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1643B1 - 인공하천 조성방법 및 구조 - Google Patents

인공하천 조성방법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1643B1
KR100711643B1 KR1020060045338A KR20060045338A KR100711643B1 KR 100711643 B1 KR100711643 B1 KR 100711643B1 KR 1020060045338 A KR1020060045338 A KR 1020060045338A KR 20060045338 A KR20060045338 A KR 20060045338A KR 100711643 B1 KR100711643 B1 KR 100711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rming
river
artificial
artificial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황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45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하천 조성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인공하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외에도 도입 적용할 수 있는 소규모 하천을 조성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미관을 좋게 하며 가습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하천을 조성하기 위하여 중앙이 파인 형상으로 점차 고도가 낮아지는 원지반(1)을 형성하는 터파기과정과, 원지반(1)을 따라 제1 자갈층(2)을 형성하는 배수층 형성과정과, 제1 자갈층(2)의 위에 제1완충패드층(3)을 형성하는 제1 완충패드 형성과정과, 저면에서 양측면에 이르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부직포가 형성된 방수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펴 놓는 방수층(4) 형성과정과, 방수층의 상부에 흙으로 구성된 제2완충패드층(5)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방수층(4)의 위에 제2 자갈층(6)을 형성하는 자갈층 형성과정과, 상기 제2 자갈층(6)의 위에 몰탈의 형태로 된 찰흙을 바르는 황토층(7) 형성과정과, 내부 양측에 목재(a) 또는 돌로 하천 둑을 형성하여 인공하천의 물 흐름 경로를 설정하는 엣지 형성과정과, 인공하천의 바닥면에 바닥돌(8)을 까는 사석 형성과정과,인공하천의 바닥면 및 양측면의 틈새를 황토(9)로 막는 틈새 충전과정과, 형성된 인공하천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과정과, 형성된 인공하천의 주변 공간을 흙(10)으로 메우고 각종 수생식물(11)을 심는 성토 및 식재과정의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인공하천

Description

인공하천 조성방법 및 구조{The manufacturing structure and method for an artificially created ri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하천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하천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하천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지반 2 : 제1 자갈층
3 : 제1완충패드층 4 : 방수층
5 : 제2완충패드층 6 : 제2자갈층
7 : 황토층 8 : 바닥돌
9 : 황토 10 : 흙
11 : 수생식물 12 : 저수조
13 : 고수조 14 : 연결관로
15 : 순환장치 a : 목재
본 발명은 인공하천 조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며 실외 또는 실내에 소규모의 인공하천을 조성하여 장식성을 부여하고 실내의 경우 가습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인공하천 조성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화된 사회는 비록 최근에는 친환경적인 요소를 많이 반영하고 있으나 자연을 파괴하면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구가 밀집된 도심에서 자연적인 하천을 볼 수 있는 기회는 극히 드물며 이에 각 공원 같은 곳에서는 인공 호수나 폭포 등을 조성하여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이끌어 내려고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공 폭포 또는 호수와 같은 것은 충분한 설치 공간이 필요하며 이를 조성하기 위한 비용이 막대하게 소모되어 사실상 흔히 지나가는 도심 속에서는 이를 보기에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에 건물 외곽이나 건물 내부에 인공적으로 소규모의 폭포를 비롯한 하천을 설치한 경우가 있으나 이는 대부분 시멘트 또는 합성수지로 일정 형상을 만들고 단지 물을 흘려 보내는 정도에 불과하며 그 주변에는 인조 식물 또는 화분과 같은 적은 분량의 흙에 심어지는 식물이 심어지게 된다.
이는 비록 한정된 소규모의 공간에서 자연과 가까이 있는 기분을 느끼게는 할 수 있으나 천연의 하천과 비교하면 그 차이가 확연하게 구분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 은 실내외에 소형의 인공하천을 조성하는 방법과 그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최대한 인공하천의 모든 재료를 자연 그대로의 것으로 하여 친환경적인 인공하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인공하천에서 흐르는 물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실내 코너에서도 설치가 용이한 인공하천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실내에서 가습효과와 축경의 경관을 제공 할 수 있는 인공하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공하천을 조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천을 조성하기 위하여 중앙이 파인 형상으로 점차 고도가 낮아지는 원지반을 형성하는 터파기과정과;
원지반을 따라 제1 자갈층을 형성하는 배수층 형성과정과;
제1 자갈층의 위에 제1완충패드층을 형성하는 제1 완충패드 형성과정과;
저면에서 양측면에 이르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부직포가 형성된 방수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펴 놓는 방수층 형성과정과;
방수층의 상부에 흙으로 구성된 제2완충패드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방수층의 위에 제2 자갈층을 형성하는 자갈층을 형성과정과;
상기 제2 자갈층의 위에 몰탈의 형태로 된 찰흙을 바르는 황토층을 형성과정과;
내부 양측에 목재 또는 돌로 하천 둑을 형성하여 인공하천의 물 흐름 경로를 설정하는 엣지 형성과정과;
인공하천의 바닥면에 바닥돌을 까는 사석 형성과정과;
인공하천의 바닥면 및 양측면의 틈새를 황토로 막는 틈새 충전과정과;
형성된 인공하천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과정으로 형성된 인공하천의 주변 공간을 흙으로 메우고 각종 수생식물을 심는 성토 및 식재과정의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방수층 형성과정과 자갈층 형성과정의 사이에는 제2 완충패드 층(흙 충전)이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층 형성과정 이전에 상부에는 고수조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저수조를 형성하며, 상기 저수조와 고수조를 연결하는 연결관로를 매설하되, 상기 연결관로에는 저수조(소)에 순환장치를 연결하여 물썩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하천을 나타낸 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하천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하천을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로서, 인공하천을 조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천을 조성하기 위하여 중앙이 파인 형상으로 점차 고도가 낮아지는 원지반(1)을 형성하는 터파기과정과;
원지반(1)을 따라 제1 자갈층(2)을 형성하는 배수층 형성과정과;
제1 자갈층(2)의 위에 제1완충패드층(3)을 형성하는 제1 완충패드 형성과정과;
저면에서 양측면에 이르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부직포가 형성된 방수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펴 놓는 방수층(4) 형성과정과;
방수층의 상부에 흙으로 구성된 제2완충패드층(5)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방수층(4)의 위에 제2 자갈층(6)을 형성하는 자갈층 형성과정과;
상기 제2 자갈층(6)의 위에 몰탈의 형태로 된 찰흙을 바르는 황토층(7) 형성과정과;
내부 양측에 목재(a) 또는 돌로 하천 둑을 형성하여 인공하천의 물 흐름 경로를 설정하는 엣지 형성과정과;
인공하천의 바닥면에 바닥돌(8)을 까는 사석 형성과정과;
인공하천의 바닥면 및 양측면의 틈새를 황토(9)로 막는 틈새 충전과정과;
형성된 인공하천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과정과;
형성된 인공하천의 주변 공간을 흙(10)으로 메우고 각종 수생식물(11)을 심는 성토 및 식재과정의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하천 조성방법을 나타내었다.
이때 터파기과정은 원지반(1)의 형성을 위하여 지면을 파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일정공간에 인공하천을 조성하기 위하여 흙이나 기타 물질로 채운 다음 원하는 하천의 형태에 따라 파는 작업(수평/수직/소-깊이조절)을 포함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파는 작업 없이 원지반(1)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원지반(1)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본 발명의 터파기과정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배수층 형성과정은 물이 흐르는 곳이 아닌 그 주변에 침투하는 물이 용이하게 배수(맹암거시설)되도록 한 것으로 특히 각종 식물을 심었을 경우에 그 식물의 생육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패드 형성과정은 상기 방수시트를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여 손상되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수층 형성과정과 자갈층 형성과정의 사이에 제2 완충패드 형성과정을 추가로 구성하였다.
이는 상하의 제1완충패드층(3)과 제2완충패드층(5)에 의하여 안전하게 방수시트로 구성된 방수층(4)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엣지 형성과정은 구상된 하천의 물흐름의 경로에 따라 그 테두리를 형성하는 작업으로 작업자는 임의로 물의 흐름을 직선형과 곡선형으로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은 폭포나 웅덩이까지 자유롭게 돌이나 목재의 재료로 물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엣지 형성과정으로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하여 코너나 일정 공간의 둘레를 따라 이어지는 인공하천의 조성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형성된 인공하천의 주변 공간을 흙(10)으로 메우고 각종 식재(11)를 심는 성토 및 식재과정을 두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충분한 흙을 확보할 수 있어 비교적 소형의 각종 식물을 용이하게 심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공하천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상기 방수층 형성과정 이전에 상부에는 고수조(12)를 형성하고 하부에는 저수조(13)를 형성하며, 상기 저수조(12)와 고수로(13)를 연결하는 연결관로(14)를 매설하되 상기 연결관로(14)에는 저수조(12)에서 고수조(13) 방향으로 물은 이송하는 순환장치(15)를 장착하는 순환장치 장착과정이 추가로 구성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순환장치에 의하여 물의 별도 보충 없이 장시간 자체적으로 순환하여 물이 흐르도록 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저수조(13) 또는 연결관로(14)에 물을 정화할 수 있는 시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는 규모에 따라 호수와 같은 형상으로 조성하여 각종 물고기나 수중식물이 자라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인공하천의 구조는,
하천을 조성하기 위하여 중앙이 파인 형상으로 점차 고도가 낮아지는 원지반부(1)와;
원지반부(1)를 따라 암거배수를 위해 형성되는 제1자갈층(2)과;
제1자갈층(2)의 위에 형성되며, 모래와 흙으로 구성된 제1완충패드층(3)과;
저면에서 양측면에 이르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부직포로 구성된 방수시트(4a)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포설되는 방수층(4)과;
방수층(4)의 상부에 형성되며, 흙으로 구성된 제2완충패드층(5)과;
상기 방수층(4)의 위에 형성되는 제2자갈층(6)과;
상기 제2 자갈층(6)의 위에 몰탈의 형태로 된 찰흙이 포설되는 황토층(7)과;
인공하천의 바닥면에 바닥돌등이 설치된 후 관수 및 식재가 되는 한편, 상기 방수층(4)의 형성전에 상부에는 고수조(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저수조(13)가 형성된 단차가 진 계류형으로 사행천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12)와 고수조(13)를 연결하는 연결관로(14)가 매설되되 상기 연결관로(14)에는 저수조(12)에서 고수조(13) 방향으로 물은 이송하는 순환장치(15)가 구비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외에 소형의 인공하천을 조성하여 장식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대한 인공하천의 재료를 자연 그대로의 것으로 한 친환경적인 인공하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인공하천에서 흐르는 물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실내 코너에서도 설치가 용이하여 실내외의 잔여공간의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실내에서 인공하천에서 증발되는 수증기에 의하여 특히 겨울철 실내에 가습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인공하천을 조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천을 조성하기 위하여 중앙이 파인 형상으로 점차 고도가 낮아지는 원지반(1)을 형성하는 터파기과정과;
    원지반(1)을 따라 제1 자갈층(2)을 형성하는 배수층 형성과정과;
    제1 자갈층(2)의 위에 제1완충패드층(3)을 형성하는 제1 완충패드 형성과정과;
    저면에서 양측면에 이르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부직포가 형성된 방수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펴 놓는 방수층(4) 형성과정과;
    방수층의 상부에 흙으로 구성된 제2완충패드층(5)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방수층(4)의 위에 제2 자갈층(6)을 형성하는 자갈층 형성과정과;
    상기 제2 자갈층(6)의 위에 몰탈의 형태로 된 찰흙을 바르는 황토층(7) 형성과정과;
    내부 양측에 목재(a) 또는 돌로 하천 둑을 형성하여 인공하천의 물 흐름 경로를 설정하는 엣지 형성과정과;
    인공하천의 바닥면에 바닥돌(8)을 까는 사석 형성과정과;
    인공하천의 바닥면 및 양측면의 틈새를 황토(9)로 막는 틈새 충전과정과;
    형성된 인공하천에 물을 공급하는 관수과정과;
    형성된 인공하천의 주변 공간을 흙(10)으로 메우고 각종 수생식물(11)을 심 는 성토 및 식재과정의 일련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하천 조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 형성과정과 자갈층 형성과정의 사이에는 제2 완충패드 형성과정이 추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하천 조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의한 방법으로 시공되는 인공하천의 구조에 있어서,
    하천을 조성하기 위하여 중앙이 파인 형상으로 점차 고도가 낮아지는 원지반부(1)와;
    원지반부(1)를 따라 암거배수를 위해 형성되는 제1자갈층(2)과;
    제1자갈층(2)의 위에 형성되며, 모래와 흙으로 구성된 제1완충패드층(3)과;
    저면에서 양측면에 이르는 각각 상부와 하부에 부직포로 구성된 방수시트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게 포설되는 방수층(4)과;
    방수층(4)의 상부에 형성되며, 흙으로 구성된 제2완충패드층(5)과;
    상기 방수층(4)의 위에 형성되는 제2자갈층(6)과;
    상기 제2자갈층(6)의 위에 몰탈의 형태로 된 찰흙이 포설되는 황토층(7)과;
    인공하천의 바닥면에 바닥돌등이 설치된 후 관수 및 식재가 되는 한편, 상기 방수층(4)의 형성전에 상부에는 고수조(1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저수조(13)가 형성된 단차가 진 계류형으로 사행천이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12)와 고수조(13)를 연결하는 연결관로(14)가 매설되되 상기 연결관로(14)에는 저수조(12)에서 고수 조(13) 방향으로 물을 이송하는 순환장치(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하천의 구조.
KR1020060045338A 2006-05-19 2006-05-19 인공하천 조성방법 및 구조 KR100711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338A KR100711643B1 (ko) 2006-05-19 2006-05-19 인공하천 조성방법 및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338A KR100711643B1 (ko) 2006-05-19 2006-05-19 인공하천 조성방법 및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549U Division KR200430748Y1 (ko) 2006-05-19 2006-05-19 인공하천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643B1 true KR100711643B1 (ko) 2007-05-02

Family

ID=3826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338A KR100711643B1 (ko) 2006-05-19 2006-05-19 인공하천 조성방법 및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123B1 (ko) * 2019-12-05 2020-04-21 김양수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7812A (ja) 1981-09-18 1983-03-19 Onoda Cement Co Ltd 人工川床
JPH10121432A (ja) 1996-10-18 1998-05-12 Kozaburo Hayashi 河川構造
KR20030016342A (ko) * 2003-01-28 2003-02-26 안학현 자연형 하천 조성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7812A (ja) 1981-09-18 1983-03-19 Onoda Cement Co Ltd 人工川床
JPH10121432A (ja) 1996-10-18 1998-05-12 Kozaburo Hayashi 河川構造
KR20030016342A (ko) * 2003-01-28 2003-02-26 안학현 자연형 하천 조성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123B1 (ko) * 2019-12-05 2020-04-21 김양수 인공폭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인공폭포 구조물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59104B (zh) 生态型护坡结构及施工方法
CN101138294A (zh) 高水位盐渍土区局部控制绿化技术
KR101038060B1 (ko) 인공생태연못 및 그 조성방법
WO2020010529A1 (zh) 一种绿色生态边坡一体化加固方法
JP6532278B2 (ja) ミズゴケ湿原再生方法及び再生基盤
KR100711643B1 (ko) 인공하천 조성방법 및 구조
KR20160012390A (ko) 식물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근고공 일체형 친환경 식생호안 및 그 시공방법
KR200412590Y1 (ko) 사면녹화용 식생블록
KR200430748Y1 (ko) 인공하천의 구조
CN105178134A (zh) 一种沟盖及一种道路绿色改造方法
CN213296235U (zh) 一种用于城区河道治理的生态护岸结构
KR100352143B1 (ko) 가로수의 생육여건개선용 식수대(植樹帶) 시공방법
KR101698129B1 (ko) 식재 지반 조성을 위한 에코파이프 설치방법
JP3103300B2 (ja) 貯水設備
CN208300421U (zh) 一种水利工程环保生态墙结构
JP2852879B2 (ja) 河川用覆土ブロックおよびコンクリート覆土ブロック護岸
CN114197605B (zh) 一种节水型雨水湿塘及构建方法
CN109826155B (zh) 岩溶地质河道结构及其施工方法
JP2005027608A (ja) 植栽基盤装置
KR200267993Y1 (ko) 원지반 식생 환경블록
CN103070036A (zh) 一种城市立体绿化体构建方法
KR200442433Y1 (ko) 자연 생태 복원 방법으로 구축한 하상 바닥을 포함하는 도시 하천의 사면 구조
KR200262840Y1 (ko) 경사면 공사용 호안 블럭
KR200416518Y1 (ko) 수분 보존형 망형 식생블록
KR20100075003A (ko) 인공구조물을 이용한 천연잔디 포장재 및 그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