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227A - 와치타입 단말기 - Google Patents
와치타입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51227A KR20180051227A KR1020160148273A KR20160148273A KR20180051227A KR 20180051227 A KR20180051227 A KR 20180051227A KR 1020160148273 A KR1020160148273 A KR 1020160148273A KR 20160148273 A KR20160148273 A KR 20160148273A KR 20180051227 A KR20180051227 A KR 201800512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ssure sensor
- mode
- sensor
- unit
- press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0—Indicating or record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3/02—Indicating direction only, e.g. by weather vane
- G01P13/04—Indicating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of a linear movement or clockwise or anti-clockwise direction of a rotational move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3/00—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Measuring differences of linear or angular speeds
- G01P3/26—Devic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 G04B47/06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with a pressure sensor
-
- G—PHYSICS
- G04—HOROLOGY
- G04C—ELECTROMECHANICAL CLOCKS OR WATCHES
- G04C10/00—Arrangements of electric power supplies in time piece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9/00—Electric power supply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electronic time-pieces
- G04G19/12—Arrangement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during storage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04G21/025—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for measuring physiological data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4—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radio waves
-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9/00—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 G04G9/0064—Visual time or date indication means in which functions not related to time can be displayed
-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60/00—Constructional details
- G04R60/06—Antenna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clock or watch bodi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신체의 일 영역에 장착가능 한 본체, 육상모드에서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 장착되어 외부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의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 변화량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육상모드를 수중모드로 전환하여 특정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와치타입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손목에 착용되어 수중에서도 구동이 가능한 와치타입 단말기에 관한 것 이다.
이동 단말기는 배터리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정보를 출력하며,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모든 기기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는 동영상을 기록 및 재생하는 장치와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디스플레이 하는 장치 등을 포함하며, 노트북, 휴대폰,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안경 및 시계, 게임기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이동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수중에서도 사용가능한 방수타입 와치타입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수중에서도 압력감지가 가능한 압력센서가 포함되는데, 방수를 위해 고어텍스 등의 방수소재를 이용하여 압력센서가 안착되는 영역을 방수하는 경우, 수심이 깊은 영역에서 고압을 견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수중에서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수중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인가 해야하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수중 상태 여부를 통해 제어되는 와치타입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는 신체의 일 영역에 장착가능 한 본체, 육상모드에서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 장착되어 외부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의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 변화량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육상모드를 수중모드로 전환하여 특정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중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수중모드에 대응되는 제1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육상모드에 대응되는 제2 모드의 실행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수 시 사용할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인가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수중모드에서, 상기 압력센서와 수영 패턴 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회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속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배터리 잔량과 기준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순서대로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잔량에 따라 수영 패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압력센서의 주변영역에 오링을 형성하여 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벤트홀 등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와 직접 닿도록 이루어지므로, 보다 정확한 압력감지가 가능하며 고어텍스 소재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수심이 깊은 영역에서도 압력감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중으로의 이동이 감지되며 이에 따라 수중모드로 전환되므로, 사용자는 수중모드로의 전환 및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없이도 수중상태에서 적절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링으로 방수가되며, 벤트홀 등을 통하여 압력센서가 외부 공간과 직접적으로 닿도록 형성되므로, 수십이 깊은 영역에서도 보다 정확한 압력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수중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다른 감지부 및 수집되는 정보에 의하여 경고 정보를 형성하므로, 수중에서 사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타입 단말기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와치타입 단말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압력센서에 의한 압력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c 내지 도 5e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감지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스트로크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c는 수영 트래킹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활성화되는 센서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d는 수중에서 수영하는 경우 압력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압력의 변화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내지 도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와치타입 단말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압력센서에 의한 압력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c 내지 도 5e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감지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스트로크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c는 수영 트래킹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활성화되는 센서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d는 수중에서 수영하는 경우 압력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압력의 변화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 내지 도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와치타입 단말기의 일 예를 일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은 와치타입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와치타입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와치타입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와치타입 단말기(100)와 다른 와치타입 단말기(100) 사이, 또는 와치타입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와치타입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와치타입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와치타입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와치타입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와치타입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와치타입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미도시)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와치타입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와치타입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와치타입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와치타입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와치타입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와치타입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와치타입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와치타입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와치타입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와치타입 단말기(1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와치타입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1)를 구비하는 본체(101) 및 본체(1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102)를 포함한다. 본체(1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케이스(101a) 및 제2케이스(1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와치타입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1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에는 터치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제1 케이스(1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1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1)에는 음향 출력부(152), 카메라(121), 마이크로폰(122), 사용자 입력부(1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1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1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1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1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102)는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1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102)에는 파스너(fastener; 1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102a)는 버클(buckle),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1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100)는 압력센서(2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압력센서(200)는 현재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위치한 곳의 압력을 감지하며, 상기 압력센서(200)는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육상 및 수중에 위치하는 경우 모두 주변 영역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는 생체정보를 수집하는 체성분 수집 센서(2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체성분 수집센서(240)는 PPG센서, 체지방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구조 및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한 와치타입 단말기(100)의 제어방법과 수영 패턴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압력센서에 의한 압력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에 장착된 압력센서(200)는 육상 및 수중에서 모두 압력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기준 간격으로 압력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상기 압력센서(2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측정되는 압력은 육상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기복 없이 특정 범위 내의 압력값을 갖는다. 다만,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육상에서 수중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압력값은 특정 시간안에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증가한다. 도 2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압력값은 약 1.5초 사이에 약 40hpa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되는 압력값이 특정 시간 이내에 기준 값 이상 증가(변경)되는 경우, 상기 와치 타입 단말기(100)가 육상에서 수중으로 또는 수중에서 육상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값의 변화에 근거하여 기능의 구동상태를 변경하거나 특정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수중에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200)의 구조적 특징을 먼저 설명하고,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수중으로 이동 하는 경우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 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압력센서 유닛(210)은 압력센서모듈(211), 상기 압력센서모듈(211)을 수납하는 제1 및 제2 바디(212a, 212b). 상기 제1 및 제2 바디(212a, 212b)사이에서 상기 압력센서모듈(211)을 탄성지지하는 제1 오링(215) 및 플레이트(2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212a)는 제1 회로기판(216)이 장착된 상기 압력센서모듈(211)이 안착되도록 단차를 이루며, 상기 제1 바디(212a)는 상기 압력센서모듈(211)의 일 측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바디(212a)는 상기 제1 회로기판(216)이 노출되도록 개구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바디(212a) 상에 상기 압력센서모듈(211)이 안착되고, 상기 압력센서모듈(211)과 상기 제2 바디(212b) 사이에는 상기 오링(215)이 끼워진다. 상기 오링(215)의 중앙영역과 관통하는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플레이트(214)는 상기 오링(215)의 외주보다 큰 외주를 이루며, 상기 플레이트(214)는 상기 제2 바디(212b)와 결합한다.
상기 제2 바디(212b)는 상기 플레이트(214)의 개구영역과 중첩되는 개구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개구영역을 통하여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공기가 통한다.
상기 제2 바디(212b)는 상기 제1 바디(212a)와 마주보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바디(212a, 212b) 및 상기 플레이트(214)는 스크류(213)의하여 고정된다. 한 쌍의 스크류(213)는 각각 상기 제2 바디(212b), 상기 플레이트(214) 및 상기 제1 바디(212a)를 관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모듈(211)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212a, 212b)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b를 더 참조하면, 상기 압력센서모듈(211)은 압력센서(211a,), 하우징(211b), 제2 오링(211c)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1b)은 상기 압력센서모듈(211)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압력센서모듈(211)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고정하는 지지벽(211b")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오링(211c)은 상기 압력센서모듈(211)과 상기 지지벽(211b") 사이에 끼어진다.
상기 하우징(211b)은 상기 내부공간과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벤트홀(211b')을 포함한다. 상기 벤트홀(211b')은 상기 압력센서(211a)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벤트홀(211b')은 상기 제2 바디(212b) 및 상기 플레이트(214)의 개구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압력센서(211a)에 회로기판(211d)가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211b)은 상기 회로기판(211d)이 장착된 압력센서(211a)를 수납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압력센서유닛의 하우징은 압력센서의 움직임이 없도록 수납하고 있으며, 제1 및 제2 오링에 의하여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을 수납하는 제1 및 제2 바디 또한 상기 하우징의 진동 및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하부 및 측면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움직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와치타입 단말기(100)에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고어텍스와 같은 섬유재료를 전면에 배치하지 아니하고도, 다른 전자부품들에 유입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는 바, 방수압력센서가 공기 또는 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압력센서유닛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고어텍스를 사용하는 압력센서유닛에 비하여 보다 높은 수압을 견딜 수 있는 바, 깊은 영역(예를 들어, 수심 50M)에서의 수압을 감지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유닛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센서유닛(220)은 하우징(222)에 안착되는 압력센서(221), 상기 압력센서(221)에 고정되는 소켓(224), 상기 압력센서(221)에 연결되는 회로기판(223)을 포함한다.
오링(225)은 상기 압력센서(221)의 외주면에 장착된다. 상기 오링(225)을 사이에 두고, 상기 소켓(224)은 상기 압력센서(221)에 끼워진다. 상기 소켓(224)은 상기 압력센서(22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압력센서(221)로 공기(또는 물)가 유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홀(224')이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223)과 상기 소켓(224)가 장착된 상기 압력센서모듈은 상기 하우징(222)에 안착된다. 상기 하우징(222)은 상기 압력센서(221)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우징(222)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벽(222a)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벽(222a)의 상부에는 상기 소켓(224)이 끼워지고, 상기 지지벽(222a)의 하부에는 상기 회로기판(223)이 상기 압력센서(2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안착된다.
상기 압력센서(221)와 상기 회로기판(22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회로기판(223)에는 단자(c-clip, 223a)가 형성된다.
상기 소켓(224)과 상기 하우징(222)이 맞닿는 면은 본딩처리되어, 상기 하우징(222)과 상기 소켓(224)이 고정되며 물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라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압력을 감지한다(S21).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주기로 상기 압력센서(200)를 활성화시키거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상기 압력센서(20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된 압력값을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센서에 의한 압력변화와 기준 변화량을 비교한다(S22). 상기 기준 변화량은 육상에서 수중으로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이동 하는 경우의 평균 압력 변화량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육상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기준 변화량 보다 상기 압력변화가 작으면,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를 육상모드인 제1 모드로 구동한다(S23)
상기 제1 모드는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육상에서 활성화되는 경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거나, 특정 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특정 정보를 출력 또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압력 변화량이 상기 기준 변화량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육상모드를 상기 수중모드인 제2 모드로 전환한다(S24).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S25). 상기 제2 모드의 특정 기능은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수중에서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거나, 특정 기능을 활성화시키거나, 특정 정보를 출력 또는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서로 다른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 없이도,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의 구동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수중모드인 제2 모드에서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압력 변화값이 상기 기준 변화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모드를 제1 모드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환경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모드를 변경할 제어명령을 인가할 필요가 없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제1 이미지(511)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123)에 의하여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이미지(511)들을 변경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1 이미지(511)들은 현재 날짜, 날씨, 시간에 관한 제1 정보를 포함하거나, 걸음 수, 칼로리 소비량, 이동한 거리, 맥박, 계단 등을 오른 제2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육상에 위치하는 경우 수집된 정보, 육상에서 실행가능 한 기능에 관한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감지된 압력 변화량이 상기 기준 변화량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1 모드를 제2 모드로 변경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이미지(512)들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23)에 의하여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이미지(512)들을 차례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2 이미지(512)들은 상기 제1 정보 및 제3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정보는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에 의하여 수중에서 수집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수중에서의 워크아웃(workout)시간, 스크로크 카운트(stroke count), 소비 칼로리, 랩 카운트(lap count), 스트로크 타입(stroke type), 스울프(swolf)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는 출력되지 아니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및 제2 모드에서 출력되는 이미지를 서로 다르게 제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작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현재 상태(육상 또는 수중)에서 필요한 정보를 보다 빨리 제공받을 수 있다.
도 5c 내지 도 5e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체성분 수집 센서(240)를 통하여 생체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체성분 수집 센서(240)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하는 PPG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성분 수집 센서(240)는 빛을 출력하고, 신체에 의하여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여 심박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심박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제1 모드에서 제1 광량의 빛을 출력하도록 상기 체성분 수집 센서(240)의 발광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피부색에 의하여 서로 다른 광량의 빛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흑인의 피부를 갖는 경우, 제1 광량(L1) 보다 더 센 제3 광량(L3)의 빛을 출력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한다. 높은 광량의 빛을 출력하는 경우 빛의 일부가 피부에 의하여 흡수되더라도 정확한 값의 생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된 압력값이 기준 압려값 보다 크게 변하는 경우 제2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광량 보다 큰 제2 광량(L2)으로 빛을 출력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1 모드에서보다 제2 모드에서 보다 센 빛이 출력되므로, 수중에서 상기 체성분 수집 센서(240)와 사용자의 피부 사이의 물이 유입되어 빛이 누설되는 경우에도, 피부로 도달하는 빛의 확보가 가능하다. 따라서,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수중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육상에서보다 빛의 출력을 강하게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생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어두운 피부색을 가지고 있는 경우, 상기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제3 광량 보다 센 제4 광량(L4)으로 빛을 출력하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할 수 있다.
어두운 피부색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물속에 들어간 경우 흡수되거나 누설되는 빛의 양을 고려하여 높은 광량의 빛을 출력하며, 생체정보를 안정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의 위치에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품질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생체 수집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서 특정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정보는 체지방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체성분 수집 센서(240)는 신체의 일 영역과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전극은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체성분 수집 센서(240)는 상기 복수의 전극에 물이 묻어있는 경우, 정확한 체지방 정보를 수집할 수 없다.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체성분 수집 센서(240)의 상기 전극에 신체의 일 영역이 접촉된 경우, 체지방정보를 수집하도록 상기 체성분 수집 센서(240)를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체성분 수집 센서(240)에 의하여 감지되는 체지방정보(521)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되는 압력값의 변화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모드를 제2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체성분 정보를 수집하지 않도록 상기 체성분 수집 센서(24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체성분 수집 센서(240)의 전극에 신체의 일부가 접촉되더라도 상기 체성분 수집 센서(240)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성분 수집센서(240)의 전극에 신체의 일 영역이 접촉되는 경우 측정이 불가능 하다는 정보를 알리는 경고정보(522)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또한 계속적인 측정의 시도(전극에의 접촉)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경고정보(522)는 물에서 나가라는 메시지 또는 체지방 측정을 실행하지 못한다는 메시지 또는 이미지에 해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중에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할 수 없는 경우, 정보를 수집하는 기능을 비활성화 시킨다. 이에 따라 불분명한 데이터의 제공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e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은 무선통신기능(블루투스 기능)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활성화된 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는 이미지(531)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된다.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상기 특정 기능은 상기 수중에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경우 불필요하거나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없는 것에 해당될 수 있다. 즉, 외부기기와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무선통신 기능이 안정적으로 수행되지 않거나 불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을 제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특정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특정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되면, 이를 나타내는 이미지(531)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특정 기능은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다시 활성화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는 특정 기능을 상기 제1 모드에서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활성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사용자의 제어명령 없이 상기 특정 기능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시키는 바, 와치타입 단말기(100)를 안정적으로 구동하고 소비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감지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스트로크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c는 수영 트래킹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활성화되는 센서들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b 및 도 6c를 먼저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200), 상기 감지부(140)에 포함되는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중에 있는 경우 수영 트래킹 정보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압력센서(200), 상기 자이로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있는 상기 팔목의 이동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목의 회전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손목의 이동 방향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상기 수중에서의 압력변화를 감지하고, 손목이 물 안팎으로 이동하는 시점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수영하는 동안의 트래킹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다라, 수영영법이나 스트로크 정보를 분석 및 회득할 수 있다.
도 6b(a)는 손목에 와치타입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수영을 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6b(b), 도 6b(c), 도 6b(d) 및 도 6b(e)는 각각 자유형, 배영, 평영, 접영으로 분석되는 수영패턴을 도시한다.
도 6d는 수중에서 수영하는 경우 압력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압력의 변화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사용자가 손목에 와치타입 단말기(100)를 착용하고 수영을 하는 경우, 손목의 이동에 의하여 와치타입 단말기(100)는 수중 및 육상으로의 이동을 반복한다. 또한 수중에서 손목의 이동에 의하여 압력변화가 감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압력의 변화 패턴을 감지하여 수영의 패턴 밑 스트로크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중에서는 압력변화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감지된다(0.1m 변화시 10hpa). 또한 물밖에서는 손목의 이동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압력변화가 작다(85m 변화시 10hpa). 따라서, 손목이 물속에 위치하는지, 물밖에 위치하는지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물에 손목이 들어가는 순간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로크를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00), 상기 자이로센서 및 상기 가속도 센서는 각각이 구동하는 경우 소비되는 소모전류가 상이하다. 배터리 소모량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압력센서 순이다.
도 6a 및 도 6c를 참조하면, 압력센서(20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S31), 와치타입 단말기(100)를 착용한 사용자가 입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되는 압력변화에 근거하여 입수를 감지하고 수영모드인 제2 모드를 활성화시킨다(S3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제1 내지 제3 센서를 활성화시켜, 수영영법 및 스트로크를 감지하도록 제어한다(S33). 여기에서 상기 제1 센서는 자이로센서, 상기 제2 센서는 가속도 센서, 상기 제3 센서는 압력센서(200)에 해당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센서가 활성화되면 수영영법, 스트로크 횟수, 랩횟수를 통하여 슬로프(SWOLF)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에 의하여, 특정 자세에서 손목의 방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배터리의 잔량과 기준 전력량을 비교한다(S34).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의 잔량이 제1 기준량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 센서를 비활성화 시킨다(S36).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및 제3 센서를 이용하여 수영 패턴 데이터를 형성한다(S37). 예를 들어, 배터리의 용량이 50% 에서 100% 정도 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3 센서를 모드 활성화시킨다.
한편, 측정된 배터리의 잔량이 제2 기준량 보다 적은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비활성화시킨다(S35). 상기 제2 기준량은 상기 제1 기준량 보다 작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센서만으로 감지되는 정보를 통하여 상기 수영 패턴 데이터를 형성한다(S35).
상기 압력센서(200)만으로 수영 패턴을 감지하는 경우에도, 손목이 물속 또는 물밖에 위치하는지 여부의 파악이 가능하고, 물속에서 손목이 이동하는 속도의 감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물속 및 물밖에서의 패턴을 분석하여 스트로크 횟수의 산출이 가능한 바, 스트로크 정보를 포함하는 수영 패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자이로센서가 비활성화 된 경우에는 회전각의 분석이 불가능하므로, 수영영법의 정보를 정확하게 획득하기 어렵다.
즉, 상기 배터리 용량이 20% 에서 50%사이인 경우, 상기 제2 및 제3 센서만 활성화시키고, 20% 이하인 경우 제3 센서인 압력센서만으로 감지된 정보를 통하여 상기 수영 패턴 데이터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면서, 사용자가 수중에 있는 동안 수영 패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치타입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에 포함된 압력센서 및 위치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결상태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의 위치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외부에서 실내로 들어온 이후, 상기 압력센서에 의하여 손이 물속에 입수되어 사용자가 손을 씻는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실내로 이동한 이후 특정 시간 동안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수중으로 들어가지는 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압력센서(20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시간(t) 동안 입수가 감지되지 아니하면, 무선연결되는 특정 이동 단말기(100a, 100b)로 경고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는 특정 경고정보를 출력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가 외부에서 내부로 이동한 경우, 특정 시간 동안 또는 즉시 손을 씻으라는 가이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수중으로의 이동이 감지되지 아니하는 경우, 손을 씻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기 설정된 외부기기를 비활성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기기의 활성화상태를 제한하거나, 특정 기능이 실행되지 않도록 상기 외부기기에 무선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감지되는 수압 및 다른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습도 및 모션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샤워 중임을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를 샤워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와 무선연결되는 외부기기(100')의 구동을 샤워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외부기기의 구동모드를 변경하지 않더라도 외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기기(100')는 샤워모드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음성데이터로 변경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외부기기(100')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여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샤워모드에서 상기 외부기기(100')에 영상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추가적인 제어명령 없이 사용자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비활성화시킨다.
도 7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모션센서 및 PPG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운동상태임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수중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운동의 종료로 판단하고, 수행한 운동 데이터를 산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운동 데이터를 외부기기(100')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100')는 운동 데이터(504) 및 운동 분석 결과(505)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도 7e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센서(100)에 의하여 감지되는 압력변화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다이빙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감지부에 포함되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입수되기 전까지의 움직임을 분석한 자세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세 데이터(506)는 외부기기(100a)에 의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을 하거나 특정 제어명령을 인가하지 아니하고도, 입수전의 자세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입수된 시점으로부터 특정 시간 이전부터의 움직임 정보를 통하여 상기 자세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f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입수한 시점 및 육상으로 나온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입수가 감지되는 경우, 스탑워치 기능을 활성화시켜 시간의 측정을 시작하고, 육상으로 나온 경우 시작 측정을 중지하여, 수중에 있었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수시 별도로 시간을 기록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수영시간 또는/및 잠수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경고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물의 입수를 감지하고, 온도센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물의 온도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특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수중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경고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경고정보는 이미지, 텍스트 또는 소리정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특정 시간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건강정보 또는 측정된 생체데이터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에 장착되거나 연동되는 외부기기에 포함된 카메라에 의하여 영상이 촬영되는 동안 상기 압력센서(200)는 압력변화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압력변화에 근거하여 수중 및 육상으로 이동한 시점을 추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촬영된 연속적인 영상을 분할한다.
즉, 연속적인 영상은 수중에 위치한 시간에 촬영된 영상부분(507a), 육상으로 나온 시간에 촬영된 영상부분(507b)을 구별하여 구획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사용자가 수중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 정보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다만 상기 경고 정보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소리, 진동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사용자가 계속 수중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와치타입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외부기기에 경고 메시지를 송신한다.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압력센서(200)에 의하여 사용자가 수중에 입수한 것이 감지되면, 외부기기(100a) SOS정보를 송신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활동로그나, 감지부에 포함된 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및 이동 정보에 근거하여, 갑작스러운 입수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SOS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적절한 입수를 수행하거나, 갑작스러운 입수에 의하여 위험이 발생되는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특정 경고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본인의 의사에 반대로 위험한 사항에 쳐하거나, 사용자 건강에 바람직하지 않게 수중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 또는 타인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0)
- 신체의 일 영역에 장착가능 한 본체; 및
육상모드에서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 장착되어 외부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센서;
상기 압력의 변화가 기 설정된 기준 변화량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육상모드를 수중모드로 전환하여 특정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중모드가 활성화되면 상기 수중모드에 대응되는 제1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육상모드에 대응되는 제2 모드의 실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빛을 출력하는 발광부와 피부에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구비하며,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PPG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중모드에서 출력되는 빛의 광량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발광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육상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제1 이미지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수중모드에서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제2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1 및 제2 이미지들이 각각 포함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모드에서, 상기 압력센서와 수영 패턴 데이터를 형성하기 위하여 회전을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속도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현재 배터리 잔량과 기준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센서를 순서대로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실외에서 실내로 이동한 이후, 특정 시간 이내에 수중으로의 이동에 따른 압력변화가 감지되지 아니하면, 경고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외부기기와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중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수중모드로의 전환명령을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상기 외부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압력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모듈은,
상기 압력센서가 배치되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일 영역에 벤트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압력센서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끼워지는 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모듈을 포함하는 압력센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모듈은,
압력센서유닛을 지지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및 제2 바디;
상기 압력센서유닛의 일 영역과 대응되는 제1 개구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디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압력센서모듈 사이에 끼워져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오링;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와 상기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플레이트의 제1 개구영역과 대응되는 제2 개구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벤트홀이 상기 제1 및 제2 개구영역과 중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치타입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8273A KR20180051227A (ko) | 2016-11-08 | 2016-11-08 | 와치타입 단말기 |
US16/346,863 US20200064781A1 (en) | 2016-11-08 | 2016-11-24 | Watch-type terminal |
PCT/KR2016/013653 WO2018088612A1 (ko) | 2016-11-08 | 2016-11-24 | 와치타입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8273A KR20180051227A (ko) | 2016-11-08 | 2016-11-08 | 와치타입 단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1227A true KR20180051227A (ko) | 2018-05-16 |
Family
ID=6210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8273A KR20180051227A (ko) | 2016-11-08 | 2016-11-08 | 와치타입 단말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064781A1 (ko) |
KR (1) | KR20180051227A (ko) |
WO (1) | WO2018088612A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30870A1 (ko) * | 2020-08-04 | 2022-02-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22071773A1 (ko) * | 2020-09-29 | 2022-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모바일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CN116818178A (zh) * | 2023-08-25 | 2023-09-29 | 深圳市微克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智能手表的水深与水压监测方法、系统及介质 |
US11813083B2 (en) | 2020-04-21 | 2023-11-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ssembly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90074719A1 (en) * | 2017-09-06 | 2019-03-07 | Apple Inc. | Multiple-structure wireless charging receiver systems having multiple receiver coils |
US11426091B2 (en) | 2017-09-06 | 2022-08-30 | Apple Inc. | Film coatings as electrically conductive pathways |
US10381881B2 (en) | 2017-09-06 | 2019-08-13 | Apple Inc. | Architectur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wireless charging receiver systems |
JP6836193B2 (ja) * | 2017-09-27 | 2021-02-24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計測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11281878B2 (en) * | 2018-02-20 | 2022-03-22 |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 Wetness detection with biometric sensor device for use in blood treatment |
US20220038190A1 (en) * | 2020-07-31 | 2022-02-03 | Apple Inc. | Underwater communication using electronic devices |
KR20220101502A (ko) * | 2021-01-11 | 2022-07-19 |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 메모리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
CN115212541B (zh) * | 2022-04-12 | 2023-11-17 | 湘潭大学 | 自由泳四肢和口鼻出入水时间记录装置及数据分析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885201B2 (en) * | 2002-12-05 | 2005-04-26 | Asuiab S.A. |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pacitive water detection means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
ATE533092T1 (de) * | 2003-12-17 | 2011-11-15 | Eta Sa Mft Horlogere Suisse | Tragbares elektronisches gerät, das mit einem drucksensor ausgerüstet ist |
EP1672443B1 (fr) * | 2004-12-17 | 2010-08-18 |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 Montre comportant un capteur de pression |
US9111750B2 (en) * | 2013-06-28 | 2015-08-18 | General Electric Company | Over-voltage protection of gallium nitride semiconductor devices |
CN116584928A (zh) * | 2014-09-02 | 2023-08-15 | 苹果公司 | 身体活动和健身监视器 |
-
2016
- 2016-11-08 KR KR1020160148273A patent/KR20180051227A/ko unknown
- 2016-11-24 WO PCT/KR2016/013653 patent/WO2018088612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1-24 US US16/346,863 patent/US20200064781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813083B2 (en) | 2020-04-21 | 2023-11-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ssembly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
WO2022030870A1 (ko) * | 2020-08-04 | 2022-02-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WO2022071773A1 (ko) * | 2020-09-29 | 2022-04-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모바일 기기,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
CN116818178A (zh) * | 2023-08-25 | 2023-09-29 | 深圳市微克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智能手表的水深与水压监测方法、系统及介质 |
CN116818178B (zh) * | 2023-08-25 | 2023-11-17 | 深圳市微克科技有限公司 | 一种基于智能手表的水深与水压监测方法、系统及介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88612A1 (ko) | 2018-05-17 |
US20200064781A1 (en) | 2020-0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51227A (ko) | 와치타입 단말기 | |
US11963590B2 (en) | Ring-type wearable device | |
US9795309B2 (en) | Wearable mobile terminal | |
JP6486439B2 (ja) | モーションキャプチ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EP3344121B1 (en) | Display arrangement for watch case | |
FI113404B (fi) | Ranteessa pidettävä elektroninen laite ja sen ohjausmenetelmä | |
KR102502969B1 (ko) | 와치타입 단말기 | |
JP2018529416A (ja) | 心拍数モニタ | |
US10201292B2 (en) | Activity monitors | |
KR20190101456A (ko) | 혈압 센서의 배치 및 접촉 품질의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KR20170050954A (ko) | 스마트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60016263A (ko) | 미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US10726741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handheld diagnostic ultrasound systems into ultrasound training systems | |
KR20100112764A (ko) | 동작교정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동작교정 서비스시스템 | |
JP2016533256A (ja) |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ー | |
JP5122243B2 (ja) |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携帯端末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
CN117322860A (zh) | 心率跟踪技术 | |
WO2013179883A1 (ja) | 電子機器及び衣服 | |
KR102657522B1 (ko) | 저혈압의 발생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JP2005172625A (ja) | 行動検知装置 | |
KR20180048701A (ko) | 시계 케이스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 |
CN219180041U (zh) | 遥控器和拍摄系统 | |
JP7256563B2 (ja) | 情報処理端末装置の連結機構及び連結方法 | |
TWI645386B (zh) | 多向搜尋回饋系統與方法 | |
KR20160028759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