)의 하단에 설치되는 수평고정부(20)를 포함하는 인공폭포 구조물을 통하여 인공폭포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인공폭포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터파기로 경사면(S1) 및 바닥면(S2)이 형성된 설치공간(S)을 형성하는 설치공간형성단계(10S);
    상기 설치공간형성단계(10S)가 이루어진 설치공간(S)에 방수시트 및 부직포를 설치하는 부재설치단계(20S);
    상기 부재설치단계(20S)가 이루어진 설치공간(S)의 경사면(S1)으로 수직고정부(10)를 이루는 수직틀(11)의 일면이 밀착되게 위치시키고, 수직틀(11)과 연결된 수직바(12)를 경사면(S1)의 내측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수직고정부설치단계(30S);
    상기 수평고정부(20)의 지지틀(22)과 수직틀(21)의 하단이 연결되도록 설치공간(S)의 바닥면(S2) 상부에 밀착되게 설치하고, 지지틀(22)에 구비된 수평바(22b)가 바닥면(S2)의 내측에 견고하게 삽입되도록 하여 수평틀(21)이 바닥면(S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고정 시키는 수평고정부설치단계(40S);
    상기 수평고정부설치단계(40S)가 이루어진 수직틀(11)의 전면과 수평틀(21)의 상면으로 복수개의 설치구(40)를 결합하는 설치구설치단계(50S);
    상기 설치구설치단계(50S)가 이루어진 수직틀(11)의 전면과 수평틀(21)의 상면으로 자연석 또는 인공석으로 이루어진 패턴블럭(30)을 설치하는 패턴블럭설치단계(60S);
    상기 패턴블럭설치단계(60S) 이후에 수직틀(11), 수평틀(21), 패턴블럭(30)의 결합 부위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콘크리트타설단계(70S); 및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70S)가 이루어진 수직틀(11), 수평틀(21), 패턴블럭(30)의 결합 부위로 인공식재를 위치시켜 고정시키는 후처리단계(80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설치단계(50S) 이후에는
    상기 수직틀(11)의 전면으로 복수개의 걸림고리(16)를 결합하는 걸림고리설치단계(50-1S)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190161066A 2019-12-05 2019-12-05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KR102103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066A KR102103123B1 (ko) 2019-12-05 2019-12-05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066A KR102103123B1 (ko) 2019-12-05 2019-12-05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123B1 true KR102103123B1 (ko) 2020-04-21

Family

ID=70456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066A KR102103123B1 (ko) 2019-12-05 2019-12-05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12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894A (ko) * 2001-11-07 2003-05-17 김일신 토목공사의 성토부법면 녹화구조
KR200419413Y1 (ko) 2006-04-12 2006-06-20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KR100711643B1 (ko) * 2006-05-19 2007-05-02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인공하천 조성방법 및 구조
KR101693345B1 (ko) * 2016-06-29 2017-01-17 (주)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1778653B1 (ko) * 2016-12-27 2017-09-14 윤복모 인공암 패널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821676B1 (ko) * 2017-02-17 2018-01-24 안산조경개발 주식회사 자연석을 이용한 인공폭포 시공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894A (ko) * 2001-11-07 2003-05-17 김일신 토목공사의 성토부법면 녹화구조
KR200419413Y1 (ko) 2006-04-12 2006-06-20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인공암을 이용한 인공폭포
KR100711643B1 (ko) * 2006-05-19 2007-05-02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인공하천 조성방법 및 구조
KR101693345B1 (ko) * 2016-06-29 2017-01-17 (주)상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자연석을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1778653B1 (ko) * 2016-12-27 2017-09-14 윤복모 인공암 패널을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821676B1 (ko) * 2017-02-17 2018-01-24 안산조경개발 주식회사 자연석을 이용한 인공폭포 시공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36445B (zh) 一种基于可调节沟槽成型模具的梯形排水沟浇筑成型方法
CN109715895A (zh) 锚固件
CN106968269B (zh) 一种基于砖胎膜造型墙的地下室挡墙施工方法
KR102103123B1 (ko)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CN210439313U (zh) 一种用于基础建筑工程的边坡加固系统
KR101081551B1 (ko) 토낭에 토사를 주입하기 위한 장치
WO2019218068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for hardscape structure
KR100906137B1 (ko) 가로등주의 기초구조물 및 기초와 이에 장착되는 가로등주
KR101250304B1 (ko) 본체 지지형 식생철망바구니
CN106978819B (zh) 一种无肥槽施工地下室挡墙
JP2005061144A (ja) 法面の緑化工法
KR100880016B1 (ko) 지붕 녹화용 식생 유니트를 이용한 지붕 녹화 시스템
CN208633670U (zh) 一种可周转多功能围挡结构
CN207126779U (zh) 一种用于水泥稳定碎石基层原材料的筛石器及筛石系统
CN220753754U (zh) 一种用于天线系统的大阵面架空地网的快速展收装置
CN215465992U (zh) 一种建筑施工用筛沙装置
KR200418741Y1 (ko) 휀스 고정구
CN216786749U (zh) 一种园林规划用鹅卵石铺设装置
CN214401817U (zh) 利用栈桥格构柱搭设溜管的混凝土浇筑结构
CN218406612U (zh) 一种幕墙预埋件的定位组件
CN207567792U (zh) 一种深沉稳定岩石边坡绿化机构
JP2004244880A (ja) 法面の緑化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法枠用網型枠
CN213978817U (zh) 一种防护型生态堤岸
CN217106471U (zh) 一种装配式钢结构绿色生态围挡
CN210976879U (zh) 可拆卸围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