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439B1 - 용량성 물 감지 수단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용량성 물 감지 수단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439B1
KR101017439B1 KR1020030087408A KR20030087408A KR101017439B1 KR 101017439 B1 KR101017439 B1 KR 101017439B1 KR 1020030087408 A KR1020030087408 A KR 1020030087408A KR 20030087408 A KR20030087408 A KR 20030087408A KR 101017439 B1 KR101017439 B1 KR 101017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ies
measurements
value
sensing means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9269A (ko
Inventor
크리스또쁘 제르미게
뱅쌍 베르세스
장-자끄 보른
Original Assignee
아스라브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라브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아스라브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40049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9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01F23/2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 G01F23/26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mounting arrangements of pro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4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variation of applied mechanical force, e.g. of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01F23/2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 G01F23/265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for discrete lev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2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 G01N27/22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capaci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e.g. humid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글래스(3)로 덮힌 케이스(2)를 포함하면서, 글래스(3)와 케이스(2)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체의 외부 영역과 접촉하는 물의 존재를 감지하는 물 존재 감지 수단(20, 22)을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1)가 공개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물 존재 감지 수단(20, 22)은 장치(1)의 둘레에 배열되는 다수의 용량성 센서(20)를 포함하여, 장치(1)가 물에 잠길 때 각각의 커패시턴스 변화를 일으키도록 한다. 따라서, 각 센서(20)의 커패시턴스 값의 양이 주기적으로 측정되고 저장된다. 각각의 측정 이후마다, 얻어진 새로운 값은 해당 커패시턴스의 어떤 변화를 감지하도록 선행 값과 비교된다. 용량성 센서(20) 일부의 커패시턴스들이 두 측정치 사이에서 크게 변할 때, 물 존재 감지가 비준된다.

Description

용량성 물 감지 수단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 구현 방법{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PACITIVE WATER DETECTION MEANS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도 1은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선호되는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2는 물존재 감지 수단의 한 실시예에 대한 단순화된 회로도.
도 3은 물 존재 감지 수단이 다수의 용량성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 발명에 따른 장치의 일례의 실시예에 대한 블록도표.
본 발명은 전자식 회로에, 특히 데이터 처리 유닛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수단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전자식 회로는 글래스로 덮힌 케이스로 만들어진 조립체에 내장되며, 이 전자식 장치는 데이터 처리 유닛에 전달될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물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수단과 압력 센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감지 수단에는 커패시터를 포함한 한개 이상의 용량성 센서가 배치되며, 이때, 상기 커패시터의 한개의 플레이트는 케이스-글래스 조립체의 내측 영역 상에 배열되는 전극에 의해 형성된다. 이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는 상기 전극에 면하는 케이스-글래스 조립체의 외측 영역과 직접 접촉하는 외부 매체의 성질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측 영역은 물과 접촉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전자식 장치 내 물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에 또한 관련된다.
이러한 종류의 전자식 장치는 당 분야에서 이미 소개된 바 있다.
일본실용신안 60-183896 호(1985.12.06)는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물 속에 잠긴 깊이를 측정하고 표시하는 수단을 갖춘 전자식 장치를 소개한다. 압력 센서 동작에 관련된 전력 소모가 크기 때문에, 장치를 착용한 사람이 물 속에 있지 않을 때 상기 전력을 차단시키기 위해, 압력 센서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고자 물 존재 감지 수단이 장치에 제공되었다. 따라서, 여기서 제시되는 해법은 글래스 내면에 배열되는 투과성 전극을 포함하는 용량성 센서를 이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물이 글래스와 접촉할 때 이 용량성 센서에 의해 커패시턴스가 나타나게 하여, 전자식 처리 회로를 통과하는 기준 신호를 수정하게 한다. 따라서, 물이 장치의 글래스와 접촉되었음이 감지되었을 때만 압력 센서에 에너지가 공급된다.
무엇보다도, 오옴식 물 존재 감지 수단이 구현되는 사항에 관하여 수많은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 감지 수단들은 전력 소모가 합리적임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는 측면에서 단점을 가진다. 특히, 장치의 케이스에 애퍼처가 제공되어야 하며, 이는 물의 저항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이유로, 출원인은 장치 케이스에 특별한 애퍼처를 제공할 필요성을 제거하면서, 용 량성 감지 시스템을 개선시키고자 노력을 경주하였다.
상기 일본실용신안에 제시되는 기술적 해법은 다수의 단점을 가진다. 특히, 압력 센서에 대한 전력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가 제공되어, 물 존재 감지 수단과 연계하여 동작한다. 물 존재 감지 수단이 보조 스위치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메인 스위치가 존재함으로서, 장치가 물에 잠기지 않았을 때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따라서, 아래에 설명되는 경우들에서 유용할 수 있다. 더욱이, 메인 스위치를 배열시키는 위치는 물 존재 감지 수단이 클럭 신호로부터 영구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도록 설정된다. 이 감지 수단은 물 존재 테스트가 영구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한 에너지의 장기적 소모에 책임이 있으며, 압력 센서에 대한 전력 공급 차단 수단의 보조 스위치 기능이 감지 수단의 하향에 위치한다.
제시되는 해법이 용량성 센서에 대해 설명된 구조가 스트레이 커패시턴스(stray capacitance)를 가진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스트레이 커패시턴스는 장치의 글래스에 형성되는 비교적 높은 값의 커패시턴스를 선택하게 하여, 감지 수단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킨다. 결과적으로, 커패시턴스가 높기 때문에 감지 수단의 전력 소모가 높다는 사실로부터 추가적인 결점이 생긴다. 스트레이 커패시턴스가 장치 환경의 함수로 변할 수 있고 특히 온도의 함수로 변경될 수 있다고 할 경우 이 커패시턴스값은 더 높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기준 신호의 수정을 감지함으로서 물 존재 감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리고 이 수정의 진폭이 물 존재로 인해 나타나는 커패시턴스 값과 함께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 커패시턴스는 전자식 처리 회로에 의해 수정 진폭을 감지할 수 있기에 충분한 만큼의 값을 가져야 한다.
더욱이, 스트레이 커패시턴스의 값은 장기간에 걸쳐 요동할 수 있으며, 이는 감지 수단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특히 실행된 측정이 절대치가 아니라 비교치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전력소모가 적은 용량성 물존재 감지 수단을 포함하면서 또한 포괄적 환경 조건에서 장기간 지속적인 신뢰도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공지 기술의 기언급한 단점들을 극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이다.
따라서 발명은 상술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 장치를 제공하며, 특히, 압력 센서가 두개 이상의 전력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모드인 표면 모드와 제 2 모드인 다이브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감지 수단이 커패시터 커패시턴스를 나타내는 양의 측정을 실행하도록 주기적으로 활성화되며, 이때, 감지 수단은 상기 양의 두가지 이상의 일련의 측정치를 비교하여 지정값보다 높은 양의 두 일련의 측정치 사이에서 변화에 따라 다이브 전력공급 모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 및 전기 신호 생성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또한가지 특징으로 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장치의 글래스에 다수의 용량성 센서가 규칙적으로 분포되며, 각 센서들의 커패시턴스를 나타내는 양이 감지 수단의 각 전력 공급 주기에서 측정되어, 단일 센서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이브 전력 모드의 부주의한 트리거링을 제한한다. 따라서 감지 수단은 측정된 양의 일부(선호되기로는 반이상, 또는 전부)가 지정값보다 크게 변할 때 다이브 전력공급 모드를 활성화시키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글래스의 총표면적 중 넓은 부분이 분석되어, 장치 착용자가 글래스 위에 손가락을 얹자마자 압력 센서 전력 공급이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안으로, 글래스 내면에 단일 전극이 배열될 수 있고, 이 전극은 글래스 표면 전체를 커버한다. 트리거 한도가 제공될 수 있고, 용량성 센서의 커패시턴스가 커버링된 표면의 함수인 한, 이 한도는 커버링된 글래스 전체 표면의 비율에 대한 지정값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측정양의 값이 글래스 총표면의 반이 덮히는 경우에 해당할 때, 장치가 물에 잠겼음을 가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술한 주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다이브 전력 공급 모드의 활성화를 위해, 두 일련의 측정치간 측정량 변화는 지정 한도보다 높은 값을 가진 새 지정값을 넘어야 한다.
발명에 따른 물 존재 감지 수단이 다이빙 컴퓨터형 장치에서, 또는 다이빙 전용 기능을 내장한 손목시계형 장치에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에, 사용자가 다이빙 상황에 놓이지 않았을 때도 압력 측정이 정기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정은 다이빙의 매개변수 결정의 정확도 개선을 위해, 시계에 구현된 알고리즘 연산으로 실행될 수 있다.
더욱이, 용량성 센서의 추가적 이용은 센서가 수동 제어 부재 기능을 만족시키도록 장치가 잠기지 않을 때 고려될 수 있다.
도 1은 케이스(2)와 글래스(3)를 포함하는 손목시계형태로 나타나는 전자식 장치(1)의 단면도이다. 전자 회로(4))가 케이스(2) 내부에 배치된다. 공지 기술에서 알려진 구조에 따르면, 투과성인 전도성 전극(5)이 장치(1)의 글래스(3) 내면(67)에 배열된다. 전도체(7)는 전자 회로(4)에 전극(5)을 연결한다. 배터리나 다른 전력 공급원(8)이 케이스(2)에 또한 배열되며, 전도체(9)에 의해 전자 회로(4) 양의 단자에 연결된다.
전극(5)은 용량성 센서(20)(도 2)의 플레이트 중 하나를 형성하며, 이 용량성 센서의 나머지 플레이트(21)는 장치(1)가 물에 잠길 때 글래스(3)를 덮는 물에 의해 형성된다. 이 물에 의해 장치(1)의 케이스(2)와 글래스(3)간에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며, 이는 배터리(8)와 전자 회로(4)의 음단자에 케이스(2)가 연결될 경우 글래스(3) 외면의 전위를 전자 회로(4)의 접지부(11)로 되보내는 효과를 가진다.
장치(1)는 전도체(13)에 의해 전자 회로(4)에 연결되면서 케이스(2)에 내장된 기존 형태의 압력 센서(12)를 추가로 포함한다.
도 2는 용량성 센서(20)의 활성화시 전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면서 도 1의 장치(1)에 사용되는 물 존재 감지 전자 회로(22)의 선호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감지 회로(22)는 데이터 처리 유닛에 연결된 주파수 감지기 DF에 연결되어, 압력 센서(12)의 동작을 관리한다.
감지 회로(22)는 용량성 센서(20)를 포함하고, 반면에 스트레이 커패시턴스 Cp는 장치(1)의 케이스(2)와 전극(5)간 구성에 의해 나타난다. 이 스트레이 커패시턴스는 도 2의 커패시터(23)로 나타난다. 용량성 센서(20)와 커패시터(23)는 동작 증폭기(23)의 역전 입력과 접지부(11) 사이에 병렬로 연결된다.
감지 회로(22)는 접지부(11)와 증폭기(24) 출력 사이에 모두 직렬 연결되는 저항(25, 26, 27)을 또한 포함한다. 증폭기(24)의 비-역전 입력은 저항(26, 27)간 정션에 연결된다. 이 구조에서, 증폭기(24)와 저항(25, 26, 27)은 증폭기(24)의 역전 및 비-역전 입력에 존재하는 상대 전압치의 함수로, 높은 로직 값이나 낮은 로직값을 가지는 신호를 저항(25, 26)간 정션인 출력부(28)에서 공급하는 슈미트 트리거(Schmidt trigger)를 형성한다. 맨위에서 아래까지 장착되는 두 제너 다이오드(29, 30)는 이 로직 수준을 각각 규정하는 전압값을 안정시키기 위해, 출력부(28)와 접지부(11) 사이에 연결된다.
감지 회로(22)는 증폭기(24)의 역전 입력 및 출력부(28)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31)을 또한 포함한다. 이 저항(31)은 용량성 센서(20) 및 커패시터(23)와 함께, 저역통과 필터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부에서 전압을 일체화한다. 커패시터(20, 23)의 플레이트 전위가 증폭기(24)의 역전 입력에 공급된다. 그 결과, 감지 회로(22)는 전압-주파수 컨버터처럼 동작한다. 다시 말해서, 전압 제어 발진기로 동작한다.
도 2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전압-주파수 컨버터는, 자유롭게 발진하면서 두개의 준-안정 상태를 가지는 주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무정위 다조파발진기(astable multivibrator) 형태로 고안되었다. 그러나, 어떤 주기적 신호 제너레이터, 특히, 전압 제어 발진기 형태로 설계될 수도 있다. 도 2의 배열은 제작이 단순하고 고정밀도 전자 부품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감지 회로(22)의 발진 주기 T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T = 2.R31.Ctot.In(1 + (2.R26)/R27)
이때, R31, R26, R27은 저항(31, 26, 27)의 값이고, Ctot는 접지부(11)와 증폭기(24)의 역전 입력간 총 커패시턴스이다. 따라서, 감지 회로의 출력 신호 발진 주파수가 총 커패시턴스 Ctot의 역에 비례하고, 따라서, 용량성 센서의 커패시턴스가 스트레이 커패시턴스와 함께 감지 회로(22)의 발진 주파수 값을 결정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압-주파수 컨버터의 발진 주파수는 글래스(3) 외면 상의 물 존재 여부의 함수로 변한다. 장치(1)가 물에 잠기지 않으면, 용량성 센서(20)의 플레이트(21)가 도 2에 도시되는 회로로부터 결과적으로 생략된다. 이 경우의 총 커패시턴스는 접지부(11)와 전극(5)간 스트레이 커패시턴스 Cp와 동등하다. 감지 회로(22) 출력 신호의 발진 주파수는 스트레이 커패시턴스 Cp의 역에 비례한다.
그러나 장치(1)가 물에 잠기면, 플레이트(21)가 형성되고, 결과적으로, 용량성 센서는 커패시턴스 Cd를 가지며, 실제로, 감지 회로(22) 상에서 동작한다. 이 환경에서, 총 커패시턴스 Ctot는 커패시턴스 Cd와 Cp의 합과 동등하다.
따라서, 공지된 방식으로, 감지 회로(22)의 출력 신호의 요망 데이터가 그 주파수 내에 포함되며, 사용자는 이를 복구하기 위한 단순한 디지털 수산만을 이용하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고정 동작 주기동안 스위치 온되는 플러스 카운터가 구현될 수 있다. 이 고정 주기 중 수신되는 펄스 수는 바로 주파수를 나타내며, 따라서, 글래스(3)와 접촉하는 물의 존재 여부를 나타낸다.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 수단이나 이와 대등한 수단을 구현함에 있어 별반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도 3은 발명에 따른 장치(1)의 전자 회로 세트에 대한 선호되는 실시예의 블록도표이다. 발명에 대해 직접적 관계를 가지는 소자들만이 이 도면에 도시되었다.
장치(1)의 글래스(3)가 도 3에 도시되며, 이때, 용량성 센서(6)의 내면에는 전극(5a-f)이 배치된다. 물론, 이 특정 실시예에 관한 아래의 설명들을 따르면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단일 센서가 사용되는 단순한 해법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 동작 원리가 그대로 적용된다.
6개의 전극(5a-5f) 각각은 전도 경로(101)를 통해 기존 형태의 멀티플렉서 회로(100)에 연결되며, 멀티플렉서 회로(100)의 출력은 도 2와 관련하여 소개된 종류의 감지 회로(22) 입력부에 연결된다. 감지 회로(22)의 출력은 데이터 처리 유닛(102)에 연결되며, 데이터 처리 유닛은 감지 회로(22)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유닛(102)은 장치(1)의 배터리(8)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처리 유닛(102)은 압력 센서(12)에 연결되며, 압력 센서(12)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3)에 전달될 아날로그형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3)는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 처리 유닛(102)에 또한 연결된다. 처리 유닛(102)은 디스플레이 수단(도시되지 않음)용 제어 회로(104)와 두개의 메모리 구역(105, 106)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또한 포함한다. 각각의 메모리 구역(105, 106)는 6개의 구분된 어드레스를 보여주도록 도식화되었음을 도 3으로부 터 알 수 있으며, 그 각각의 기능들은 앞으로 설명될 것이다.
장치(1)의 전자 회로는 처리 유닛(102)에 클럭 신호를 운반하는, 가령 쿼츠 공진자에 의해 제공되는, 시간 베이스(time base; 도시되지 않음)를 또한 가진다. 이때, 상기 시간 베이스는 처리 유닛(102)에 내장될 수도 있고, 또는, 처리 유닛 바깥에서, 장치(1)의 전자 회로 내 또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조를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라 물 존재 감지 수단을 구현하는 다음의 선호되는 방법이 제공된다.
장치(1)는 두개 이상의 동작 모드, 특정 전력 공급 모드와, 각각의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특정 디스플레이 모드를 포함한다. 제 1 동작 모드는 표면 모드라 불리며, 장치(1)가 물에 잠겨있지 않을 때 활성이고, 반면에, 제 2 동작 모드는 다이브 모드로서, 물이 장치(1)와 접촉하고 있음이 감지될 때 활성이다.
표면 동작 모드에서, 기존 수단에 의해 현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 센서(12)가 지정 주기로 주변 압력의 주기적 측정을 위해 이 동작 모드에서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 지정 주기는 대략 30분에서 1시간 사이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압력 측정치는 전용 메모리에 저장되어, 차후의 다이빙 실험 중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발명에 따른 장치(1)가, 특히 감압 매개변수 연산용의, 다이빙 컴퓨터 형태로 만들어질 경우, 다이빙 상승 중, 감압 알고리즘이 전자 회로의 특정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 메모리가 처리 유닛(102)에 직접 배열될 수 있다. 다이빙전에 시계착용자가 느끼는 주변 압력값의 히스토리를 고려하는 사실은, 감압 알고리즘 연산에서, 연산된 감압 매개 변수의 정확도를 상승시킨다.
물론,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사용되는 배터리(8)의 특징에 따라, 표면 모드에서 압력 센서(12)의 전력공급 주기의 값을 선택할 수 있다. 그 정확도는 감압 매개변수와 동작 자율성 분야에 대해 요구된다.
더욱이, 클릭 신호에 다시 입각하여, 데이터 처리 유닛(102)은 장치(1)가 물에 잠겼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물 존재 감지 수단(20, 22, 100)을 주기적으로 활성화시킨다. 이를 위해, 감지 회로(22)는 첫 번째 일련의 측정치 S1을 형성하고자, 멀티플렉서(100)를 통해, 전극(5a-5f)에 연계된 용량성 센서 각각의 커패시턴스를 순서대로 측정한다. 측정된 양은 주파수로 변환되고(도 2에서 언급한 방식이 선호됨), 이어서 메모리 구역(105, 106) 중 제 1 메모리 구역(105)에 저장된다. 따라서, 메모리 구역(105)의 각각의 어드레스는 주어진 용량성 센서(20)에 관련된 값을 수신한다.
통상적으로 2~30초 이후인 감지 수단의 다음 전력 공급 모드에서, 감지 회로(22)는 멀티플렉서(100)를 통해, 용량성 센서(20) 각각의 커패시턴스의 제 2 일련의 측정치 S2를 실행한다. 이러한 제 2 일련의 측정치 S2는 제 2 메모리 구역(106)에 저장되며, 제 2 메모리 구역의 각각의 어드레스는 주어진 용량성 센서에 관한 값을 수신한다.
제 2 일련의 측정치 S2를 저장한 후, 데이터 처리 유닛(102)은 메모리(105, 106) 콘텐트를 순차적으로 판독한다. 각각의 판독 단계에서, 처리 유닛은 메모리 구역(105, 106) 각각에서 동일 용량성 센서(20)에 각각 연계된 어드레스 콘텐트를 판독하여, 상기 용량성 센서(20)에 관련된 주파수가 두개의 일련의 측정치 S1과 S2 사이에서 진행될 수 있음을 연산할 수 있도록 한다. 그후, 처리 유닛(102)은 이 주파수에 연계된 변화율을 연산하여, 다른 값에 비해 순차적일 수 있는 양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장치 설계자가 지정한 기준값에 비해 순차적일 수 있는 양(통상적으로 10% 내외)을 얻을 수 있다. 이 동작들은 모든 메모리 어드레스에 대해 순차적으로 실행되어, 6개의 용량성 센서 각각에 관련된 주파수 변화율을 계산할 수 있도록 한다. 각각의 변화율에 대해 얻은 각각의 값들은 기준값과 비교되고, 기준값은 트리거 한도를 규정한다.
다음 전력 공급 주기에서, 다음 일련의 주파수 측정치가 제 1 메모리 구역(105)에 저장되어, 제 1 일련의 측정치를 대체하고, 제 2 일련의 측정치와 비교한 후, 대체 과정을 다시 진행한다. 마찬가지 과정이 반복된다.
새로운 각각의 일련의 측정치들을 저장하는 것은 새 측정치들이 해당 메모리 구역에 앞서 저장된 옛 측정치들을 대체하도록 실행된다. 결과적으로, 새 측정치와 앞선 측정치간에 비교가 항상 이루어지고, 이 두 일련의 측정치들은 한개의 감지 수단 전력공급 주기만큼 시간상으로 이격된다.
이때, 용량성 센서(20)의 관련 주파수 변화는 두 일련의 측정치 사이에서 기준값을 넘는 경우의, 용량성 센서(20)의 수나 비율의 함수로, 실행된 측정치를 바탕으로 물 존재 여부를 비준하거나 하지 않는 기준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용량성 센서(20)에 각각 관련된 주파수 세트가 트리거 한도를 벗어날 때, 장치(1)와 접촉하는 물의 존재에 대한 비준이 실행된다.
그러나, 선호되는 변형에 따르면, 측정된 주파수의 일부, 특히, 적어도 반 이상이, 트리거 한도를 넘도록 변화할 때, 물 존재가 비준된다.
사실, 장치가 물에 잠기면, 예를 들어, 잠기기 직전에 실행된 일련의 측정 중 용량성 센서 가운데 하나를 사용자가 우연히 건드리지 않을 경우, 용량성 센서에 각각 관련된 모든 양들이 지정 트리거 한도를 넘는 변화를 통상적으로 일으킨다. 이러한 경우에, 입수 이전의 일련의 측정치들이 활성 상태에 해당하는 커패시턴스 값을 가지는 용량성 센서로 조정되며, 반면에, 장치가 물에 감긴 동안 실행되는 다음 일련의 측정치들은 활성 상태를 가지는 모든 용량성 센서로 저장된다. 따라서, 용량성 센터에 각각 관련되며 또한 이 일련의 측정치들을 바탕으로 계산되는 변화율은 입수 이전에 활성화되었던 값을 제외하곤 모든 용량성 센서들에 대해 미리 지정된 트리거 한도값보다 높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측정된 양은 용량성 센서 중 하나에 대한 감지 한도를 벗어나지 않으며, 물 존재에 대한 비준 기준이 모든 용량성 센서의 동시적 활성화에 대응할 경우 물존재가 비준되지 않는다. 용량성 센서 중 반이상이 활성화될 때 물 존재를 비준하는 등의 보다 유연한 비준 기준을 규정함으로서, 물 존재 감지를 더욱 신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주어진 용량성 센서의 커패시턴스는 주변 환경 변화 때문에 시간에 따라 느리게 요동칠 수 있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일련의 측정치 비교에 의한 연산 방법은 이 요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연산 오류를 피할 수 있게 한다.
트리거 한도를 동시에 벗어날 경우, 즉, 사용되는 비준 기준에 따라 좌우되는 용량성 센서(20) 전체나 일부에 의해 동일한 일련의 측정 중 트리거 한도가 벗어날 경우, 데이터 처리 유닛(102)은 압력 센서(12)의 전력공급 모드를 수정한다. 다이브 전력 공급 모드가 활성화되고, 이동안, 압력 센서(12)에 의해 실행된 주변 압력 측정의 주파수는 표면 전력 공급 모드에서보다 훨씬 높다. 예를 들어, 주변 압력 측정 주파수가 초당 한번의 측정치일 수도 있고, 초당 여러번의 측정치일 수도 있다.
주변 압력 측정치는, 감압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데이터 처리 유닛(102)이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또는, 처리 유닛에 연결된 추가적인 집적 회로(도시되지 않음)가 이용할 수 있도록,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3)를 통해 데이터 처리 유닛(102)에 전달된다. 이 연산에 의해 다이브 중 장치 착용자를 위한 감압 매개변수가 공지 방식으로 규정될 수 있다. 처리 유닛(102)에 의해, 또는 추가적인 집적 회로에 의해 신호가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제어 회로(104)에 전달되게 되며, 진행중인 다이브 깊이와 여러 감압 매개변수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감압 매개변수는 장치 착용자가 상승 중 감압 단계들을 실행하게 되기 전에 진행중인 다이브에 대해 남아있는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승 중 관측될 어떤 감압 단계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장치(1)에 대한 합리적 자율성을 유지관리하기 위해, 압력 센서에 의한 제한된 전력 소모와 고압 측정 주파수 때문에, 감압 매개변수에 의해 실행되는 연산에서의 정확도 개선 사이에서 절충점을 찾는데 어려움 이 없을 것이다.
물론, 발명에 따른 물 존재 감지 수단에 의해 입수가 감지될 때, 사용자에게 순간적 깊이를 외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장치(1)가 구현될 수 있다.
물 존재 감지 수단은 장치(1)가 다이브 전력 공급 모드에 있을 때 또한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때, 표면 모드에서와 동일한 전력 공급 주파수가 공급된다. 장치(1)가 물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는 한, 여러 용량성 센서의 커패시턴스 값들은 두 일련의 측정치들 사이에서 크게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장치(1)가 물에서 빠져나오면 새로운 상당한 변화가 이 값들에 나타난다. 이는 물존재 감지 회로(22)를 통해, 데이터 처리 유닛(102)에 의해 감지되며, 이 측정치들은 메모리 구역(105, 106)에 차례로 저장된다. 트리거 한도를 벗어나는 변화를 감지함에 있어, 이러한 새로운 변화는 물에 잠기는 순간에서 발생하는 변화와는 반대 방향으로 발생하며, 사용되는 비준 기준에 따라 용량성 센서(20) 전체나 일부에 대해 동시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변화 감지에 의해, 데이터 처리 유닛(102)은 표면 전력 공급 모드의 활성화를 위해 다이브 전력 공급 모드를 중지시킨다.
물 존재 감지 수단이 물 존재 감지에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원리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여기서 더 세부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
물 존재 감지 수단이 한개의 용량성 센서(20)만을 포함할 경우, 도 3에 관련하여 앞서 주어진 설명들이 또한 유효하다. 장치(1)의 전자 회로(4)는 동일하게 만들어질 수도 있고, 필수 소자들만을 유지하도록 단순화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에, 멀티플렉서(100)가 생략될 수 있고, 메모리(105, 106)는 각각 한개의 메모리 어드레스만을 포함하도록 단순화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화된 전자 회로(4)의 동작은 일련의 비교된 측정치 원리를 바탕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남는다.
단일 용량성 센서를 가진 대안의 실시예에서, 해당 전극은 글래스 내면의 면적과 같은 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물 존재 감지를 위한 비준 기준은 커버링된 글래스의 표면적의 어떠한 비율의 함수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커패시턴스 변화 한도가 예를 들어 글래스 표면적의 50%에 해당하는 값으로 규정될 수 있고, 이로부터 데이터 처리 유닛은 전자식 장치가 물과 접촉하고 있는 지를 추정할 수 있다.
더욱이, 앞서 설명한 메모리 구역의 수와 그 동작 모드에 제한이 없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게다가, 마지막 일련의 측정치를 단순히 최종값들과 비교하는 것보다는 여러 선행하는 일련의 측정치들과 비교하기 위해, 두개보다 많은 다수의 메모리 구역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일련의 측정치들이 개별적으로 저장되도록 네 개의 메모리 구역 중 세 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가령, 시프트 레지스터, 즉, 새로운 일련의 측정치들의 저장소처럼 기능하는 네 개의 메모리 구역이 제 1 메모리 구역에서 여전히 발생하지만, 한개의 메모리 구역이나 행 i의 콘텐트가 메모리 구역 i+1에 저장되는, 앞서에 대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가장 오래된 일련의 측정치에 대응하는 현재의 예 중 네 번째인 최종 메모리 구역의 콘텐트가 삭제되어, 제 3 메모리 구역의 콘텐 트로 대체되는 경우이며, 제 3 메모리 구역의 콘텐트는 제 2 메모리 구역의 콘텐트로 대체되고, 다시 제 1 메모리 구역의 콘텐트로 대체된다. 이 방식으로, 처리 유닛은 이 새로운 일련의 측정치들을 앞선 세 번의 일련의 측정치들과 동시에 비교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고, 이는 물 존재 감지의 신뢰도를 증가시킨다.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정 환경 및 동작에 가장 적절한 메모리 구역의 수를 구현함에 있어 어려움이 없을 것이며, 따라서, 물 존재 감지의 신뢰도와 전자 회로의 메모리 구역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 사이에서 최적의 절충값을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물 존재 감지 수단이 다수의 용량성 센서(20)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대한 바람직한 대안은, 추가적인 수동 제어 부재 기능을 용량성 센서(20)의 행위로 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다음의 구조 및 동작이 바람직하고 비-제한적 방식으로 제공된다.
장치는, 활성화될 때 처리 유닛(102)의 특정 명령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푸시 버튼같은 기존 형태의 수동 제어 부재(107)를 포함한다. 장치는 용량성 센서(20) 마다 한개 이상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메모리 구역(108)를 또한 포함하며, 도 3에서는 용량성 센서(20)마다 6개의 메모리 어드레스가 도시된다.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개의 동작 모드나 한개의 기능이 용량성 센서들 각각에 관련되고, 또한, 전극(5a-5f) 중 하나 맞은편에 사용자 손가락을 위치시 킴으로서 해당 용량성 센서에 가해지는 액션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나 기능이 활성화된다. 이를 위해, 전자 회로는 용량성 센서에 각각 연계된 추가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유닛(108)을 포함할 수 있다.
공지 방식으로, 용량성 센서 제어 부재 기능은 영구적으로 활성이 아니다. 전력 소모 측면에서, 그리고 용량성 센서에 관련된 기능들이 엉뚱하게 활성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영구-활성이 아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 유닛(102)은 용량성 센서(20)에 대한 수동 제어 부재 기능이 제어 부재(107)에서 감지되는 사용자 액션에 따라 활성화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그리고 제어 부재(107)에서 감지되는 액션에 따라, 용량성 센서 중 하나에 위치한 사용자 손가락를 신뢰할 수 있을만큼 감지하기 위해, 데이터 처리 유닛(102)은 멀티플렉서(100)를 통해, 전극(5a-5f)에 관련된 용량성 센서 각각의 커패시턴스를 순차적으로 측정하도록 감지 수단(20, 22, 100)을 활성화시킨다. 이로인해 얻어진 첫 번째 일련의 측정치가 메모리 구역(108)에 저장되어 기준 값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센서(20)의 커패시턴스값이 시간에 따라 요동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새로운 일련의 측정들이 지정 주기동안(20초가 바람직) 차례로 실행되며, 이동안 감지 수단이 연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와 동시에, 주어진 용량성 센서(20)에 관련된 각각의 측정된 양은 메모리 구역(108)의 해당 기준값과 비교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되는 비교 방법은 기준 측정치와 각각의 새로운 측정치 간 변화율 연산을 바탕으로 한다. 용량성 센서(20) 중 하나에 대해 연산된 변화 율이 측정 중 기설명한 지정 한도를 벗어날 경우, 이 과량이 관련 용량성 센서에 연계된 기능을 활성화시키라는 명령을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 처리 유닛(102)이 판단한다. 관련 기능은 처리 유닛(102)에 의해 직접, 또는, 추가 기능 제어 유닛(109)에 의해, 활성화된다. 더욱이, 활성화된 새 기능에 관련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제어 회로(104)에 이와 같이 적응된 전기 신호가 전달된다. 본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기능들은 공지된 기존 형태로서, 초시계, 알람, 시간대역 변경, 온도계, 나침반, 또는 고도계 등의 기능이며, 이 리스트는 일례일 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20초 수준의 지정 주기 이후, 일련의 측정 중 적어도 한번 이상 측정량 중 어느 것도 트리거 한도를 벗어나지 않았을 경우, 처리 유닛(102)은 감지 수단(20, 22, 100)에 대한 연속적 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방금 설명한 특정 동작을 바탕으로, 감지 수단(20, 22, 100)이 발명에 따른 장치와 접촉하는 물의 존재를 감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처리 유닛(102)은 감지 수단(20, 22, 100)의 주기적 전력 공급에 관하여 앞서 규정한 주기에 해당하는 시간 구간을 클럭 신호를 바탕으로 계속하여 연산한다. 더욱이, 처리 유닛(102)은, 특히 20초 미만으로 고정된 감지 수단 전력 공급 주기의 경우에, 메모리 구역(105, 106)의 각각의 구간 종료시 발생하는 일련의 측정치의 저장을 명령한다. 마찬가지로, 일련의 두 측정치들이 각각의 용량성 센서에 대해 측정된 양에서의 변화율을 연산하는 데 사용되며, 다이브 전력 공급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시에, 용량성 센서 전부나 일부에 대해 지정 변화 한도를 벗어남에 따라, 활성화된다.
수동 제어 부재로서 용량성 센서(20)의 동작은 장치(1)와 접촉하는 물의 존재가 감지되자마자 차단된다. 더욱이, 특정 추가 기능 제어 유닛(109)이 제공될 경우, 물 존재가 감지되었을 때 역시 정지된다.
물 존재를 비준하는 기준의 선택이 연계되어 있는 한, 대안들이 가능하다. 이 대안들은 물론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예를 들어, 감지 수단이 다수의 용량성 센서를 포함할 경우, 변화율 연산 실행 이전에, 수행된 주파수 측정들을 처리하기 위한 추가적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추가적 처리 단계는 모든 용량성 센서에 대한 일련의 측정 중 얻은 측정치 평균값의 연산 형태로 달성될 수 있고, 이때, 일련의 이어지는 두 측정치들에 대해 각각 연산된 두개의 평균값이 해당 변화율 연산을 통해 서로 비교된다.
따라서, 물 존재를 비준하기 위한 기준이 용량성 센서(20)에 각각 연계된 평균 주파수에 대해 연산된 변화율 연산에 관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장치가 더 많은 용량성 센서를 포함할수록, 물 존재 감지의 신뢰도가 더 높아질 것임을 알 수 있다.
대안으로, 상술한 제 1 실시예는 데이터 처리 유닛(102)에 필터 기능을 추가함으로서, 용량성 센서 각각에 대한 주파수 변화율 연산을 바탕으로 완성될 수 있다. 게다가, 주어진 일련의 측정에서, 우발적인 접촉이나 제어 부재 기능의 이용때문에 용량성 센서(20) 중 하나만이 활성화될 경우, 처리 유닛은 메모리 구역(105, 106) 중 한 구역의 저장 단계에서, 일련의 선행 측정 중 저장된 주파수 값으로 관 련 주파수의 새로운 값을 대체한다.
이러한 경우에, 모든 용량성 센서의 동시적 활성화에 바탕한 물 존재 비준 기준을 적용할 수 있고, 이때, 물존재 감지에 관하여 신뢰도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물론,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없이, 방금 설명한 사항과 대등한 다른 비교 수단을 별 어려움 없이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데이터 처리 유닛(102)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수단(8)을 지닌 휴대용 전자 장치(1)로서, 상기 전자 회로(4)는 글래스(3)로 덮힌 케이스(2)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체 내에 내장되고, 상기 전자 장치(1)는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102)에 전달될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물 존재 감지 수단(20, 22, 100)과 압력 센서(12)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감지 수단(20, 22, 100)은 커패시터를 포함한 한개 이상의 용량성 센서(20)를 가지고 있고, 상기 커패시터의 한개의 플레이트는 케이스-글래스 조립체의 내측 영역에 배열되는 전극(5)에 의해 형성되고, 그 커패시턴스(Cd)는 물과 접촉하는 영역처럼 전극(5) 맞은편 케이스-글래스 조립체 외측 영역에 직접 접촉하도록 위치하는 외부 매질의 특성의 수정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압력 센서(12)는 두개 이상의 전력공급 모드에서 동작하고, 제 1 모드는 표면 모드, 제 2 모드는 다이브 모드이며, 상기 감지 수단(20, 22, 100)은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값을 나타내는 양의 측정을 위해 주기적으로 활성화되고, 상기 전자 회로는 비교 및 전기 신호 생성 수단(102, 105, 106)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비교 및 전기 신호 생성 수단(102, 105, 106)은 두개 이상의 일련의 측정 양을 비교하여, 지정값보다 큰 두 일련의 측정 양간 상기 커패시턴스 변화에 따라 상기 다이브 전력공급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5)은 광투과성으로서 상기 글래스(3) 내면에 배열되고, 이때,
    상기 전극(5)의 표면적은 상기 글래스의 상기 내면 표면적과 같으며, 상기 지정값은 상기 측정량이 제 1 외부 매질과 제 2 외부 매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변화에 대응하며, 이 대응 관계는 상기 전극(5) 표면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표면 위에서 상기 제 2 외부 매질이 상기 글래스(3)와 접촉하게 될 때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3. 데이터 처리 유닛(102)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수단(8)을 지닌 휴대용 전자 장치(1)로서, 상기 전자 회로(4)는 글래스(3)로 덮힌 케이스(2)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체 내에 내장되고, 상기 전자 장치(1)는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102)에 전달될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물 존재 감지 수단(20, 22, 100)과 압력 센서(12)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때,
    상기 압력 센서(12)는 두개 이상의 전력공급 모드에서 동작하고, 제 1 모드는 표면 모드, 제 2 모드는 다이브 모드이며, 상기 감지 수단(20, 22, 100)은 커패시터를 한개씩 각각 포함하는 제 1 용량성 센서와 제 2 용량성 센서(20)를 가지고 있고, 상기 커패시터의 한개의 플레이트는 케이스-글래스 조립체의 내측 영역에 배열되는 전극(5)에 의해 형성되고, 그 커패시턴스(Cd)는 물과 접촉하는 영역처럼 전극(5) 맞은편 케이스-글래스 조립체 외측 영역에 직접 접촉하도록 위치하는 외부 매질의 특성의 수정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상기 감지 수단(20, 22, 100)은 상기 제 1, 2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값을 나타내는 양의 측정을 위해 주기적으로 활성화되고, 상기 전자 회로(4)의 데이터 처리 유닛(102)은 비교 및 전기 신호 생성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비교 및 전기 신호 생성 수단은 두 번 이상의 일련의 측정에서 상기 제 1, 2 측정량을 비교하여, 두 일련의 측정 양 사이에서 상기 제 1, 2 측정량 각각의 변화가 동시에 지정값보다 클 경우, 상기 다이브 전력공급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전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세 개 이상의 용량성 센서(20)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용량성 센서들은 상기 글래스(3) 둘레에 근접한 위치에 규칙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용량성 센서들(20)에 각각 관련된 상기 측정 양들 중 절반 이상이 두 일련의 측정 사이에서 상기 지정값보다 모두 크게 나타날 때, 상기 비교 및 전기 신호 생성 수단이 상기 다이브 전력 공급 모드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회로(4)는 상기 용량성 센서들에 각각 관련된 상기 일련의 측정 양들을 형성하기 위해 용량성 센서(20) 당 한번의 측정을 상기 감지 수단(20, 22, 100)의 각각의 활성화 주기시마다 행하기 위한 멀티플렉싱 수단(100)을 포함하며, 차례로 이루어지는 두 일련의 측정들은 제 1, 2 메모리 구 역(105, 106)에 교대로 저장되어, 일련의 선행하는 일련의 측정과 최종 일련의 측정간 상기 측정 양 각각에서의 변화를 상기 각각의 일련의 측정 이후 연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회로(4)는 상기 용량성 센서들에 각각 관련된 상기 일련의 측정 양들을 형성하기 위해 용량성 센서(20) 당 한번의 측정을 상기 감지 수단(20, 22, 100)의 각각의 활성화 주기시마다 행하기 위한 멀티플렉싱 수단(100)을 포함하며, 차례로 이루어지는 두 일련의 측정들은 제 1, 2 메모리 구역(105, 106)에 교대로 저장되어, 선행하는 일련의 측정과 최종 일련의 측정간 상기 측정 양 각각에서의 변화를 상기 각각의 일련의 측정 이후 데이터 처리 유닛(102)의 비교 및 전기 신호 생성 수단을 통해 연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회로(4)는 상기 용량성 센서들에 각각 관련된 상기 일련의 측정 양들을 형성하기 위해 용량성 센서(20) 당 한번의 측정을 상기 감지 수단(20, 22, 100)의 각각의 활성화 주기시마다 행하기 위한 멀티플렉싱 수단(100)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102)은 상기 용량성 센서(20)들에 각각 관련된 상기 일련의 측정치들의 평균값을 연산할 수 있고, 상기 평균값은 제 1, 2 메모리 구역(105, 106)에 교대로 각각 저장되어, 최종 일련의 측정과 선행하는 일련의 측정간 상기 평균값 각각의 변화를 각각의 일련의 측정 이후 연산하도록 하며, 이때, 상기 지정값은 일련의 측정들의 평균값에 대하여 규정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회로(4)는 상기 용량성 센서들에 각각 관련된 상기 일련의 측정 양들을 형성하기 위해 용량성 센서(20) 당 한번의 측정을 상기 감지 수단(20, 22, 100)의 각각의 활성화 주기시마다 행하기 위한 멀티플렉싱 수단(100)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102)은 상기 용량성 센서(20)들에 각각 관련된 상기 일련의 측정치들의 평균값을 연산할 수 있고, 상기 평균값은 제 1, 2 메모리 구역(105, 106)에 교대로 각각 저장되어, 최종 일련의 측정과 선행하는 일련의 측정간 상기 평균값 각각의 변화를 각각의 일련의 측정 이후 연산하도록 하며, 이때, 상기 지정값은 일련의 측정들의 평균값에 대하여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한개 이상의 제어 부재(107)를 포함하고, 제어 부재의 형태는 푸시-버튼 형태이며, 상기 전극(5)은 투과성으로서 상기 글래스(3) 내면에 배열되고, 상기 용량성 센서(20) 중 한가지 이상은 상기 제어 부재(107)에서의 액션에 따라 상기 표면 모드에서 추가적인 제어 부재 기능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는 한개 이상의 제어 부재(107)를 포함하고, 제어 부재의 형태는 푸시-버튼 형태이며, 상기 전극(5)은 투과성으로서 상기 글래스(3) 내면에 배열되고, 상기 용량성 센서(20) 중 한가지 이상은 상기 제어 부재(107)에서의 액션에 따라 상기 표면 모드에서 추가적인 제어 부재 기능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제 1 전기 신호를 제 2 주기적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추가 수단(24~27, 31)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 1 전기 신호의 진폭은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좌우되고, 상기 제 2 주기적 전기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커패시턴스에 따라 좌우되고 상기 측정 양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제 1 전기 신호를 제 2 주기적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추가 수단(24~27, 31)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 1 전기 신호의 진폭은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좌우되고, 상기 제 2 주기적 전기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커패시턴스에 따라 좌우되고 상기 측정 양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12)는 상기 표면 전력 공급 모드에서 주변 압력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 주기는 1시간 간격이며, 반면, 상기 다이브 모드에서는 상기 압력 센서가 실시간으로 주변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센서(12)는 상기 표면 전력 공급 모드에서 주변 압력을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 주기는 1시간 간격이며, 반면, 상기 다이브 모드에서는 상기 압력 센서가 실시간으로 주변 압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1).
  15. 데이터 처리 유닛(102)을 포함하는 전자 회로(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 수단(8)을 지닌 휴대용 전자 장치(1)에 접촉하는 물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전자 회로(4)는 글래스(3)로 덮힌 케이스(2)에 의해 형성되는 조립체 내에 내장되고, 압력 센서(12)가 두가지 이상의 전력 공급 모드로 동작하며, 제 1 모드는 표면 모드, 제 2 모드는 다이브 모드이며, 상기 장치(1)는 상기 데이터 처리 유닛(102)에 전달될 전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물 존재 감지 수단(20, 22, 100)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물 존재 감지 수단(20, 22, 100)은 커패시터를 포함한 한개 이상의 용량성 센서(20)를 가지고 있고, 상기 커패시터의 한개의 플레이트(21)는 케이스-글래스 조립체의 내측 영역에 배열되는 전극(5)에 의해 형성되고, 그 커패시턴스(Cd)는 물과 접촉하는 영역처럼 전극(5) 맞은편 케이스-글래스 조립체 외측 영역에 직접 접촉하도록 위치하는 외부 매질의 특성의 수정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감지 수단(20, 22, 100)은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값을 나타내는 양의 측정을 위해 주기적으로 활성화되고, 상기 물 존재 감지 방법은,
    a) 상기 양의 값을 측정하고,
    b) 상기 양의 각각의 새로운 측정시에, 새 값과 선행 값간의 변화를 계산하며, 그리고
    c) 상기 변화가 지정값보다 클 경우 다이브 전력 공급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지정값보다 작을 경우 다음 주기 중 단계 a)에서 다시 시작하는,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존재 감지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회로(4)는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을 나타내는 양을 위한 측정 값을, 상기 감지 수단(20, 22, 100)의 전력 공급 시마다, 저장하기 위한 두개 이상의 메모리 구역(105, 106)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구역(105, 106)은 한 주기로부터 다음 주기까지 교대로 이용되어, 상기 측정 양의 새 측정 이후마다, 선행 값에 대한 현재 값의 변화를 연산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존재 감지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n 개의 용량성 센서(20)를 포함하고, 이때, n은 2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메모리 구역(105, 106) 각각은 n 개 이상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방법은,
    a) 상기 감지 수단(20, 22, 100)의 전력 공급 주기 중, 상기 n 개의 용량성 센서 각각에 대한 상기 양의 값을 측정하여 일련의 n 측정치를 형성하고,
    b) 상기 용량성 센서 각각에 관한 양의 새 값과 이에 해당하는 선행 값간의 각각의 변화를 각각의 새로운 일련의 측정시마다 연산하며, 그리고
    c) 단계 b)에서 연산된 상기 n 개의 변화 중 절반 이상이 지정값보다 높은 값을 가질 경우 다이브 전력 공급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또는 그렇지 않을 경우, 다음 주기 중 다시 단계 a)에서 시작하는,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존재 감지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n 개의 용량성 센서(20)를 포함하고, 이때, n은 2 이상의 정수이며, 상기 메모리 구역(105, 106) 각각은 n 개 이상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방법은,
    a) 상기 감지 수단(20, 22, 100)의 전력 공급 주기 중, 상기 n 개의 용량성 센서 각각에 대한 상기 양의 값을 측정하여 일련의 n 측정치를 형성하고,
    b) 측정하여 얻은 상기 n번의 측정치의 평균값을 각각의 새로운 일련의 측정시마다 연산하며,
    c) 단계 b)에서 연산된 새 평균값과 앞선 일련의 측정치에 해당하는 평균값간의 각각의 변화를 연산하고, 그리고
    d) 상기 단계 c)에서 연산된 변화가 지정값보다 높은 값을 가질 경우 다이브 전력 공급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또는 그렇지 않을 경우, 다음 주기 중 다시 단계 a)에서 시작하는,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존재 감지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은 멀티플렉싱 수단(100)과, 제 1 전기 신호를 제 2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24-27, 31)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 1 전기 신호의 진폭 레벨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전기 신호의 주파수는 상기 커패시턴스값을 나타내며, 상기 측정 양은 주파수에 대응하고, n 번의 일련의 측정이 상기 멀티플렉싱 수단(100)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존재 감지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수단(20, 22, 100)의 전력 공급 주기가 2~30초 사이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존재 감지 방법.
KR1020030087408A 2002-12-05 2003-12-04 용량성 물 감지 수단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 구현 방법 KR1010174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064/02 2002-12-05
CH20642002 2002-1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9269A KR20040049269A (ko) 2004-06-11
KR101017439B1 true KR101017439B1 (ko) 2011-02-25

Family

ID=32399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408A KR101017439B1 (ko) 2002-12-05 2003-12-04 용량성 물 감지 수단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85201B2 (ko)
JP (1) JP4421883B2 (ko)
KR (1) KR101017439B1 (ko)
CN (1) CN1510535B (ko)
HK (1) HK1066877A1 (ko)
TW (1) TWI3157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9974A1 (fr) * 2005-07-19 2007-01-25 Agc Flat Glass Europe Sa Detecteur de pluie capacitif
US7561055B2 (en) * 2006-01-10 2009-07-14 Guardian Industries Corp. Rain sensor with capacitive-inclusive circuit
US9371032B2 (en) 2006-01-10 2016-06-21 Guardian Industries Corp. Moisture sensor and/or defogger with Bayesian improvements, and related methods
US20080191716A1 (en) * 2007-02-08 2008-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Chip Real-Time Moisture Sensor For and Method of Detecting Moisture Ingress in an Integrated Circuit Chip
US7571637B2 (en) * 2007-10-29 2009-08-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sign structure for an on-chip real-time moisture sensor for and method of detecting moisture ingress in an integrated circuit chip
US20090278655A1 (en) * 2008-05-06 2009-11-12 The Abraham Joshua Heschel School Method for inhibiting egress from a chamber containing contaminants
CN101514971B (zh) * 2009-03-24 2012-05-23 南京林业大学 地板含水率在线检测装置及检测方法
US20100277185A1 (en) * 2009-05-01 2010-11-04 Spectrum Technologies, Inc. Soil moisture sensor
FR2949571B1 (fr) * 2009-08-27 2011-12-23 Lacroix Sofrel Dispositif de detection de la presence d'eau
EP2463733A1 (fr) * 2010-12-07 2012-06-13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Montre à zones tactiles de type capacitif comprenant une trappe de pile fermée par un couvercle conducteur de l'électricité
CN103299605B (zh) * 2011-02-09 2016-05-04 日本电气株式会社 电子设备、水检测装置控制方法和电子设备操作模式设定方法
RU2014108052A (ru) * 2011-08-04 2015-09-10 Фонтем Холдингз 1 Б.В. Емкостной датчик, устройства, использующие емкостной датчик,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CN103823598B (zh) * 2012-11-16 2017-10-10 普诚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感应电路及方法
TWI479402B (zh) * 2012-11-16 2015-04-01 Princeton Technology Corp 觸控感應電路及方法
US8952809B2 (en) 2013-01-08 2015-02-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self-protection procedures on electronic devices
US9335355B2 (en) * 2013-03-06 2016-05-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liquid contact sensors
US10594025B2 (en) 2013-03-11 2020-03-17 Suunto Oy Coupled antenna structure and methods
US10734731B2 (en) 2013-03-11 2020-08-04 Suunto Oy Antenna assembly for customizable devices
US11059550B2 (en) * 2013-03-11 2021-07-13 Suunto Oy Diving computer with coupled antenna and water contact assembly
US11050142B2 (en) 2013-03-11 2021-06-29 Suunto Oy Coupled antenna structure
CA2924724C (en) * 2013-09-18 2022-09-20 Advantec Sensing As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ization of fluids or powders by electrical permittivity
EP2863275B1 (fr) * 2013-10-15 2019-07-24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Capteur de pression
US9881479B2 (en) * 2014-07-10 2018-01-30 Arnold J. Cestari, Jr.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the presence of a liquid
EP2977853A1 (fr) 2014-07-24 2016-01-27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Objet portable tactile ayant une extinction des touches tactiles simplifiée
JP6140217B2 (ja) * 2015-05-12 2017-05-3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182563B2 (ja) * 2015-05-12 2017-08-1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558212B2 (ja) * 2015-10-26 2019-08-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水分検出装置
CN105928495B (zh) * 2016-04-08 2017-12-26 盐城师范学院 阵列电容立杆式海浪参数测量装置
US10236683B2 (en) 2016-06-10 2019-03-19 Apple Inc. Corrosion mitigation for an external connector of an electronic device
KR20180051227A (ko) * 2016-11-08 2018-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타입 단말기
US9959734B1 (en) * 2017-04-24 2018-05-01 John Figura Predictive shock alert warning system for use in bodies of water
CN107517286A (zh) * 2017-07-28 2017-12-2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102206201B1 (ko) * 2017-08-02 2021-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 로봇 및 그 제어방법
US10591430B2 (en) 2017-09-08 2020-03-17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moisture on a connector contact
DE102018201422A1 (de) * 2018-01-30 2019-08-01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Bamberg Elektronisches Steuergerät
TWI732168B (zh) * 2018-02-01 2021-07-01 黃智淵 漁具入水檢測裝置及方法
TWI798344B (zh) 2018-02-08 2023-04-11 芬蘭商順妥公司 槽孔模式天線
TWI790344B (zh) 2018-02-08 2023-01-21 芬蘭商順妥公司 槽孔模式天線
US10539700B1 (en) 2019-03-14 2020-01-21 Suunto Oy Diving computer with coupled antenna and water contact assembly
DE102020001696A1 (de) * 2019-03-14 2020-09-17 Suunto Oy Tauchcomputer mit gekoppelter antenne und wasserkontaktanordnung
GB2583413B (en) * 2019-03-14 2021-04-21 Suunto Oy Diving computer with coupled antenna and water contact assembly
JP6682031B1 (ja) 2019-07-17 2020-04-1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CN112461431B (zh) * 2019-09-06 2022-07-26 苹果公司 电子设备、压力传感器组件和在传感器处感测液体的方法
US11422104B2 (en) 2019-09-06 2022-08-23 Apple Inc. Exposed wire-bonding for sensing liquid and water in electronic devices
DE102020212007A1 (de) 2020-09-24 2022-03-24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Detektieren einer Ablagerung auf einem Sensorsystem und Sensorsystem
CN114812659A (zh) * 2021-01-18 2022-07-2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泡水检测方法及可穿戴智能设备
US11658443B2 (en) 2021-04-13 2023-05-23 Apple Inc. Liquid detection and corrosion mitigation
WO2023139353A1 (en) 2022-01-18 2023-07-27 Sentec Ltd Fluid sensor
DE102022202295A1 (de) 2022-03-08 2023-09-14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Umgebungssensor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Umgebungssens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629A (ko) * 1996-10-25 1998-07-25 루돌프딩거 시계표면상의 수작업 식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83896U (ja) 1984-05-16 1985-1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水深計付携帯電子機器
US4909070A (en) * 1987-10-12 1990-03-20 Smith Jeffery B Moisture sensor
WO1994020886A1 (en) 1993-03-12 1994-09-15 Citizen Watch Co., Ltd. Electronic appliance equipped with function of measurung water depth
JP3548628B2 (ja) * 1995-06-02 2004-07-28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水深計測機能付き電子機器
DE19809890C1 (de) * 1998-03-07 1999-11-11 Sikora Industrieelektronik Vorrichtung zur Messung der Kapazität von elektrischen Adern
DE20004245U1 (de) * 2000-03-10 2001-07-19 Wet Automotive Systems Ag Druckmeß-Vorricht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629A (ko) * 1996-10-25 1998-07-25 루돌프딩거 시계표면상의 수작업 식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184421A (ja) 2004-07-02
US6885201B2 (en) 2005-04-26
TW200413705A (en) 2004-08-01
HK1066877A1 (en) 2005-04-01
US20040108861A1 (en) 2004-06-10
CN1510535B (zh) 2010-05-26
TWI315785B (en) 2009-10-11
CN1510535A (zh) 2004-07-07
JP4421883B2 (ja) 2010-02-24
KR20040049269A (ko) 200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7439B1 (ko) 용량성 물 감지 수단을 포함한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 구현 방법
CA1114635A (en) Temperature measurement apparatus
US5481506A (en) Electronic devices with sensors
US5453960A (en) Watch including a manual control device
JP5106781B2 (ja) 睡眠センサー付身体装着装置および睡眠報知制御方法
KR20070019546A (ko) 혈압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전자 혈압계
EP1895276A1 (en) Pedometer
US5264833A (en) Automatic leak detector
US5394343A (en) Electronic tire gauge
GB2228574A (en) Proximity sensor
US8439562B2 (en) Electronic clinical thermometer attachment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3145542A1 (ja) 電子体温計及びその制御方法
US7448384B2 (en) Process of detection of a dive start in a dive computer
JPH0378650A (ja) 湿度検出装置
JP5432066B2 (ja) 電子体温計及びその制御方法
US10222762B2 (en) Method of managing an electronic apparatus
JPH0370766B2 (ko)
JPS6362715B2 (ko)
JP2746649B2 (ja) 精神の緊張状態を表示する電子腕時計
JPS58191942A (ja) 圧力検出装置
JPH01249036A (ja) 脈拍計付電子時計
JP3476979B2 (ja) 携帯用電子機器
JPS58210534A (ja) 圧力検出装置
JP3726480B2 (ja) 計測器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H01297012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